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366B1 -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 - Google Patents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366B1
KR101293366B1 KR1020110076255A KR20110076255A KR101293366B1 KR 101293366 B1 KR101293366 B1 KR 101293366B1 KR 1020110076255 A KR1020110076255 A KR 1020110076255A KR 20110076255 A KR20110076255 A KR 20110076255A KR 101293366 B1 KR101293366 B1 KR 101293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d
upper opening
sliding plat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258A (ko
Inventor
송병섭
Original Assignee
송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섭 filed Critical 송병섭
Priority to KR1020110076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3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상부개구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후부개구부가 형성된 적재부; 및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개구부에 서로 간에 다른 높이로 안착되며, 상기 상부개구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서로 간에 이격됨으로써 상기 상부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상부개구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서로 간에 적층됨으로써 상기 상부개구부를 개구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상부개구부에 안착되는 슬라이딩판과, 상기 슬라이딩판에 결합되는 결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판은 상기 상부개구부에 안착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개구부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사이를 연결시키는 격벽 형상의 보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판은 상기 보강판에 의해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형성된 중공 영역(S)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 영역(S)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판의 전체 무게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강판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이 육각을 이루며 구부려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CARGO BOX FOR DUMP TRUCK}
본 발명은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의 보호는 물론, 화물의 비산, 낙하등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덤프 트럭은 당초 공사용 중기로 제작되어 사용되었으나, 자체하역기능의 장점으로 인해서, 공사용 이외에 화물운반용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물론, 덤프 트럭은 일반 트럭대비 연비가 높지만 자체하역기능으로 인해 일반화물, 산물화물 운송용으로 다수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덤프 트럭은 신규 차량 출고시 적재함의 상부개구부에 덮개가 없으므로, 운송작업시에 적재함에 수용된 운송물이 보호되지 않고 비산되거나, 낙하물이 발생되거나 또는, 침수되어 안전한 화물 운송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트럭 운전자는 회물 운송시마다 기존 적재함의 상부개구부에 복포등으로 상부개구부를 밀폐하여나 하나, 비용발생이나, 위험도 증가 또는 번거로움을 이유로 설치를 생략한 상태로 화물을 운반하는 경우가 많다.
나아가, 최근에 트럭 적재함의 상부개구부를 밀폐하는 보조 덮개를 추가로 부착하여 개조한 형태의 적재함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보조 덮개는 덮개를 회동시키는 회동 방식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회동 방식의 보조 덮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불법으로 장착되는 보조 덮개의 문제점으로써, 첫 번째로는 완전히 밀폐되지 않아 밀폐력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고, 두 번째로는 트럭 운행시에 공기 저항에 의해 보조 덮개가 회동되는 상태를 유발하여 안전성이 확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세 번째로는 검증되지 않은 방식을 통해 불법으로 부착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의 회동 방식의 보조 덮개는 회동 방식의 특성상 화물이 과적된 상태에서도 화물을 덮은 상태로 운행되기 때문에, 화물이 과적되는 경우가 매우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 역시, 안전 운행에 문제를 일으키며, 과적으로 인하여 도로를 파손시키는 등의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회동방식의 덮개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도, 화물이 보호는 물론, 화물의 비산이 방지되며 화물에서 낙하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화물이 적재함의 일정 높이를 넘어 과적되지 않도록 하는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은 상부에 상부개구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후부개구부가 형성된 적재부; 및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개구부에 서로 간에 다른 높이로 안착되며, 상기 상부개구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서로 간에 이격됨으로써 상기 상부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상부개구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서로 간에 적층됨으로써 상기 상부개구부를 개구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상부개구부에 안착되는 슬라이딩판과, 상기 슬라이딩판에 결합되는 결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판은 상기 상부개구부에 안착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개구부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사이를 연결시키는 격벽 형상의 보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판은 상기 보강판에 의해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형성된 중공 영역(S)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 영역(S)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판의 전체 무게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강판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이 육각을 이루며 구부려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부는 상기 상부개구부의 양 내측부에 상기 덮개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상부개구부에 안착되는 슬라이딩판; 및 상기 슬라이딩판에 결합되는 결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결착부는 서로 간에 적층된 상기 복수 개의 덮개부들의 슬라이딩시, 서로 간에 완전히 겹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덮개부들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판은 상기 상부판에 결합되는 상부보강판; 및, 상기 하부판에 결합되는 하부보강판;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보강판과 상기 하부보강판은 서로 간에 마주보는 경우, 서로 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덮개부들을 상기 상부개구부의 평면상에 이송시키는 덮개구동부;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덮개구동부는 상기 덮개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구동력전달부; 상기 구동력전달부와 연동하며, 회동시에 상기 구동력전달부를 이송시키는 풀리; 및 상기 풀리와 연동하는 모터; 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덮개부가 상기 상부개구부를 밀폐하고 있는지와 상기 덮개부가 상기 상부개구부를 개구시키고 있는지에 관한 위치를 위치검출센서;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검출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위치검출센서로부터 상기 덮개부의 위치를 입력받아 상기 상부개구부를 밀폐하고 있는지와 상기 덮개부가 상기 상부개구부를 개구시키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덮개부의 밀폐 상태 또는 개구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이를 검출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적재함의 내부에 화물이 밀폐된 상태로 적재되어 화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므로, 트럭 운전자는 안전운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의 내부에 화물을 수용후, 상부 개구부를 덮개부로 밀폐하게 되므로, 빗물와 같은 유입물들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유입물로부터 화물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회동방식의 자동 덮개와 달리 복수 개의 덮개부가 슬라이딩되는 상태로 적재부의 상부개구부를 밀폐하여 화물이 보호되며 화물이 비산되지 않고 화물에서 낙하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트럭의 운행시에 덮개부가 공기저항을 받지 않음으로 인해서 덮개부가 트럭 적재부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적재함의 내부에 화물을 수용후 상부 개구부를 덮개부로 밀폐하게 되므로, 화물로부터 발생하는 먼지와 같은 잔존물들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트럭이 운행하는 도로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않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적재함의 내부에 화물을 수용후 상부 개구부를 덮개부로 밀폐하여 화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회물에서서 먼지와 같은 잔존물들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운전자들이 화물의 유출되거나 비산물들이 확산되는 것을 염려하지 않게 할 수 있어 운전자들의 편익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적으로 인하여 덮개부가 닫히지 않는 경우를 검출하여 화물의 과적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효과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간략하게 서술했으며,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을 A-A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을 B-B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의 덮개구동부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의 덮개부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5에 도시된 덮개부의 C-C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
도 7a은 도 5에 도시된 덮개부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상부판을 하부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하부판의 평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덮개부들이 순차적으로 슬라이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을 A-A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을 B-B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의 덮개구동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의 덮개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5에 도시된 덮개부의 C-C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5에 도시된 덮개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상부판을 하부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며,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하부판의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덮개부들이 순차적으로 슬라이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은 적재부(10) 및, 덮개부(20)를 포함하며, 덮개구동부(30), 위치검출센서(40) 및, 제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부(10)는 상부에 상부개구부(10a)가 형성되고 일측에 후부개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적재함의 상부개구부(10a)는 흙, 바위, 화물과 같은 운반물을 수용하는 통로로 이용되며, 후부개구부는 적재부(10)의 회동시 운반물을 토설하는 통로로 이용된다.
이러한 적재부(10)의 일예로써, 적재부(10)는 바닥판(11), 전면판(12), 제1측부판(13), 제2측부판(14) 및, 후면회동판(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은 적재된 운반물이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전면판(12)은 바닥판(11)과 수직하게 결합되며, 적재된 운반물이 트럭의 전면으로 운반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측부판(13)은 바닥판(11)과 수직하게 결합되고, 전면판(12)의 일측과 연결되며, 적재된 운반물이 일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제2측부판(14)은 바닥판(11)과 수직하게 결합되고, 전면판(12)의 타측과 연결되며, 제1측부판(13)과 대향하게 배치되고, 적재된 운반물이 타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후면회동판(15)은 양단이 제1측부판(13)의 상부와 제2측부판(14)의 상부에 핀결합되고, 핀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경우에 후면부로 운반물이 이탈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닥판(11), 전면판(12), 제1측부판(13), 제2측부판(14) 및, 후면회동판(15)은 보강을 위해 절곡된 구조나 별도의 리브가 구성되는 형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는 제1덮개부(20a), 제2덮개부(20b), 제3덮개부(20c) 및, 제4덮개부(20d)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덮개부(20)는 서로 다른 높이로 적층되어 적재부(10)의 상부개구부(10a)에 안착된다. 이와는 달리, 덮개부(20)의 개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물론, 2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즉, 덮개부(20)의 개수는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적재부(10)는 상부개구부(10a)의 양 내측부에 덮개부(20)의 일부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10b)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홈(10b)은 서로 다른 높이의 위치에 복수 개로 형성되며, 각각의 슬라이딩홈(10b)에는 복수 개의 덮개부(20) 각각이 삽입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덮개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0)의 상부개구부(10a)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서로 간에 이격됨으로써 상부개구부(10a)를 밀폐하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덮개부(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개구부(10a)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서로 간에 적층됨으로써 상부개구부(10a)를 개구시키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덮개부(20)는 슬라이딩판(21) 및, 결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판(21)은 상부개구부(10a)에 안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판(21)은 상부판(21a), 하부판(21b) 및, 보강판(2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판(21a)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개구부(10a)를 덮는 형태로 상부개구부(10a)에 안착된다.
상기 하부판(21b)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개구부(10a)에 안착되며, 상부판(21a)의 하부에 배치된다.
나아가, 상부판(21a)과 하부판(21b)은 평판형상 이외에 몸체의 일부가 절곡되어 상방으로 볼록한 형상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강판(21c)은 격벽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판(21a)과 하부판(21b) 사이를 연결시키게 된다. 이러한 보강판(21c)은 상부판(21a)과 하부판(21b) 사이에 중공 영역(S)이 형성되어, 슬라이딩판(21)의 무게를 줄이고, 상부판(21a)과 하부판(21b) 사이에서 연결됨으로써 슬라이딩판(21)의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 경우, 보강판(21c)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이 각을 이루며 구부려져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판(21c)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을 이루며 구부러지는 형상인 육각통체 형상 또는 각형 통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육강통체 형상의 보강판(21c)에 의해 슬라이딩판(21)의 강도는 강해지고, 슬라이딩판(21)의 무게는 더욱 경량화될 수 있다. 이러한 육각통체로 형성되는 보강판(21c)은 경량이면서도 몸체의 육각면체의 구조에 의해 각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을 몸체에 전체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초경량을 달성하면서 동시에 다른 구조에 비해 최고의 강도 및 내충격력을 가지는 특성을 지닌다.
나아가, 보강판(21c)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보강판(21c1) 및 하부보강판(21c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보강판(21c1)은 상부판(21a)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보강판(21c2)은 하부판(21b)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부보강판(21c1)과 하부보강판(21c2)은 서로 간에 마주보는 경우, 서로 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보강판(21c1)과 하부보강판(21c2)은 육각통체를 반절로 나누었을 때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보강판(21c1)과 하부보강판(21c2)은 각각이 상부판(21a)과 하부판(21b)에 결합됨으로써, 지지력이 상부판(21a)과 하부판(21b)에 분산된 상태로 전달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결착부(22)는'T'자 형상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딩판(21)에 결합된다. 이 경우, 결착부(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판(21)의 측면에 대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결착부(22)는 슬라이딩판(21) 각각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간에 결착됨으로써, 서로 간에 적층된 복수 개의 덮개부(20)들의 슬라이딩시, 서로 간에 완전히 겹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덮개부(20)들을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덮개구동부(30)는 덮개부(20)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덮개부(20)들을 상부개구부(10a)의 평면상에 이송시키게 된다. 여기서, 덮개구동부(30)의 세부 구성은 덮개부(20)를 이송시킬 수 있는 모든 이송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구동부(30)의 일예로써, 덮개구동부(30)는 구동력전달부(31), 풀리(32) 및, 모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력전달부(31)는 덮개부(20)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 배치되고, 와이어, 체인 또는, 레일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덮개부(20)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핀결합 또는 체인결합등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20)와 구동력전달부(31)의 연결은 적재부(10)의 후측부에 위치하는 제4덮개부(20d)에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풀리(32)는 적재부(10)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 설치되고, 구동력전달부(31)와 연동하며, 회동시에 구동력전달부(31)를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33)는 적재부(10)의 전면부 또는 측면부에 배치되고, 축단이 풀리(32)와 연결된 상태로 풀리(32)와 연동됨으로써, 회동시 풀리(32)를 회동시켜 구동력전달부(31)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모터(33)는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구동력전달부(31)와 연결되는 덮개부(20)를 전진 또는 후진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상기 위치검출센서(40)는 적재부(10)의 전면부 또는 측면부의 근방에 설치되고, 덮개부(20)의 위치를 검출하여 덮개부(20)가 상부개구부(10a)를 밀폐하고 있는지와 덮개부(20)가 상부개구부(10a)를 개구시키고 있는지에 관한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0)는 모터(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트럭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모터(33)에 공급하여 모터(33)의 회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50)는 위치검출센서(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위치검출센서(40)로부터 덮개부(20)의 위치를 입력받아 상부개구부(10a)를 밀폐하고 있는지와 덮개부(20)가 상부개구부(10a)를 개구시키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덮개부(20)의 밀폐 상태 또는 개구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이를 검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50)는 덮개부(20)들의 밀폐나 개구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알 수 있게 되므로, 적재부(10)에 운반물이 과적된 경우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의 구동 상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덮개부(20a), 제2덮개부(20b), 제3덮개부(20c) 및, 제4덮개부(20d)의 각 결착부(22)들은 서로 결착된 상태에서 제1덮개부(20a), 제2덮개부(20b), 제3덮개부(20c) 및, 제4덮개부(20d)들은 적재부(10)의 상부개구부(10a)를 밀폐하게 된다.
따라서, 적재부(10)의 운반물들에 포함된 먼지나 잔존물들은 외부로 비산되지 않게 된다.
이때, 제어부(50)를 구동시켜 모터(3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풀리(32)는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구동력전달부(31)는 풀리(32)의 회전에 의해 감겨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구동력전달부(31)의 회전에 의해 제4덮개부(20d)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덮개부(20c)의 하부로 슬라이딩되어 제3덮개부(20c)와 적층된다.
이때, 제4덮개부(20d)의 결착부(22)는 제3덮개부(20c)의 결착부(22)와 결착되어 슬라이딩 구동이 중지되고, 서로 간에 적층된 제4덮개부(20d)와 제3덮개부(20c)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덮개부(20b)의 하부로 슬라이딩된다.
다음, 제3덮개부(20c)의 결착부(22)는 제2덮개부(20b)의 결착부(22)와 결착되어 슬라이딩 구동이 중지되고, 적층된 제4덮개부(20d)와 제3덮개부(20c) 및 제2덮개부(20b)는 서로 간에 적층된 상태로 제1덮개부(20a)의 하부로 슬라이딩된다.
그러면, 제1덮개부(20a), 제2덮개부(20b), 제3덮개부(20c) 및, 제4덮개부(20d)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에 적층된다.
이 경우, 적재부(10)는 상부개구부(10a)를 통해 운반물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적재부(10)의 상부개구부(10a)를 밀폐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50)를 구동시켜 모터(3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풀리(32)는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구동력전달부(31)는 풀리(32)의 회전에 의해 감겨지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제1덮개부(20a), 제2덮개부(20b), 제3덮개부(20c) 및, 제4덮개부(20d)는 순차적으로 슬라이딩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0)의 상부개구부(10a)를 다시 밀폐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50)는 위치검출센서(40)로부터 덮개부(20)의 위치를 입력받아 상부개구부(10a)를 밀폐하고 있는지와 덮개부(20)가 상부개구부(10a)를 개구시키고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덮개부(20)들의 밀폐나 개구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알 수 있게 되므로, 적재부(10)에 운반물이 과적된 경우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 ; 적재부 20 ; 덮개부
21 ; 슬라이딩판 22 ; 결착부
30 ; 덮개구동부 31 ; 구동력전달부
32 ; 풀리 33 ; 모터
40 ; 위치검출센서 50 ; 제어부

Claims (10)

  1. 상부에 상부개구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후부개구부가 형성된 적재부; 및,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개구부에 서로 간에 다른 높이로 안착되며, 상기 상부개구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서로 간에 이격됨으로써 상기 상부개구부를 밀폐하고, 상기 상부개구부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서로 간에 적층됨으로써 상기 상부개구부를 개구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상부개구부에 안착되는 슬라이딩판과, 상기 슬라이딩판에 결합되는 결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판은,
    상기 상부개구부에 안착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개구부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사이를 연결시키는 격벽 형상의 보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판은,
    상기 보강판에 의해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형성된 중공 영역(S)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 영역(S)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판의 전체 무게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강판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이 육각을 이루며 구부려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상부개구부의 양 내측부에 상기 덮개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상부개구부에 안착되는 슬라이딩판; 및
    상기 슬라이딩판에 결합되는 결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결착부는 서로 간에 적층된 상기 복수 개의 덮개부들의 슬라이딩시, 서로 간에 완전히 겹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덮개부들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상부판에 결합되는 상부보강판; 및,
    상기 하부판에 결합되는 하부보강판;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보강판과 상기 하부보강판은 서로 간에 마주보는 경우, 서로 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덮개부들을 상기 상부개구부의 평면상에 이송시키는 덮개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구동부는
    상기 덮개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구동력전달부;
    상기 구동력전달부와 연동하며, 회동시에 상기 구동력전달부를 이송시키는 풀리; 및,
    상기 풀리와 연동하는 모터; 를 포함하는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덮개부가 상기 상부개구부를 밀폐하고 있는지와 상기 덮개부가 상기 상부개구부를 개구시키고 있는지에 관한 위치를 위치검출센서; 를 더 포함하는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위치검출센서로부터 상기 덮개부의 위치를 입력받아 상기 상부개구부를 밀폐하고 있는지와 상기 덮개부가 상기 상부개구부를 개구시키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덮개부의 밀폐 상태 또는 개구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이를 검출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
KR1020110076255A 2011-07-29 2011-07-29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 KR101293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255A KR101293366B1 (ko) 2011-07-29 2011-07-29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255A KR101293366B1 (ko) 2011-07-29 2011-07-29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258A KR20130014258A (ko) 2013-02-07
KR101293366B1 true KR101293366B1 (ko) 2013-08-05

Family

ID=4789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255A KR101293366B1 (ko) 2011-07-29 2011-07-29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3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7506A (zh) * 2014-11-25 2015-04-22 建德市家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工程车货车环保盖
KR101765031B1 (ko) 2017-03-20 2017-08-04 주식회사 아이엠아이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
KR102278707B1 (ko) * 2021-05-20 2021-07-19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덤프 적재함 분진 비산방지용 자동개폐덮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262A (ko) * 1996-10-15 1998-07-15 박병재 덤프 트럭의 적재함 개폐장치
JP2009073326A (ja) * 2007-09-20 2009-04-09 Isuzu Motors Ltd 車両の荷台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262A (ko) * 1996-10-15 1998-07-15 박병재 덤프 트럭의 적재함 개폐장치
JP2009073326A (ja) * 2007-09-20 2009-04-09 Isuzu Motors Ltd 車両の荷台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7506A (zh) * 2014-11-25 2015-04-22 建德市家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工程车货车环保盖
KR101765031B1 (ko) 2017-03-20 2017-08-04 주식회사 아이엠아이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
KR102278707B1 (ko) * 2021-05-20 2021-07-19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덤프 적재함 분진 비산방지용 자동개폐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258A (ko)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858B1 (ko) 컨테이너
KR101217098B1 (ko)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PT1799599E (pt) Conjunto de carga para contentores de transporte
KR101293366B1 (ko) 밀폐형 덤프트럭용 적재함
KR101992800B1 (ko) 하역방법
US20100202849A1 (en) Dual use transport vehicle
EP2262677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hipping reels and transport frame
KR20170126978A (ko) 화물 컨테이너
EP1946963A1 (en) Vehicle provided with a loading space
US20150274054A1 (en) Vehicle for the transport of liquids and/or solids
EP2397423B1 (en) Container system for bulk material
KR200468113Y1 (ko)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KR101045466B1 (ko) 탈착이 가능한 적재함 덤프장치
KR101004609B1 (ko) 다목적 곡물적재함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CN109552768B (zh) 再生资源物运输用集装箱
JP2010095297A (ja) 天蓋付き荷箱
WO2013042037A1 (en) Bottom discharge container
KR101992797B1 (ko) 하역장치
CN214421316U (zh) 一种集装箱
JP2015054532A (ja) ダンプトラック用積荷排出具
CN217674529U (zh) 一种可自动卸货且适配多种规格铝型材的集装箱
KR100985600B1 (ko) 벌크화물 일괄수송 방법 및 용기
WO2008007885A1 (en) Freight container for car transportation
JP4449042B2 (ja) 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