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600B1 - 벌크화물 일괄수송 방법 및 용기 - Google Patents

벌크화물 일괄수송 방법 및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600B1
KR100985600B1 KR1020100028813A KR20100028813A KR100985600B1 KR 100985600 B1 KR100985600 B1 KR 100985600B1 KR 1020100028813 A KR1020100028813 A KR 1020100028813A KR 20100028813 A KR20100028813 A KR 20100028813A KR 100985600 B1 KR100985600 B1 KR 100985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 cargo
bulk
container
cargo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규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신티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신티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신티앤에스
Priority to KR1020100028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와 용기를 이용한 수송방법에 제공된다. 이 방법은, (1) 생산지 또는 출발지에서 다수개의 용기에 벌크화물을 수용시키는 단계; (2) 상기 벌크화물을 수용한 다수개의 용기를 철도를 이용하여 도착지 인접역으로 운송하는 단계; 및 (3) 상기 도착지 인접역에서 상기 벌크화물을 수용한 다수개의 용기를 다수대의 트럭으로 최종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는 육면체로 형성되어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덤핑도어가 형성되며, 측면의 상측에 ∧형 또는 ∩형의 통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필요한 때에 적층과 덤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벌크화물 일괄수송 방법 및 용기{METHOD AND CONTAINER FOR BATCH TRANSPORTATION OF BULK PRODUCTS}
본 발명은 벌크화물 수송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용기와 그 용기를 이용한 벌크화물 일괄수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크화물이라함은, 시멘트, 석탄, 모래, 석회석, 철광석 등과 같이, 산적된 상태에서 규격화된 포장 없이 그대로 운송되는 화물을 말한다. 이러한 벌크화물은 포장하여 운송할 경우 포장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정한 포장을 하지 않은 채 운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벌크화물 운송 방식은 운송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기 못할 때가 많이 있다. 이를테면 기존의 방식에서는 벌크화물의 운송 중에 운송수단을 교체하는 경우 화물을 벌크 상태로 덤핑 및 야적한 후, 다시 벌크 상태로 퍼 담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한다. 특히 육상운송에서 이러한 문제점이 두드러지는데, 기존에는 철도운송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통상 산지에서 개별덤프를 이용하여 철도 역 부근으로 운반하여 역 부근의 야적장에 야적을 하고 난 후, 화차에 다시 상차시킨다. 또한 도착지 인접역에서도 마찬가지로 화차에서 하차하여 야적한 후, 개별덤프를 이용하여 최종목적지로 운송한다.
도 1a 및 1b는 기존의 벌크화물의 육상운송 방식의 플로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벌크화물의 육상운송 방식은 크게 산지에서 최종목적지까지의 경로 전체를 개별 덤프트럭으로 운송하는 육상개별운송 방식(도 1a)과 중간 경로에서 철도를 이용하는 철도운송 방식(도 1b)으로 나눌 수 있다.
개별 덤프트럭을 이용한 기존의 육상개별운송 방식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지에서 다수대의 개별 덤프트럭에 벌크화물을 나누어 상차하고, 덤프트럭들이 개별적으로 최종도착지까지 운송하여 덤핑 하화한다. 이와 같이 단순한 단계를 갖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개별 소량 운송 방식이라는 본질적인 문제가 있다. 이를테면, 투입차량수 과다, 잦은 도로체증으로 인한 불안정한 운송관리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이는 결국 운송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기존의 철도운송 방식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산지에서 덤프트럭으로 화차가 들어올 수 있는 출발지의 인접역으로 운송한다. 물론, 여기서 일단 벌크화물을 덤핑 및 야적한다. 이어 화차에 상차하여 착지의 인접역으로 운송하여 그곳에서 화차로부터 벌크화물을 하화하여 야적한다. 이어 덤프트럭에 다시 나누어 상차하여 최종도착지까지 운송한다. 이렇게 기존의 벌크화물의 철도운송은 과다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야적, 상차, 하화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몹시 불리하다. 나아가 벌크상태의 야적은 장소의 확보에도 어려움이 있을 뿐아니라, 종종 환경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벌크화물에 대한 상술한 기존의 개별운송 방식과 철도운송 방식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송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규격화된 용기를 이용하여 철도운송을 통해 벌크화물을 효과적으로 일괄수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송 중 벌크화물의 야적없이 운송할 수 있는 일괄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송 도중 운송수단의 교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벌크화물의 일괄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송수단의 교체를 위한 대기 시에 화물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벌크화물의 일괄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층적재가 가능하여 운송 중 벌크화물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벌크화물의 정량 투입이 신속 용이하게 가능한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된 벌크화물의 누출 없이 통기시킬 수 있는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된 벌크화물의 비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벌크화물의 일괄수송 방법에 있어서, (1) 생산지 또는 출발지에서 다수개의 용기에 벌크화물을 수용시키는 단계; (2) 상기 벌크화물을 수용한 다수개의 용기를 철도를 이용하여 도착지 인접역으로 운송하는 단계; 및 (3) 상기 도착지 인접역에서 상기 벌크화물을 수용한 다수개의 용기를 다수대의 트럭으로 최종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는 육면체로 형성되어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형성된 덤핑도어가 형성되며, 측면의 상측에 ∧형 또는 ∩형의 통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의 단계와 (2)의 단계의 사이에, 상기 벌크화물을 수용한 다수개의 용기를 다수개의 트레일러로 운송하여 철도와 연결된 구역의 야드 또는 대기영역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의 단계와 (3)의 단계 사이에 상기 벌크화물을 수용한 다수개의 용기를 상기 도착지 인접역의 야드 또는 대기영역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구에는 비산방지막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수용할 벌크화물의 종류에 따라 벌크화물의 수용 높이를 제한하는 광학 레벨센서와, 상기 용기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벨센서의 감지값을 따른 정해진 표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어로 이루어진 레벨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학 레벨센서는 상기 용기의 길이방향의 끝단부위에서 1/4 지점 부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에 있어서, 육면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프레임과 벽체; 상기 벽체 중의 상부벽체에 형성된 투입구; 상기 벽체 중의 어느 하나의 측부벽체 일부분 또는 전부분이 되도록 설치되는 덤핑도어; 상기 측부벽체들 중 덤핑도어가 설치되지 않은 측부벽체의 상측에 형성된 ∧형 또는 ∩형의 통기구; 상기 투입구에 설치되는 비산방지막부; 및 수용될 벌크화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벽체 중의 측부벽체 내면의 정해진 높이에 설치되는 광학 레벨센서와, 상기 측부벽체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벨센서의 감지값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어로 이루어진 레벨표시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광학 레벨센서는 상기 용기의 길이방향의 끝단부위에서 1/4 지점 부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규격화된 용기를 이용하여 철도운송을 통해 벌크화물을 효과적으로 일괄수송할 수 있는 방법 및 용기를 제공한다. 특히, 규격화된 용기를 이용함으로써, 벌크화물의 야적없이 운송할 수 있고, 운송 도중 운송수단의 교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운송수단의 교체를 위한 대기 시에 화물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규격화된 용기는 다층적재가 가능하여 운송 중 적재야드의 효율적인 이용은 물론 벌크화물의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는 레벨센서를 벌크화물의 수용량을 비교적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정량투입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는 ∧형 또는 ∩형의 통기구를 구비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벌크화물의 누출없이 통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벌크화물의 비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 구성의 장점들은 벌크화물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하면서 철도운송을 포함하는 일괄수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a 및 1b는 기존의 벌크화물의 육상운송 방식의 플로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Ⅰ-Ⅰ’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투영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이용한 벌크화물의 일괄수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설명하고, 그를 이용한 일괄수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Ⅰ-Ⅰ’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투영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이용한 벌크화물의 일괄수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10)는 프레임(100)과 벽체(220, 240, 260, 28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과 벽체(220, 240, 260, 280)는 육면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육면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컨테이너 박스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10)로 수송되는 벌크화물은 석탄류, 곡물류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따라서 프레임(100)과 벽체(220, 240, 260, 280)는 수용될 벌크화물의 하중을 고려하여 재질과 두께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이를테면 프레임(100)은 “ㄱ”형의 강재일 수 있고, 벽체(220, 240, 260, 280)들은 외벽과 내벽을 갖는 이중벽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용기(10)가 기존 상용의 컨테이너 박스와 같은 규격화를 이루는 것이다. 규격화된 용기는 수송 중 필요한 때에 다층 적재가 가능하고, 이는 용기의 분류 및 야드의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여 전반적인 수송 관리의 효율을 높일 것이다. 이를테면, 본 발명의 용기(10)는 상용중인 20피트(길이 6m × 높이 2.6m × 폭 2.4m)의 규격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10)가 상술한 20피트 규격의 컨테이너 형태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벽체(220, 240, 260, 280) 중의 상부벽체(220)에는 벌크화물 투입을 위한 투입구(300)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투입구(300)가 상부벽체(220)의 중앙 부위에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는 운송 중에 벌크화물의 비산을 방지하는데 일정부분 도움을 주고, 또한 용기(10)를 다층으로 적재할 때 코너 피팅에서 약간의 마진이 허용될 수 있다. 즉, 상부벽체 부위 전체가 개방되는 구조라면, 적층 시 매우 높은 정밀도의 코너 피팅이 이루어져야 하며, 약간의 오차가 발생된다면 곧바로 기울어지거나 무너지는 결과가 초래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10)와 같이 상부벽체(220)의 중앙 부위에 부분적으로만 투입구(300)를 설치할 경우에는 코너 피팅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즉시 무너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오차를 바로잡을 시간적인 여유가 주어진다. 즉, 급하게 용기(10) 들을 하차하여야 할 때, 코너 피팅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게 적층을 하였더라도 그 오차를 바로잡을 시간적인 여유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용기(10)가 상술한 상용 컨테이너 박스형이라면 투입구(300)는 폭방향에서 한쪽으로 약간 치우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투입구의 폭을 대략 1.8m로 형성할 때, 양측단으로부터 일측은 0.4m, 타측은 0.2m 정도 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용기(10)의 상부벽체(220) 상에서 작업자가 측단으로부터 0.4m 정도 남겨진 부위에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투입구(300)는 길이방향의 양측단부에서 대략 0.8m 정도씩 거리를 두도록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입구(300)에는 비산방지막부(320)가 설치되어 수용된 벌크화물의 비산을 방지한다. 비산방지막부(320)는 이를테면 도 2, 4, 및 5와 같이 상부벽체에 고정되어 커튼봉 역할을 하는 제1봉부재(322)와, 제1봉부재(322)에 일단이 고정되고 투입구(300)를 덮도록 연장된 복포(324)와, 복포(324)에 있어서 제1봉부재(322)의 반대단에 연결되는 제2봉부재(325)를 포함한다. 복포(324)의 양측단 부위와 그와 대응되는 상부벽체(220)의 표면 부위에는 복포(324)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배열된 다수개의 걸이방식 결속수단이 배치된다. 이러한 결속수단은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제2봉부재(325)의 양단에 구비되는 걸고리(328)와 그에 대응하여 상부벽체에 형성되는 고리홀(329)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산방지막부(320)의 복포(324)는,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투입구(300)의 양측단에 하나씩 설치되어 투입구(300)의 중간 부위에서 오버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오버랩 구조는 복포(324)를 걷고 덮는데 도움을 주고, 복포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처짐이 덜 발생할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복포(324)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 2, 4, 및 5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포(324)의 아래를 지나는 로프(332)를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설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비산방지막부(320)는 수용된 벌크화물의 비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량의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2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벽체(220, 240, 260, 280) 중의 어느 하나의 측부벽체에 덤핑도어(400)가 구비된다. 덤핑도어(400)는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용기(10)가 직육면체일 경우에, 후방의 측부벽체(24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덤핑도어(400)는 도면에서와 같이 후방의 측부벽체(240)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후방의 측부벽체(240)의 전부분을 구성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덤핑도어(400)는 힌지부(420)와 잠금장치(440)를 통해 덤핑 동작이 가능하도록 후방 측부벽체(240)에 설치될 수 있다. 덤핑도어(400)의 설치를 위한 구성요소와 방식은 제한없이 기존의 다양한 방식과 구성요소가 선택될 수 있다.
전방에 위치한 측부벽체(280)에는, 도 3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용기(10) 상면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사다리형 걸이(350)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광학 레벨센서(520)와 센서의 감지값에 따른 정해진 표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어(540)로 이루어진 레벨표시장치(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레벨표시장치(500)의 광학 레벨센서(520)는 수용될 벌크화물의 종류에 따라 설치 높이가 정해지도록 할 수 있다. 통상 본 발명의 용기(10)는 수용되는 벌크화물의 종류가 정해질 수 있고, 벌크화물은 종류에 따라 무게가 다르게 된다. 이는 벌크화물의 종류에 따라 용기(10) 내에 수용될 수 있는 높이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에 따라 광학 레벨센서(520)의 설치높이가 달라야 한다.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에는 특별한 제약이 없으나, 수용된 벌크화물이 한계치에 도달하거나 넘어섰을 때 정해진 색상을 표시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렇게 표시하면 벌크화물의 정량 투입 작업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또한 각 용기마다 벌크화물이 수용되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분류나 이송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레벨센서(5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부와 수신부가 쌍으로 구비되는 구성일 수 있고, 하나의 적외선 센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용기(1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광학 레벨센서(520)의 설치위치는, 도 에서와 같이, 중앙부위에서 양단부의 중간지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용기(10)의 길이방향의 끝단에서 1/4 부위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한다면 실제로 수용된 평균적인 중량을 유추할 수 있다. 벌크화물을 용기(10)에 투입할 때는 중앙부위가 상대적으로 높고 양단부위가 낮아지게 되기 때문에, 길이방향의 중간부위에서 양단부의 중간지점에 설치하는 것이 신뢰성 높은 감지값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광학 레벨센서(520)는 도 6의 세로로 표시된 점선 상에서 수용될 벌크화물의 종류에 따라 설치 높이가 결정될 것이다. 이는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으로 정량 투입을 신뢰성있게 달성할 수 있게 하여준다.
또 다르게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센서를 내면 바닥 부위에 배열하고 그 평균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도 채택할 수 있다.
측부벽체들의 상측에는 ∧형 또는 ∩형의 통기구(600)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통기구(600)는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봤을 때 양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벌크화물 특성상 그 부위에는 벌크화물이 없을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통기구(600)는 운송할 벌크화물이 석탄류일 경우에 용기(10) 내부에 휘발성 가스가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통기구(600)는 ∧형 또는 ∩형을 가질 수 있고, 그럼으로써 외부로부터 수분 등이 통기구(600)를 통해 침투하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내부에 수용된 벌크화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통기구(600)는 곡물류를 수용하였을 경우에도 내부 수분의 배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용기 내부에는 다수개의 보강재(722, 724, 742, 744, 760)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약한 부위인 투입구(300) 주위에는 보강재(722, 724, 742, 및 744)가 그 둘레를 두르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10) 내부의 폭방향으로는 적당한 갯수의 보강재(760)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화물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10)는 벌크화물을 규격화된 용기에 수용하여 운송함으로써 철도 수송과 개별 트레일러 수송을 상호 연결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이송 중간 과정에서 덤핑이나 벌크상태의 야적 없이 운송이 가능하게 된다. 필요한 때에 다층으로 적층이 가능함으로써 분류 및 야드 운용에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기를 이용한 벌크화물의 일괄수송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용기를 이용한 벌크화물 일광수송의 플로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상술한 생산지 또는 출발지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용기(10)에 벌크화물을 수용시킨다(S01). 용기(10)에 벌크화물을 담는 방법은 투입된 개별 트레일러 에 빈 용기(10)를 실은 상태에서 야적된 벌크화물을 퍼 담거나, 트레일러에 용기(10) 상차시키기 전에 다수개의 용기(10)에 벌크화물을 퍼 담아서 수용시킬 수 있다.
이어 벌크화물을 수용한 용기들을 개별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출발지의 인접역 또는 철도와 연결된 지정된 구역으로 운송한다(S02). 여기서 철도와 연결된 지정된 구역이라함은 화차에 상차되기 전에 대기하는 야드 등의 대기영역을 의미하며, 필요에 따라서 벌크화물을 수용한 용기(10)들을 다층으로 적층시킨다.
준비된 화차에 용기(10)들을 상차하여 도착지 인접역으로 철도이송한다(S03). 도착지역에 도달된 후, 용기(10)들을 하차하여 지정된 구역 또는 대기영역에 적재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서는 용기(10)들을 다층으로 적층할 수 있다.
도착지역의 지정된 구역에 적재되어 있는 용기(10)들을 다수대의 트럭을 이용하여 최종도착지까지 운송한다(S04). 이때 이용되는 트럭들은 바람직하게는 덤핑 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춘 트레일러가 이용된다. 덤핑장치를 가지는 트럭 또는 트레일러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기술이 공지되어 상용 중에 있음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용의 컨테이너 박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피팅 코너에 마련된 홀을 트레일러나 화차에 상차하여 고정할 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피팅 코너에 마련된 홀(110)을 덤핑 시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피팅 코너의 홀(110)과 트레일러 또는 화차에 마련된 대응 홀을 일치시키고 고정핀부재를 삽입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10: 용기 100: 프레임 220, 240, 260: 벽체
300: 투입구 320: 비산방지막부 322: 제1봉부재
324: 복포 325: 제2봉부재 328: 걸고리
329: 고리홀 332: 로프 400: 덤핑도어
500: 레벨표시장치 520: 광학 레벨센서 540: 디스플레이어
600: 통기구 722, 724, 742, 744, 760: 보강재
100: 코너 피팅의 홀

Claims (10)

  1. 벌크화물의 일괄수송 방법에 있어서,
    (1) 생산지 또는 출발지에서 다수개의 용기에 벌크화물을 수용시키는 단계;
    (2) 상기 벌크화물을 수용한 다수개의 용기를 철도를 이용하여 도착지 인접역으로 운송하는 단계; 및
    (3) 상기 도착지 인접역에서 상기 벌크화물을 수용한 다수개의 용기를 다수대의 트럭으로 최종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는,
    육면체로 형성되어 상면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형성된 덤핑도어가 형성되며, 측면의 상측에 ∧형 또는 ∩형의 통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의 일괄수송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의 단계와 (2)의 단계의 사이에, 상기 벌크화물을 수용한 다수개의 용기를 다수개의 트럭으로 운송하여 철도와 연결된 구역의 야드 또는 대기영역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의 일괄수송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의 단계와 (3)의 단계 사이에 상기 벌크화물을 수용한 다수개의 용기를 상기 도착지 인접역의 야드 또는 대기영역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의 일괄수송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에는 비산방지막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의 일괄수송 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수용할 벌크화물의 종류에 따라 벌크화물의 수용 높이를 제한하는 광학 레벨센서와, 상기 용기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벨센서의 감지값을 따른 정해진 표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어로 이루어진 레벨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의 일괄수송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광학 레벨센서는 상기 용기의 길이방향의 끝단부위에서 1/4 지점 부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의 일괄수송 방법.
  8.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에 있어서,
    육면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프레임과 벽체;
    상기 벽체 중의 상부벽체에 형성된 투입구;
    상기 벽체 중의 어느 하나의 측부벽체 일부분 또는 전부분이 되도록 설치되는 덤핑도어;
    상기 측부벽체들 중 덤핑도어가 설치되지 않은 측부벽체의 상측에 형성된 ∧형 또는 ∩형의 통기구;
    상기 투입구에 설치되는 비산방지막부; 및
    수용될 벌크화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벽체 중의 측부벽체 내면의 정해진 높이에 설치되는 광학 레벨센서와, 상기 측부벽체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벨센서의 감지값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어로 이루어진 레벨표시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학 레벨센서는 상기 용기의 길이방향의 끝단부위에서 1/4 지점 부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의 일괄수송을 위한 용기.
KR1020100028813A 2010-03-30 2010-03-30 벌크화물 일괄수송 방법 및 용기 KR100985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813A KR100985600B1 (ko) 2010-03-30 2010-03-30 벌크화물 일괄수송 방법 및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813A KR100985600B1 (ko) 2010-03-30 2010-03-30 벌크화물 일괄수송 방법 및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600B1 true KR100985600B1 (ko) 2010-10-05

Family

ID=4313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813A KR100985600B1 (ko) 2010-03-30 2010-03-30 벌크화물 일괄수송 방법 및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6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971B1 (ko) * 2011-08-29 2013-09-2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곡물 운송용 컨테이너
RU220688U1 (ru) * 2023-06-21 2023-09-28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М РЕЙЛ АБАКАНВАГОНМАШ" (АО "РМ РЕЙЛ АБАКАНВАГОНМАШ") Контейнер для сыпучих 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4533A (ko) * 1982-06-28 1984-10-22 사사끼 사다미찌 콘테이너의 환기장치
KR20080006291U (ko) * 2007-06-13 2008-12-17 (주)금강차체 이송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4533A (ko) * 1982-06-28 1984-10-22 사사끼 사다미찌 콘테이너의 환기장치
KR20080006291U (ko) * 2007-06-13 2008-12-17 (주)금강차체 이송컨테이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971B1 (ko) * 2011-08-29 2013-09-2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곡물 운송용 컨테이너
RU220688U1 (ru) * 2023-06-21 2023-09-28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М РЕЙЛ АБАКАНВАГОНМАШ" (АО "РМ РЕЙЛ АБАКАНВАГОНМАШ") Контейнер для сыпучих 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RU222324U1 (ru) * 2023-08-09 2023-12-2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М РЕЙЛ АБАКАНВАГОНМАШ" (АО "РМ РЕЙЛ АБАКАНВАГОНМАШ") Контейнер для сыпучих 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5148B2 (en) Container and container wagon
CA2791088C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lk material storage and/or transport
US201603328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lk material storage and/or transport
US201300224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lk transport of proppant
US20140286716A1 (en) Portable Materials Transportation System
CN205045256U (zh) 一种多功能集装箱
US11370606B2 (en) Hopper-in-frame for transporting proppant material
US10322891B2 (en) Unloading system for bulk material from a transport vessel, in particular a container
CN111727157A (zh) 轻型运输、存储和输送系统
US202300191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ploying a bulkhead bag in intermodal shipping of dry flowable commodities
KR100985600B1 (ko) 벌크화물 일괄수송 방법 및 용기
US10717380B2 (en) Convertible trailer for packaged goods and dry bulk material
KR100194563B1 (ko) 화물운송구
CN113544066A (zh) 运输集装箱
US20090127256A1 (en) Storage unit for being portable, towable, liftable, rackable, and weatherproof
RU172999U1 (ru) Специальный контейнер закрытого типа
FI124924B (fi) Kuljetuskontti
US11214436B2 (en) Transport platform
JP2000355426A (ja) 輸送コンテナの運用システム
JP3129196U (ja) 粉粒体バラ積み輸送用バルクコンテナ
US1892698A (en) Transportation container
CN109132238A (zh) 一种用于固体粉粒料货物的物流储运系统
US20170015231A1 (en) Bulk container transport system
IT202100007937A1 (it) Semirimorchio modulare ermetico e sistema di monitoraggio e parzializzazione della temperatura
AU2010100649A4 (en) Freight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