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275B1 - 하프 블랭킹을 이용한 적층코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하프 블랭킹을 이용한 적층코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275B1
KR101292275B1 KR1020110032136A KR20110032136A KR101292275B1 KR 101292275 B1 KR101292275 B1 KR 101292275B1 KR 1020110032136 A KR1020110032136 A KR 1020110032136A KR 20110032136 A KR20110032136 A KR 20110032136A KR 101292275 B1 KR101292275 B1 KR 101292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nking
metal strip
laminated
laminated core
half bla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555A (ko
Inventor
주진
손구동
Original Assignee
손구동
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구동, 주진 filed Critical 손구동
Priority to KR102011003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27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2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스트립을 하프 블랭킹한 후 하프 블랭킹된 부분을 분리하여 라미나 부재를 만들기 때문에 라미나 부재의 목부분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층배럴에 블랭킹 다이가 설치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적층배럴이 회전될 때의 진동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층코아의 내경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블랭킹이 이루어지는 위치보다 앞선 위치에서 하프 블랭킹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금속 스트립의 열팽창, 열수축 때문에 발생하는 작업오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층코아의 내경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하프 블랭킹을 이용한 적층코아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laminated core using half blanking}
본 발명은 적층코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프 블랭킹(half blanking)과 녹킹-아웃(knocking-out)을 이용하여 라미나 부재를 만드는 적층코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미나 부재를 적층하여 제조되는 적층 코아는 발전기나 모터의 회전자 및 고정자로 사용되며,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도 1에는 라미나 부재(10)가 적층되어 완성된 적층 코아(20)가 도시되어 있다. 원형의 라미나 부재(10) 중심에는 샤프트 홀(11)이 형성된다. 샤프트 홀(11)의 외곽으로는 라미나 부재(10)의 외주(外周)측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슬롯(12)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홀(11)을 중심으로 그 외측에는 복수의 인터록 탭(14)이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터록 탭(14)은 아래로 엠보싱된 오목부로서, 라미나 부재(10)가 적층될 때 상부 라미나 부재(10)의 인터록 탭(14)이 바로 아래의 라미나 부재(10)에 형성된 인터록 탭(14)과 끼워맞춤 결합되어 적층 코아(20)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적층 코아(20)는 적층코아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된다. 적층코아(20)의 제조에 관해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7804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62744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데, 아래에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조 방법 중의 하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적층코아 제조장치(100)는 슬롯 형성부(30), 카운터홀 형성부(40), 샤프트홀 형성부(50), 인터록 탭 형성부(60) 및, 블랭킹부(70)를 구비한다.
즉, 적층 코아 제조 장치(100)의 프레스 몸체(80)에는 금속 스트립(1)을 스탬핑하거나 블랭킹하는 다양한 형상과 기능을 가진 핀펀치(30a)(40a)(50a)(60a)들 및 블랭크 블록(70a)이 장착되어 있고, 하부다이(90)에는 핀펀치(30a)(40a)(50a)(60a)들과 상응하는 펀치홀(30b)(40b)(50b)(60b)들 및 블랭크 블록(70a)과 상응하는 적층배럴(70b)이 설치되어 있다.
라미나 부재(10)는 길다란 형상의 금속 스트립(1)을 적층코아 제조장치(100)에 공급함으로써 제조된다. 제1 단계(①)에서는 슬롯 형성부(30)가 소정의 이송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이송되는 금속 스트립(1)을 천공하여 복수의 슬롯(12)들을 형성한다. 이어서, 금속 스트립(1)은 제2 단계(②)에서 대기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금속 스트립(1)은 제3 단계(③)로 이동되어 카운터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카운터 공정은 적층 코아(20)를 소정 매수로 적층한 다음 분리시키기 위해 인터록 탭(14)이 형성될 지점에 카운터 홀(19)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다. 이러한 카운터 공정은 모든 라미나 부재(10)에 대해서 수행되는 것이 아니며, 정해진 적층 코아(20)의 두께에 따라, 예를 들어 20회에 1번 등으로 수행된다. 카운터 공정이 수행될 경우에는 금속 스트립(1)의 인터록 탭(14) 형성 위치가 펀치핀(40a)에 의해 천공되며, 공정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아이들(idle) 공정으로서 그냥 지나치게 된다.
다음으로, 제4 단계(④)에서는 중심부의 샤프트 홀(11)이 천공된다. 이어서, 1피치 더 전진한 금속 스트립(1)은 제5 단계(⑤)의 엠보싱 공정에서 엠보싱핀(60a)에 의해 샤프트 홀(11) 주위의 복수의 지점이 아래로 가압되어 인터록 탭(14)이 형성된다. 인터록 탭(14)은 상면이 오목하고 하면이 볼록하다. 제6 단계(⑥)는 아이들(idle) 공정으로서, 금속 스트립(1)은 어떠한 처리도 이루어지지 않는 채로 제7 단계(⑦)를 위한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
제7 단계(⑦)는 금속 스트립(1)을 블랭킹하여 라미나 부재(10)를 제조하고, 라미나 부재(10)를 적층함으로써 적층 코아(20)를 완성하는 공정이다. 이 단계에서 라미나 부재(10)의 외곽은 블랭크 블록(70a)에 의해 절단되어 금속 스트립(1)으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라미나 부재(10)는 블랭크 블록(70a)에 의해 적층배럴(70b) 속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이미 적층되어 있는 라미나 부재(10)의 상면에 적층된다. 이때, 상부 라미나 부재(10)의 인터록 탭(14)의 하면 볼록부가 하부 라미나 부재(10)의 인터록 탭(14)의 상면 오목부 내에 삽입되어 억지 끼워맞춤 결합되기 때문에 라미나 부재(10)들이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소정 매수 예컨대, 20장의 라미나 부재(10)가 동일한 과정에 의해 적층된 뒤에, 상기 카운터 공정에서 인터록 탭(14) 대신에 카운터 홀(19)이 형성된 라미나 부재(10)가 블랭킹 되어 그 위에 적층되면, 상기 라미나 부재(10)에는 인터록 탭(14)이 없으므로 라미나 부재(10)는 더 이상 적층되지 않고 분리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적층 코아(20)는 별도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라미나 부재(10)의 좌측과 우측의 두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적층코아(20)가 수평면과 수직을 이루지 못하고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금속 스트립(1)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적층배럴(70b)을 소정간격마다 소정 각도씩 회전시켜주는 방법(이하, '인덱싱 방법'이라 함)이 제안되었다. 상기 인덱싱 방법은 등록특허 제0578043호 등에 그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인덱싱 방법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정 매수의 라미나 부재(10)가 스퀴즈 링(73)의 내부에 적층될 때마다 풀리(83)와 벨트(84)를 이용하여 적층배럴(70b)을 소정각도씩 회전시킴으로써 라미나 부재(10)의 두께 편차를 보상한다.
상기 제1 단계(①) 내지 제6 단계(⑥)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금속 스트립(1)은 블랭크 블록(70a)에 의해 펀칭되어 라미나 부재(10)로 만들어진 후 스퀴즈 링(73)에 억지 끼움되면서 아래의 라미나 부재(10)와 결합된다.
이 때, 금속 스트립(1)이 1회 공정에 의해서 펀칭되기 때문에 라미나 부재(10)의 목부분(16)이 휘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에는 스퀴즈 링(73)에 적층된 적층코아(20)의 내경(d)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서 상기 내경(d)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서 '내경이 축소된다'는 것은 상,하층 라미나 부재(10)의 샤프트 홀(11)이 서로 대응되지 않도록 불규칙하게 라미나 부재(10)가 적층되어 샤프트홀(11)에 삽입될 수 있는 축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정 기간 사용 후에는 블랭킹 다이(72)의 상면이 마모되는데, 상기 마모 때문에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10)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적층코아(20)의 내경(d)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서 상기 내경(d)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마모된 부분을 연마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상기 연마에 대비하기 위해서 블랭킹 다이(72)의 두께를 두껍게 제작한다. 그런데, 블랭킹 다이(72)가 두껍게 되면 블랭킹 다이(72)의 무게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적층배럴(70b)이 회전하는 경우에 적층배럴(70b)이 흔들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즉, 소정 매수의 라미나 부재(10)가 적층된 후 적층배럴(70b)이 회전될 때 블랭킹 다이(72)의 무게가 크기 때문에 적층배럴(70b)이 진동될 수 있고, 상기 진동 때문에 라미나 부재(10)가 일정하게 적층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장의 온도에 따라 금속 스트립(1)이 열팽창 또는 열수축되어 금속 스트립(1)의 길이가 변하는데, 상기 길이 변화로 인해서 블랭킹되는 부분이 일정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적층코아(20)의 내경(d)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라미나 부재를 제조할 때 라미나 부재의 목부분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프 블랭킹을 이용한 적층코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층배럴이 회전될 때의 진동을 줄일 수 있는, 하프 블랭킹을 이용한 적층코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 변화에 따른 금속 스트립의 열팽창, 열수축 때문에 발생하는 적층코아의 내경 축소를 줄일 수 있는, 하프 블랭킹을 이용한 적층코아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코아 제조장치는, 금속 스트립을 하프 블랭킹하는 하프 블랭킹부; 및, 하프 블랭킹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하프 블랭킹된 부분을 분리하여 라미나 부재를 만든 후 라미나 부재를 적층배럴에 수납시키는 녹킹-아웃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적층배럴은 내부에 라미나 부재가 소정 매수 적층될 때마다 소정 각도씩 회전된다.
여기에서, 적층배럴의 내부에는 스퀴즈링이 설치되고, 스퀴즈링에는 라미나 부재가 억지 끼움된다. 이 때, 스퀴즈링의 상부에는 금속 스트립을 블랭킹하기 위한 블랭킹 다이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적층배럴이 회전될 때의 진동을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프 블랭킹부는, 프레스에 의해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하프 블랭킹용 펀치; 및 하프 블랭킹용 펀치와 협력하여 금속 스트립을 하프 블랭킹할 수 있는 다이홀이 형성된 다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프 블랭킹을 이용한 적층코아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하프 블랭킹을 먼저 실시한 후에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라미나 부재를 분리하기 때문에 라미나 부재의 목부분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하층의 라미나 부재가 일렬로 적층될 수 있기 때문에 적층코아의 내경 축소가 방지된다.
둘째, 블랭킹 다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적층배럴이 회전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진동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하프 블랭킹된 부분을 정확하게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코아의 내경 축소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블랭킹이 이루어지는 위치보다 앞선 위치에서 하프 블랭킹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금속 스트립의 열팽창, 열수축 때문에 발생하는 작업오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샤프트 홀, 인터록 탭, 슬롯 등에 대한 하프 블랭킹 부분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더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적층 코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적층코아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적층 코아 제조 장치에 의하여 라미나 부재가 제조되는 공정을 금속 스트립에 표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적층코아 제조장치의 적층배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코아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적층코아 제조장치의 하프 블랭킹부(half blanking part)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하프 블랭킹부가 금속 스트립을 하프 블랭킹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적층코아 제조장치의 녹킹-아웃부(knocking-out part)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금속 스트립을 1회 공정으로 블랭킹하는 것이 아니라, 금속 스트립을 하프 블랭킹(half blanking)한 후에 하프 블랭킹된 부분을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분리(knocking-out)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코아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상기 적층코아 제조장치의 하프 블랭킹부(half blanking part)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층코아 제조장치는 슬롯 형성부(30), 카운터홀 형성부(40), 샤프트홀 형성부(50), 인터록 탭 형성부(60), 하프 블랭킹부(half blanking part)(130) 및, 녹킹-아웃부(knocking-out part)(170)를 구비한다. 상기 슬롯 형성부(30), 카운터홀 형성부(40), 샤프트홀 형성부(50), 인터록 탭 형성부(60)는 전술한 슬롯 형성부(30), 카운터홀 형성부(40), 샤프트홀 형성부(50), 인터록 탭 형성부(60)와 각각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하프 블랭킹부(130)는 금속 스트립(1)을 하프 블랭킹(half blanking)한다. 상기 하프 블랭킹은 후공정인 녹킹-아웃공정에서 라미나 부재(10)가 금속 스트립(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금속 스트립(1)의 두께 중 일정 두께만 절단하는 공정이다. 예를 들어, 하프 블랭킹부(130)는 금속 스트립(1)의 두께 중 80%∼90%를 절단하고 나머지 10%∼20%는 절단하지 않고 남겨둔다.
상기 하프 블랭킹부(130)는 하프 블랭킹용 펀치(131) 및, 하프 블랭킹용 펀치(131)가 삽입될 수 있는 다이홀(134)이 형성된 블랭킹 다이(133)를 구비한다.
상기 하프 블랭킹용 펀치(131)는 프레스(80)에 의해 상,하로 왕복이동한다. 상기 하프 블랭킹용 펀치(131)는 다이홀(134)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는데, 상기 소정 깊이는 금속 스트립(1)을 하프 블랭킹할 수 있는 깊이이다.
상기 블랭킹 다이(133)에는 다이홀(134)이 형성된다. 다이홀(134)은 하프 블랭킹이 가능하도록 하프 블랭킹용 펀치(131) 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이홀(134)에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 블록(135) 및, 슬라이딩 블록(135)을 위쪽으로 바이어스(bias) 하는 탄성부재(138)가 구비된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프 블랭킹용 펀치(131)가 하강하면 금속 스트립(1)을 하프 블랭킹하면서 슬라이딩 블록(135)을 아래로 밀어내고, 하프 블랭킹 후에 하프 블랭킹용 펀치(131)가 상승하면 탄성부재(138)에 의해서 슬라이딩 블록(135)이 원위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다이홀(134)에는 턱(137)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블록(135)에는 상기 턱(137)에 걸릴 수 있는 돌기(136)가 형성된다. 돌기(136)가 턱(137)에 걸려서 슬라이딩 블록(135)의 상승이 정지되면 슬라이딩 블록(135)의 상면이 블랭킹 다이(133)의 상면과 일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층코아 제조장치에서 슬롯형성부(30)에서부터 하프 블랭킹부(130)까지의 거리는 기존의 적층코아 제조장치(100)에서 슬롯형성부(30)에서부터 블랭킹부(70)까지의 거리 보다 짧고, 이에 따라 금속 스트립(1)의 열팽창, 열수축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즉, 기존의 적층코아 제조장치(100)에서는 본 발명의 적층코아 제조장치에서 보다 슬롯형성부(30)에서부터 블랭킹부(70)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금속 스트립(1)의 열팽창, 열수축이 크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블랭킹되는 부분의 오차도 커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코아 제조장치에서는 슬롯형성부(30)에서부터 하프 블랭킹부(130)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열팽창, 열수축이 상대적으로 작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슬롯(12), 샤프트홀(11), 인터록 탭(14)에 대한 하프 블랭킹 부분의 위치가 그 만큼 더 정확해진다.
하프 블랭킹된 금속 스트립(1)은 녹킹-아웃부(170)로 이동된다. 녹킹-아웃부(170)는 하프 블랭킹부(130)의 후방에 설치된다. 녹킹-아웃부(170)는 하프 블랭킹된 부분을 금속 스트립(1)으로부터 분리(knocking-out)하여 적층배럴(172)의 내부에 수납한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녹킹-아웃부(170)는 적층배럴(172)과, 적층배럴(172)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적층배럴(172)의 내주면에 설치된 스퀴즈 링(squeeze ring)(173)과, 금속 스트립(1)으로부터 라미나 부재(10)를 분리하여 스퀴즈 링(173)에 억지끼움하는 녹킹-아웃용 펀치(171)를 구비한다.
적층배럴(172)은 하부 다이(9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베어링(74a)(74b)을 통하여 제1,2 부시(75a)(75b)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회전수단은 구동모터(도면에 미도시)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적층배럴(172)을 소정 간격, 예를 들어, 라미나 부재(10)가 1개씩 적층될 때마다 소정 각도, 예를 들어, 60도씩 회전시킨다. 회전수단은 적층배럴(172)의 둘레에 설치된 풀리(76a)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풀리(76a)에 전달하는 벨트(76b)를 구비한다. 풀리(76a)와 제1 부시(75a) 사이에는 베어링(74c)이 설치될 수 있다.
스퀴즈 링(173)은 적층배럴(172)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스퀴즈 링(173)의 내주면에는 라미나 부재(10)가 억지끼움된다. 스퀴즈 링(173)은 녹킹-아웃용 펀치(171)에 의해 분리된 라미나 부재(10)를 수용하며, 그 내경이 라미나 부재(10)에 상응하는 정도여서 라미나 부재(10)가 스퀴즈 링(173)의 내부에 억지끼움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라미나 부재(10)들은 녹킹-아웃용 펀치(171)에 밀려 스퀴즈 링(173) 내에 억지 끼움되면서 인터록 탭(14)에 의해 상호 적층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스퀴즈 링(173)의 상부에는 금속 스트립(1)을 블랭킹하기 위한 블랭킹 다이(도 5의 72)가 설치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녹킹-아웃 공정 이전에 하프 블랭킹 공정이 수행되고 녹킹-아웃 공정에서는 하프 블랭킹된 부분이 금속 스트립(1)으로부터 단순히 분리되기 때문에 블랭킹 다이(72)가 필요하지 않다.
기존의 적층코아 제조장치(100)는 블랭킹과 라미나 부재(10)의 적층이 하나의 공정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스퀴즈 링(73)의 상부에 블랭킹 다이(72)가 반드시 필요하였다. 그런데, 블랭킹 다이(72)는 블랭킹에 의해 마모되는데, 블랭킹 다이(72)가 마모되면 블랭킹된 라미나 부재(10)의 직경이 일정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적층코아(20)의 내경(d)이 축소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마모된 부분을 연마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연마에 대비하기 위해서 블랭킹 다이(72)의 높이를 크게 만들었다. 이와 같이, 블랭킹 다이(72)의 높이가 커지면 적층밸럴(70b)의 회전시에 진동이 크게 발생하고, 상기 진동으로 인해 라미나 부재(10)의 적층이 불량하여 적층코아(20)의 내경(d)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녹킹-아웃부(170)는 블랭킹 다이(72)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상기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즉, 녹킹-아웃 공정에서는 하프 블랭킹된 부분이 금속 스트립(1)으로부터 단순히 분리되기 때문에 스퀴즈 링(173)의 마모를 줄일 수 있고, 블랭킹 다이(72)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적층배럴(172)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인덱스 적층(소정 매수의 라미나 부재가 적층될 때마다 적층배럴을 회전시키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인덱스 적층 뿐만 아니라 스트레이트 적층(적층배럴을 회전시키지 않고 라미나 부재를 적층함)과 스큐 적층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점은 본 명세서를 참조한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0 : 라미나 부재 20 : 적층 코아
30 : 슬롯 형성부 40 : 카운터홀 형성부
50 : 샤프트홀 형성부 60 : 인터록 탭 형성부
70 : 블랭킹부 100 : 적층코아 제조장치
130 : 하프 블랭킹부 131 : 하프 블랭킹용 펀치
133 : 블랭킹 다이 172 : 적층배럴
173 : 스퀴즈 링

Claims (4)

  1. 금속 스트립을 하프 블랭킹하는 하프 블랭킹부; 및
    하프 블랭킹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하프 블랭킹된 부분을 분리하여 라미나 부재를 만든 후 라미나 부재를 적층배럴에 수납시키는 녹킹-아웃부;를 구비하고,
    적층배럴의 내부에는 스퀴즈링이 설치되고,
    스퀴즈링에는 라미나 부재가 억지 끼움되며,
    스퀴즈링의 상부에는 금속 스트립을 블랭킹하기 위한 블랭킹 다이가 설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층배럴은 내부에 라미나 부재가 소정 매수 적층될 때마다 소정 각도씩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하프 블랭킹부는,
    프레스에 의해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하프 블랭킹용 펀치; 및
    하프 블랭킹용 펀치와 협력하여 금속 스트립을 하프 블랭킹할 수 있는 다이홀이 형성된 다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
KR1020110032136A 2011-04-07 2011-04-07 하프 블랭킹을 이용한 적층코아 제조장치 KR101292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136A KR101292275B1 (ko) 2011-04-07 2011-04-07 하프 블랭킹을 이용한 적층코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136A KR101292275B1 (ko) 2011-04-07 2011-04-07 하프 블랭킹을 이용한 적층코아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555A KR20120114555A (ko) 2012-10-17
KR101292275B1 true KR101292275B1 (ko) 2013-08-01

Family

ID=47283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136A KR101292275B1 (ko) 2011-04-07 2011-04-07 하프 블랭킹을 이용한 적층코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2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974B1 (ko) * 2012-12-12 2014-06-23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흔들림 방지 수단을 구비하는 블랭킹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코아 제조장치
KR101875524B1 (ko) * 2016-05-25 2018-07-06 주식회사 포스코대우 펜슬코어 제조장치
KR102354840B1 (ko) * 2020-09-24 2022-02-07 (주)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적층코어 제조 다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830B1 (ko) * 1997-01-24 1999-12-15 김영조 모터용 코어의 금형 및 그 제조방법
KR100762743B1 (ko) * 2006-01-10 2007-10-02 주식회사 포스코아 적층배럴 가압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830B1 (ko) * 1997-01-24 1999-12-15 김영조 모터용 코어의 금형 및 그 제조방법
KR100762743B1 (ko) * 2006-01-10 2007-10-02 주식회사 포스코아 적층배럴 가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555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11042B (zh) 层叠铁心的制造方法
JP4467640B2 (ja) 固定子積層鉄心の製造方法
KR101921723B1 (ko)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및 적층 철심 제조 장치
WO2012043632A1 (ja) 積層体製造装置および積層体製造方法
KR100990969B1 (ko) 모터용 코어 제조를 위한 금형 장치
KR101292275B1 (ko) 하프 블랭킹을 이용한 적층코아 제조장치
JP3722539B2 (ja) 環状積層鉄心の製造方法及び順送り金型装置
JPH05103449A (ja) 回転電機用積層コアの製造方法
CN115464048A (zh) 一种用于定转子冲片可共模生产的模具
US10486219B2 (en) Metal plate punching method and metal plate punching system
KR101379155B1 (ko) 2 이상의 모재가 적층된 모터의 웨이트 밸런스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314231B1 (ko) 적층코아 제조용 가압구조
JP4989877B2 (ja) 回転子積層鉄心の製造方法
CN101588114A (zh) 一种电机扇形冲片铁芯斜槽制造方法
CN107666189A (zh) 一种小型电器用定子铁芯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291774B2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484130B2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0226951A (ja) 固定子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固定子積層鉄心
KR101130177B1 (ko) 적층코아 및, 그 제조방법
KR101881257B1 (ko) 적층코아 및, 그 제조방법
JP4912088B2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1182620A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206997526U (zh) 一种转子冲片冲压复合模具
JP2008067588A (ja) 固定子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固定子積層鉄心
JP6316783B2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