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156B1 - 서랍 - Google Patents

서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156B1
KR101293156B1 KR1020087015228A KR20087015228A KR101293156B1 KR 101293156 B1 KR101293156 B1 KR 101293156B1 KR 1020087015228 A KR1020087015228 A KR 1020087015228A KR 20087015228 A KR20087015228 A KR 20087015228A KR 101293156 B1 KR101293156 B1 KR 101293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lever
gear wheel
furniture structure
basic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3758A (ko
Inventor
콘라드 베버
톨스텐 회트거
Original Assignee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73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64Guide 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 A47B2210/007Three slide synchr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64Guide 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 A47B2210/0078Drawers with parallel guidance or synchronization by pinion-shaft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64Guide 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 A47B2210/0083Drawer symmetric movement on opposite telescopic rail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서랍(1)은 기본 가구 구조 내의 위치로부터 기본 가구 구조의 전방의 풀-아웃 위치로 풀-아웃 가이드(6, 7, 8)를 통해 기본 가구 구조에 대해 변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1)은 대향 측면 상에 각각 하나 이상의 기어 휘일(10)을 갖고, 상기 기어 휘일(10)은 기본 가구 구조상에 고정되는 랙(30)과 맞물리며, 대향 측면 상의 기어 휘일(10)과 연결된다. 상기 서랍(1)이 상기 기어 휘일(10)에 의해 풀-아웃 위치로 안내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상기 랙(30)은 피봇 가능한 레버(11)를 통해 길이가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서랍의 경사진 위치설정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피봇 가능한 레버(11)는 맞물린 상기 기어 휘일(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랍은 전체 변위 경로에 걸쳐서 기어 휘일에 의해 안내되도록 보장된다.

Description

서랍{DRAWER}
본 발명은 기본 가구 구조 내의 위치로부터 기본 가구 구조의 전방의 풀-아웃 위치로 풀-아웃 가이드(pull-out guide)를 통해 기본 가구 구조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서랍으로서, 이 서랍이 대향 측면 상에 각각 하나 이상의 기어 휘일을 갖고, 상기 기어 휘일이 기본 가구 구조상에 고정되는 랙과 맞물리고, 대향 측면 상의 기어 휘일과 연결되며, 상기 서랍이 상기 기어 휘일에 의해 풀-아웃 위치로 안내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상기 랙이 피봇 가능한 레버를 통해 각각 길이가 연장될 수 있는 서랍에 관한 것이다.
EP 512 615는 활주 운동(running movement)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대향 측면 상에 랙이 제공되며, 이들 랙이 샤프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기어 휘일들과 결합되는 경우의, 서랍용 풀-아웃 가이드를 개시한다. 또한, 풀-아웃 위치에서 활주 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랙은 레버에 의해 길이가 연장될 수 있으며, 랙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고 랙이 기어 휘일과 결합될 수 있도록, 기본 가구 구조의 전방의 풀-아웃 위치에서 서랍과 함께 피봇된다. 그러나 설치중에 또는 다른 이유로 기어 휘일은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며, 그에 따라 서랍의 경사진 위치설정이 교정되어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이를 위해 복잡한 설치 작업이 실행되어야 한다.
EP 11 41 640은 대향하는 종방향 측면 상에 랙이 제공되며, 이들 랙이 서랍의 움직임을 동기화시키기 위해 서랍의 기어 휘일과 맞물리는 경우의 냉장장치용 풀-아웃 가이드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서랍은 기본 가구 구조의 전방의 위치로 계속 이동될 수 없다. 서랍의 경사진 위치설정이 존재하는 경우, 푸쉬-인 위치에서 랙과 기어 휘일 사이의 결합이 제거되기 때문에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축된 위치에서 서랍의 경사진 위치설정의 결과로서 제밍(jamming)이 발생할 수 없다. 그러나 서랍은 수축된 위치의 영역에서 기어 휘일에 의해 동기화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활주 특성을 갖고 기본 가구 구조의 전방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필요시 경사진 위치설정을 교정되게 할 수 있는 서랍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서랍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랍은 기본 가구 구조의 전방의 풀-아웃 위치로 변위될 수 있으며, 풀-아웃 위치에서의 안내를 또한 보장하기 위해 피봇 가능한 레버를 통해 랙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으며, 필요시 서랍의 경사진 위치설정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맞물린 기어 휘일과 피봇 가능한 레버 사이의 결합이 제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랍은 전체 변위 경로에 걸쳐서 기어 휘일에 의해 안내되어서 우수한 활주 특성이 제공되는 것이 보장되지만, 임의의 복잡한 부품의 제거가 필요 없이 풀-아웃 위치에서 경사진 위치설정을 교정할 수 있다. 이는 피봇 가능한 레버가 기어 휘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대응하는 교정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레버는 교정 위치에서 기어 휘일로부터 상부로 들어올려 질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들어올림 작업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서랍이 레버의 영역에서 우수한 효과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레버는 기어 휘일과 슬라이딩 부재 사이에서 안내되며, 슬라이딩 부재는 교정 위치에서 레버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부재는 레버 부재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 부재는 레버가 필요시에 상기 기어 휘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레버로부터 멀리 수동으로 피봇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형태에 따르면, 레버를 들어올리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이때, 서랍이 교정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기어 휘일과 레버 사이의 결합은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요한 모든 것은 서랍이 적소에 적절하기 배치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레버 상에는 각각의 드라이버가 제공될 수 있으며, 드라이버 상에는 레버를 들어올리기 위한 수단이 기어 휘일로부터 레버가 들어 올려지도록 작용한다. 이때, 레버를 들어올리기 위한 수단은 교정 위치로 이동되는 서랍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교정 위치는 서랍이 최대 범위까지 당겨진 위치이며, 일반적으로 이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서랍의 내용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정상 사용시에는 이 위치에 이르지 않는다.
랙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레버가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을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레버는 맞물린 기어 휘일이 기본 가구 구조 내부로 이동될 때 기본 가구 구조 내부로 아래를 향하여 피봇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하, 2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및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이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서랍의 세부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서랍이 최대 범위까지 당겨진 도 1의 서랍의 세부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교정 위치에 있는 도 1의 서랍의 세부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랍의 세부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교정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도 5의 서랍의 세부 형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며,
도 7은 단부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도 5의 서랍의 세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교정 위치에 있는 도 5의 서랍의 세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랍(1)은 기본 가구 구조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푸쉬-인 인클로저(push-in enclosure; 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푸쉬-인 인클로저(2)는 거울 반전 디자인으로 된 좌측 부분(4)과 우측 부분(5) 상에서 안내된다. 좌측 및 우측 부분(4, 5) 상에는 고정 레일(6), 서랍(1) 상에 고정되는 풀-아웃 레일(8), 및 풀-아웃 레일(8)의 속도의 절반으로 이동되며 연장된 풀-아웃 작용을 허용하는 중심 레일(7)을 갖는 각각의 풀-아웃 가이드가 제공되며, 이 경우 서랍(2)은 기본 가구 구조의 전방에 배치되고 좌측 및 우측 부분(4, 5)을 갖는다.
서랍(1)의 측면 부분(9) 상에는 기어 휘일(1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기어 휘일(10)은 샤프트(40)를 통해 대향 측면 상의 기어 휘일(10)에 연결된다. 기어 휘일(10)은 각각 좌측 및 우측 부분(4, 5) 상의 랙(30)에 결합되어 서랍(1)의 두 측면의 활주 운동의 동기화를 보장한다.
또한, 기어 휘일(10)이 좌측 및 우측 부분(4, 5)을 갖는 풀-아웃 위치의 영역에서 서랍(1)이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 피봇 가능한 레버(11)가 제공되어, 랙(30)의 길이를 연장시키며, 이들 레버는 기어 휘일(10)과 결합될 때 위쪽에서 수평 위치로 피봇된다. 피봇 가능한 레버(11)의 영역에서 기어 휘일(10)과 레버(11) 사이의 결합을 제거하여서, 서랍(1)의 경사진 위치설정을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설치 중에 또는 다른 이유로, 서랍(1)이 기본 가구 구조의 전면에 대해 경사지고 전방 패널(3)이 기본 가구 구조 내부에 정밀하게 조립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기어 휘일(10)은 이러한 경사진 위치설정이 교정되도록 하기 위해 레버(11) 및 랙(30) 중 하나 이상에 대해 희망 범위까지 변위되어야 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어 휘일(10)은 레버(11)의 하면에 형성된 랙(12)과 맞물리며, 축(13)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도록 측면 부분(5) 상에 장착된다. 측면 부분(5)에는 본 명세서에서 베어링 위치로서 회전 축(13)이 제공되는 웨브형 연장 아암(14)이 배치된다. 기어 휘일(10)이 좌측 및 우측 부분(4, 5) 사이의 기본 가구 구조 내부로 이동되는 경우, 레버(11)는 그에 따라 중력의 결과로서 아래를 향하여 피봇될 수 있으며, 기본 가구 구조 내부로 숨겨진다. 기어 휘일(10)이 레버(11)와 접촉하게 되는 범위까지 기본 가구 구조의 외부로 잡아 당겨지는 경우에만, 추가의 외부로의 운동중에 레버(11)는 수평 위치로 피봇된다.
레버(11)의 랙(12)으로부터 기어 휘일(1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버(11) 위에 접합점으로서 슬라이딩 부재(15)가 제공되며, 이 슬라이딩 부재는 측 면 부분(9) 상에 고정되어 기어 휘일(10) 상에 동일한 간격으로 항상 배치된다. 따라서, 레버(11)가 기어 휘일(10)로부터 우발적으로 더 올려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레버가 슬라이딩 표면(16)을 통해 슬라이딩 부재(15) 상에서 안내된다.
도 3에서 서랍은 최대 범위까지 잡아 당겨지고 기어 휘일(10)이 레버(11)의 단부에 닿은 위치에 도달하였다. 또한, 이 위치에서 레버(11)의 랙(12)과 기어 휘일(10) 사이에 안내(guidance)가 제공된다. 그러나 서랍의 경사진 위치설정을 보상하기 위해 랙(12)과 기어 휘일(10) 사이에서 위치설정을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5)는 수동으로 아래를 향하여 밀려 내려가는 작동 레버(17)에 의해 피봇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15) 상의 슬라이딩 표면은 레버(11) 상의 슬라이딩 부재(15)로부터 분리되며, 이 경우 레버(11)는 작은 범위만큼 위쪽으로 피봇될 수 있으며, 기어 휘일(10)의 톱니와 랙(12)의 톱니가 분리된다. 이 위치에서, 기어 휘일(10)은 교정 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톱니만큼 랙(12)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레버(11)의 랙은 기어 휘일(10)과 다시 결합되며, 슬라이딩 부재(15)는 추가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딩 표면(16)에 대해 다시 압박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하며,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지시부호를 갖는다. 이 예시적 실시예는 서랍이 최대 범위까지 잡아 당겨진 위치에서 레버(11)가 기어 휘일(10)로부터 (형상결합 안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승되어 임의의 추가 설치 단계 없이 서랍(1)의 경사진 위치설정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휘일(10)은 다시 한번 레버(11)를 따라 이동하며, 레버는 기본 가구 구조의 전방에서 외부로 서랍이 잡아 당겨진 위치로 변위 가능하며, 안내를 위해 레버(11)는 수평 위치로 피봇된다. 이때, 레버(11)의 위쪽으로의 운동은 슬라이딩 부재(15')에 접하는 슬라이딩 표면(16)에 의해 방지되거나, 일정량의 유극이 적어도 레버(11)의 상승 운동을 제공하여 방지된다. 못(peg) 형태의 드라이버(20)가 레버(11) 상에 제공되며, 이러한 못은 레버를 단부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해 슬라이딩 부재(15') 내의 홀더(21)와 상호 작용한다.
도 7은 서랍(1)이 단부 위치 바로 앞에 배치되고, 기어 휘일(10)이 레버(11) 의 단부 영역에서 랙(12)과 맞물리는 위치를 도시한다. 드라이버(20)는 슬라이딩 부재(15') 내의 홀더(21) 내부로 삽입된다.
서랍(1)이 기본 가구 구조의 외부로 약간 더 이동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된다. 이때, 드라이버(20)는 슬라이딩 부재(15')를 피봇시키고, 그 결과 홀더(21)는 마찬가지로 드라이버(20)를 위쪽으로 피봇시키며 기어 휘일(10)로부터 레버(11)를 들어올린다. 따라서, 기어 휘일(10)이 랙(12)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고 위치설정이 교정될 수 있다.
레버(11)와 기어 휘일(10) 사이의 결합을 제거하기 위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되는 다른 기계적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대응하는 슬라이딩 부재(15)가 피봇 가능하거나 변위 가능할 수 있으며, 아울러 다른 커플링 수단 또는 보상 수단을 제공할 수도 있다.

Claims (9)

  1. 기본 가구 구조 내의 위치로부터 기본 가구 구조의 전방의 풀-아웃 위치로 풀-아웃 가이드(6, 7, 8)를 통해 기본 가구 구조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서랍(1)으로서,
    상기 서랍(1)이 대향 측면 상에 각각 하나 이상의 기어 휘일(10)을 갖고, 상기 기어 휘일(10)이 기본 가구 구조상에 고정되는 랙(30)과 맞물리며, 대향 측면 상의 기어 휘일(10)과 연결되고, 상기 서랍(1)이 상기 기어 휘일(10)에 의해 풀-아웃 위치로 안내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상기 랙(30)이 피봇 가능한 레버(11)를 통해 길이가 각각 연장될 수 있는 서랍에 있어서,
    상기 서랍의 경사진 위치설정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피봇 가능한 레버(11)가 맞물린 상기 기어 휘일(1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11)는 교정 위치에서 상기 기어 휘일(10)로부터 위로 들어올려 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1)는 상기 기어 휘일(10)과 슬라이딩 부재(15, 15') 사이에서 안내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15, 15')는 교정 위치에서 상기 레버(11)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5)는 레버 부재로서 설계되며,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레버(11)가 필요시 상기 기어 휘일(1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레버(11)로부터 멀리 수동으로 피봇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1)를 들어올리기 위한 수단(20, 2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1) 상에 드라이버(20)를 제공하며, 상기 드라이버 상에서 상기 레버(11)를 들어올리기 위한 수단(21)이 상기 기어 휘일(10)로부터 상기 레버가 들어 올려지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교정 위치로 이동되는 서랍에 의해, 상기 레버(11)를 들어올리기 위한 수단(20, 21)이 상기 기어 휘일(10)로부터 자동으로 상기 레버(11)를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위치는 상기 서랍(1)이 최대 범위까지 잡아 당겨진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맞물린 상기 기어 휘일(10)이 기본 가구 구조 내부로 이동될 때, 상기 레버(11)는 기본 가구 구조 내부로 아래를 향하여 피봇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KR1020087015228A 2005-11-26 2006-10-31 서랍 KR101293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5018514U DE202005018514U1 (de) 2005-11-26 2005-11-26 Schublade
DE202005018514.0 2005-11-26
PCT/EP2006/067980 WO2007060082A1 (de) 2005-11-26 2006-10-31 Schubla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758A KR20080073758A (ko) 2008-08-11
KR101293156B1 true KR101293156B1 (ko) 2013-08-12

Family

ID=37680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228A KR101293156B1 (ko) 2005-11-26 2006-10-31 서랍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016373B2 (ko)
EP (1) EP1951088B1 (ko)
JP (1) JP5102219B2 (ko)
KR (1) KR101293156B1 (ko)
CN (1) CN101316530B (ko)
AU (1) AU2006316672A1 (ko)
DE (1) DE202005018514U1 (ko)
NZ (1) NZ568114A (ko)
WO (1) WO20070600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799B1 (ko) * 2008-03-17 2010-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DE202008007571U1 (de) * 2008-06-06 2009-10-15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element
DE202008012077U1 (de) * 2008-09-11 2010-02-25 Paul Hettich Gmbh & Co. Kg Synchronführung eines Schubelementes
DE202009006021U1 (de) * 2009-04-22 2010-09-09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DE202009016105U1 (de) * 2009-07-06 2010-12-02 Paul Hettich Gmbh & Co. Kg Synchronführung eine Schubelements und Möbel
US8205951B2 (en) * 2009-11-04 2012-06-26 Knape & Vogt Manufacturing Company Closing device for drawers
CN101716032B (zh) * 2009-12-17 2012-01-18 伍志勇 抽屉平衡机构
AT509257B1 (de) * 2009-12-23 2013-09-15 Blum Gmbh Julius Schienensystem für schubladen
AT509256B1 (de) 2009-12-23 2013-06-15 Blum Gmbh Julius Schienensystem für schubladen
CN104116334A (zh) * 2014-06-30 2014-10-29 伍志勇 一种家具的移动部件快速拆装装置
CN106639718B (zh) * 2017-01-11 2018-04-06 伍志勇 一种用于家具的同步翻转启闭机构
CN107550052B (zh) * 2017-09-22 2023-05-02 广东东泰五金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带减力功能的家具用按压反弹开闭机构
CN111684222B (zh) * 2018-02-05 2022-03-08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
CN108577971B (zh) * 2018-04-16 2020-10-27 山西白求恩医院 一种用于医疗器械的可调整型收纳架
WO2020246974A1 (en) 2019-06-05 2020-12-10 Knape & Vogt Manufacturing Company Closing device for drawers
CN111981405B (zh) * 2020-08-24 2022-04-19 合肥安能智控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太阳能路灯的防护装置
CN112385989B (zh) * 2020-11-18 2022-11-15 深圳市美斯顿家具有限公司 一种可自由调节高度的桌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2615A1 (en) * 1991-05-02 1992-11-11 Thomas Regout N.V. Anti-rack system for drawer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02795A (en) * 1930-08-30 1933-03-21 Remington Rand Inc Drawer suspension
US3093429A (en) * 1962-01-17 1963-06-11 Christen Charles Curtis Torsion bar support for sliding rack
US3748005A (en) * 1972-09-05 1973-07-24 Art Steel Co Inc File cabinet with pivoted sliding front door
EP0072370B1 (de) * 1981-08-14 1988-06-22 Control Commerce AG Geldschublade für Registrierkassen in Kassentischen, Verkaufstheken oder dergleichen
JPS6145480A (ja) * 1984-08-08 1986-03-05 Hitachi Ltd ドロワ−機構
DE59909875D1 (de) * 1998-03-12 2004-08-12 Fulterer Gmbh Lustenau Ausziehvorrichtung
DE10227881A1 (de) * 2002-06-22 2004-01-22 Grass Gmbh Schubladenführung
DE10228470A1 (de) * 2002-06-26 2004-01-15 Grass Gmbh Schubladenführung
DE102004002823B4 (de) * 2004-01-12 2016-05-04 Grass Gmbh Ausziehführung für Schubladen
DE202004007109U1 (de) * 2004-05-03 2005-05-19 Grass Gmbh Schubladenführung
DE202005006759U1 (de) * 2005-04-26 2006-10-05 Paul Hettich Gmbh & Co. Auszugsführung
US7527342B2 (en) * 2005-05-04 2009-05-05 Royal Hardware, Inc. Drawer stabilizer and self-closer mechanis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2615A1 (en) * 1991-05-02 1992-11-11 Thomas Regout N.V. Anti-rack system for draw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758A (ko) 2008-08-11
EP1951088A1 (de) 2008-08-06
JP2009517106A (ja) 2009-04-30
US8016373B2 (en) 2011-09-13
NZ568114A (en) 2011-01-28
DE202005018514U1 (de) 2007-04-12
AU2006316672A1 (en) 2007-05-31
CN101316530B (zh) 2010-09-15
JP5102219B2 (ja) 2012-12-19
WO2007060082A1 (de) 2007-05-31
EP1951088B1 (de) 2015-10-21
CN101316530A (zh) 2008-12-03
US20080224584A1 (en) 200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156B1 (ko) 서랍
JP5905395B2 (ja) 引出し用レール機構
JP5798126B2 (ja) 引出しのレール機構
KR20130056200A (ko) 서랍 슬라이드 기구용 동기 장치
US11272784B2 (en) Drawer pull-out guide
US20190167000A1 (en) Drawer Rack for a Cabinet
CN111050602B (zh) 抽屉拉出引导系统
US20130249369A1 (en) Container rail for a drawer container
CN108756561B (zh) 用于多部件门的滑动的家具配件及具有该家具配件的家具
JP7254796B2 (ja) 引き出し等のための引き出しガイド
CN111772378B (zh) 一种橱柜自动开关抽屉
DK3050463T3 (en) PARALLEL UDTRÆKSTRAILER FEED
JP3677228B2 (ja) 扉昇降キャビネット及び上下引き違い戸
JP2007195681A (ja) 引出し付きのキャビネット
JP2006079690A (ja) トレイ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KR20230107597A (ko) 저장 용기를 포함하는 가정용 기구
EP3434503A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JP2515946Y2 (ja) 多段物品収納部を有する物品収納装置
JP2021511904A (ja) 引出しガイド、レール同期化装置および連行体から成るアセンブリ
JP2001197975A (ja) スライド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