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267B1 -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267B1
KR101687267B1 KR1020160087624A KR20160087624A KR101687267B1 KR 101687267 B1 KR101687267 B1 KR 101687267B1 KR 1020160087624 A KR1020160087624 A KR 1020160087624A KR 20160087624 A KR20160087624 A KR 20160087624A KR 101687267 B1 KR101687267 B1 KR 101687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
carbon dioxide
bridge body
bridge
activated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Priority to KR102016008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 자연환경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생태통로를 조성하고, 이산화탄소 및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흡수, 흡착할 수 있도록 차폐막, 방음벽, 식재부, 인공습지를 조성함으로써, 차폐 및 방음효과는 물론 이산화탄소 흡착효과를 갖는, 생태통로 목표종에 적합한 현장 맞춤형 친자연적 생태통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EZ-02 SYSTEM}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흡착과 차폐·방음 효과를 높인 생태통로 목표종에 적합한 현장 맞춤형 친자연적 생태통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변 자연환경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생태통로를 조성하고, 이산화탄소 및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흡수, 흡착할 수 있도록 차폐막, 방음벽, 식재부, 인공습지를 조성함으로써, 차폐 및 방음효과는 물론 이산화탄소 흡착효과가 있어 야생동물들에 적합한 청정 생태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로와 철도 등의 선형적인 개발행위 등의 인간 활동에 의한 생태계의 단절 및 파편화로 인해, 생물 서식지 고립, 개체군간의 이동 및 유전적 교환 차단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야생 동물들의 환경 적응력 약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생태계의 단절 및 파편화로 인해, 고립된 서식지로부터 먹이활동 및 서식지 확장을 위한 야생동물의 이동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이동 중에 도로에서의 차량에 의한 사고(Road kill)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로드킬은 야생동물의 개체수 감소 등의 1차 문제 외에, 차량 운전자의 생명 위협과, 차량 및 주변시설물의 파손 등에 의한 2차 사고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절된 서식지 간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생태통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종래 개시된 기술들의 대부분은 야생동물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장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야생동물들의 접근 거부로 이용률이 저조하거나 또는 회피함으로써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생태통로 설치 이전과 비교하여 볼 때 로드킬 발생 저감 정도가 미미하거나 오히려 설치 전에 비해 증가하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실정이다.
자연환경보전법 제2조에 따르면, 생태통로란 도로, 댐, 수중보, 하구언 등으로 인하여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가 단절되거나 훼손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야생 동·식물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설치되는 인공구조물, 식생 등의 생태적 공간을 말한다.
이와 같은 생태통로는 야생동물의 이동로 제공, 야생동물 서식지로의 이동, 천적 및 대형교란으로부터 피난처 역할, 단편화된 생태계의 연결로로 생태계의 연속성 유지, 기온변화에 대한 저감효과, 교육적, 위락적 및 심미적 가치제고, 개발억제 효과 등의 역할을 하여야 하나, 종래 개발된 생태통로는 이와 같은 역할 수행을 하기에는 역부족이며, 이로 인해 상기의 순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생태통로의 개발과 보급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생태통로의 대부분은 도로상에 설치되는 이유로,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및 배기가스에 의한 가스상 오염이 발생하게 되나, 이와 같은 오염에 대한 특별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가스상 오염물질 중 이산화탄소가 증가하게 되면 폐포내의 이산화탄소가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호흡곤란, 두통 등의 증상을 일으키게 되고, 이때 O2의 결핍을 수반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장애가 두드러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생물습성을 파악하고, 설치하고자 하는 현장의 지형과 위치를 고려하여, 생태통로, 유도울타리, 은신처, 냄새, 먹이를 이용한 생물유도시설과 이산화탄소 저감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이산화탄소 흡착과 차폐·방음 효과가 높은, 생태통로 목표종에 적합한 현장 맞춤형 친자연적 생태통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36692(등록일자 1999.10.0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59863(등록일자 2007.09.1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74261(등록일자 2010.07.3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92096(등록일자 2013.07.26)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86959(등록일자 2013.07.1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8649(등록일자 2014.09.01)
본 발명은 생태통로 목표종에 적합한 현장 맞춤형 친자연적 생태통로 시스템으로서, 친자연적인 교량형으로 제작하여 야생동물들이 차량에 의한 소음, 차량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 오염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야생동물들의 생태이동로서의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 수림과 이어지는 입·출구의 양끝을 넓게 하여 야생동물의 자연스러운 진입을 유도하는 에코브리지 몸체부;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형성되는 흙길;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의 입·출구 주변에 조성되어 이산화탄소 저감기능을 갖는 생태습지;
상기 흙길을 기준으로 양 구역의 전면에 형성되는 초지;
상기 초지의 전면에 걸쳐 설치되어 소형 야생동물의 피신처 역할을 하는 나무더미;
상기 초지 위로 설치되되, 에코브리지 몸체부의 입·출구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야생동물들의 은신처와 먹이를 제공하는,
포유류와 조류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상·하 이용공간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다종먹이대,
돌을 쌓아 만든 돌 은폐·엄폐물(Shelter),
사각 프레임의 하부 네 모서리에 각각 다리를 연결하여 탁자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사각 프레임 상부 네 모서리에 각각 다리를 연결한 후 그 상부에 지붕을 형성한 초식동물먹이대,
목재를 쌓아 만든 목재 은폐·엄폐물(W-Shelter),
나무 형상을 이루어 과실모형과 새집이 설치되어 있는 조류먹이대;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 상판 양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관리용 보행로;
상기 관리용 보행로를 따라 육교몸체부 상판에 설치되어 도로, 철로에서 발생하는 소음 차단과 이산화탄소 저감기능을 갖는 방음벽;
상기 방음벽을 따라 에코브리지 몸체부의 내측에 조성되어 도로에서 발생하는 빛과 소음을 차단하는 차폐막;
상기 차폐막을 따라 육교몸체부의 내측에 조성되는 식재부;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보행로까지 이어지는 목재유도울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코브리지로서,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의 상부는 흙길, 초지, 식재부 조성을 위해, 유기물이 7~42wt%로 포함된 토양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음벽은 목재,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중 선택되는 어느 1의 재질로 이루어진 방음패널의 양면으로 이산화탄소 흡착제로 코팅처리된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잣나무, 낙엽송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으로 이루어진 제1참나무 패널을 부착하여 형성되며,
상기 차폐막은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잣나무, 낙엽송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으로 이루어진 제2참나무 패널로 이루어지되, 2개의 제2참나무 패널 사이에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활성탄소섬유를 넣어 일체화시킨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는 야생동물들의 습성을 고려하여 조성된, 생태통로 목표종에 적합한 현장 맞춤형 친자연적 생태통로 시스템으로서,
주변 자연환경과 생태통로가 자연스럽게 연결됨으로써 야생동물들의 자연스런 접근을 유도하고, 또한 생태통로 내에 야생동물들에게 필요한 생태습지, 나무더미, 다종먹이대, 돌 은폐·엄폐물(Shelter), 초식동물먹이대, 목재 은폐·엄폐물(W-Shelter), 조류먹이대를 조성함으로써 생태통로로서의 기능과 함께 야생동물들의 새로운 서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산화탄소 흡착과 방음기능을 갖는 방음벽과, 이산화탄소 흡착과 차폐기능을 갖는 차폐막 및 이산화탄소 흡착 기능이 뛰어난 참나무류 식재부를 통해, 도로 위를 질주하는 차량으로부터 발생하는 시끄러운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야생동물들이 소음에 의해 불안해하거나 민감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각종 매연 및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제거 처리함으로써 청정구역으로서 야생동물들에게 쾌적하고 안정적인 생태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코브리지는 생태통로로서 이산화탄소 흡착 기능성이 뛰어나, 이산화탄소 농도 저감에 의한 지구 온난화 문제 해소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코브리지를 전체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에코브리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에코브리지를 조성하는 생태습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에코브리지를 조성하는 다종먹이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에코브리지를 조성하는 초식동물먹이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에코브리지를 조성하는 조류먹이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에코브리지를 조성하는 조류먹이대의 새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에코브리지를 조성하는 방음벽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에코브리지를 조성하는 차폐막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에코브리지를 조성하는 목재유도울타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에코브리지를 조성하는 목재유도울타리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코브리지(1)는,
기존 수림과 이어지는 입·출구의 양끝을 넓게 하여 야생동물의 자연스러운 진입을 유도하는 에코브리지 몸체부(101);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형성되는 흙길(102);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입·출구 주변에 조성되어 이산화탄소 저감기능을 갖는 생태습지(103);
상기 흙길(102)을 기준으로 양 구역의 전면에 형성되는 초지(104);
상기 초지(104)의 전면에 걸쳐 설치되어 소형 야생동물의 피신처 역할을 하는 나무더미(105);
상기 초지(104) 위로 설치되되,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입·출구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야생동물들의 은신처와 먹이를 제공하는,
포유류와 조류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상·하 이용공간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다종먹이대(106),
돌을 쌓아 만든 돌 은폐·엄폐물(Shelter)(107),
사각 프레임의 하부 네 모서리에 각각 다리를 연결하여 탁자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사각 프레임 상부 네 모서리에 각각 다리를 연결한 후 그 상부에 지붕을 형성한 초식동물먹이대(108),
목재를 쌓아 만든 목재 은폐·엄폐물(W-Shelter)(109),
나무 형상을 이루어 과실모형과 새집이 설치되어 있는 조류먹이대(110);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101) 상판 양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관리용 보행로(111);
상기 관리용 보행로(111)를 따라 에코브리지 몸체부(101) 상판에 설치되어 도로, 철로에서 발생하는 소음 차단과 이산화탄소 저감기능을 갖는 방음벽(112);
상기 방음벽(112)을 따라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내측에 조성되어 도로에서 발생하는 빛과 소음을 차단하는 차폐막(113);
상기 차폐막(113)을 따라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내측에 조성되는 식재부(114);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관리용 보행로(111)까지 이어지는 목재유도울타리(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상부는 흙길(102), 초지(104), 식재부(114) 조성을 위해, 유기물이 7~42wt%로 포함된 토양층(101b)이 형성되고,
상기 방음벽(112)은 목재,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중 선택되는 어느 1의 재질로 이루어진 방음패널(112a)의 양면으로 이산화탄소 흡착제(112c)로 코팅처리된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잣나무, 낙엽송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으로 이루어진 제1참나무 패널(112b)을 부착하여 형성되며,
상기 차폐막(113)은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잣나무, 낙엽송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으로 이루어진 제2참나무 패널(113a)로 이루어지되, 2개의 제2참나무 패널(113a) 사이에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활성탄소섬유(113b)를 넣어 일체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101)는 교량 구조를 이루되, 양쪽 끝 지점을 기존 수림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조성함으로써, 야생동물들이 거부감을 갖지 않고 자연스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양끝은, 몸체부 중심부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어 부채 모양을 이룸으로써 기존 수림과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101)는 교량건설에 사용되는 일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되나, 상기 일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상부로 식생콘크리트층(101a)과 유기물이 7~42wt%로 포함된 토양층(101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됨으로써, 에코브리지 몸체부(101) 상부에 흙길(102), 초지(104), 식재부(114)가 조성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도 2)
상기 식생콘크리트층(101a)은 시멘트 14~20wt%; 입자의 크기가 1~30mm인 골재 74~80wt%; 입자의 크기가 4.2×10-2mm인 플라이애쉬 1~4wt%; 입자의 크기가 1.36㎛인 실리카흄 1~2wt%; 물(H2O) 4~6wt%;를 믹서를 이용하여 1~2분 동안 혼합하여 조성된다.
상기 식생콘크리트는 연속된 공극으로 물이나 공기 및 식물의 뿌리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의 뿌리가 다공성 콘크리트에 진입 및 관통하고 식물이 번성할 수 있는 콘크리트이다.
상기 토양층(101b)은 유기물 함량이 7~42wt%인 것으로서, 유기질의 탄소저장 기능성에 의해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를 갖는다.
상기 흙길(102)은 토양층(101b)의 상부에 조성되는 초지(104), 식재부(114) 등에 의해 구분되도록 함으로써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중앙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생태습지(103)는 상기 에코브리지(1)의 입·출구 주변에 설치되어 야생동물들에게 물을 공급하는 역할과 함께, 미세조류에 의한 이산화탄소 저감기능을 갖는다.
상기 생태습지(10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를 40 ~ 45vol%로 함유하고, 평균 함수율이 26 ~ 31%이며, pH가 6.92 ~ 7.29인 점질양토(loamy sand)층(103a) 상부로 다공성세라믹층(103b)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세라믹층(103b)에 갈대(Phragmites communis), 줄, 고랭이, 부들(Typha orientalis), 꽃창포(lris ensata var. spontanea), 노랑꽃창포(lris pseudoacorus), 창포(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석창포(Acorus gramineus), 부레옥잠(E. crassipes), 종려방동사니(C. alternifolius L,), 골풀(J. effuses), 물상추(P. straiotes), 물앵무새깃(A.fischeri), 물칸나(T. dealbat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이 수생식물(103c)이 식재되어 있는 인공습지로 이루어지며,
Chlorella sp., Nannochloris ocalata, Chaetoceros gracillis, Dunaliela salina, Isochrysis galbana, Navicula incerta, Pavlova lutheri, Tetraslemis suecic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미세조류가 서식함으로써 조성된다.
상기 초지(104)에 식생 가능한 식물로는 잔디, 크로바, 코스모스, 채송화, 억새, 강아지풀, 도라지, 술패랭이, 서양민들레, 애기똥풀, 갯까지수영, 솔체꽃, 갑산제비꽃, 구절초류, 민들레류, 꽃창포, 쑥, 안고초, 참싸리, 비수리, 낭아초, 벌노랑이, 충꽃나무, 과꽃, 쑥부쟁이, 수염패랭이, 샤스타 데이지, 끈끈이 대나물, 춘차국, 대금계국 등이 있다.
식물이 빛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광합성을 한다는 사실은 일반화되어 있는 것으로 녹색 색소인 엽록소로 빛을 흡수한다. 광합성을 통해 식물체 내에 흡수된 이산화탄소는 포도당으로 전환되며 탄소를 저감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같이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는 초지(104)에 식생되는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흡수된 이산화탄소를 포도당으로 전환함으로써 탄소 저감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 나무더미(105)는 중·소형 야생동물, 특히 소형동물의 피신처, 은신처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중·소형 야생동물들은 불안감을 해소하여 에코브리지를 통한 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나무더미(105)는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기는 하나,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자면, 통나무를 이용하여 일정면적의 적층구조체를 이루되, 각 층이 서로 격자를 이루도록 적층하여 구성한다.
상기 다종먹이대(106)는 포유류와 조류를 위한 먹이대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종먹이대(106)는 전체적으로 큰 우산 위에 작은 우산이 설치된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스틸파이프(Steel Pipe)로 이루어진 기둥(106-1)과,
상기 기둥(106-1)의 하부 일정 지점을 중심축으로 하여 깔때기형으로 설치되는 건초망(106-2)과,
상기 기둥(106-1)과 결합을 이루어, 상기 건초망(106-2)의 하부를 지지하는 건초망 받침대(106-3)와,
상기 건초망(106-2)이 설치된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건초망(106-2)을 완전히 덮도록 형성되는 우산형상의 제1덮개부(106-4)와,
상기 제1덮개부(106-4)의 상부에 설치되는 원형 새모이통(106-5)과,
상기 원형 새모이통(106-5)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원형 새모이통(106-5)을 완전히 덮도록 형성되는 우산형상의 제2덮개부(10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둥(106-1)의 하부는 콘크리트 시공을 통해 지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기둥(106-1)이 설치된 지면은 자갈다짐을 한다.
상기 제1덮개부(106-4)와 제2덮개부(106-6)는 볏짚 또는 억새를 엮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건초망(106-2)과 원형 새모이통(106-5) 상부에 형성되어 지붕 역할을 함으로써, 비, 바람, 태양 등의 외부환경에 먹이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상기 돌 은폐·엄폐물(Shelter)(107)는 나무더미(105)와 함께 중·소형 야생동물들의 피신처, 은신처 역할을 함으로써, 야생동물들이 에코브리지를 통해 자연스런 통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 은폐·엄폐물(Shelter)(107)은 일정한 구조체를 이루기 보다 돌 무더기 형태로 적층하여 자연스런 은폐·엄폐물(Shelter)을 제공한다.
상기 초식동물먹이대(108)는 간벌목, 폐목재, 하드우드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목재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프레임(108-1)의 하부 네 모서리에 각각 다리(108-2)를 연결하여 탁자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사각 프레임(108-1)의 상부에 다수의 바닥목재(108-3)를 설치하여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사각 프레임(108-1)의 상부 네 모서리에 각각 기둥(108-4)을 형성하고,
상기 기둥(108-4)에 지지하여 지붕(108-5)을 형성하고,
상기 사각 프레임의 측부에 사각 새모이통(108-6)을 형성한 후,
상기 지붕을 볏짚 또는 억새의 마감재(108-7)로 덮어 마감처리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초식동물먹이대(108)는 야생의 고라니, 노루, 멧토끼 등의 초식동물들에게 인공적으로 먹이를 제공하기 위한 먹이대이다.
이와 같은 초식동물먹이대(108)는 초식동물 외에, 설치류 또는 소형포유류 등 해당지역에서 출현빈도가 높은 야생생물들의 먹이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야생생물들의 자연스런 접근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목재 은폐·엄폐물(W-Shelter)(109)는 상기 나무더미(105), 돌 은폐·엄폐물(Shelter)(107)와 함께 중·소형 동물들의 피난처와 안식처 역할을 한다.
상기 조류먹이대(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줄기(110-1a), 나뭇가지(110-1b)를 포함한 나무 형상을 이루는 먹이대 몸체부(110-1)와, 상기 나뭇가지의 끝에 설치하는 과실모형(110-2)과, 상기 먹이대 몸체부(110-1)에 고정 설치하는 새집(11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류먹이대(110a)에 설치되어 있는 과실모형(110-2)과 새집(110-3)은 새들이 선호하는 색상을 갖는다.
상기 과실모형(110-2)과 새집(110-3)의 지붕은 조류의 선호색상인 빨강, 초록, 파랑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색상으로 도색된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7의 (a)는 빨강 지붕의 새집(110-3)을 도시하고 있고, 도 7의 (b)는 파랑 지붕의 새집(110-3)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새집(110-3)의 내부에는 조류가 선호하는 빨강, 초록, 파랑, 노랑, 녹색, 분홍 계열의 먹이를 넣어 둠으로써, 조류의 접근성을 최대로 높이도록 한다. 상기 먹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옥수수, 밀, 귀리, 쌀, 기장, 카나리씨드 중 선택되는 곡류의 낟알과 사탕수수가 있다.
이와 같이 조류먹이대(110a)의 조성에 있어 색상을 고려하는 이유는 조류의 섭식행동에 있어 먹이의 색상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 예로서 분홍색곤줄박이는 노란색, 되지빠귀는 녹색, 멧새는 분홍색의 먹이를 선호한다.
상기 관리용 보행로(111)는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 상판 양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관리용 보행로(111)는 에코브리지의 내측과 차폐막(113)에 의해 분리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야생동물들이 에코브리지를 이용하더라도, 관리용 보행호(111)와, 이를 이용하는 관리자를 확인하기 어려워 안정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방음벽(112)은 상기 관리용 보행로(111)에 인접하여 형성되되, 에코브리지 내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음벽(112)은 기존 방음시설에 사용하던, 목재,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중 선택되는 어느 1의 재질로 이루어진 방음패널(112a)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음패널(112a)의 구조를 상부 일부가 '
Figure 112016066952807-pat00001
' 와 같이 소성의 각도로 꺾이도록 제작한 후, 이산화탄소 흡착제(112c)로 코팅처리된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잣나무, 낙엽송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1참나무 패널(112b)을 부착 고정함으로써 완성된다.(도 8)
상기 방음패널(112a)의 구조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는 않으나, 방음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부 일부가 소정의 각도로 꺾인 '
Figure 112016066952807-pat00002
'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대체서식지 조성에 사용되는 방음벽(112)은 종래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되었던 방음시설을 재활용함으로써, 기본적인 방음기능 외에 이산화탄소 흡착 기능성을 부여하여 재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방음벽(112) 제작을 위한 제1참나무 패널(112b)의 고정 또는 부착은 접착제, 볼트·너트 등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한 결합부재를 사용한다.
상기 차폐막(11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차량 배기가스의 흡수·흡착이 가능한 이산화탄소 흡착제(113c)로 코팅처리된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잣나무, 낙엽송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2참나무 패널(113a)을 이용하여 목재 유도울타리 형태로 제작하거나(도 9의 (a)),
또는 이산화탄소 흡착기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제(113c)로 코팅된 2개의 제2참나무 패널(113a) 사이에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활성탄소섬유(113b)를 넣어 일체로 만든 패널을 사용하여 목재 유도울타리 형태로 차폐막(113)을 제작한다.(도 9의 (b))
상기 활성탄소섬유(113b)는 마그네슘 산화물로 표면처리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특성을 향상시킨 것을 사용한다. 상기 활성탄소섬유(113b)는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 흡착능을 갖고 있으나, 상기 마그네슘 산화물로 표면처리함으로써 이와 같은 흡착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이산화탄소 흡착을 통한 이산화탄소 농도 저감에 효과적이다.
이산화탄소는 산성가스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활성탄소섬유를 염기 특성을 갖도록 표면처리함으로써 이산화탄소 흡착 특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 산화물에 의한 표면처리는 활성탄소섬유를 5M H2SO4에 실온상태에서 담지처리한 다음, 증류수로 세척한 후 필터링하여 20~24시간 동안 건조하고,
상기 과정을 거친 활성탄소섬유를 질소 분위기 하에서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용액에 넣어 25~50분 동안 침지시키고,
질산마그네슘(magnesium nitrate)을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에 용해시켜 제1혼합물을 조성한 후, 상기 제1혼합물을 활성탄소섬유를 넣은 에킬렌글리콜 용액에 넣어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pH조절을 위해 1.0M NaOH 용액을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환원제인 아세트알데하이드(CH3CHO)를 첨가한 후 마그네슘 입자의 환원을 위해 3~5시간 동안 100~130℃에서 교반하고,
위의 과정을 거친 활성탄소섬유를 에탄올로 세척한 후 100~120℃에서 10~15시간 동안 건조하여 마그네슘 표면 처리된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하고,
상기 마그네슘 표면 처리된 활성탄소섬유를 200~300℃에서 5~10분간 공기하에서 소각로에서 산화처리하여 활성탄탄소섬유의 마그네슘을 산화처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차폐막(113)은 방음벽(112)과 인접하여 형성되되, 에코브리지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에코브리지를 이용하는 야생동물들의 안전한 사용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방음벽(112)과 차폐막(113)의 설치위치는, 방음벽(11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미관성 좋지 않을 경우 방음벽(112)과 차폐막(113)의 설치위치를 상호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식재부(114)는 상기 차폐막(113)에 인접하여,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잣나무, 낙엽송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참나무류가 식재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식재부를 이루는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등 참나무는 이산화탄소(CO2) 흡수량이 가장 높은 수종이다.
상기 방음벽(112), 차폐막(113) 및 식재부(114)는 공통적으로 이산화탄소 흡수·흡착기능을 갖는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잣나무, 낙엽송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하는 기능을 통해 에코브리지 주변 이산화탄소 농도를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기능을 한다.
상기 목재유도울타리(115)는 기존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를 대체하여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 설치함으로써, 야생동물들에 대한 거부감을 억제하도록 한다.
상기 목재유도울타리(115)는 도로의 양 측을 따라 형성되어 도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에코브리지를 이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야생동물들의 이동이 에코브리지를 통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재유도울타리(115)는 간벌목, 폐목재, 하드우드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목재를 보존처리제에 함침하거나, 또는 상기 목재에 보존처리제를 도포 또는 분사하여 보존처리제 처리한 목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으로서, 초속경시멘트 콘크리트를 통한 신속 시공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설치된다.
간벌목, 폐목재, 하드우드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목재를 보존처리제로 처리하는 단계와,
유도울타리 기둥을 설치하기 위하여, 1.5~5m 지점마다 굴토 후, 상기 보존처리된 목재를 세운 다음, 여기에 시멘트 콘크리트 주입하고 양생하여 울타리기둥(115b)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시멘트 콘크리트(115a)에 의해 울타리 기둥이 완전히 지면에 고정한 후, 고정된 2개의 울타리기둥(115b)의 1.2m~1.8m 높이 지점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보존처리된 목재를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는 상부가로지지대(115c)설치 단계와,
상기 상부가로지지대(115c)가 설치된 2개의 울타리기둥(115b)의 30㎝~50㎝ 높이 지점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보존처리된 목재를 가로방향으로 설치하여 소형동물의 통제를 차단하는 하부가로지지대(115d)설치 단계와,
상기 상부가로지지대(115c)와 하부가로지지대(115d)에 의해 상·하부가 지지받도록 세로방향으로 상기 보존처리된 목재 설치하는 울타리벽(115e)설치단계와,
상기 울타리벽(115e)에 동물기피제를 수용한 기피제보관함(115f)을 설치하는 단계를 거쳐 설치된다.
상기 보존처리제는 방부, 방충, 방균 효과가 있어 비, 바람, 벌레 등의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목재가 쉽게 파손 및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도울타리의 유지 및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방염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화재 저항특성이 강하여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보존처리제는 구체적으로는 인산(sphoric acid) 57~82wt%; 피리딘, 퀴놀린 퓨란, 피란, 싸이오펜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헤테로고리 화합물(Heterocyclic compound) 2~5wt%; 프로폴리스(Propolis) 0.5~2.5wt%; 탄산구리(CuCO3) 0.5~5wt%; MEA(모노에타놀아민) 5~10wt%; 계면활성제 5~30wt%; 물 5~3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프로폴리스는 수지 50~55%, 밀랍 25~35%, 정유(精油) 등의 유성성분 10%, 화분 5%, 다양한 유기물 및 무기질 5%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휘발성분으로 30종 이상의 화합물이 분리되며, 주요 성분은 플라보노이드류(플라본, 플라노블 등)이다. 이는 세균, 바이러스 등에 대항하는 억제작용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산구리(CuCO3)는 탄산나트륨과 복염(複鹽)으로 얻는 청록색 물질로서, 방부기능을 부여한다.
상기 보존처리제를 이용한 간벌목, 폐목재, 하드우드의 보존처리는 60~70℃의 온도를 유지하는 보존처리제에 목재를 7~10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상온에서 1~2일간 건조처리한 것을 목재 함수율이 30%에 이를 때까지 건조처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보존처리제는 목재에 방부, 방충, 방균, 방염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유도울타리의 유지·관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 및 경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시멘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둥을 설치한 후에는, 기둥의 상부, 하부로 상부가로지지대와 하부가로지지대를 설치하며, 이때 상기 상부가로지지대는 2개의 울타리 기둥의 1.2m~1.8m 높이 지점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가로지지대는 30㎝~50㎝ 높이 지점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부가로지지대와 하부가로지지대는 유도울타리의 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세로방향의 목재설치를 위한 것으로서, 상부가로지지대와 하부가로지지대에 고정하여 다수의 목재를 세로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유도울타리의 벽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가로지지대는 지면으로부터 30~50㎝에 형성됨으로써 소형동물들의 통제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외에 동물의 접근 기피를 위하여, 유도울타리에 동물기피제를 보관한 기피제보관함을 설치하며, 상기 동물기피제는 아크릴 에멀젼:폴리우레탄 수지가 6:4 중량 비율로 중합되어 조성된 바인더 90~95wt%와,
자스민, 오렌지, 콩코드 포도, 히야신스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 마늘 추출액; 고추 추출액; 후추 추출액; 겨자추출액; 양파 추출액; 생강 추출액;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추출물 0.5~5wt%와,
이산화티타늄(TiO2) 1~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이용한다.
도 11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생태통로 시스템을 구성하는 목재유도울타리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의 (b), (c)의 경우는 시멘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둥 시공이 어려운 경우에 적용하는 목재유도울타리로써, 기둥의 하단부를 뾰족하게 하여 바로 지면에 고정하거나(b), 별도의 지지대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유도울타리가 쓰러지지 않도록 고정설치한다(c).
본 발명의 생태통로 목표종에 적합한 현장 맞춤형 친자연적 생태통로 시스템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는 야생동물들의 습성에 맞는 환경을 제공하여 줌으로써 자연스런 접근 및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산화탄소 흡수와 방음차단 기능의 방음벽과, 이산화탄소 흡수와 차폐 기능의 차폐막을 이중으로 설치함으로써 야생동물들이 차량의 이동간 발생하는 소음에 의해 긴장을 유발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또한 이산화탄소 농도 저감을 통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야생동물들의 생태통로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어 서식지 단절에 따른 많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101: 에코브리지 몸체부 102: 흙길
103: 생태습지 104: 초지
105: 나무더미 106: 다종먹이대
107: 돌 은폐·엄폐물(Shelter) 108: 초식동물먹이대
109: 목재 은폐·엄폐물(W-Shelter) 110: 조류먹이대
111: 관리용 보행로 112: 방음벽
113: 차폐막 114: 식재부
115: 목재유도울타리

Claims (5)

  1. 기존 수림과 이어지는 입·출구의 양끝을 넓게 하여 야생동물의 자연스러운 진입을 유도하는 에코브리지 몸체부(101);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형성되는 흙길(102);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입·출구 주변에 조성되어 이산화탄소 저감기능을 갖는 생태습지(103);
    상기 흙길(102)을 기준으로 양 구역의 전면에 형성되는 초지(104);
    상기 초지(104)의 전면에 걸쳐 설치되어 소형 야생동물의 피신처 역할을 하는 나무더미(105);
    상기 초지(104) 위로 설치되되,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입·출구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야생동물들의 은신처와 먹이를 제공하는,
    포유류와 조류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상·하 이용공간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다종먹이대(106),
    돌을 쌓아 만든 돌 은폐·엄폐물(Shelter)(107),
    사각 프레임의 하부 네 모서리에 각각 다리를 연결하여 탁자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사각 프레임 상부 네 모서리에 각각 다리를 연결한 후 그 상부에 지붕을 형성한 초식동물먹이대(108),
    목재를 쌓아 만든 목재 은폐·엄폐물(W-Shelter)(109),
    나무 형상을 이루어 과실모형과 새집이 설치되어 있는 조류먹이대(110);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101) 상판 양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관리용 보행로(111);
    상기 관리용 보행로(111)를 따라 에코브리지 몸체부(101) 상판에 설치되어 도로, 철로에서 발생하는 소음 차단과 이산화탄소 저감기능을 갖는 방음벽(112);
    상기 방음벽(112)을 따라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내측에 조성되어 도로에서 발생하는 빛과 소음을 차단하는 차폐막(113);
    상기 차폐막(113)을 따라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내측에 조성되는 식재부(114);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관리용 보행로(111)까지 이어지는 목재유도울타리(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코브리지로서,
    상기 에코브리지 몸체부(101)의 상부는 흙길(102), 초지(104), 식재부(114) 조성을 위해, 유기물이 7~42wt%로 포함된 토양층(101b)이 형성되고,
    상기 방음벽(112)은 목재,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중 선택되는 어느 1의 재질로 이루어진 방음패널(112a)의 양면으로 이산화탄소 흡착제(112c)로 코팅처리된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잣나무, 낙엽송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으로 이루어진 제1참나무 패널(112b)을 부착하여 형성되며,
    상기 차폐막(113)은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잣나무, 낙엽송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으로 이루어진 제2참나무 패널(113a)로 이루어지되, 2개의 제2참나무 패널(113a) 사이에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활성탄소섬유(113b)를 넣어 일체화 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소섬유는 마그네슘 산화물로 표면처리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특성을 향상시킨 것으로서,
    상기 마그네슘 산화물에 의한 표면처리는 활성탄소섬유를 5M H2SO4에 실온상태에서 담지처리한 다음, 증류수로 세척한 후 필터링하여 20~24시간 동안 건조하고,
    상기 과정을 거친 활성탄소섬유를 질소 분위기 하에서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용액에 넣어 25~50분 동안 침지시키고,
    질산마그네슘(magnesium nitrate)을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에 용해시켜 제1혼합물을 조성한 후, 상기 제1혼합물을 활성탄소섬유를 넣은 에킬렌글리콜 용액에 넣어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pH조절을 위해 1.0M NaOH 용액을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환원제인 아세트알데하이드(CH3CHO)를 첨가한 후 마그네슘 입자의 환원을 위해 3~5시간 동안 100~130℃에서 교반하고,
    위의 과정을 거친 활성탄소섬유를 에탄올로 세척한 후 100~120℃에서 10~15시간 동안 건조하여 마그네슘 표면 처리된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하고,
    상기 마그네슘 표면 처리된 활성탄소섬유를 200~300℃에서 5~10분간 공기하에서 소각로에서 산화처리하여 활성탄탄소섬유의 마그네슘을 산화처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87624A 2016-07-11 2016-07-11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 KR101687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624A KR101687267B1 (ko) 2016-07-11 2016-07-11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624A KR101687267B1 (ko) 2016-07-11 2016-07-11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267B1 true KR101687267B1 (ko) 2016-12-16

Family

ID=5773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624A KR101687267B1 (ko) 2016-07-11 2016-07-11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2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436A (ko) * 2020-11-04 2022-05-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독립형 새집 조립체 및 이를 위한 링체
KR20220060437A (ko) * 2020-11-04 2022-05-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걸이형 새집 조립체 및 이를 위한 링체
KR102555129B1 (ko) * 2023-04-11 2023-07-14 일월조경건설 주식회사 조경용 울타리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692B1 (ko) 1997-01-29 2000-01-15 이상우 방음벽 설치 방법 및 그 구조
KR100510258B1 (ko) * 2003-05-30 2005-08-2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친환경적인 생태연결통로
KR100759863B1 (ko) 2007-01-11 2007-09-18 박종영 유지 보수형 방음벽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0974261B1 (ko) 2010-01-14 2010-08-06 신성컨트롤(주) 요철 은폐형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설치방법
JP2012086127A (ja) * 2010-10-18 2012-05-10 Sekisui Jushi Co Ltd 浄化ユニット及び浄化ユニットを用いた浄化構造体
KR101286959B1 (ko) 2012-12-04 2013-07-23 김정영 옹벽형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 설치 방법
KR101292096B1 (ko) 2012-12-04 2013-08-08 김정영 방음벽(옹벽형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의 설치 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
KR101403550B1 (ko) * 2014-04-23 2014-06-09 이미란 비점오염·이산화탄소·배기가스의 저감을 위한 인터체인지 생태조성 시스템
KR101438649B1 (ko) 2012-11-06 2014-09-12 에스에이 주식회사 H빔 대체 전주형 지주를 이용한 방음벽 설치방법
KR101451324B1 (ko) * 2014-01-16 2014-10-22 이미란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Road-Kill) 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692B1 (ko) 1997-01-29 2000-01-15 이상우 방음벽 설치 방법 및 그 구조
KR100510258B1 (ko) * 2003-05-30 2005-08-2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친환경적인 생태연결통로
KR100759863B1 (ko) 2007-01-11 2007-09-18 박종영 유지 보수형 방음벽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0974261B1 (ko) 2010-01-14 2010-08-06 신성컨트롤(주) 요철 은폐형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설치방법
JP2012086127A (ja) * 2010-10-18 2012-05-10 Sekisui Jushi Co Ltd 浄化ユニット及び浄化ユニットを用いた浄化構造体
KR101438649B1 (ko) 2012-11-06 2014-09-12 에스에이 주식회사 H빔 대체 전주형 지주를 이용한 방음벽 설치방법
KR101286959B1 (ko) 2012-12-04 2013-07-23 김정영 옹벽형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 설치 방법
KR101292096B1 (ko) 2012-12-04 2013-08-08 김정영 방음벽(옹벽형 방음벽) 또는 방음벽기초의 설치 방법 및 이동식 거푸집
KR101451324B1 (ko) * 2014-01-16 2014-10-22 이미란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Road-Kill) 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
KR101403550B1 (ko) * 2014-04-23 2014-06-09 이미란 비점오염·이산화탄소·배기가스의 저감을 위한 인터체인지 생태조성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436A (ko) * 2020-11-04 2022-05-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독립형 새집 조립체 및 이를 위한 링체
KR20220060437A (ko) * 2020-11-04 2022-05-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걸이형 새집 조립체 및 이를 위한 링체
KR102533494B1 (ko) 2020-11-04 2023-05-16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독립형 새집 조립체 및 이를 위한 링체
KR102533496B1 (ko) 2020-11-04 2023-05-16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걸이형 새집 조립체 및 이를 위한 링체
KR102555129B1 (ko) * 2023-04-11 2023-07-14 일월조경건설 주식회사 조경용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899B1 (ko) 로드킬 저감과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복합기술이 적용된 대체서식지 조성방법
KR101687267B1 (ko)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
Akre et al. Management of carpenter ants
Lindström et al. Field performance of a protective collar against damage by Hylobius abietis
Bently Wigley et al. A review of wildlife changes in southern bottomland hardwoods due to forest management practices
KR101451324B1 (ko)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Road-Kill) 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
Acda Economically important termites (Isoptera) of the Philippines and their control
KR101655934B1 (ko) 생태통로 목표 종에 적합한 현장 맞춤형 친자연적 통로시스템
Sornnuwat Studies on damage of constructions caused by subterranean termites and its control in Thailand
Hampson et al. Enhancing the biodiversity of Scotland's forest resource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network of forest habitats
CN212971301U (zh) 一种昆虫酒店
Bowen et al. Termite aerial colony elimination using lufenuron bait (Isoptera: Rhinotermitidae)
Indrayani Survey on the infestation of houses by Incisitermes minor (Hagen) in Kansai and Hokuriku areas
Rinkes et al. Ground layer heterogeneity and hardwood regeneration in mixed oak forest
Jensen Effects of facilitation and competition on oak seedlings
Zobrist et al. A literature review of management practices to support increased biodiversity in intensively managed loblolly pine plantations
Cramer Environmental effects of forest residues management in the Pacific Northwest: a state-of-knowledge compendium
KR102649233B1 (ko) 산불 저감형 황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rango et al. Biodeterioration of wood
Tanner et al. A long-term view of old-growth deciduous forests
Harmaja Alciphila vulgaris, a new genus and species of Deutromycetes
Hunter et al. Artificial nesting platforms for bald eagles in southern Ontario, Canada
Guillot et al. Impact of area-wide management on alate densities of the Formosan subterranean termite (Isoptera: Rhinotermitidae).
Hansen Managing carpenter ant populations in urban environments
Harris More about dry-wood term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