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432B1 -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와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와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432B1
KR101296432B1 KR1020120023419A KR20120023419A KR101296432B1 KR 101296432 B1 KR101296432 B1 KR 101296432B1 KR 1020120023419 A KR1020120023419 A KR 1020120023419A KR 20120023419 A KR20120023419 A KR 20120023419A KR 101296432 B1 KR101296432 B1 KR 101296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layer
semiconductor layer
pilla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539A (ko
Inventor
첸옌 린
융밍 린
포춘 예
젱웨이 유
치밍 라이
룽한 펭
Original Assignee
옵토 테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토 테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옵토 테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02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01L33/22Roughened surfaces, e.g. at the interface between epitaxial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62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regions, e.g. laterally discontinuous light emitting layer or photoluminescent region integrated within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39Silver (Ag)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04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operation
    • H01L33/0008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operation having p-n or hi-lo junctions
    • H01L33/0012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operation having p-n or hi-lo junctions p-i-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발광 다이오드는 기판, 복수의 기둥 구조체, 충전 구조체, 투명한 도전층,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이들 기둥 구조체는 기판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기둥 구조체는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 활성층, 및 제 2 타입의 반도체 층을 포함한다.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은 기판상에 형성된다. 기둥 구조체는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충전 구조체는 기둥 구조체 사이에 형성된다. 충전 구조체와 기둥 구조체의 제 2 타입의 반도체 층은 투명한 도전층으로 커버된다. 제 1 전극은 투명한 도전층과 접속 상태이다. 제 2 전극은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과 접속 상태이다.

Description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와 이의 제조 방법 {LIGHT EMITTING DIODE WITH LARGE VIEWING ANGL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갈륨 질화물-타입 발광 다이오드(예를 들면, GaN, AlGaN, InGaN 또는 AlInGaN 발광 다이오드)에 있어서, 반도체와 공기 사이의 경계면에서의 굴절률 차이는 모든 반사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모든 반사 현상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의 시야각이 제한된다. 결론적으로, 연구원은 발광 다이오드의 시야각을 증대시키는 방법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예를 들면,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with large viewing angle"를 발명의 명칭으로 하는 미국특허문헌 공개번호 제2009008505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있어서, 패키지 기술은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시야각을 넓히도록 개량되었다. 도 1은 미국특허문헌 공개번호 제20090085053호에 개시된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기판(30), LED 칩(32), 투명한 하우징 몸체(33), 인광체 매트릭스(34, phosphor matrix), 및 외측 반사기(36)를 포함한다.
기판(30)은 상부면(38)과 하부면(40)을 갖는다. 더욱이, 제 1 전극(42)과 제 2 전극(44)이 기판(30) 상에 배치된다. LED 칩(32)은 기판(30)의 상부면(38)에 장착된다. 더욱이, LED 칩(32)은 양극(321)과 음극(322)을 갖는다. LED 칩(32)의 양극(321)은 와이어(46)를 통해 기판(30)의 제 1 전극(42)과 연결되고, LED 칩(32)의 음극(322)은 와이어(46)에 의해 기판(30)의 제 2 전극(44)과 연결된다.
투명한 하우징 몸체(33)는 기판(30)의 상부면(38) 상에 배치되고, 공동(39)을 구비한다. LED 칩(32)은 공동(39) 내에 배치된다. 더욱이, 인광체 매트릭스(34)는 공동(39)에 삽입된다. 결론적으로, LED 칩(32)에 의해 발광된 광은 인광체 매트릭스(34)를 통해 전달되고 흰색 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흰색 광은 투명한 하우징 몸체(33)의 측면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투명한 하우징 몸체(33)의 측면을 통해 전달된 광은 외측 반사기(36)에 의해 반사되어, LED 칩(32)으로부터의 광의 강도가 강화된다.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시야각은 120도로부터 대략 140도까지 증가된다.
더욱이, 발광 다이오드의 측벽의 경사면에 의해 측면 광 추출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예를 들면, "LED having angled sides for increased side light extraction"를 발명의 명칭으로 하는 미국특허문헌 제6,570,190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미국특허문헌 제6,570,190호에 개시된 다른 하나의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는 p-타입 및 n-타입 도프된 에피택시얼(epitaxial) 층(10)을 포함한다. p-타입 층과 n-타입 층(10)이 배치되어 p-n 접합 구역(11)(또한 활성층이라 함)을 제공한다. 투명한 기판(12)과 윈도우 층(13)은 p-타입 및 n-타입 도프된 에피택시얼 층(10)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된다. 상부 전기 저항 접속부(14)와 하부 전기 저항 접속부(15)는 윈도우 층(13) 및 투명한 기판(12)의 표면에 각각 부착된다. 상부면(17)의 영역은 활성층(11)의 영역보다 더 크다. 더욱이, LED의 측벽(16)이 수직 방향에 대해 각도(β)져 정위된다.
더욱이, 종래의 LED의 측벽(16)이 경사면을 갖기 때문에, 측방향으로-전달된 광 빔(18 및 19)이 다중 반사 단계로 처리될 수 있다. 반사된 광 빔은 LED의 상부면(17)을 향하거나, 또는 상기 LED의 상부면(17)에 의해 반사되고 측벽을 통과해 나간다.
더욱이,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를 형성하기 위한 사파이어 기판이 "Enhancement in emission angle of the blue LED chip fabricated on lens patterned sapphire(0 0 0 1)"를 명칭으로 하는 Solid-State Electronics 54 (2010) 509-515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있어서, 특정 패턴을 갖는 사파이어 기판이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를 형성하도록 사용된다.
갈륨 질화물-타입 발광 다이오드에 있어서, 반도체와 공기 사이의 경계면에서의 굴절률 차이는 모든 반사 현상을 초래하므로, 모든 반사 현상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의 시야각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한다. 기둥 구조체에 의해, 활성층으로부터의 광이 기둥 구조체에 집중될 수 있다. 더욱이, 서브파장(subwavelength) 표면 구조체를 구비한 투명한 도전층에 의해, 상기 투명한 도전층을 나온 광이 넓은 시야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발광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기판, 복수의 기둥 구조체, 충전 구조체, 투명한 도전층,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이들 기둥 구조체는 기판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기둥 구조체는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 활성층, 및 제 2 타입의 반도체 층을 포함한다.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은 기판상에 형성된다. 기둥 구조체는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충전 구조체는 기둥 구조체 사이에 형성된다. 충전 구조체와 기둥 구조체의 제 2 타입의 반도체 층이 투명한 도전층으로 커버된다. 제 1 전극은 투명한 도전층과 접속된 상태이다. 제 2 전극은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과 접속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은 아래 기재된 바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첫째, 기판이 제공된다. 이후,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 활성층, 그리고 제 2 타입의 반도체 층이 순차로 기판상에 형성된다. 이후,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및 에칭 공정이 복수의 기둥 구조체를 기판상에 형성하도록 행해진다. 각각의 기둥 구조체는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 활성층, 그리고 제 2 타입의 반도체 층을 포함한다. 기둥 구조체는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을 통해 서로 전기 접속된다. 이후, 충전 구조체가 기둥 구조체 사이에 형성된다. 이후, 투명한 도전층이 충전 구조체와 기둥 구조체의 제 2 타입의 반도체 층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나중에, 제 1 전극이 투명한 도전층 상에 형성되고, 제 2 전극이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수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아래 기재된 상세한 설명을 살펴본다면 보다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사용된 도면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사항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기재한 목적 및 장점은 당업자가 첨부한 도면과 아래 상세한 설명을 살펴본다면 보다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종래 기술)은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종래 기술)는 다른 한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및
도 5는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와 본 발광 다이오드의 비교를 나타낸 LED 방사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LED 칩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는 패키지되지 않는다. 일례의 LED 칩은 갈륨 질화물-타입 LED 칩을 포함하지만, 이 LED 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는 기판(100) 및 복수의 기둥 구조체를 포함한다. 기둥 구조체는 기판(100) 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기둥 구조체는 N-타입 층(102), 활성층(104), 및 P-타입 층(106)을 포함한다. N-타입 층(102)은 기판(100) 상에 형성된다. 더욱이, 이들 기둥 구조체의 N-타입 층(102)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더욱이, 패시베이션(passivation) 층(108)은 N-타입 층(102)의 표면과 이들 기둥 구조체의 측벽에 형성된다. 전기 절연층(110)이 패시베이션 층(108)의 측벽 사이의 구역에 충전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패시베이션 층(108)과 전기 절연층(110)은 충전 구조체로 집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패시베이션 층(108), 전기 절연층(110)(또는 충전 구조체) 및 기둥 구조체의 P-타입 층(106)은 서브파장 표면 구조체를 구비한 투명한 도전층(112)으로 커버된다. 제 1 전극(114)은 투명한 도전층(112)의 서브파장 표면 구조체와 접촉상태이다. 제 2 전극(116)은 N-타입 층(102)과 접속상태이다.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N-타입 층(102), 활성층(104) 및 P-타입 층(106)이 기판(100)상에 형성된다. N-타입 층(102), 활성층(104) 및 P-타입 층(106)은 소위 p-i-n 구조체이다.
이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라피 및 에칭 공정이 복수의 기둥 구조체를 기판(100) 상에 형성하도록 행해진다. 이들 기둥 구조체는 원통형 형상, 삼각형 프리즘 형상, 입방형 형상, 육각형 프리즘 형상, 또는 다각형 프리즘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기둥 구조체는 p-i-n 구조체를 갖는다. 이들 기둥 구조체의 하부는 N-타입 층(102)을 통해 서로 전기 접속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 구조체의 폭(D)의 범위는 λ/2 내지 20㎛(즉 λ/2<D≤20㎛)이고, 기둥 구조체의 높이(H)의 범위는 0 내지 10mm(즉 0<H≤10㎛)이며, 여기서 λ은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된 광의 파장이다.
이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시베이션 층(108)은, 포토-강화식 습윤(photo-enhanced wet) 산화 공정이나, 고온 산화 공정이나, 원자층 증착 공정이나 또는 화학 증착 공정에 의해, N-타입 층(102)의 표면과 이들 기둥 구조체의 측벽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패시베이션 층(108)은 (AlxInyGaz)2-δO3의 화학식을 갖는 제 1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지며, 이 식에서 x+y+z=1 그리고 0≤δ<1이다.
이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유전체 재료는 전기 절연층(110)으로 사용될 패시베이션 층(108)의 측벽 사이의 구역에 충전된다. 제 2 유전체 재료는 예를 들면 이산화규소(SiO2), 하프늄 산화물(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실리콘 질화물(Si3N4) 또는 탄탈륨 펜트옥사이드(Ta2O5)이다. 패시베이션 층(108)과 전기 절연층(110)은 충전 구조체로 집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시베이션 층(108), 전기 절연층(110) 및 기둥 구조체의 P-타입 층(106)은 투명한 도전층(111)으로 사용되는 제 3 유전체 재료로 커버된다. 예를 들면, 제 3 유전체 재료는 ITO(indium tin oxide), 인듐 트리옥사이드(In2O3), 산화 주석(Sn2O3), 산화 아연(ZnO) 또는 NiOx이고, 여기서 0<x≤1이다. 투명한 도전층(111)의 굴절률(n)의 범위는 1 내지 2(즉, 1<n<2)이다.
이후,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라피 및 에칭 공정은 서브파장 표면 구조체를 갖는 투명한 도전층(112)을 형성하기 위해, 투명한 도전층(111)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도록 행해진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서브파장 표면 구조체의 높이(h)의 범위는 0 내지 2㎛(즉 0<h≤2㎛)이고, 서브파장 표면 구조체의 폭(d)의 범위는 0 내지 500nm(즉 0<d≤500nm)이다.
이후,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114)은 투명한 도전층(112)의 서브파장 표면 구조체와 접촉 상태이고, 제 2 전극(116)은 N-타입 층(102)과 접촉 상태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 구조체의 총 분포 영역이 기판(100)의 영역보다 대략 20% ~ 30% 만큼 더 크다. 기둥 구조체가 광 섬유의 코어부로 고려될 수 있으며, 패시베이션 층(108)이 광 섬유의 클래딩(cladding) 층으로 여겨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활성층(104)으로부터의 광이 기둥 구조체에서 집중된다. 더욱이, 투명한 도전층(112)의 서브파장 표면 구조체의 회절 및 산란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는 넓어진 시야각을 갖는다. 더욱이, 전기 절연층(110)은 발광 다이오드의 누설 전류를 10-9A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도 5는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와 본 발광 다이오드 사이를 비교를 나타낸 LED 방사 도면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는 InGaN 발광 다이오드이다. 곡선(I)은 종래의 평면의 LED의 방사 분포를 의미한다. 곡선(II)은 본 LED의 방사 분포를 의미하며, 상기 LED의 기둥 구조체는 폭(D=1㎛)을 갖는다. 곡선(III)은 본 LED의 방사 분포를 의미하며, 상기 LED의 기둥 구조체는 폭(D=2㎛)을 갖는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본 LED의 가장 큰 시야각은 160도 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둥 구조체에 의하여, 활성층으로부터의 광이 기둥 구조체에서 집중될 수 있다. 더욱이, 투명한 도전층을 나온 광이 넓은 시야각을 갖는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투명한 도전층(112)은 서브파장 표면 구조체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서브파장 표면 구조체가 생략될 수 있다. 즉,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가 생략되고, 제 1 전극(114)이 투명한 도전층(111)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제 1 전극(114) 및 제 2 전극(116)의 제조 방법과 패턴은 제 1 전극(114)이 투명한 도전층과 접속한 상태이고 제 2 전극(116)이 N-타입 층(102)과 접속한 상태인 경우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N-타입 층(102)과 P-타입 층(106)의 위치가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를 형성하면서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비록 가장 실질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로 현재 고려되어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실시예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및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발광 다이오드로서,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된 복수의 기둥 구조체;
    상기 기둥 구조체 사이에 형성된 충전 구조체;
    투명한 도전층;
    상기 투명한 도전층과 접촉 상태인 제 1 전극; 및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과 접촉 상태인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둥 구조체 중 각각의 기둥 구조체는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 활성층, 및 제 2 타입의 반도체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은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기둥 구조체는 상기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충전 구조체 및 상기 기둥 구조체의 상기 제 2 타입의 반도체 층이 상기 투명한 도전층으로 커버되고,
    상기 충전 구조체는 상기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의 표면과 상기 기둥 구조체의 측벽에 형성된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시베이션 층은 (AlxInyGaz)2-δO3의 화학식을 갖는 제 1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지며, 여기서 x+y+z=1 및 0≤δ<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은 N-타입 층이고, 상기 제 2 타입의 반도체 층은 P-타입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 구조체의 폭의 범위는 λ/2 내지 20㎛이고, 상기 기둥 구조체의 높이(H)의 범위는 0<H≤10㎛이며, 여기서 λ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의 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조체는 상기 패시베이션 층의 측벽 사이에 충전된 전기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층은 제 2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 2 유전체 재료는 이산화규소(SiO2), 하프늄 산화물(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실리콘 질화물(Si3N4) 또는 탄탈륨 펜트옥사이드(Ta2O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도전층은 제 3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 3 유전체 재료는 ITO(indium tin oxide), 인듐 트리옥사이드(In2O3), 산화 주석(Sn2O3), 산화 아연(ZnO) 또는 NiOx이며, 여기서 0<x≤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도전층은 서브파장 표면 구조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서브파장 표면 구조체의 높이(h)의 범위는 0<h≤2㎛이고, 상기 서브파장 표면 구조체의 폭(d)의 범위는 0<d≤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10.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으로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 활성층, 및 제 2 타입의 반도체 층을 상기 기판상에 순차로 형성하는 단계;
    복수의 기둥 구조체를 상기 기판상에 형성하기 위해 포토리소그라피 및 에칭 공정을 실행하는 단계;
    충전 구조체를 상기 기둥 구조체 사이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둥 구조체의 상기 제 2 타입의 반도체 층과 상기 충전 구조체를 커버하도록 투명한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전극을 상기 투명한 도전층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제 2 전극을 상기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 상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둥 구조체 중 각각의 기둥 구조체는 상기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 상기 활성층, 및 상기 제 2 타입의 반도체 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 구조체는 상기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충전 구조체는 상기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의 표면과 상기 기둥 구조체의 측벽에 형성된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시베이션 층은 (AlxInyGaz)2-δO3의 화학식을 갖는 제 1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지며, 여기서 x+y+z=1 및 0≤δ<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은 N-타입 층이고, 상기 제 2 타입의 반도체 층은 P-타입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둥 구조체의 폭의 범위는 λ/2 내지 20㎛이고, 상기 기둥 구조체의 높이(H)의 범위는 0<H≤10㎛이며, 여기서 λ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의 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조체를 상기 기둥 구조체 사이에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타입의 반도체 층의 표면과 상기 기둥 구조체의 측벽 상에 상기 패시베이션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시베이션 층의 측벽 사이에 전기 절연층을 충전하는 단계와 같은 서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 층은 포토-강화식 습윤 산화 공정, 고온 산화 공정, 원자층 증착 공정 또는 화학적 증착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층은 제 2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 2 유전체 재료는 이산화규소(SiO2), 하프늄 산화물(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실리콘 질화물(Si3N4) 또는 탄탈륨 펜트옥사이드(Ta2O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도전층은 제 3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 3 유전체 재료는 ITO(indium tin oxide), 인듐 트리옥사이드(In2O3), 산화 주석(Sn2O3), 산화 아연(ZnO) 또는 NiOx이며, 여기서 0<x≤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도전층은 서브파장 표면 구조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서브파장 표면 구조체의 높이(h)의 범위는 0<h≤2㎛이고, 상기 서브파장 표면 구조체의 폭(d)의 범위는 0<d≤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제조 방법.
KR1020120023419A 2011-03-08 2012-03-07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와 이의 제조 방법 KR101296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107808 2011-03-08
TW100107808 2011-03-08
TW100138543 2011-10-24
TW100138543A TWI467805B (zh) 2011-03-08 2011-10-24 具寬視角的發光二極體及其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539A KR20120102539A (ko) 2012-09-18
KR101296432B1 true KR101296432B1 (ko) 2013-08-13

Family

ID=4578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419A KR101296432B1 (ko) 2011-03-08 2012-03-07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와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87325B2 (ko)
EP (1) EP2498306B1 (ko)
JP (1) JP2012191208A (ko)
KR (1) KR101296432B1 (ko)
CN (1) CN102683530B (ko)
TW (1) TWI4678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74941B (zh) * 2012-12-06 2019-10-08 首尔伟傲世有限公司 发光二极管、照明模块、照明设备和背光单元
US9536924B2 (en) * 2012-12-06 2017-01-03 Seoul Viosys Co., Ltd. Light-emitting diode and application therefor
KR102013364B1 (ko) * 2012-12-06 2019-10-2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의 어플리케이션
US9190563B2 (en) 2013-11-25 2015-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nostructur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CN106058002B (zh) * 2016-06-15 2018-11-09 青岛杰生电气有限公司 一种紫外发光器
US10707265B2 (en) * 2017-05-31 2020-07-07 Ii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s
CN112769039A (zh) * 2020-11-03 2021-05-07 深圳阜时科技有限公司 一种光源、发射模组、光学感测装置及电子设备
CN114032527A (zh) * 2021-09-16 2022-02-11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外延片的钝化层制备方法、发光芯片及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844B1 (ko) * 2004-12-14 2005-10-19 주식회사 이츠웰 표면 식각된 투명 전도성 산화막 오믹 전극을 이용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9010012A (ja) * 2007-06-26 2009-01-1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半導体発光素子、その製造方法及び発光装置
WO2011014490A2 (en) 2009-07-30 2011-02-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ixelated led
KR20110014521A (ko) * 2009-08-05 2011-02-1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3484A (ja) 1991-05-21 1992-11-30 Eastman Kodak Japan Kk 発光ダイオードアレイ
JPH06314823A (ja) * 1993-04-28 1994-11-08 Toyoda Gosei Co Ltd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229160B1 (en) 1997-06-03 2001-05-08 Lumileds Lighting, U.S., Llc Light extraction from a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via chip shaping
US6410942B1 (en) * 1999-12-03 2002-06-25 Cree Lighting Company Enhanced light extraction through the use of micro-LED arrays
JP2004079972A (ja) * 2002-08-22 2004-03-11 Fuji Photo Film Co Ltd 面発光型発光素子
GB0302580D0 (en) * 2003-02-05 2003-03-12 Univ Strathclyde MICRO LEDs
AU2003257713A1 (en) * 2003-08-08 2005-02-25 Vichel Inc. Nitride micro light emitting diode with high bright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00531310A (en) * 2004-03-12 2005-09-16 Opto Tech Corp Light emitting diode with micro-lens layer
US20080128728A1 (en) 2004-09-10 2008-06-05 Luminus Devices, Inc. Polarized light-emitting devices and methods
JP2006128227A (ja) * 2004-10-26 2006-05-18 Mitsubishi Cable Ind Ltd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JP4687109B2 (ja) * 2005-01-07 2011-05-25 ソニー株式会社 集積型発光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
JP2008544540A (ja) 2005-06-22 2008-12-04 ソウル オプト デバイ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90085053A1 (en) 2007-01-25 2009-04-02 Hsing Ch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with large viewing angle
JP5097532B2 (ja) * 2007-12-21 2012-1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CN101257075B (zh) * 2008-03-13 2010-05-12 鹤山丽得电子实业有限公司 一种发光二极管器件及其制造方法
KR20090010012A (ko) 2008-12-18 2009-01-28 주식회사 삼광 모바일폰 윈도우의 제조방법
TWI396307B (zh) * 2009-02-05 2013-05-11 Huga Optotech Inc 發光二極體
TWI369794B (en) * 2009-02-05 2012-08-01 Huga Optotech Inc Light-emitting diode
KR101007077B1 (ko) * 2009-11-06 2011-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844B1 (ko) * 2004-12-14 2005-10-19 주식회사 이츠웰 표면 식각된 투명 전도성 산화막 오믹 전극을 이용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9010012A (ja) * 2007-06-26 2009-01-1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半導体発光素子、その製造方法及び発光装置
WO2011014490A2 (en) 2009-07-30 2011-02-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ixelated led
KR20110014521A (ko) * 2009-08-05 2011-02-1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8306A1 (en) 2012-09-12
CN102683530B (zh) 2014-11-26
CN102683530A (zh) 2012-09-19
JP2012191208A (ja) 2012-10-04
KR20120102539A (ko) 2012-09-18
TWI467805B (zh) 2015-01-01
US20120228655A1 (en) 2012-09-13
US8487325B2 (en) 2013-07-16
EP2498306B1 (en) 2019-07-24
TW201238075A (en) 201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432B1 (ko) 넓은 시야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와 이의 제조 방법
US10403608B2 (en) Light-emitting diode (LED) device for realizing multi-colors
US7294862B2 (en) Photonic crystal light emitting device
KR101258583B1 (ko) 나노 로드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450150B1 (ko) 반도체 발광소자
US20070145386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035967A (ja) 半導体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00818A (ko) 유전체 리플렉터를 구비한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58582B1 (ko) 나노로드 발광소자
KR102188496B1 (ko) 나노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US20130126829A1 (en) High efficiency light emitting diode
KR20130025856A (ko) 나노로드 발광소자
KR101573095B1 (ko) 광전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TWI697076B (zh) 發光元件及其製造方法
KR20110111799A (ko) 비극성 기판을 채택한 발광 다이오드
KR102289345B1 (ko) 구조화된 기판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KR101803570B1 (ko)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441023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20120048331A (ko) 발광 다이오드 칩 및 그 제조 방법
US10381515B2 (en) Optoelectronic semiconductor chip and method of producing an optoelectronic semiconductor chip
KR101055778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20181570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230027930A1 (en) Semiconductor device
KR101766588B1 (ko) 수직형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2229B1 (ko)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