KR101297738B1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738B1
KR101297738B1 KR1020060108855A KR20060108855A KR101297738B1 KR 101297738 B1 KR101297738 B1 KR 101297738B1 KR 1020060108855 A KR1020060108855 A KR 1020060108855A KR 20060108855 A KR20060108855 A KR 20060108855A KR 101297738 B1 KR101297738 B1 KR 101297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wing machine
remaining amount
frame
ri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077A (ko
Inventor
요시유키 사사키
토시유키 이와타
타카히로 오가타
이쿠코 타케다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9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1/00Lubricating or cool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9/00Lubricant containers for use in lubricators or lubrication systems
    • F16N19/003Indicating oil level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12Machine to the operator; Alarms
    • D05D2205/16Displa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32Sew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60/00Fail safe
    • F16N2260/02Indicating
    • F16N2260/04Oi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윤활유의 주유기구와 프레임과의 접속구조를 간략화하여, 윤활유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한다.
본 발명의 재봉기에는, 재봉기 베드 및 상기 재봉기 베드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재봉기 세로몸체부를 갖는 프레임과, 프레임에서의 재봉기 베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윤활유를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오일탱크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표시부와, 오일탱크에 상기 윤활유를 주입하기 위한 주유구와, 주유구 및 오일탱크를 연통하는 급유경로가 구비되어 있다. 프레임에서의 재봉기 세로몸체부에서, 내측까지 관통하는 컷아웃부를 형성하고, 컷아웃부에 잔량표시부와 주유구를 일체로 부착하고 있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재봉기에 구비되는 고정부 및 부자(浮子) 케이스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재봉기에 구비되는 잔량표시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재봉기에 구비되는 잔량표시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재봉기에 구비되는 잔량표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잔량표시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a)의 A-A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재봉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재봉기에 구비되는 고정부 및 부자 케이스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재봉기 2 : 재봉기 베드
3 : 재봉기 세로몸체부 4 : 재봉기 아암
5 : 프레임 6 : 오일탱크
7: 튜브(급유경로) 8 : 컷아웃부
9 : 잔량표시부 10 : 표시창부
11 : 고정부 12 : 부자(浮子)
13 : 부자 케이스 14 : 경사면
15 : 주유구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봉기에는 윤활유를 저장하는 오일탱크가 탑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100)의 프레임(110)에는 주유구(101)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주유구(101)로부터 오일탱크(102)까지 윤활유를 안내하는 튜브(10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재봉기(100)에서는 주유구(101)가 프레임(110)의 여러 장소 중 어느 한곳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프레임(110)에서의 재봉기 아암(111)의 상면에 형성된 주유구(101a)나, 재봉기 세로몸체부(112)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주유구(101b), 재봉기 세로몸체부(112)에서 비스듬히 형성된 주유구(101c), 재봉기 베드(113)의 상면에 형성된 주유구(101d), 재봉기 베드(113)의 측 면에 형성된 주유구(101e) 등이 있다.
또한, 재봉기(100)에는, 오일탱크(102)의 오일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표시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잔량표시부(120)에는, 오일 잔량에 따라 떴다 가라앉았다하는 부자(121)와, 프레임(110) 내에 배치되어, 부자(121)를 떴다 가라앉았다 가능하게 수납하는 부자 케이스(122)와, 부자 케이스(122) 및 오일탱크(102)에 접속되어, 부자(121)가 떴다 가라앉았다 하도록 부자 케이스(122)에 오일탱크(102) 내의 윤활유를 안내하는 튜브(123)와, 부자(121)의 상단부를 프레임(110)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해 프레임(110)에 형성된 오목부(124)와, 오목부(124) 내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덮는 광투과성의 표시창부(12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10)에는, 오목부(124) 내에 부자(121)의 선단부를 진입시키기 위한 관통구멍(114)이나, 부자 케이스(122)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 부자 케이스(122)의 상단부에 부착된 O링(126)에 걸림결합되는 걸림결합 오목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오일탱크(102)의 오일 잔량이 증가할 경우, 윤활유는 오일탱크(102)로부터 튜브(123)를 통해 부자 케이스(122) 내에 유입되므로, 부자(121)는 부상한다. 한편, 오일탱크(102)의 오일 잔량이 감소할 경우, 윤활유는 부자 케이스(122)로부터 튜브(123)를 통해 오일탱크(102)로 유출되므로, 부자(121)는 침강한다. 이와 같이, 오일탱크(102) 내의 오일 잔량에 대응하여 부자(121)가 떴다 가라앉았다 하면, 상기 부자(121)의 선단부의 표시창부(125)로부터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110)의 외측으로부터도 오일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117179호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재봉기의 주유구(101)라면, 예컨대 재봉기 아암(111)의 상면에 형성된 주유구(101a)의 경우에는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주유할 때마다 일어날 필요가 있고, 재봉기 세로몸체부(112)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주유구(101b)의 경우에는 수직이므로 윤활유를 흘릴 우려가 있다. 또한, 재봉기 세로몸체부(112)에서 비스듬히 형성된 주유구(101c)인 경우에는 경사 프레임 가공이 필요하고, 재봉기 베드(113)의 상면에 형성된 주유구(101d)의 경우에는 재봉기 세로몸체부(112)의 그늘(陰)이 되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윤활유의 주입이 곤란하며, 재봉기 베드(113)의 측면에 형성된 주유구(101e)의 경우에는 재봉기(100)를 넘어뜨려 주유구(101e)를 노출시키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잔량표시부(120)를 형성함에 있어서도 번잡한 프레임 가공이 필요하고, 게다가 오일탱크(102)로부터 주유구(101)까지를 연통시키는 튜브(103)와, 오일탱크(102)로부터 부자 케이스(122)까지를 연통시키는 튜브(123)가 있기 때문에, 튜브의 배선이 번잡하게 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조립이나, 가공에 시간과 노력이 들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억제하는 데 폐해가 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윤활유의 주유기구와 프레임과의 접속구조를 간략화하여, 윤활유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봉제물이 놓여지는 재봉기 베드 및 상기 재봉기 베드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재봉기 세로몸체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서의 상기 재봉기 베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윤활유를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탱크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표시부와,
상기 오일탱크에 상기 윤활유를 주입하기 위한 주유구와,
상기 주유구 및 상기 오일탱크를 연통하는 급유경로를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프레임에서의 상기 재봉기 세로몸체부에서 상기 재봉기 세로몸체부의 내측까지 관통하는 컷아웃(cut-out)부를 형성하고, 상기 컷아웃부에 상기 잔량표시부와 상기 주유구를 일체로 부착시키며,
삭제
상기 잔량표시부는, 상기 컷아웃부를 덮는 광투과성의 표시창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유구와 상기 표시창부가 일체화되며,
삭제
상기 잔량표시부는, 상기 표시창부에 대치(對峙)되도록 상기 컷아웃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표시창부의 사이에서 승강하여, 상기 오일탱크의 잔량을 표시하는 부자와,
상기 부자를 승강가능하게 수납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급유경로 및 상기 주유구와 연통하는 부자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재봉기로서,
상기 고정부에서의 상기 표시창부에 대치되는 대치면에는, 상기 부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오일탱크의 잔량을 나타내는 눈금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재봉기로서,
상기 고정부의 상기 대치면은, 상기 눈금을 지시하는 상기 부자의 지시 바(棒)를 사이에 두고 2면 형성되어 있고, 상기 2면의 대치면은, 상기 지시바 부근으로부터, 상기 표시창부를 향해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1)에는, 봉제물이 놓이는 재봉기 베드(2), 상기 재봉기 베드(2)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재봉기 세로몸체부(3) 및 재봉기 세로몸체부(3)의 상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재봉기 아암(4)을 갖는 프레임(5)이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5)에서의 재봉기 베드(2)의 하부에는, 윤활유를 저장하는 오일탱크(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오일탱크(6)의 바닥부 부근에는, 윤활유의 급유경로로 되는 제 1 튜브(7)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에서의 재봉기 세로몸체부(3)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까지 관통하는 컷아웃부(8; 도 1의 점선부(L))가 형성되어 있다.
컷아웃부(8)에는, 오일탱크(6)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표시부(9)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잔량표시부(9)에는, 컷아웃부(8)를 덮는 표시창부(10)와, 표시창부(10)에 대치되도록 컷아웃부(8)에 고정되는 고정부(11)와, 고정부(11) 및 표시창부(10)의 사이에서 승강하여, 오일탱크(6)의 잔량을 표시하는 부자(12)와, 부자(12)를 승강가능하게 승강시키도록, 고정부(11)의 하부에 부착되는 부자 케이스(13)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창부(10)는, 적어도 부자(12)의 승강동작을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는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표시창부(10)의 상부에는, 외측을 향해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14)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경사면(14)의 대략 중앙에는, 윤활유가 주입되는 주유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유구(15)에는, 상기 주유구(15)에 주유된 윤활유를 안내하는 제 2 튜브(15a)가 연결되어 있다.
표시창부(10)의 하부에는, 눈금(16a, 16b)이 부여된 수직면(17)이 형성되어 있다. 눈금(16a, 16b) 중, 상방의 눈금(16a)은 오일탱크(6)의 잔량이 가득 채워져 있음을 나타내고, 하방의 눈금(16b)은 급유가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시창부(10)의 양측부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프레임(5)에 걸림결합되는 제 1 걸림결합부(18)가 설치되어 있고, 그 대략 중앙에는 고정나사(도시생략)가 삽입되는 제 1 관통구멍(19)이 수평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표시창부(10)가 프레임(5)에 부착될 때에는, 프레임(5)의 내측으로부터 컷아웃부(8)에 삽입되어, 제 1 걸림결합부(18)가 프레임(5)의 내면에 걸림결합되고, 제 1 관통구멍(19)과, 프레임(5)의 내면에 형성된 제 1 나사구멍(도시생략)이 일직선형상으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나사가 제 1 관통구멍(19)을 통해 제 1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면, 표시창부(10)가 프레임(5)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부(11)는, 예컨대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11)의 양측부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프레임(5)에 걸림결합되는 제 2 걸림결합부(20)가 설치되어 있고, 그 대략 중앙에는 고정나사(도시생략)가 삽입되는 제 2 관통구멍(21)이 수평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1)에는, 주위에 O링(22)이 부착된 상면에서 봤을 때 대략 원형상인 바닥부(23)와, 바닥부(23)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면에서 봤을 때 대략 반원형상인 연장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23)의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르는 제 3 관통구멍(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장부(24)에는 제 3 관통구멍(25)에 연속하는 홈(26)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1)가 프레임(5)에 부착될 때에는, 표시창부(10)가 프레임(5)에 고정된 후에, 프레임(5)의 내측으로부터 컷아웃부(8)에 삽입되어, 제 2 걸림결합부(20)가 프레임(5)의 내면에 걸림결합되고, 제 2 관통구멍(21)과, 프레임(5)의 내면에 형성된 제 2 나사구멍(도시생략)이 일직선형상으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나사가 제 2 관통구멍(21)을 통해 제 2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면, 고정부(11)가 프레임(5)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홈(26)이 형성된 표면(24a)과, 제 2 걸림결합부(20)가 평행으로 되어 있으므로, 고정부(11)가 프레임(5)에 고정되었을 때에는, 표면(24a)이 외측을 향하도록 되어, 표시창부(10)에 대치되게 된다. 상기 표면(24a)이 부자(12)의 배경이 된다.
부자(12)는, 윤활유보다 비중이 가벼운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자(12)에는, 대략 원뿔형상의 부자본체(27)와, 부자본체(27)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고정부(11)의 제 3 관통구멍(25)을 통해 홈(26) 내에 배치되는 지시바(2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지시바(28)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시바(28)와 고정부(11)의 표면(24a)이 다른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자 케이스(13)는, 예컨대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자 케이스(13)에는, 상부가 개방된 속이 빈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자(12)를 수납하는 동시에 윤활유를 저장하며, 상기 윤활유의 증감에 따라 부자(12)를 떴다 가라앉혔다 하여 승강시키는 케이스부(29)와, 케이스부(29)의 내부에 연통하여 제 1 튜브(7)가 연결되는 연결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29)의 상단부에는, 고정부(11)의 바닥부(23)가 O링(22)을 통해 끼움결합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단부에 고정부(11)의 바닥부(23)가 끼움결합됨으로써, 고정부(11)와 부자 케이스(13)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연결부(30)에는, 케이스부(29)로부터 프레임(5)에서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제 1 튜브(7)가 연결되는 제 1 연결관(31)과, 제 1 연결관(31)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제 2 튜브(15a)가 연결되는 제 2 연결관(3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에 따라, 주유구(15)와 제 1 튜브(7)가 연통하게 되므로, 주유구(15)로부터 주입된 윤활유는, 제 2 튜브(15a), 연결부(30) 및 제 1 튜브(7)를 통해 오일탱크(6)에 공급되게 된다. 또한, 주유구(15)로부터 주입된 윤활유는, 제 2 튜브(15a), 연결부(30)를 통해 케이스부(29) 내에 유입되어, 부자(12)를 떴다 가라앉혔다 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오일탱크(6) 내의 윤활유가 사용되어 감소하면, 부자 케이스(13) 내의 윤활유도 연결부(30) 및 제 1 튜브(7)를 통해 오일탱크(6) 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감소하여, 부자(12)가 침강한다. 이러한 침강에 따라, 부자(12)의 지시바(28)의 상단부가 눈금(16b)보다 하측이 되면, 급유가 필요함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표시에 근거하여 작업자가 주유구(15)로부터 윤활유를 주입하면, 윤활유는 주유구(15)로부터, 제 2 튜브(15a), 연결부(30) 및 제 1 튜브(7)를 통해 오일탱크(6)에 공급되는 동시에, 제 2 튜브(15a), 연결부(30)를 통해 케이스부(29)에 공급된다. 케이스부(29) 내의 윤활유가 증가하면, 부자(12)가 부상한다. 이러한 부상에 따라, 부자(12)의 지시바(28)의 상단부가 눈금(16a)보다 상측이 되면, 오일탱크(6)가 가득 채워져 있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작업자는 윤활유의 주입을 정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재봉기(1)에 따르면, 표시창부(10)에 주유구(15)가 형성됨으로써 잔량표시부(9)와 주유구(15)가 일체가 된 상태로, 컷아웃부(8)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잔량표시부(9)와 주유구(5)가 각각 별체로 부착되는 경우에 필요한 프레임 가공을 통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주유기구와 프레임(5)과의 접속구조가 간략화된다. 이에 따라,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표시창부(10)에 주유구(15)가 일체화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잔량표시부(9)와 일체화되는 주유구 전용의 부품을 새롭게 작성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5)은 주조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주유구(15)와 프레임(5)이 일체화된 것이라면, 주유구 형상의 자유도가 어느 정도 한정되는데, 주유구(15)와 잔량표시부(9)가 일체이지만 프레임(5)과는 일체가 아니기 때문에 주유구 형상의 자유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경사면(14)에 주유구(15)를 형성한다고 하는 주유하기 쉬운 형상의 주유구(15)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11)의 연장부(24)가 표시창부(10)에 대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24) 및 표시창부(10)의 사이에서 부자(12)가 승강하기 때문에, 연장부(24)의 표면(24a)이 부자(12)의 배경이 되어 부자(12)의 승강을 쉽게 볼 수 있게 된다. 특히, 프레임(5)을 가공하여 부자(12)의 배경을 프레임(5) 자체에 형성할 경우, 프레임을 가공하는 데 시간이 걸리지만, 프레임(5)과는 별체인 고정부(11)가 가공의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부자(12)의 배경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부자 케이스(13)에는 제 1 튜브(7) 및 주유구(15)가 연통하고 있으므로, 잔량표시부(9)에 대한 윤활유의 유입출경로와, 주유구(15)로부터의 윤활유의 유입경로를 공통화할 수 있어, 윤활유의 유로가 되는 튜브의 배선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잔량표시부(9)의 고정부(11)와 부자 케이스(13)가 별체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들이 일체여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낸 잔량표시부(9A)를 예시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잔량표시부(9A)에는, 컷아웃부(8)에 고정되어 부자(12)를 승강가능하게 수납하는 케이스부(40)와, 케이스부(40) 내의 부자(12)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시창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40)는,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프레임(5)의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기울어지며, 주유구(42)가 형성된 경사면(43)이 설치되는 동시에, 하부에는 튜브(7)가 연결되는 연결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주유구(42)와 연결부(44)는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주유구(42)로부터 주입된 윤활유는 연결부(44) 및 튜브(7)를 통해 오일탱크(6)에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면(43)의 선단부로부터 케이스부(40)의 대략 중앙까지에는, 표시창부(41)가 끼움결합되는 개구(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부(40)에서의 경사면(43)의 양측방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프레임(5)에 걸림결합되는 제 3 걸림결합부(46)가 설치되어 있고, 그 대략 중앙에는 고정나사(도시생략)가 삽입되는 제 4 관통구멍(47)이 수평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40)가 프레임(5)에 부착될 때에는, 프레임(5)의 내측으로부터 컷아웃부(8)에 삽입되어, 제 3 걸림결합부(46)가 프레임(5)의 내면에 걸림결합되고, 제 4 관통구멍(47)과, 프레임(5)의 내면에 형성된 제 1 나사구멍(도시생략)이 일직선형상으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나사가 제 4 관통구멍(47)을 통해 제 1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면, 케이스부(40)가 프레임(5)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부(40)가 부자 케이스와 고정부와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면, 부품수를 더욱 삭감시킬 수 있다.
부품수를 더욱 삭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표시창부와 케이스부를 일체화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잔량표시부(9B)를 예시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잔량표시부(9B)에는 컷아웃부(8)에 고정되어 부자(12)를 승강가능하게 수납하는 케이스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부(50)는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 내부의 부자(12)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부(50)의 상단부에는 주유구(51)가 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부(50)의 하부에는 튜브(7)가 연결되는 연결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주유구(51)와 연결부(52)는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주유구(51)로부터 주입된 윤활유는 연결부(52) 및 튜브(7)를 통해 오일탱크(6)에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부(50)의 상부에는, 그 양측부에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프레임(5)에 걸림결합되는 제 4 걸림결합부(53)가 설치되어 있고, 그 대략 중앙에는 고정나사(도시생략)가 삽입되는 제 5 관통구멍(54)이 수평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50)가 프레임(5)에 부착될 때에는, 프레임(5)의 내측으로부터 컷아웃부(8)에 삽입되어, 제 4 걸림결합부(53)가 프레임(5)의 내면에 걸림결합되고, 제 5 관통구멍(54)과, 프레임(5)의 내면에 형성된 제 1 나사구멍(도시생략)이 일직선형상으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나사가 제 5 관통구멍(54)을 통해 제 1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면, 케이스부(50)가 프레임(5)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부(50)가 부자 케이스, 고정부 및 표시창부의 기능을 겸하여 구비하고 있다면, 부품수를 더욱 삭감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표시창부(10)에 눈금(16a, 16b)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는데,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60) 자체에 눈금(70a, 70b)을 부여하여도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나,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기(1C)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재봉기(1C)에 구비되는 잔량표시부(9C)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재봉기(1C)의 잔량표시부(9C)에는, 컷아웃부(8)를 덮는 표시창부(10C)와, 표시창부(10C)에 대치되도록 컷아웃부(8)에 고정되는 고정부(60)와, 고정부(60) 및 표시창부(10C)의 사이에서 승강하여, 오일탱크(6)의 잔량을 나타내는 부자(12)와, 부자(12)를 승강가능하게 승강시키도록, 고정부(11)의 하부에 부착되는 부자 케이스(13)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창부(10C)는, 적어도 부자(12)의 승강동작을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는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 낸 바와 같이, 표시창부(10C)의 내측면에는, 고정부(60)와 걸림결합되는 한쌍의 슬릿(62)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도 6에서는 한쪽의 슬릿(62)만 도시).
도 7은 고정부(6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a)의 A-A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60)의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프레임(5)에 나사고정되어, 고정부(60)를 프레임(5)에 지지시키는 지지부(63)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63)에는 나사가 삽입통과되는 노치(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60)의 양측부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표시창부(10C)의 슬릿(62) 내에 진퇴하는 슬라이드부(6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60)의 내부에는, 부자(12)의 지시바(28)가 삽입통과되는 상하방향을 따르는 연통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구멍(66)의 일부(67)는,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고정부(60)의 슬라이드부(65)와 표시창부(10C)의 슬릿(62)을 걸림결합시켜, 슬라이드부(65)를 슬릿(62)에 진입시킴으로써, 고정부(60)의 전방을 표시창부(10C)에 의해 덮으면, 연통구멍(66) 일부(67)의 내부를 표시창부(1C)를 통해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60)의 표면측에는, 연통구멍(66) 일부(67)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오목부(68)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구멍(66)의 일부(67)를 끼우는 오목부(68)의 2개의 표면(69a, 69b)은, 연통구멍(66) 일부(67)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60)가 표시창부(10C)에 덮여져 연통구멍(66) 내에 부자(12)의 지시바(28)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이들 오목부(68)의 2개의 표면(69a, 69b)은, 지시바(28)를 사이에 두고, 지시바(28) 부근으로부터, 표시창부(10C)를 향해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즉, 상기 오목부(68)의 표면(69a, 69b)이 표시창부(10C)에 대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대치면이다.
이와 같이, 오목부(68)의 표면(69a, 69b)이 지시바(28) 부근으로부터, 표시창부(10C)를 향해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지시바(28)의 전방 이외의 부분이 오목부(68)의 표면(69a, 69b)에 의해 둘러싸여, 프레임(5)과 고정부(60)와의 틈새가 메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5) 내부가 잔량표시부(9C)로부터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오목부(68)의 표면(69a, 69b)에 의해 지시바(28)의 전방이 서서히 넓어지도록 개방되므로, 지시바(28)에 대한 시인성도 확보되게 된다.
또한,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68)의 2개의 표면(69a, 69b)에는, 눈금(70a, 70b)이 부여되어 있다. 눈금(70a, 70b) 중, 상방의 눈금(70a)은 오일탱크(6)의 잔량이 가득 채워져 있음을 나타내고, 하방의 눈금(70b)은 급유가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눈금(70a, 70b)은 오목부(68)의 2개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일단부가 지시바(28)에 근접하게 된다. 즉, 표시창부(10C)를 통해 지시바(28)가 지시하는 잔량을 판독할 때에는, 눈금(70a, 70b)의 일단부가 지시바(28)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시차(視差)가 억제되게 되어, 잔량을 정확히 판독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68)의 표면(69a, 69b)이 단면에서 봤을 때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는데, 오목부(68)의 표면(69a, 69b)은, 지시바(28) 부근으로부터, 표시창부(10C)를 향해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단면에서 봤을 때 직선형상 이외의 형상으로서는, 예컨대 단면에서 봤을 때 곡선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잔량표시부와 주유구가 일체가 되어 컷아웃부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잔량표시부와 주유구가 각각 별체로 부착되는 경우에 필요한 프레임 가공을 통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주유기구와 프레임과의 접속구조가 간략화된다. 이에 따라,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주조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주유구와 프레임이 일체화된 것이라면, 주유구 형상의 자유도가 어느 정도 한정되는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주유구와 잔량표시부가 일체인 것의 프레임과는 일체가 아니기 때문에 주유구 형상의 자유도가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주유하기 쉬운 형상의 주유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잔량표시부에 구비되는 표시창부에 주유구가 일체화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잔량표시부와 일체화되는 주유구 전용의 부품을 작성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가 표시창부에 대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 및 표시창부의 사이에서 부자가 승강하기 때문에, 고정부가 부자의 배경이 되어 부자의 승강을 쉽게 볼 수 있게 된다. 특히, 프레임을 가공하 여 부자의 배경을 프레임 자체에 형성할 경우, 프레임을 가공하는 데 시간과 노력이 들지만, 프레임과는 별체인 고정부가 가공의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부자의 배경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부자 케이스에는 급유경로 및 주유구가 연통되어 있으므로, 잔량표시부에 대한 윤활유의 유입출경로와, 주유구로부터의 윤활유의 유입경로를 공통화할 수 있어, 윤활유의 유로가 되는 튜브의 배선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표시창부에 오일탱크의 잔량을 나타내는 눈금을 부여한 경우에는, 그 눈금이 부자보다 전방에 있기 때문에 시차(視差)가 생기기 쉬운 상태가 되었다. 그러나,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부자의 후방에 닿는 고정부의 대치면에 눈금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표시창부에 눈금을 부여한 경우보다 시차를 저감시킬 수 있어, 오일탱크의 잔량을 정확히 계측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의 대치면 2면은, 지시바 부근으로부터 표시창부를 향해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부와 표시창부와의 틈새를 대치면에 의해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와 표시창부와의 틈새로부터 프레임의 내부가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대치면에 의해 지시바의 전방이 서서히 넓어지도록 개방되기 때문에, 지시바에 대한 시인성(視認性)도 확보되게 된다.

Claims (5)

  1. 봉제물이 놓이는 재봉기 베드 및 상기 재봉기 베드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재봉기 세로몸체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서의 상기 재봉기 베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윤활유를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탱크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표시부와,
    상기 오일탱크에 상기 윤활유를 주입하기 위한 주유구와,
    상기 주유구 및 상기 오일탱크를 연통하는 급유경로를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프레임에서의 상기 재봉기 세로몸체부에서 상기 재봉기 세로몸체부의 내측까지 관통하는 컷아웃(cut-out)부를 형성하고, 상기 컷아웃부에 상기 잔량표시부와 상기 주유구를 일체로 부착시키며,
    상기 잔량표시부는, 상기 컷아웃부를 덮는 광투과성의 표시창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유구와 상기 표시창부가 일체화되며,
    상기 잔량표시부는, 상기 표시창부에 대치(對峙)되도록 상기 컷아웃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표시창부의 사이에서 승강하여, 상기 오일탱크의 잔량을 표시하는 부자(浮子)와,
    상기 부자를 승강가능하게 수납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급유경로 및 상기 주유구와 연통하는 부자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서의 상기 표시창부에 대치되는 대치면에는, 상기 부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오일탱크의 잔량을 나타내는 눈금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기 대치면은, 상기 눈금을 지시하는 상기 부자의 지시바(棒)를 사이에 두고 2면 형성되어 있고, 상기 2면의 대치면은, 상기 지시바 부근으로부터, 상기 표시창부를 향해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20060108855A 2005-11-07 2006-11-06 재봉기 KR101297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1907 2005-11-07
JP2005321907 2005-11-07
JP2006294166A JP2007144148A (ja) 2005-11-07 2006-10-30 ミシン
JPJP-P-2006-00294166 2006-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077A KR20070049077A (ko) 2007-05-10
KR101297738B1 true KR101297738B1 (ko) 2013-08-20

Family

ID=3820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855A KR101297738B1 (ko) 2005-11-07 2006-11-06 재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7144148A (ko)
KR (1) KR101297738B1 (ko)
CN (1) CN1962993B (ko)
TW (1) TWI39762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040B1 (ko) * 2002-03-15 2003-02-14 메디코룩스(주) 상처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6095A (ja) * 2006-04-28 2007-11-15 Juki Corp ミシン
CN106436076B (zh) * 2016-12-27 2020-05-05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缝纫机上弯针机构的排油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1062A (ja) 2002-04-19 2003-11-05 Juki Corp ミシンの給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484A (ja) * 2001-01-31 2002-08-13 Juki Corp ミシンの給油装置
JP2003245487A (ja) * 2002-02-26 2003-09-02 Juki Corp ミシ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1062A (ja) 2002-04-19 2003-11-05 Juki Corp ミシンの給油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040B1 (ko) * 2002-03-15 2003-02-14 메디코룩스(주) 상처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97624B (zh) 2013-06-01
KR20070049077A (ko) 2007-05-10
JP2007144148A (ja) 2007-06-14
TW200728546A (en) 2007-08-01
CN1962993A (zh) 2007-05-16
CN1962993B (zh)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6404B2 (en) Display apparatus
JP5997655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297738B1 (ko) 재봉기
BRPI0701657B1 (pt) Dispositivo de medição
WO1991012492A1 (en) Attachable type protractor for measuring perpendicularity and horizontal level
CN101063261B (zh) 缝纫机的供油装置
BR102015032394B1 (pt) Estruturas de tanque de combustível de um veículo do tipo para montar
JP2007212382A (ja) タンクのレベルゲージ
KR950002651Y1 (ko) 엔진의 부유형 오일레벨 게이지
KR20010066073A (ko) 자동차용 오일량 측정 게이지
KR19980034308A (ko) 파워스티어링 리저버 탱크용 오일체크 게이지
KR0134698B1 (ko) 연료탱크구조
JPH0742892Y2 (ja) ウオツシヤタンクの液量確認装置
US1663485A (en) Liquid-level gauge
DE4426035C2 (de) Kraftstoff-Fördervorrichtung
KR100427869B1 (ko) 이중 뜨개를 이용한 연료 게이지
JP4717230B2 (ja) 燃料タンクにおける燃料満量液面視認装置
KR100391298B1 (ko) 드럼의 폐유 주입 및 표시장치
CN208621141U (zh) 一种重锤式浮标液位仪
JPS6115001Y2 (ko)
JP5392569B2 (ja) 計器装置
JPS584783Y2 (ja) ジドウニリンシヤノ ネンリヨウタンクニオケル ワイヤ−ハ−ネスノ ハイセンコウゾウ
KR19980036401A (ko) 자동차의 연료량 측정장치
CN201092915Y (zh) 通用汽油机油箱
KR940005977Y1 (ko) 연사기용 지지핀 삽입구의 기름 주입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