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524B1 - 펜슬코어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펜슬코어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5524B1 KR101875524B1 KR1020160064014A KR20160064014A KR101875524B1 KR 101875524 B1 KR101875524 B1 KR 101875524B1 KR 1020160064014 A KR1020160064014 A KR 1020160064014A KR 20160064014 A KR20160064014 A KR 20160064014A KR 101875524 B1 KR101875524 B1 KR 1018755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nking
- scrap
- unit
- metal strip
- notc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1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2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with salient poles or claw-shaped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이 다른 라미나 부재들을 형성해서 펜슬코어를 제조하는 펜슬코어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는: 상기 라미나 부재들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 스트립을 스탬핑하는 노칭 유닛(Notching Unit); 상기 금속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노칭 유닛보다 하류에 구비되며, 상기 금속 스트립의 블랭킹 예정 영역을 블랭킹해서 상기 라미나 부재들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블랭킹 유닛(Blanking Unit); 그리고 상기 금속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블랭킹 유닛보다 상류에 구비되며, 상기 블랭킹 유닛이 상기 금속 스트립을 블랭킹하기 전에 상기 블랭킹 유닛에 의해 관통되는 영역 내의 자투리 부분을 상기 노칭 유닛과 함께 상기 금속 스트립에서 미리 제거하도록, 상기 금속 스트립을 선택적으로 펀칭하는 스크랩 펀칭유닛(Scrap Punching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의하면, 라미나 부재들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라이네이트 홀에, 블랭킹 유닛에 의해 금속 스트립에서 분리된 라미나 부재 이외에 불필요한 스크랩(자투리 스크랩)이 투입되지 않으므로, 제품(펜슬코어)의 취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의하면, 라미나 부재들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라이네이트 홀에, 블랭킹 유닛에 의해 금속 스트립에서 분리된 라미나 부재 이외에 불필요한 스크랩(자투리 스크랩)이 투입되지 않으므로, 제품(펜슬코어)의 취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점화시스템용 코어 즉 펜슬코어(Pencil Core)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폭이 다른 라미나 부재들을 적층시켜서 복층의 적층식 펜슬코어를 제조하는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슬코어는 점화시스템에 사용되는 코어(Core)로서,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자동차의 점화플러그와 같이 저전압 점화시스템을 위한 점화코일에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펜슬코어(1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폭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라미나 부재(1)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층 구조물이다. 상기 라미나 부재(1)들은 인터록탭(2)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인접하는 라미나 부재들 중 상측 라미나 부재에 형성되는 인터록탭(2)이 하측 라미나 부재의 인터록 탭에 억지끼움됨으로써 상기 라미나 부재(1)들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라미나 부재(1)는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금속 스트립(Metal Strip)의 스탬핑(Stamping)과 블랭킹(Blanking)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펜슬코어(5)는, 일반적인 모터의 고정자나 회전자용 적층 코어와는 달리, 폭이 서로 다른 라미나 부재(1)들의 적층에 의해 제조되므로, 펜슬코어 제조용 소재 즉 금속 스트립을 스탬핑해서 라미나 부재를 제조할 때 스탬핑의 폭을 조절되어야 한다.
미국특허 제6,484,387호에는 가로방향으로 이송가능한 다이 스테이션에 의해 서로 다른 크기의 라미나 부재를 스탬핑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특허에서의 다이 스테이션은, 라미나 부재(1)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다이홀들과, 상기 다이홀에 삽입되어 금속 스트립을 펀칭하는 복수개의 펀치핀들을 포함한다. 상기 펀치핀들이 구비된 상부다이와 상기 다이홀들이 형성된 하부다이는, 서보모터에 의해 금속 스트립의 이송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소재를 스탬핑하게 된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0059호에는 상기 펜슬코어를 제조하는 펜슬코어 제조장치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의 펜슬코어 제조장치는, 금속 스트립의 공급방향(x축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y축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는 제1,2 이송다이(30, 40)와, 제1,2 이송다이(30, 40)를 ±y 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키도록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캠(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이송다이(30)에는 상기 금속 스트립을 스탬핑해서 라미나 부재(1)의 일측 모서리(1a)를 형성하는 노칭 펀치(Notching Punch)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이송다이(40)에는 상기 라미나 부재(1)의 타측 모서리(1b)를 형성하는 노칭 펀치가 구비된다.
상기 제1, 2 이송다이(30, 40)는, 상기 캠(50)에 의해 라미나 부재(1)의 폭 차이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가이드 레일(11a, 12a)을 따라 움직이며,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승강하는 상형(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눌려서 상기 금속 스트립을 스탬핑하고, 상기 제1, 2 이송다이(30, 40)의 위치 변동에 의해 라미나 부재의 폭(W)이 조절된다.
상기 제1, 2 이송다이(30, 40)는 캠 커넥터(31, 41)에 의해 상기 캠(50)에 연결된다. 상기 캠 커넥터(31, 41)는 상기 캠(50)에 형성된 캠홈(51)에 연결되며, 상기 제1, 2 이송다이(30, 40)는 상기 캠홈(51)의 프로파일에 의해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제1, 2 이송다이(30, 40)의 위치가 변동되면 상기 제1, 2 이송다이(30, 40)에 의해 펀칭되는 영역이 달라지므로, 상기 라미나 부재의 폭(W)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1a, 12a)은 하형(20)에 구비되는 서포트 베이스(11, 12)에 형성되며, 상기 제1, 2 이송다이(30, 40)의 하류에는 상기 금속 스트립의 블랭킹을 위한 블랭킹 다이가 구비되며, 상기 블랭킹 다이의 하측에는 제품 즉 펜슬코어(10)를 취출하는 코어 취출로가 구비된다.
상술한 선행특허문헌 이외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1430호와 제10-1236927호 등에도 펜슬코어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1피치씩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 스트립을 스탬핑해서 폭이 다른 라이나 부재들을 형성하고 펜슬코어를 제조한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의하면, 라미나 부재들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라이네이트 홀에는, 금속 스트립의 블랭킹에 의해 라미나 부재(1)와 함께 자투리 스크랩이 함께 투입되므로, 스크랩과 취출제품(펜슬코어)의 분류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폭이 다른 라미나 부재들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라미나 부재들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홀에 불필요한 스크랩을 제외한 라미나 부재들만이 투입될 수 있는 구조의 펜슬코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폭이 다른 라미나 부재들을 형성해서 펜슬코어를 제조하는 펜슬코어 제조장치로서: 상기 라미나 부재들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 스트립을 스탬핑하는 노칭 유닛(Notching Unit); 상기 금속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노칭 유닛보다 하류에 구비되는 블랭킹 유닛(Blanking Unit); 그리고 상기 금속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블랭킹 유닛보다 상류에 구비되는 스크랩 펀칭유닛(Scrap Punhing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랭킹 유닛은; 상기 금속 스트립의 블랭킹 예정 영역을 블랭킹해서 상기 라미나 부재들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은; 상기 블랭킹 유닛이 상기 금속 스트립을 블랭킹하기 전에 상기 블랭킹 유닛에 의해 관통될 영역(블랭킹 예정 영역) 내의 자투리 부분을 상기 노칭 유닛과 함께 상기 금속 스트립에서 미리 제거하도록, 상기 금속 스트립을 선택적으로 펀칭한다.
즉,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은 상기 노칭유닛과 함께, 상기 블랭킹 예정 영역 내에 라미나 부재를 형성하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잉여 부분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다.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은; 상기 노칭 유닛과 상기 블랭킹 유닛의 사이 구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은, 상기 블랭킹 예정 영역에 속하면서 상기 노칭 유닛에 의해 스탬핑되는 노칭 영역의 외부를 미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은; 하형에 구비되는 스크랩 다이, 그리고 상기 스크랩 다이에 마주하도록 상기 하형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크랩 펀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랩 펀치는; 상기 금속 스트립에 닿지 않도록 하한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스크랩 펀치는; 상기 하형과 마주하는 상형에 구비되며, 상기 상형과 함께 승강할 수도 있다.
상기 스크랩 펀치는, 상기 상형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펀치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펀치 베이스는, 상기 스크랩 펀치가 상기 금속 스트립에 닿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상승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의하면, 라미나 부재들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라이네이트 홀에, 블랭킹 유닛에 의해 금속 스트립에서 분리된 라미나 부재 이외에 불필요한 스크랩(자투리 스크랩)이 투입되지 않으므로, 제품(펜슬코어)의 취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라미네이트 홀에 자투리 스크랩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라미나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를 각각 형성하는 노칭 펀치의 폭을 크게 하고, 금속 스트립의 폭도 증가시켜서 금속 스트립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수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의하면, 노칭 펀치의 사이즈와 금속 스트립의 폭 증가없이 상술한 자투리 스크랩의 제거가 가능하므로, 노칭 펀치의 사이즈와 금속 스트립의 폭이 확대된 구조에 비해 제품의 생산수율이 증가될 수 있고, 더 나아가 펜슬코어의 제조과정에서 상기 펜슬코어가 스크랩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 중:
도 1은 펜슬코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적용되는 캠 메카니즘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의 정면 종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의 노칭 유닛을 소재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나타낸 종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의 스크랩 펀칭유닛을 소재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나타낸 종단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의 노칭 펀치와 스크랩 펀치와 블랭킹 펀치에 의해 관통되는 영역을 중첩하여 나타낸 도면과 블랭킹 예정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의해 소재에서 분리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비교 예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의해 소재에서 분리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의해 라미나 부재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은 펜슬코어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적용되는 캠 메카니즘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의 정면 종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의 노칭 유닛을 소재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나타낸 종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의 스크랩 펀칭유닛을 소재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나타낸 종단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의 노칭 펀치와 스크랩 펀치와 블랭킹 펀치에 의해 관통되는 영역을 중첩하여 나타낸 도면과 블랭킹 예정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의해 소재에서 분리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비교 예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의해 소재에서 분리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의해 라미나 부재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가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중,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의 정면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의 노칭 유닛을 소재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의 스크랩 펀칭유닛을 소재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는, 노칭 유닛(100; Notching Unit)과, 블랭킹 유닛(200; Blanking Unit)과, 스크랩 펀칭유닛(300; Scrap Punching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소재(S) 즉 금속 스트립(Metal Strip)을 타발해서 폭이 다른 라미나 부재들을 형성하고, 폭이 다른 라미나 부재들이 적층된 구조의 펜슬코어를 제조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노칭 유닛(100)은 각 라미나 부재의 폭의 조절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금속 스트립(S)을 스탬핑(Stamping)해서 라마니 부재의 가장자리, 보다 구체적으로 각 라미나 부재의 일측 가장자리와 반대측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블랭킹 유닛(200)은, 상기 금속 스트립(S)을 블랭킹(Blanking)해서 상기 금속 스트립(S)에서 상기 라미나 부재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금속 스트립(S)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노칭 유닛(100)보다 하류에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은 상기 금속 스트립(S)을 펀칭해서, 상기 라미나 부재들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공간(라미네이트 홀)에 라미나 부재 이외에 불필요한 자투리 부분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은 상기 금속 스트립(S)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블랭킹 유닛(200)의 상류에 구비되며, 상기 블랭킹 유닛(200)이 상기 금속 스트립(S)을 블랭킹하기 전에 상기 금속 스트립(S)을 선택적으로 펀칭한다.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은, 상기 블랭킹 유닛(200)에 의해 관통되는 영역(블랭킹 예정 영역) 내의 자투리 부분(자투리 스크랩)을 상기 노칭 유닛(100)과 함께 상기 금속 스트립(S)에서 미리 제거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노칭 유닛(100)은, 상기 라미나 부재의 일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1노칭부(110)와, 상기 라미나 부재의 타측 가장자리(반대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제2노칭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노칭부(110)와 제2노칭부(120)는 상기 금속 스트립(S)의 이송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금속 스트립(S)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금속 스트립(S)을 스탬핑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노칭부(110)와 제2노칭부(120)는 이송 구동장치(400)에 의해 상기 금속 스트립(S)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노칭부(110)와 제2노칭부(120)는 이송 구동장치(400)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며, 하형(LM)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이송 구동장치(400)는 회전 구동유닛(410, 420)에 의해 회전하는 제1캠(430)과 제2캠(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캠(430)과 제2캠(440)의 회전에 연동하는 캠 구동 메카니즘에 의해 상기 제1노칭부(110)와 제2노칭부(120)의 이동이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하형(LM)은 상기 제1노칭부(110)와 제2노칭부(120)를 지지하며, 상기 하형(LM)의 상측에는 상형(UM)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형(UM)에 의해 상기 제1노칭부(110)와 제2노칭부(120)가 선택적으로 눌려서 상기 금속 스트립(S)을 스탬핑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노칭부(110)는 제1노칭 다이(111)와 제1노칭 펀치(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노칭부(120)는 제2노칭 다이(121)와 제2노칭 펀치(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랭킹 유닛(200)은, 블랭킹 다이(210)와 블랭킹 펀치(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금속 스트립(S)은 상기 하형(LM)의 상측을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1피치(Pitch)씩 이동하며, 상기 하형(LM)에는 금속 스트립(S)을 스탬핑하기 위한 노칭 다이들(111, 121)과 블랭킹 다이(210)가 구비된다. 상기 노칭 다이들(111, 121)에는 노칭 홀(Notching Hole)이 형성되고, 상기 블랭킹 다이(210)에는 블랭킹 홀(Blanking Hole)이 형성되며, 상기 블랭킹 다이(210)의 아래에는 상기 라미나 부재들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적층 배럴 즉 라미네이트 홀(211)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라미나 부재들은 인터록탭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는 인터록탭 성형유닛(5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형(LM)에는 상술 노칭 홀과 블랭킹 홀 이외에 카운터 홀과 인터록탭 홀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형(UM)은 상기 하형(LM)의 상측에 구비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형(UM)의 승강운동에 의해 상기 금속 스트립(S)의 스탬핑(노칭)과 블랭킹 및 스크랩 펀칭이 진행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프레스 기반의 코어제조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형(UM)에는 상기 노칭 홀, 블랭킹 홀, 카운터 홀, 및 인터록탭 홀에 각각 대응하는 노칭 펀치(112, 122)와 블랭킹 펀치(220)와 카운터 펀치와 인터록탭 펀치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금속 스트립(S)이 상기 상형(UM)과 하형(LM) 사이를 통과하면서, 카운터 홀 펀칭공정과 스탬핑 공정과 스크랩 펀칭공정과 인터록탭 성형공정과 블랭킹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되나, 공정 진행순서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상기 상형(UM)의 승강방식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게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고, 상기 카운터 홀과 인터록탭을 형성하는 기술 역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부가적 설명은 생략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노칭부(110)는, 상기 제1캠(430)에 의해서 소정 시간 간격으로 이송되면서 라미나 부재의 일측 가장자리(도 2의 1a)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노칭부(120)는, 상기 제2캠(440)에 의해서 소정 시간 간격으로 이송되면서 라미나 부재의 타측 가장자리(도 2의 1b)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1노칭부(110)와 제2노칭부(120)의 위치에 따라 라마나 부재의 폭이 변경되며, 상술한 소정 시간 간격은 상기 상형(UM)의 1회 승강(Stroke)에 해당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노칭부(110)와 제2노칭부(120)의 구조가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노칭부(110)는 상술한 제1노칭 다이(111)와 제1노칭 펀치(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노칭 펀치(112)는 제1상부 블록(113)에 구비되고, 상기 제1노칭 다이(111)는 제1하부 블록(114)에 구비된다.
상기 제1상부 블록(113)과 제1하부 블록(114)는 상기 제1캠(430)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이며, 상기 제1하부 블록(114)은 상기 하형(LM)에 형성되는 블록 수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 블록(113)은 상기 제1하부 블록(114)에서 간격을 두고 상기 제1하부 블록(114)의 상측에 구비되며,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탄력 지지된다.
상기 제1상부 블록(113)은 상기 상형(UM)에 의해 하강하며, 상기 제1노칭 다이(111)와 상기 제1노칭 펀치(112) 사이를 상기 금속 스트립(S)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상형(UM)이 하강하면, 상기 제1노칭 다이(111)와 상기 제1노칭 펀치(112)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금속 스트립(S)이 스탬핑됨으로써 라미나 부재의 일측 가장자리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상부 블록(113)에 복수의 제1노칭 펀치(112)들이 구비된다. 상기 제1노칭 펀치(112)는 상기 금속 스트립(S)을 천공해서 라미나 부재의 일측 가장자리를 형성(도 13의 S1 공정)한다. 상기 제1노칭 펀치(112)의 개수는 상기 금속 스트립(S)의 동일 구간에서 동시에 제조되는 라미나 부재의 개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1상부 블록(113)에는 상기 소재의 폭이나 공정 조건에 맞추어 하나 또는 복수의 제1노칭 펀치(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 블록(113)의 하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형(UM)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상부 블록(113)의 상승은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폭이 다른 라미나 부재들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제1노칭 펀치(112)는 상기 금속 스트립(S)을 선택적으로 스탬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펜슬코어를 형성하는 라미나 부재들 중 최대 폭을 갖는 라미나 부재를 형성하는 시기에는 상기 제1노칭부(110)에 의한 스탬핑 공정 즉 노칭 공정이 생략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형(UM)에 스탬핑 방지기(130)가 구비된다.
상기 스탬핑 방지기(130)는, 상기 상형(UM)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131)와, 상기 레버(131)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가압 블록(132)과, 상기 레버(131)를 움직이는 액츄에이터(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가압 블록(132)에 상방의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의 예로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나 솔레노이드 등이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레버(131)를 수평방향으로 당기고 미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131)와 상기 가압 블록(132)이 맞물리면 상기 가압 블록(132)이 상기 탄성부재(133)에 의해 상승하고, 상기 레버(131)의 이동에 의해 상기 레버(131)와 가압 블록(132)이 어긋나면서 상기 가압 블록(132)이 상기 레버(131)에 의해 밀려서 아래로 하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블록(132)이 상승하면, 상기 상형(UM)이 하강하더라도 상기 제1상부 블록(113)이 눌리지 않으므로, 상기 제1노칭 펀치(112)에 의한 상기 금속 스트립(S)의 스탬핑이 진행되지 않는다. 상기 가압 블록(132)의 상승은, 가장 폭이 넓은 라미나 부재가 제조되는 주기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노칭부(120)는 제2노칭 다이(121)와 제2노칭 펀치(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노칭 펀치(122)는 제2상부 블록(123)에 구비되고, 상기 제2노칭 다이(121)는 제2하부 블록(124)에 구비된다.
상기 제2상부 블록(123)과 제2하부 블록(124)은 상기 제2캠(440)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이며, 상기 제2하부 블록(124)은 상기 하형(LM)에 형성되는 블록 수용홈에 상기 하형(LM)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상부 블록(123)은 상기 제2하부 블록(124)에서 간격을 두고 상기 제2하부 블록(124)의 상측에 구비되며,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탄력 지지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상부 블록(123)에 복수의 제2노칭 펀치(122)들이 구비된다. 상기 제2노칭 펀치(122)는 상기 금속 스트립(S)을 천공해서 라미나 부재의 타측 가장자리를 형성(도 13의 S2 공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노칭부(110)와 제2노칭부(12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작동 메카니즘도 동일하고, 상기 제2노칭 펀치(122)의 개수 역시 제1노칭 펀치(112)의 개수와 동일하며,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제1노칭 펀치(112)와 상기 제2노칭 펀치(122)가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노칭부(120)는 상기 제1노칭부(110)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최대 폭의 라미나 부재를 형성하는 주기마다, 상기 상형(UM)에 구비되는 스탬핑 방지기(130)에 의해 스탬핑 공정이 진행하지 않는다.
상기 제1노칭부(110)와 제2노칭부(120)에 의해 상기 금속 스트립에서 분리된 노칭 스크랩은, 상기 하형(LM)에 형성되는 노칭 배출홀(111a, 121a)을 통해 스크랩 수용부(140)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노칭부(110)와 제2노칭부(120)의 이송을 위하여, 상기 제1캠(430)과 제2캠(440)은 전술한 회전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회전 구동유닛은, 인덱스 드라이브(410)와, 상기 인덱스 드라이브(410)의 구동력을 상기 제1캠(430)과 제2캠(440)에 전달하는 종동풀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종동풀리(420)는 벨트(450)를 통해 상기 제1캠(430)과 제2캠(44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노칭 유닛(100)과 블랭킹 유닛(200)의 구조 및 동작 원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0059호와 제10-1191430호와 제10-1236927호 및 제10-1236928호 등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기 노칭 유닛(100)과 블랭킹 유닛(200) 및 인터록탭 등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한편,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은, 상기 금속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블랭킹 유닛(200)보다 상류에 구비된다.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은, 상기 블랭킹 유닛(200)이 상기 금속 스트립을 블랭킹하기 전에 상기 블랭킹 유닛(200)에 의해 관통되는 영역 내의 자투리 부분을 상기 노칭 유닛(100)과 함께 상기 금속 스트립(S)에서 미리 제거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은, 소정 크기 이상의 폭을 갖는 라미나 부재 예를 들면 최대 폭의 라미나 부재를 형성하는 부분이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에 위치되는 주기에는 상기 금속 스트립(S)을 펀칭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는, 상기 금속 스트립(S)을 선택적으로 펀칭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은 기설정된 시기에만 상기 금속 스트립(S)을 펀칭해서, 상기 라미나 부재들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홀(211)에 라미나 부재 이외에 다른 자투리 스크랩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은, 상기 노칭 유닛(100)과 함께 블랭킹 공정 이전에, 상기 블랭킹 유닛(200)에 의해 관통되는 영역 즉 블랭킹 예정 영역(블랭킹 펀치에 의해 관통이 예정되는 부분, 도 10의 (b)에서 실선 B의 내부 영역) 내에서의 자투리 부분(도 10의 (b)에서 BS로 도시된 공백 부분), 즉 블랭킹 예정 영역에 속하는 부분 중 라미나 부재를 형성하는 부분(도 10의 (b)에서 빗금 친 L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미리 제거해서, 상기 라미네이트 홀(211)에 자투리 스크랩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은, 상기 노칭 유닛(100)과 상기 블랭킹 유닛(200)의 사이 구간에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블랭킹 예정 영역 내의 자투리 부분 중 일부분이 상기 노칭 유닛(100)에 의한 스탬핑 과정에서 먼저 제거되고, 상기 자투리 부분 중 노칭 공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나머지가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에 의해 제거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은, 상기 블랭킹 예정 영역에 속하면서 상기 노칭 유닛(100)에 의해 스탬핑되는 노칭 영역의 외부를 블랭킹 공정 이전에 미리 제거한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은, 상기 라미나 부재들을 형성하는 부분(L)의 외부 영역을 펀칭해서, 상기 블랭킹 예정영역 내에서 상기 라미나 부재들 이외에 상기 자투리 부분이 상기 라미나 부재들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공간(211; 라미네이트 홀)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의 위치가 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노칭 유닛(100)보다 상류에 구비되어 상기 노칭 유닛(100)에 의한 노칭 공정(스탬핑 공정) 이전에 스크랩 펀칭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은, 상기 하형(LM)에 구비되는 스크랩 다이(310)와, 상기 스크랩 다이(310)에 마주하도록 상기 하형(LM)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크랩 펀치(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크랩 다이(310)에는 스크랩 펀칭홀(311)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랩 펀치(320)는 상기 상형(UM)에 구비되어 상기 상형(UM)과 함께 승강한다.
상기 스크랩 펀치(320)는 상기 상형(UM)에 고정되는 펀치 베이스(331)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에 의해 상기 금속 스트립(S)에서 분리되는 자투리 스크랩은 상기 스크랩 펀칭홀(311)을 통해 상기 하형의 자투리 수용부(312)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랩 펀치(320)는, 상기 금속 스트립(S)에 닿지 않도록 하한(Lower Limit)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은 기설정된 시기마다 스크랩 펀칭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랩 펀칭공정이 생략되는 시기는, 상기 블랭킹 예정 영역 내의 자투리 부분이 모두 상기 노칭 공정에서 제거된 경우나, 폭이 가장 큰 라미나 부재를 형성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 금속 스트립(S)에서 폭이 가장 큰 라미나 부재가 형성되는 구간이 상기 노칭 유닛(100)과 스크랩 펀칭유닛(300)을 지날 때에는, 상기 노칭 공정과 스크랩 펀칭공정이 진행되지 않는다.
상기 스크랩 펀치(320)는 상기 펀치 베이스(331)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펀치 베이스(331)는 상기 상형(UM)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펀치 베이스(331)는, 상기 스크랩 펀치(320)가 상기 금속 스트립(S)에 닿지 않도록 상기 상형(UM)에서 선택적으로 상승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펀치 베이스(331)는 상기 스크랩 펀칭공정이 진행되지 않도록 소정의 타이밍마다 상승해서, 상기 상형(UM)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조절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형(UM)에는 상기 노칭 유닛(100)의 스탬핑 방지기(13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원리의 펀칭 방지기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펀칭 방지기는, 상기 상형(UM)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높이조절 레버(332)와, 상기 높이조절 레버(332)에 연동해서 상기 펀치 베이스(331)를 상승시키는 리프팅 부재(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 레버(332)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나 솔레노이드 등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펀치 베이스(331)와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높이조절 레버(332)를 당기고 미는 과정에 상기 높이조절 레버(332)와 상기 펀치 베이스(331)가 맞물리면, 상기 펀치 베이스(331)가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 레버(332)의 이동에 의해 상기 높이조절 레버(332)와 상기 펀치 베이스(331)가 어긋나면서 상기 스크랩 펀치(320)가 상기 펀치 베이스(331)와 함께 하강한다.
상기 스탬핑 방지기(130)와 펀칭 방지기는, 수평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하는 슬라이드 캠(Slide Cam)으로서, 이러한 메카니즘 기구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의 노칭 펀치와 스크랩 펀치와 블랭킹 펀치에 의해 관통되는 영역을 중첩하여 나타낸 도면과 블랭킹 예정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의해 소재에서 분리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비교 예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의해 소재에서 분리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의 (a)에서 빗금 친 영역은 상기 스크랩 펀치(320)가 관통하는 부분이고, 상기 제1노칭 펀치(112)와 제2노칭 펀치(122)가 관통하는 부분 즉 노칭 영역은 라미나 부재의 폭에 따라 변경되며, 상기 블랭킹 펀치(220)가 관통하는 부분이 상술한 블랭킹 예정 영역이 된다. 도 10의 (a)에는 3단계로 이동한 제1노칭 펀치(112)와 제2노칭 펀치(122)의 위치가 중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b)에서 실선 B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이 상술한 블랭킹 예정 영역이며, 도 10의 (b)에서 빗금 친 영역(L)은 상기 펜슬코어를 위한 라미나 부재들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폭이 가장 좁은 라미나 부재를 형성하는 부분이고, 도 10의 (b)에서 공백 영역(BS)이 블랭킹 예정 영역 내의 자투리 부분이다.
그리고, 도 11에는 폭이 다른 4가지 사이즈의 라미나 부재들을 제조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a) 내지 (c)에서 중간 부분의 이미지는 제1노칭 펀치(112)와 제2노칭 펀치(122)와 스크랩 펀치(320)와 블랭킹 펀치(220)가 관통하는 부분을 중첩하여 나타낸 것이며, 좌측 부분의 이미지는 노칭 공정에서 형성되는 노칭 스크랩(NS)이고, 우측 부분의 이미지에서 도면 부호 10으로 지시된 부분은 블랭킹 공정에서 형성되는 라미나 부재이며, 우측 부분의 이미지에서 도면 부호 PS로 지시된 부분은 스크랩 펀칭공정에서 형성되는 자투리 스크랩이다.
즉, 상기 제1노칭 펀치(112)와 제2노칭 펀치(122)의 위치에 따라 라미나 부재(10)의 폭이 달라지며,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300)에 의한 스크랩 펀칭공정에서 생성되는 자투리 스크랩(PS)의 형상도 달라진다.
한편, 도 11의 (d)는 최대 폭의 라미나 부재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최대 폭의 라미나 부재의 제조과정에서는 해당 부분에 대해 노칭 공정과 스크랩 펀칭공정이 생략된다. 즉, 상기 금속 스트립에서 최대 폭의 라미나 부재가 형성되는 부분은 상기 블랭킹 유닛(200)에 의한 블랭킹만 진행된다.
상기 스크랩 펀치(320)는, 상기 라미나 부재가 형성되는 부분의 일측을 관통하는 제1스크랩 펀치(321)와, 상기 라미나 부재가 형성되는 부분의 타측을 관통하는 제2스크랩 펀치(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펀치 베이스(331)에 한 쌍의 스크랩 펀치(320)가 구비되나, 동일 구간 내에서 제조되는 라미나 부재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상기 펀치 베이스에 복수 쌍의 스크랩 펀치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랩 다이(310)에는 그에 대응되는 숫자의 스크랩 펀칭홀(311)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스크랩 펀치(321)의 내측 가장자리는 가장 폭이 좁은 라미나 부재를 형성할 때 상기 제1노칭 펀치(112)가 지나는 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제1스크랩 펀치(321)의 외측 가장자리는 블랭킹 예정 영역(B)을 둘러싸는 외부 영역 중 일측 부분에 중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크랩 펀치(322)의 내측 가장자리는 가장 폭이 좁은 라미나 부재를 형성할 때 상기 제2노칭 펀치(122)가 지나는 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제2스크랩 펀치(322)의 외측 가장자리는 블랭킹 예정 영역을 둘러싸는 외부 영역 중 타측(반대측) 부분에 중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최대 폭의 라미나 부재가 형성되는 구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랭킹 유닛(200)에 의한 블랭킹 공정만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크랩 펀치(321)와 제2스크랩 펀치 사이의 거리보다 폭이 큰 라미나 부재가 형성되는 구간에는, 노칭 공정과 블랭킹 공정만 진행되고 스크랩 펀칭공정은 생략된다.
반면, 상기 제1스크랩 펀치(321)와 제2스크랩 펀치 사이의 거리보다 폭이 좁은 라미나 부재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노칭 공정과 스크랩 펀칭 공정과 블랭킹 공정이 모두 진행된다.
참고로, 도 12는 스크랩 펀칭공정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 금속 스트립에서 분리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노칭 유닛의 노칭 펀치(NP; 112, 122)에 의한 노칭 공정에서 노칭 스크랩(NS)이 형성되고, 상기 블랭킹 유닛의 블랭킹 펀치(BP; 220)에 의한 블랭킹 공정에서 자투리 스트립(RS)과 라미나 부재(10)이 동시에 형성되며, 블랭킹 공정에서 동시에 만들어지는 자투리 스트립(RS)과 라미나 부재가 적층 배럴 즉 라미네이트 홀(211)에 함께 투입된다. 따라서 제품이 취출되는 과정에 자투리 스크랩의 분류/배출이 진행되어야 하고, 자투리 스트랩(RS)에 의해 제품 취출로가 막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펜슬코아 제조장치의 작동과정 즉 라미나 부재의 제조과정이 설명된다.
도 13에 도시된 금속 스트립(S)에서 빗금 친 부분은 노칭 공정과 스크랩 펀칭 공정과 블랭킹 공정에서 각 공정의 펀치가 관통하는 영역이며, 금속 스트립(S)의 좌측에 도시된 이미지는 각 공정에서 형성되는 노칭 스크랩(NS)과 자투리 스크랩(RS)과 라미나 부재(10)를 나타낸 것이고, 금속 스트립(S)의 우측에 도시된 이미지는 각 공정에서 사용되는 펀치, 즉 노칭 펀치(NP)와 스크랩 펀치(CP)와 블랭킹 펀치(BP)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펜슬코어 제조장치에 공급되는 소재 즉 금속 스트립(S)은, 소정 시간 간격(상형의 1회 승강시간)마다 이송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금속 스트립(S)는 금속 스트립(S)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공정과 펜슬코어들간의 분할을 위해 상기 금속 스트립에 카운터 공을 형성하는 공정을 거친다. 상기 카운터 공은 상형의 1회 승강시마다 매번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펜슬코어가 24개의 라미나 부재들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금속 스트립이 24피치 이송될 때마다 한 번씩 형성된다.
그리고, S1 단계와 S2 단계에서는 라미나 부재의 폭을 결정하는 노칭 공정이 진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1 단계에서는 제1노칭 펀치(NP; 112)에 의해 라미나 부재의 일측 가장자리가 스탬핑되고, S2 단계에서는 제2노칭 펀치(NP; 122)에 의해 라미나 부재의 타측 가장자리가 스탬핑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캠(430)과 제2캠(440)은 라미나 부재의 폭이 맞게 상기 제1노칭 펀치(NP; 112)와 제2노칭 펀치(NP; 122)의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상형(UM)이 하강해서 상기 제1상부 블록(113)과 제2상부 블록(123)을 누르면 상기 금속 스트립(S)이 펀칭된다.
상기 제1노칭 펀치(NP; 112)와 제2노칭 펀치(NP; 122)의 위치에 따라 폭이 다른 라미나 부재가 제조될 수 있음은 기설명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S3 단계에서는 자투리 스크랩(RS)의 제거를 위한 스크랩 펀칭공정이 진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S3 단계에서는 쌍을 이루는 스크랩 펀치(CP; 320)에 의해 상기 금속 스트립(S)이 펀칭됨으로써 자투리 스크랩(RS)이 블랭킹 공정 전에 미리 제거된다.
S4 단계는 인터록탭을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인터록탭은 상하로 인접하여 적층되는 라미나 부재들을 억지끼움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라미나 부재들이 접착제에 의해 층간 접착되는 경우에는 S4 단계가 적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S5 단계에서는 상기 블랭킹 펀치(BP; 220)에 의한 금속 스트립이 블랭킹이 진행된다. 따라서, 코어 적층 배럴 즉 라미네이트 홀에는 라미나 부재들만이 투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라미나 부재 100: 노칭 유닛
110: 제1노칭부 120: 제2노칭부
111, 121: 노칭 다이 112, 122: 노칭 펀치
200: 블랭킹 유닛 210: 블랭킹 다이
220: 블랭킹 펀치 300: 스크랩 펀칭유닛
310: 스크랩 다이 320: 스크랩 펀치
331: 펀치 베이스 332: 높이조절 레버
110: 제1노칭부 120: 제2노칭부
111, 121: 노칭 다이 112, 122: 노칭 펀치
200: 블랭킹 유닛 210: 블랭킹 다이
220: 블랭킹 펀치 300: 스크랩 펀칭유닛
310: 스크랩 다이 320: 스크랩 펀치
331: 펀치 베이스 332: 높이조절 레버
Claims (6)
- 폭이 다른 라미나 부재들을 형성해서 펜슬코어를 제조하는 펜슬코어 제조장치로서:
상기 라미나 부재들의 가장자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 스트립을 스탬핑하는 노칭 유닛(Notching Unit);
상기 금속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노칭 유닛보다 하류에 구비되며, 상기 금속 스트립을 블랭킹해서 상기 라미나 부재들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블랭킹 유닛(Blanking Unit); 그리고
상기 금속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블랭킹 유닛보다 상류에 구비되며, 상기 블랭킹 유닛이 상기 금속 스트립을 블랭킹하기 전에 블랭킹 예정영역 내의 자투리 부분을 상기 노칭 유닛과 함께 미리 제거하도록, 상기 금속 스트립을 선택적으로 펀칭하는 스크랩 펀칭유닛(Scrap Punching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은, 상기 라미나 부재들을 형성하는 부분의 외부 영역을 펀칭해서, 상기 블랭킹 예정영역 내에서 상기 라미나 부재들 이외에 상기 자투리 부분이 상기 라미나 부재들의 적층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펜슬코어 제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은;
상기 노칭 유닛과 상기 블랭킹 유닛의 사이 구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코어 제조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펀칭유닛은;
하형에 구비되는 스크랩 다이, 그리고
상기 스크랩 다이에 마주하도록 상기 하형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크랩 펀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코어 제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펀치는; 상기 금속 스트립에 닿지 않도록 하한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코어 제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펀치는; 상기 하형과 마주하는 상형에 구비되며, 상기 상형과 함께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코어 제조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펀치는, 상기 상형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펀치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펀치 베이스는 상기 스크랩 펀치가 상기 금속 스트립에 닿지 않도록 선택적으로 상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코어 제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4014A KR101875524B1 (ko) | 2016-05-25 | 2016-05-25 | 펜슬코어 제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4014A KR101875524B1 (ko) | 2016-05-25 | 2016-05-25 | 펜슬코어 제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3058A KR20170133058A (ko) | 2017-12-05 |
KR101875524B1 true KR101875524B1 (ko) | 2018-07-06 |
Family
ID=6092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4014A KR101875524B1 (ko) | 2016-05-25 | 2016-05-25 | 펜슬코어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552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8893B1 (ko) * | 2018-01-31 | 2019-08-08 | 주식회사 포스코 인터내셔널 | 적층 코어 제조장치 및 적층 코어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0059B1 (ko) * | 2004-01-29 | 2005-08-25 | 한국코아 주식회사 | 가로방향 이송다이 조립체를 구비한 적층 코아 제조 장치및 이를 이용한 적층 코아 제조 방법 |
KR20120114555A (ko) * | 2011-04-07 | 2012-10-17 | 주진 | 하프 블랭킹을 이용한 적층코아 제조장치 |
KR20130017573A (ko) * | 2011-08-11 | 2013-02-20 |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 펜슬코아 및, 펜슬코아를 제조하기 위한 노칭 유니트 |
KR20130017571A (ko) * | 2011-08-11 | 2013-02-20 |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 스탬핑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펜슬코아 제조장치 |
-
2016
- 2016-05-25 KR KR1020160064014A patent/KR1018755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0059B1 (ko) * | 2004-01-29 | 2005-08-25 | 한국코아 주식회사 | 가로방향 이송다이 조립체를 구비한 적층 코아 제조 장치및 이를 이용한 적층 코아 제조 방법 |
KR20120114555A (ko) * | 2011-04-07 | 2012-10-17 | 주진 | 하프 블랭킹을 이용한 적층코아 제조장치 |
KR20130017573A (ko) * | 2011-08-11 | 2013-02-20 |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 펜슬코아 및, 펜슬코아를 제조하기 위한 노칭 유니트 |
KR20130017571A (ko) * | 2011-08-11 | 2013-02-20 | 주식회사 포스코티엠씨 | 스탬핑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펜슬코아 제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3058A (ko) | 2017-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84387B1 (en) | Progressive stamping die assembly having transversely movable die st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ck of laminae therewith | |
US8485238B2 (en) | Stamping-la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 |
US10040111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laminated iron core | |
EP112808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lanking elements of belt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
US9511406B2 (en) | Method of producing iron core | |
US7600312B2 (en) | Die assembly for manufacturing lamina stacks that include formed features | |
KR101314231B1 (ko) | 적층코아 제조용 가압구조 | |
KR101875524B1 (ko) | 펜슬코어 제조장치 | |
EP3902640A1 (en) | Multi-layer fine blank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metal parts and fine blanking device for carrying out such process | |
KR101606324B1 (ko) | 컴파운드 금형 | |
KR101236927B1 (ko) | 스탬핑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펜슬코아 제조장치 | |
KR100510059B1 (ko) | 가로방향 이송다이 조립체를 구비한 적층 코아 제조 장치및 이를 이용한 적층 코아 제조 방법 | |
KR101526550B1 (ko) | 복합 프레스 금형 | |
JP3382919B2 (ja) | 差厚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
KR100584192B1 (ko) | 적층 코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층 코아 제조 방법 | |
EP2254711B1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laminations | |
KR101191429B1 (ko) | 펜슬코아 제조장치 | |
JP4606731B2 (ja) | 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製造装置 | |
KR101936298B1 (ko) | 코어 소재 절단장치와 이를 갖는 적층 코어 제조시스템 및 적층 코어 제조방법 | |
KR20190037703A (ko) | 펜슬 코어 제조장치 | |
KR101236926B1 (ko) | 오일홈을 구비하는 펜슬코아 제조장치 | |
KR102008893B1 (ko) | 적층 코어 제조장치 및 적층 코어 제조방법 | |
US7032293B2 (en) | Process for producing bundles of laminated sheet metal for magnet cores | |
JP3491640B2 (ja) | 板金プレス打抜きによる異種形状積層品の製造方法、及びリブ成形用のプレス装置 | |
JP2008062272A (ja) | 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