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096B1 - 방음벽(옹벽형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의 설치 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 - Google Patents

방음벽(옹벽형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의 설치 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096B1
KR101292096B1 KR1020120139413A KR20120139413A KR101292096B1 KR 101292096 B1 KR101292096 B1 KR 101292096B1 KR 1020120139413 A KR1020120139413 A KR 1020120139413A KR 20120139413 A KR20120139413 A KR 20120139413A KR 101292096 B1 KR101292096 B1 KR 10129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oncrete
reinforcing bar
pouring
soundproof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영
Original Assignee
김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영 filed Critical 김정영
Priority to KR1020120139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096B1/ko
Priority to CN201310757238.4A priority patent/CN103850186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과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방음벽 또는 옹벽의 설치 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음벽 또는 옹벽을 설치하는 방법은, 지면 위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버림 콘크리트 위에 철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근의 하부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철근을 고정시키는 단계; 제1 이동식 거푸집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철근을 둘러싸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L"자 형상의 제 1단 방음벽을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식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타설부; 상기 타설부를 제1 섹션과 제2 섹션으로 구획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부; 상기 칸막이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진동기 장착부; 상기 제1 섹션의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진동기 장착부; 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이동식 거푸집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한 기계적인 공법으로 방음벽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거푸집 설치 및 해체와 같이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 단계를 거치지 않으므로 종래에 비해 방음벽의 시공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방음벽(옹벽형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의 설치 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 {Method for constructing soundproof wall or retaining wall and sliding form}
본 발명은 철근과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의 설치 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 철도, 지하철, 항만, 학교 등과 같은 각종 시설물 주변에는 방음벽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음벽은 도로 등을 따라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차량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도로 주변 지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판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옹벽은 토사 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벽체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요하다.
종래에 방음벽이나 옹벽을 시공할 때는 지면 위에 버림 콘크리트 타설, 버림 콘크리트 위에 철근 설치, 철근의 양측에 비계(강관 파이프) 설치, 거푸집 설치, 콘크리트 타설, 비계 및 거푸집 해체와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삭제
이러한 방음벽이나 옹벽설치 작업은 모두 인력이 동원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안전사고의 우려가 크고,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전체적으로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그로 인해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푸집을 이용한 방음벽은 일정한 크기의 거푸집을 연달아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해체하였을 때 방음벽의 표면이 거칠어 별도의 면갈이 등과 같은 추가 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선형이 미려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9490호에는 이동식 거푸집과 슬립폼 페이버(slip form paver)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 기계화된 공법으로 방음벽 기초를 설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이동식 거푸집이 이동할 때 방음벽 지주 앵커부재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림 방지용 지지대, 정착용 앵커 부재,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정착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복잡한 작업 단계를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L형 방음벽 기초를 설치하는 데에만 국한된 것으로서, 일정한 높이 이상의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거푸집을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949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종래의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기계화된 공법으로 신속하고 저렴한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의 설치 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방음벽을 설치하는 방법은, 지면 위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버림 콘크리트 위에 철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근의 하부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철근을 고정시키는 단계; 제1 이동식 거푸집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철근을 둘러싸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L"자 형상의 제 1단 방음벽을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식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타설부; 상기 타설부를 제1 섹션과 제2 섹션으로 구획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부; 상기 칸막이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진동기 장착부; 상기 제1 섹션의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진동기 장착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이동식 거푸집은, 상기 철근의 상단부를 덮도록 상기 제1 섹션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철근 보호부;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이동식 거푸집은, 상기 철근의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섹션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이드로드;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이동식 거푸집은, 상기 타설부의 전방에 일체로 연결된 전방부; 상기 타설부의 후방에 일체로 연결된 후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근 보호부는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후방부로 연장되고, 상기 후방부는 상기 철근 보호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상기 철근의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철근 안내 및 잉여 콘크리트 제거부를 갖는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방음벽 기초를 설치하는 방법은, 지면 위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버림 콘크리트 위에 철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근의 하부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철근을 고정시키는 단계; 이동식 거푸집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철근을 둘러싸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L"자 형상의 방음벽 기초를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타설부; 상기 타설부를 제1 섹션과 제2 섹션으로 구획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부; 상기 칸막이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진동기 장착부; 상기 제1 섹션의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진동기 장착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식 거푸집은, 상기 철근의 상단부를 덮도록 상기 제1 섹션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철근 보호부; 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L"자 형상의 방음벽 또는 옹벽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식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타설부; 상기 타설부를 제1 섹션과 제2 섹션으로 구획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부; 상기 칸막이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진동기 장착부; 상기 제1 섹션의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진동기 장착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철근의 상단부를 덮도록 상기 제1 섹션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철근 보호부; 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L"자 형상의 방음벽 기초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식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타설부; 상기 타설부를 제1 섹션과 제2 섹션으로 구획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부; 상기 칸막이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진동기 장착부; 상기 제1 섹션의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진동기 장착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식 거푸집에 설치되는 칸막이부 및 이러한 칸막이부에 부착되는 제1 진동기 장착부에 의해 이동식 거푸집 내로 주입된 콘크리트는 충분히 다져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식 거푸집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한 기계적인 공법으로 방음벽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거푸집 설치 및 해체와 같이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 단계를 거치지 않으므로 종래에 비해 방음벽의 시공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또는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이동식 거푸집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방음벽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거푸집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거푸집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이동식 거푸집에서 타설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A-A 라인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기초를 시공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방음벽 기초를 시공하기 위한 이동식 거푸집의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또는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방음벽은 일반적으로 도로 등을 따라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차량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도로 주변 지역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판 역할을 수행한다. 옹벽은 토사 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벽체 구조물을 말한다. 방음벽과 옹벽은 설치하는 목적은 다르지만, 대체로 비슷한 형상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벽 또는 옹벽(10)(이하, 방음벽)은 가늘고 긴 차폐판의 형태로 시공되고, 하부는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수평으로 연장되어 대체로 "L"자 형상을 갖는다. 방음벽(10)은 내부에 구조 보강을 위해 철근이 배치되고, 이러한 철근을 둘러싸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형태로 시공된다. 여기서, 방음벽은 비슷한 형태를 갖는 옹벽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종래에 방음벽은 방음벽의 형상에 맞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다시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을 거쳐 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전체적으로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그로 인해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식 거푸집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기계화된 공법으로 신속하면서도 공사비가 적게 소요되는 방음벽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콘크리트 타설 장치는 방음벽 구조의 형틀이 되는 이동식 거푸집과 함께 사용되는 장비로서, 예를 들어 슬립폼 페이버(slip-form paver)로 불려지는 장비가 있다. 작업 시에, 이동식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 장치와 함께 이동되고, 이때 콘크리트 타설 장치는 이동식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쏟아 부으면서 이동한다.
이동식 거푸집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에 의해 한 번에 시공할 수 있는 높이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방음벽의 높이가 3m 인 경우, 이동식 거푸집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사용하여 한 번에 3m 전체를 시공할 수는 없고, 층층이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2회 또는 3회에 걸쳐 작업이 이루어진다.
2회에 걸쳐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예를 들어 처음에 2m 높이로 제 1단 방음벽을 시공하고, 제 1단 방음벽의 위에 1m 높이로 제 2단 방음벽을 시공하는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3회에 걸쳐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예를 들어 처음에 1.3m 높이로 제 1단 방음벽을 시공하고, 제 1단 방음벽의 위에 0.9m 높이로 제 2단 방음벽을 시공하고, 제 2단 방음벽의 위에 0.8m 높이로 제 3단 방음벽을 시공하는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m 높이의 방음벽을 3회에 걸쳐 시공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먼저 지면(1) 위에 버림 콘크리트(31)를 타설한다. 버림 콘크리트(31)는 지면(1)에 구조물을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부분이 된다.
다음으로, 버림 콘크리트(31) 위에 제1 철근(32)을 설치한다. 제1 철근(32)은 구조 보강을 위해 콘크리트의 내부에 포함되는 부분으로 방음벽의 형상에 맞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철근(32)의 하부에 기초 콘크리트(33)를 타설하여 제1 철근(32)을 고정시킨다. 제1 철근(32)이 고정되지 않으면 이동식 거푸집이 이동할 때 제1 철근(32)의 위치가 이동되어 원하는 형태의 방음벽을 시공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기초 콘크리트(33)의 높이는 15cm가 될 수 있다.
도 2c는 제1 철근(32)의 하부에 기초 콘크리트(33)가 타설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때, 제1 철근(32)의 상단부(32a)는 수평으로 절곡된 상태가 된다. 제1 철근(32)의 상단부(32a)를 수평으로 절곡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단 방음벽을 시공한 후 제1 철근(32)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철근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2d를 참조하면, 이동식 거푸집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제 1단 방음벽(34)을 시공한다. 제 1단 방음벽(34)의 높이는 기초 콘크리트(33) 부분을 포함하여 약 1.3m가 될 수 있다.
도 3은 제1 이동식 거푸집(100)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2)를 이용하여 제 1단 방음벽(34)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이동식 거푸집(100)은 제 1단 방음벽(34)의 형태에 맞게 제작된 거푸집을 말한다. 콘크리트 타설 장치(2)는 콘크리트 이송 장치(2a)를 통해 제1 이동식 거푸집(100) 내로 콘크리트를 주입할 수 있다. 제1 이동식 거푸집(100)은 콘크리트 타설 장치(2)에 연결되어, 콘크리트 타설 장치(2)가 이동하면 함께 이동한다. 콘크리트 타설 장치(2)는 콘크리트 이송 장치(2a)를 통해 제1 이동식 거푸집(100) 내로 콘크리트를 계속 주입하면서 이동하고, 주입된 콘크리트는 제1 이동식 거푸집(100)을 통해 제 1단 방음벽(34)을 형상을 만들게 된다.
다시 도 2d를 참조하면, 제 1단 방음벽(34)은 방음벽의 가장 아래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철근(32)은 상단부가 절곡된 상태로 제 1단 방음벽(34)의 위로 약간 돌출된다. 제1 철근(32)의 상단부가 제 1단 방음벽(34)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간 상태로 콘크리트가 굳어지면, 제1 철근(32)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철근과 연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2e를 참조하면, 절곡된 제1 철근(32)의 상단부를 수직으로 펴서, 제1 철근(32)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철근(35)과 연결한다. 제1 철근(32)과 제2 철근(35)이 분리되면 방음벽의 구조적인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제1 철근(32)과 제2 철근(35)을 연결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철근(32)과 제2 철근(35)은 겹이음 방식으로 연결된다. 겹이음은 제1 철근(32)과 제2 철근(35)을 일정한 길이에 걸쳐 중첩시키고, 중첩 부분(P1)을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연결하는 방식이다. 중첩 부분(P1)의 길이는 예를 들어, 30 내지 50cm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f를 참조하면, 제2 이동식 거푸집(도시 안됨)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제 2단 방음벽(36)을 시공한다. 제2 이동식 거푸집은 제 2단 방음벽(36)의 형상에 맞게 제작된다. 제 2단 방음벽(36)의 높이는 약 0.9m가 될 수 있다. 이때, 제2 철근(35)은 상단부가 절곡된 상태로 제 2단 방음벽(36)의 위로 약간 돌출된다. 제2 철근(35)의 상단부가 제 2단 방음벽(36)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간 상태로 콘크리트가 굳어지면, 제2 철근(35)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3 철근(37)과의 연결이 어렵기 때문이다.
만일, 3m 높이의 방음벽을 2회에 걸쳐 시공하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제 1단 방음벽(34)의 높이를 2m로 하고, 제 2단 방음벽(36)의 높이를 1m로 하여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철근(35)은 제 2단 방음벽(36) 내에 완전히 포함되는 형태가 되고, 그에 따라 제2 이동식 거푸집의 형상도 약간 달라지게 된다.
제 2단 방음벽(36)을 시공한 다음에는, 절곡된 제2 철근(35)의 상단부를 수직으로 펴서 제2 철근(35)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3 철근(37)과 연결한다. 제2 철근(35)과 제3 철근(37)은 겹이음 방식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제3 이동식 거푸집(도시 안됨)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제 3단 방음벽(38)을 시공한다. 제3 이동식 거푸집은 제 3단 방음벽(38)의 형상에 맞게 제작된다. 제 3단 방음벽(38)의 높이는 약 0.8m가 될 수 있다.
제 3단 방음벽(38)까지 시공함으로써, 제 1단, 제 2단, 제 3단 방음벽(34, 36, 38)을 포함한 전체 방음벽의 높이는 3m가 될 수 있다. 제 3단 방음벽(38)이 마지막이므로, 제3 철근(37)은 제 3단 방음벽(38) 내에 완전히 포함된 형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식 거푸집(또는 이동식 거푸집)(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거푸집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거푸집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이동식 거푸집에서 타설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A-A 라인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동식 거푸집(100)은 타설부(110), 전방부(120), 후방부(130)를 포함한다.
타설부(110)는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다. 콘크리트 타설 장치(2)를 이용하여 제 1단 방음벽(34)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 타설 장치(2)와 연결된 콘크리트 이송 장치(2a) 통해 타설부(110) 내로 콘크리트가 주입된다.
전방부(120)는 타설부(110)의 전방에 일체로 연결된다. 콘크리트 타설 장치(2)와 연결된 이동식 거푸집(100)이 이동할 때, 전방부(120)는 제1 철근(32)과 제일 먼저 접촉되는 부분이 된다. 전방부(120)에는 제 1단 방음벽(34)의 형상에 맞게 돌출 제작된 전방 안내부(121)가 구비된다.
후방부(130)는 타설부(110)의 후방에 일체로 연결된다. 콘크리트 타설 장치(2)와 연결된 이동식 거푸집(100)이 이동할 때, 타설부(110)로 주입된 콘크리트는 후방부(130)를 통과하면서 제 1단 방음벽(34)의 형상에 맞게 정렬된다. 후방부(130)에는 제 1단 방음벽(34)의 형상에 맞게 돌출 제작된 후방 안내부(131)가 구비된다.
전방 안내부(121)에서 후방 안내부(131)까지는 단면이 제 1단 방음벽(34)의 형상을 가지면서 완전히 개방된 통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 장치(2)와 연결된 이동식 거푸집(100)이 이동할 때, 전방부(120)가 진행하면서 제1 철근(32)은 전방 안내부(121)에 의해 안내된 후, 후방 안내부(131)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는 타설부(110)로 주입되어 다져진 후, 후방 안내부(131)를 지나면서 완전히 제 1단 방음벽(34)의 형상을 갖추게 된다.
타설부(110)는 칸막이부(115)에 의해 제1 섹션(110a)과 제2 섹션(110b)의 두 부분으로 구획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부(115)는 타설부(110) 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지만, 완전히 바닥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부(110)의 바닥에는 제 1단 방음벽(34)의 형상에 맞도록 콘크리트가 채워지기 때문이다.
콘크리트는 타설부(110)의 제1 섹션(110a)으로 주입된다. 제1 섹션(110a)으로 주입된 콘크리트는 칸막이부(115)에 의해 제2 섹션(110b)으로 바로 넘어가지 않는다. 제1 섹션(110a)으로 주입된 콘크리트는 제1 진동기 장착부(116), 제2 진동기 장착부(117)에 장착된 진동기(도시 안됨)의 진동에 의해 다져지면서 하부로 이동된 후, 칸막이부(115) 하부의 공간을 통해 제2 섹션(110b)으로 넘어간다. 제2 섹션(110b)으로 넘어간 콘크리트는 제3 진동기 장착부(118)에 장착된 진동기(도시 안됨)의 진동에 의해 더 다져지게 된다.
제1 진동기 장착부(116)는 칸막이부(115)에 부착되어 제1 섹션(110a)의 중앙을 향해 연장된다. 제2 진동기 장착부(117)는 제1 섹션(110a)의 벽면에 부착되어 제1 섹션(110a)의 중앙을 향해 연장된다. 제3 진동기 장착부(118)는 제2 섹션(110b)의 벽면에 부착된다. 제1 진동기 장착부(116), 제2 진동기 장착부(117) 및 제3 진동기 장착부(118)에는 진동기가 장착되고, 이러한 진동기는 콘크리트의 밀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칸막이부(115)가 없을 경우 타설부(110)의 벽면에만 진동기를 부착해야 한다. 제 1단 방음벽(34)의 하부 폭은 1m 이상이므로, 타설부(110)의 벽면에 부착된 진동기에 의한 진동은 타설부(110)의 중앙까지는 전달되기 어렵고, 결과적으로 콘크리트가 충분히 다져지지 않아서 방음벽의 품질이 저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칸막이부(115)에 부착되는 제1 진동기 장착부(116)에 진동기를 설치할 수 있고, 이러한 진동기의 진동에 의해 타설부(110)로 주입되는 콘크리트를 전체적으로 충분히 다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섹션(110a)으로 주입되는 콘크리트는 칸막이부(115)에 의해 바로 제2 섹션(110b)으로 넘어가지 않고, 진동기의 진동에 의해 충분히 다져진 후 칸막이부(115) 하부의 공간을 통해 제2 섹션(110b)으로 넘어가므로, 콘크리트의 밀도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동식 거푸집(100)이 이동할 때, 철근(11)(도 7 참조)의 이동은 충분히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철근(11)의 상단부를 덮어서 보호하는 철근 보호부(140)가 설치된다. 철근 보호부(140)는 제1 섹션(110a)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전방부(120)와 후방부(130)로 연장될 수 있다. 철근 보호부(140)는 철근(11)의 상단부를 덮어서 보호하도록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동식 거푸집(100)이 이동할 때, 철근 보호부(140)는 철근(11)의 상단부를 덮어서 보호함과 동시에 철근(11)이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철근(11)의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제1 섹션(110a)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가이드로드(141)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로드(141)는 철근 보호부(140)의 아래에 위치되어, 이동식 거푸집(100)이 이동할 때 철근(11)이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가이드로드(141)도 전방부(120)와 후방부(130)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후방부(130)에는 철근 보호부(140)의 폭(w)과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철근(11)의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철근 안내 및 잉여 콘크리트 제거부(150)가 제공될 수 있다.
철근 안내 및 잉여 콘크리트 제거부(150)는 상부가 개방되므로, 제1 섹션(110a)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하면서 이동식 거푸집(100)이 이동할 때, 작업자는 철근(11)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를 손으로 걷어낼 수 있다. 철근(11)의 상단부가 콘크리트로 완전히 덮여지면,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방법으로 방음벽을 설치할 때, 제1 철근(32)과 제2 철근(35) 간의 연결 작업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철근 안내 및 잉여 콘크리트 제거부(150)는 제 1단 방음벽(34)을 시공할 때 철근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를 손으로 걷어낼 수 있도록 하여, 이후에 제1 철근(32)과 제2 철근(35)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제 2단 방음벽(36)을 시공하기 위한 제2 이동식 거푸집(도시 안됨)과, 제 3단 방음벽(38)을 시공하기 위한 제3 이동식 거푸집(도시 안됨)의 형상은 제1 이동식 거푸집(100)과는 다른 형상이 된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제1 이동식 거푸집(100)에만 해당하고, 제2 이동식 거푸집 및 제3 이동식 거푸집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거푸집(100)을 이용하여 방음벽 또는 옹벽을 설치하는 방법에 따르면, 칸막이부(115) 및 칸막이부(115)에 부착되는 제1 진동기 장착부(116)에 의해 제1 섹션(110a)으로 주입된 콘크리트는 충분히 다져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식 거푸집(100)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한 기계적인 공법으로 방음벽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거푸집 설치 및 해체와 같이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 단계를 거치지 않으므로 종래에 비해 방음벽의 시공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철근 보호부(140) 및 가이드로드(141)는 철근(11)을 보호함과 동시에 이동을 방지하므로, 철근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방음벽은 풍하중과 충돌하중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는 방음벽 기초(20)와, 음파의 흡수 및 반사, 회절을 통해 소음을 줄이기 위한 방음패널(21) 및 방음벽 기초 상에 방음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지주(22)로 구성된다. 방음벽 기초(20)는 대체로 도 2f에 도시된 제 1단 방음벽(34)과 유사한 형상을 갖지만, 철근이 돌출되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방음벽 기초(20)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기초(20)를 시공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먼저 지면(1) 위에 버림 콘크리트(61)를 타설한다. 버림 콘크리트(61)는 지면(1)에 구조물을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부분이 된다.
다음으로, 버림 콘크리트(61) 위에 철근(62)을 설치한다. 철근(62)은 구조 보강을 위해 콘크리트의 내부에 포함되는 부분으로 방음벽의 형상에 맞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9b를 참조하면, 철근(62)의 하부에 기초 콘크리트(63)를 타설하여 철근(62)을 고정시킨다. 철근(62)이 고정되지 않으면 이동식 거푸집이 이동할 때 철근(62)의 위치가 이동되어 원하는 형태의 방음벽을 시공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기초 콘크리트(63)의 높이는 15cm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c를 참조하면, 이동식 거푸집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방음벽 기초(64)를 시공한다. 방음벽 기초(64)의 높이는 기초 콘크리트(63) 부분을 포함하여 1 내지 1.5m가 될 수 있다.
방음벽 기초(64)는 대체로 "L"자 형상을 가진다. 이때, 철근(32)은 방음벽 기초(64) 내로 완전히 매립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방음벽 기초(64)를 시공하기 위한 이동식 거푸집(200)은 도 10의 배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부(210), 전방부, 후방부(230), 철근 보호부(240) 및 후방 안내부(231)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식 거푸집(20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이동식 거푸집(100)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즉, 이동식 거푸집(200)은 상술한 타설부(110), 칸막이부(115), 제1 진동기 장착부(116), 제2 진동기 장착부(117), 철근 보호부(140), 가이드로드(141)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다만, 이동식 거푸집(200)의 철근 보호부(240)는 철근 보호부(140)와 달리 후방 안내부(231) 내측에 완전히 포함된다는 점이 차이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거푸집(200)을 이용하여 방음벽 기초를 설치하는 방법에 따르면, 이동식 거푸집(200)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한 기계적인 공법으로 방음벽 기초(64)를 설치할 수 있어, 거푸집 설치 및 해체와 같이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 단계를 거치지 않으므로 종래에 비해 방음벽의 시공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철근 보호부 및 가이드로드는 철근을 보호함과 동시에 이동을 방지하므로, 철근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 : 지면
2 : 콘크리트 타설 장치
2a : 콘크리트 이송 장치
10 : 방음벽
31 : 버림 콘크리트
32 : 제1 철근
33 : 기초 콘크리트
34 : 제 1단 방음벽
35 : 제2 철근
36 : 제 2단 방음벽
37 : 제3 철근
38 : 제 3단 방음벽
100 : 이동식 거푸집
110 : 타설부
110a : 제1 섹션
110b : 제2 섹션
115 : 칸막이부
116 : 제1 진동기 장착부
117 : 제2 진동기 장착부
118 : 제3 진동기 장착부
120 : 전방부
121 : 전방 안내부
130 : 후방부
131 : 후방 안내부
140 : 철근 보호부
141 : 가이드로드
150 : 철근 안내 및 잉여 콘크리트 제거부

Claims (10)

  1. 방음벽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면 위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버림 콘크리트 위에 철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근의 하부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철근을 고정시키는 단계;
    제1 이동식 거푸집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철근을 둘러싸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L"자 형상의 제 1단 방음벽을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식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타설부;
    상기 타설부를 제1 섹션과 제2 섹션으로 구획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부;
    철근의 상단부를 덮도록 상기 제1 섹션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철근 보호부;
    상기 칸막이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진동기 장착부;
    상기 제1 섹션의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진동기 장착부;
    를 포함하는 방음벽을 설치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식 거푸집은,
    상기 철근의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섹션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이드로드;
    를 더 포함하는 방음벽을 설치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식 거푸집은,
    상기 타설부의 전방에 일체로 연결된 전방부;
    상기 타설부의 후방에 일체로 연결된 후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근 보호부는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후방부로 연장되고,
    상기 후방부는 상기 철근 보호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상기 철근의 상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철근 안내 및 잉여 콘크리트 제거부를 갖는 방음벽을 설치하는 방법.
  5. 방음벽 기초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면 위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버림 콘크리트 위에 철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철근의 하부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철근을 고정시키는 단계;
    이동식 거푸집과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철근을 둘러싸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L"자 형상의 방음벽 기초를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타설부;
    상기 타설부를 제1 섹션과 제2 섹션으로 구획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부;
    상기 철근의 상단부를 덮도록 상기 제1 섹션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철근 보호부;
    상기 칸막이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진동기 장착부;
    상기 제1 섹션의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진동기 장착부;
    를 포함하는 방음벽 기초를 설치하는 방법.
  6. 삭제
  7.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L"자 형상의 옹벽형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식 거푸집에 있어서,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타설부;
    상기 타설부를 제1 섹션과 제2 섹션으로 구획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부;
    기 타설된 기초 콘크리트 위에 고정되어 있는 철근의 상단부를 덮도록 상기 제1 섹션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철근 보호부;
    상기 칸막이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진동기 장착부;
    상기 제1 섹션의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진동기 장착부;
    를 포함하는 이동식 거푸집.
  8. 삭제
  9. 콘크리트 타설 장치를 이용하여 "L"자 형상의 방음벽 기초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식 거푸집에 있어서,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개방된 공간을 갖는 타설부;
    상기 타설부를 제1 섹션과 제2 섹션으로 구획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부;
    기 타설된 기초 콘크리트 위에 고정되어 있는 철근의 상단부를 덮도록 상기 제1 섹션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철근 보호부;
    상기 칸막이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진동기 장착부;
    상기 제1 섹션의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섹션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진동기 장착부;
    를 포함하는 이동식 거푸집.
  10. 삭제
KR1020120139413A 2012-12-04 2012-12-04 방음벽(옹벽형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의 설치 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 KR10129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413A KR101292096B1 (ko) 2012-12-04 2012-12-04 방음벽(옹벽형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의 설치 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
CN201310757238.4A CN103850186A (zh) 2012-12-04 2013-12-04 隔音墙或隔音墙基础的设置方法以及移动式模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413A KR101292096B1 (ko) 2012-12-04 2012-12-04 방음벽(옹벽형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의 설치 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096B1 true KR101292096B1 (ko) 2013-08-08

Family

ID=4921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413A KR101292096B1 (ko) 2012-12-04 2012-12-04 방음벽(옹벽형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의 설치 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2096B1 (ko)
CN (1) CN10385018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3069A (zh) * 2016-08-31 2016-12-07 中国水利水电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边坡混凝土防护的一体设备
KR101687267B1 (ko) 2016-07-11 2016-12-16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
CN109930591A (zh) * 2019-02-25 2019-06-25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地下连续墙及其施工方法
CN112726442A (zh) * 2020-12-30 2021-04-30 中铁六局集团北京铁路建设有限公司 大跨度薄壁混凝土声屏障浇筑台车的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6592A (zh) * 2019-09-12 2020-01-07 安徽中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声屏障基层施工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3698A (ja) * 2005-02-28 2006-09-07 Suehiro Sangyo Kk 移動型枠並びに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及び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
KR101159490B1 (ko) * 2011-08-22 2012-06-22 한국도로공사 직벽 및 안전단면 엘형 방음벽 기초 기계화 공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8483A (ja) * 1992-09-29 1994-04-19 Maruei Concrete Kogyo Kk 擁壁の段積み方法及び擁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H07139161A (ja) * 1993-11-11 1995-05-30 Ohbayashi Corp 滑動型枠工法
JP3055054B2 (ja) * 1996-01-26 2000-06-19 ケイコン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機械施工方法及び装置
KR100535436B1 (ko) * 2003-04-30 2005-12-09 한국도로공사 거푸집 없이 슬립폼 공법으로 단면중앙에 와이어매쉬를 삽입한 콘크리트 중앙분리대를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장치
CN201943045U (zh) * 2010-12-08 2011-08-24 中国水利水电第七工程局有限公司 自行式液压悬臂门式防浪墙混凝土浇筑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3698A (ja) * 2005-02-28 2006-09-07 Suehiro Sangyo Kk 移動型枠並びに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及び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
KR101159490B1 (ko) * 2011-08-22 2012-06-22 한국도로공사 직벽 및 안전단면 엘형 방음벽 기초 기계화 공법 및 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267B1 (ko) 2016-07-11 2016-12-16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
CN106193069A (zh) * 2016-08-31 2016-12-07 中国水利水电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边坡混凝土防护的一体设备
CN109930591A (zh) * 2019-02-25 2019-06-25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地下连续墙及其施工方法
CN112726442A (zh) * 2020-12-30 2021-04-30 中铁六局集团北京铁路建设有限公司 大跨度薄壁混凝土声屏障浇筑台车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50186A (zh)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096B1 (ko) 방음벽(옹벽형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의 설치 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
KR101286959B1 (ko) 옹벽형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 설치 방법
CN106498844B (zh) 一种高速铁路箱梁桥面预制电缆槽
KR101258807B1 (ko) 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도횡단 구조물 시공방법
KR101344063B1 (ko) 강합성 지하차도 시공 공법
KR101363878B1 (ko) 가설구조와 본구조의 합벽식 공법을 이용한 지하도로 시공방법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JP2859158B2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部の構造
KR100683558B1 (ko) 터널내 현장타설 오픈형 배수로 시공 방법 및 장치
KR101159490B1 (ko) 직벽 및 안전단면 엘형 방음벽 기초 기계화 공법 및 그 장치
KR101563713B1 (ko) “u”형 측구수로관의 설치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
JP4969895B2 (ja) 立体高架橋アプローチ部の施工方法および立体高架橋アプローチ部構造
KR101187369B1 (ko) 씨아이피를 이용한 지하도로 시공방법
KR101581938B1 (ko) 방음벽 기초 구조물을 이용한 방음시설 시공 방법
JP6166454B1 (ja) 半地下型道路上の人工地盤の構築方法
KR100815174B1 (ko) 연속화된 하부 주인장 철근을 구비한 파이프 루프 터널시공방법 및 그에 의한 파이프 루프 터널
KR101563710B1 (ko) “j”형 측구수로관의 설치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
JP2021042610A (ja) カルバート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JP7081744B2 (ja) 基礎梁構造及び基礎梁構築方法
JP3789100B2 (ja) 拡幅トンネルの築造方法
JPH0693628A (ja) 溝、洞道等のケーブル敷設路の補強構造
JP617308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KR101809554B1 (ko) 키락블록과 쉬트파일체를 이용한 구조물
JP6268250B1 (ja) 道路橋地覆拡幅ユニット
KR101182751B1 (ko) 철골보와 슬러리월 접합용 스마트박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