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324B1 -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Road-Kill) 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 - Google Patents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Road-Kill) 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1324B1 KR101451324B1 KR1020140005400A KR20140005400A KR101451324B1 KR 101451324 B1 KR101451324 B1 KR 101451324B1 KR 1020140005400 A KR1020140005400 A KR 1020140005400A KR 20140005400 A KR20140005400 A KR 20140005400A KR 101451324 B1 KR101451324 B1 KR 1014513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nce
- wildlife
- roads
- feeding
- extrac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title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4000038280 herbivor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1632576 Hyacinth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40116257 pepper extra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0254 Jasminum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5385 Jasminum sambac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070384 Vitis labrus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4282 Vitis labrusc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4000056139 Brassica creti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3351 Brassica cretic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3343 Brassica rupest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6000 Garlic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QKSKPIVNLNLAAV-UHFFFAOYSA-N bis(2-chloroethyl) sulfide Chemical compound ClCCSCCCl QKSKPIVNLNLAA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20706 garlic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02508 ginger extra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20708 ginger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0460 mustar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72113 onion extra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304 pastoral fa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claims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1
- 210000003739 neck Anatomy 0.000 claims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41000283984 Rodenti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455 vermicu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902 vermicu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354 vermicu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41000282994 Cerv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562 pear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VAMXMNNIEUEQDV-UHFFFAOYSA-N methyl anthranilate Chemical compound COC(=O)C1=CC=CC=C1N VAMXMNNIEUEQD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4000115658 Dahlia pinna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040 Dahlia pinn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05 polymerization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938605 Crocodyl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365 Vitis vin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acryl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OOXNKNUYICQNP-UHFFFAOYSA-N ammonium persulfate Chemical compound [NH4+].[NH4+].[O-]S(=O)(=O)OOS([O-])(=O)=O ROOXNKNUYICQ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41 cation exchan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02398 methyl anthranil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46 repe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8999 Begon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475 Bougainvill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1198 Capreolus pygarg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516 Chrysanthem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250 Chrysanthe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485 Convallaria maj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046 Convallaria maj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632578 Hyacinthus orient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965 Hydropotes inerm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206010023126 Jaundi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08129 Lepus corea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46 Meles mel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02129 Mu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04651 Mustela sibir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82564 Nyctereutes procyon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45768 Pluchea carol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501970 Prionailurus bengal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535 Puccinial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70 ammonium per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66 anti-cip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67 attr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6 biot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1902 chemoattractant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879 dioscor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0 emuls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78 jas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2 lacqu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60 morphological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96 olfactory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1 per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62 per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JRKICGRDRMAZLK-UHFFFAOYSA-L persulfate group Chemical class S(=O)(=O)([O-])OOS(=O)(=O)[O-] JRKICGRDRMAZLK-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39 potass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41 scale-up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38 sod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8—Chicken coops or houses for baby chicks; Brooder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또는 철로의 주변을 따라 자연목 또는 간벌목으로 제조된 울타리를 설치하여 야생생물들이 도로 또는 철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유도울타리와, 조류와 초식동물들의 사용공간을 구분하고, 구분된 사용공간을 통해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대와, 벽면 녹화공법을 이용하여 벽면을 녹화처리하여 친자연적으로 조성하는 생태이동통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 또는 2 이상의 시설물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야생생물들의 도로, 철로 진입을 차단하고자 했던 기존의 진입차단 개념뿐만 아니라, 친자연적 재료 및 먹이 등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서식지로의 이동을 유도하고자 하는 유도적 개념을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야생생물들의 도로, 철로에서의 사고발생률을 줄여 생물다양성 보전 및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사고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급격한 경제성장과 산업화 과정에서 생태계를 고려하지 않은 개발로 인해 야생생물의 서식지가 파괴되고 서식환경 여건이 악화되어 해마다 0.5%씩 종의 수, 즉 종의 다양성이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함에도 경제적 성장과 산업화를 위한 개발행위는 계속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도로, 철로의 신설, 확충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산업화 환경 속에서 해마다 야생생물들이 도로, 철로에서 사고를 당해 사라져가고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도울타리, 생태통로 등의 야생생물의 보호 또는 사고예방을 위한 구조물을 설치하고 있으나, 최근 신설하고 있는 생태이동통로는 야생생물들의 서식 환경 및 습성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추진함으로써 설치대상지 선정의 오류와 더불어, 조성기법의 부족으로 인해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종의 다양성 감소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야생생물들이 도로, 철로로 진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생태이동통로로의 이동을 유도함으로써 야생생물들이 단절된 서식지간의 이동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 또는 철로에서 야생생물의 사고 예방과 더불어 도로, 철로 운전자 및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야생생물들이 도로, 철로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생태이동통로를 통해 단절된 서식지 간의 이동을 유도하고,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발생률을 줄임으로써 종의 다양성이 보전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및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의 제공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야생생물들, 특히 먹이를 구하려는 동물들이 도로 또는 철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야생생물들이 먹이를 섭취 후 서식지로 돌아가는 습성을 이용하기 위한 야생생물 먹이대를 포함하는 도로 및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의 제공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 또는 철로의 주변을 따라 자연목 또는 간벌목으로 제조된 울타리를 설치하여 야생생물들이 도로 또는 철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유도울타리와,
조류와 초식동물들의 사용공간을 구분하고, 구분된 사용공간을 통해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대와,
벽면 녹화공법을 이용하여 벽면을 녹화처리하여 친자연적으로 조성하는 생태이동통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 또는 2 이상의 시설물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및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은 야생생물들이 도로 또는 철로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안전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울타리, 먹이대 또는 육교형/터널형 생태이동통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치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구성을 이룸으로써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들의 사고발생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의 전체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1실시예의 유도울타리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2실시예의 유도울타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1실시예의 고정 먹이대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1실시예의 고정 먹이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2실시예의 이동형 먹이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생태이동통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1실시예의 유도울타리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2실시예의 유도울타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1실시예의 고정 먹이대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1실시예의 고정 먹이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2실시예의 이동형 먹이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생태이동통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상기의 기술 구성에 대해 도면과 함께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은 도로 또는 철로의 주변을 따라 자연목 또는 간벌목으로 제조된 울타리를 설치하여 야생생물들이 도로 또는 철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유도울타리(10)와,
조류와 초식동물들의 사용공간을 구분하고, 구분된 사용공간을 통해 먹이를 공급하는 고정/이동형 먹이대(20, 20')
벽면 녹화공법을 이용하여 벽면을 녹화처리하여 친자연적으로 조성하는 생태이동통로(30)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 또는 2 이상의 시설물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시설물을 주요 기술 구성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유도울타리(10), 고정/이동형 먹이대(20, 20') 및 생태이동통로(30)를 모두 갖춘 복합 시설물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1차적으로 유도울타리(10)를 통해 야생생물들이 도로, 철로로 진입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차단한 후, 2차적으로 먹이를 두는 고정/이동형 먹이대(20, 20') 이용하여 안전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이후 최종적으로, 육교형 또는 터널형 생태이동통로(30)를 통해 단절된 육상생태계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발생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현장 여건에 따라, 유도울타리만을 설치하여 직접적으로 야생생물들이 도로, 철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먹이대만을 설치하여 먹이를 찾아 도로, 철로로 내려온 야생생물들의 습성을 이용하여 먹이를 섭취한 후 다시 왔던 길을 되돌아가도록 유도하거나,
또는 육교형, 터널형 생태이동통로만을 설치하여 단절된 육상상태계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시설물을 구성함으로써,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도울타리(10), 고정/이동형 먹이대(20, 20'), 생태이동통로(30) 중 선택되는 어느 1의 시설물을 단독으로 설치하는 경우 외에, 상황에 따라서는 유도울타리(10), 고정/이동형 먹이대(20, 20') 또는 생태이동통로(30)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의 시설물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설치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형태인 유도울타리, 고정/이동형 먹이대, 생태이동통로를 모두 갖춘 복합시설물의 경우(도 1)를 기준으로 하여 시설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고라니(Hydropotes inermis), 너구리(Nyctereutes procyonoides), 멧토끼(Lepuscoreanus), 노루(Capreolus pygargus), 오소리(Melesmeles), 삵(Prionailurus bengalensis), 족제비(Mustela sibirica) 등의 야생생물들이 도로, 철로로 진입하여 사고를 당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대부분 단절된 서식지의 이동을 위한 경우와 초식동물의 경우, 도로 인근 농지 등에서 먹이활동을 하다가 도로로 진입하는 경우 등이 있으며, 육식 또는 잡식성 동물의 경우, 도로 등에 설치된 가로등에 의해 많은 곤충이 모여들기 때문에 이와 같은 먹이자원을 찾기 위해 접근·이동하게 된다.
야생생물들의 로드킬은 도로 인근 지역에 서식하는 야생동물 개체군의 주요한 감소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몸집이 큰 야생생물이 차량과 충돌하게 되는 경우에는 차량파손과 함께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그 피해 정도가 매우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도로, 철로로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해 유도울타리(10)를 설치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목, 간벌목 또는 친환경 재료를 이용하여 제1실시예의 유도울타리(10)를 이룬다.
상기 유도울타리를 자연목, 간벌목 또는 친환경 재료로 구성하는 이유는 자연의 재료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야생생물들이 유도울타리에 대해 거부감을 갖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자연스런 물리적 차단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이외에 부가적으로 차량 운전자들이 인위적인 시설물에 의한 답답함, 주변과의 부조화 및 경관 저하 등에 의한 거부감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도울타리(10)는 다수의 울타리 기둥(101)을 지면으로부터 1.5m~2.0m 높이가 되도록 설치하고, 기둥(101)과 기둥(101) 사이의 설치간격은 5㎝~20㎝로 한다.
그리고 지면으로부터 1.2m~1.8m의 높이 지점과, 30㎝~50㎝의 높이 지점 각각에 상부 가로지지대(102a)와 하부 가로지지대(102b)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 가로지지대(102b)의 아래로는 메쉬망(103)을 설치한다. 이때 메쉬망(103)의 설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0.3m~0.5m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울타리 기둥(101)이 야생생물 또는 외부환경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도울타리 지지대(104)를 5~10m 간격으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유도울타리(10)에는 중간 높이 지점에 중간 가로지지대를 설치하지 않는다. 이는 야생 생물들이 상기 중간 가로지지대를 발판으로 이용하여 유도울타리(10)를 넘어 도로, 철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유도울타리(10)의 상부와 하부에만 횡 방향으로 설치하는 가로지지대(102)를 설치하고, 중간 지점에는 비워두게 된다.
상기 하부 가로지지대(102b)의 아래에 설치되는 메쉬망(103)은 상대적으로 몸집이 작은 설치류 등이 울타리 기둥(101) 사이를 빠져 나가 도로, 철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도울타리(10)에는 야생생물들이 접근하는 것을 인위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동물기피제함(105)을 유도울타리(10)에 설치하거나 또는 동물기피제를 유도울타리(10)에 도포함으로써, 동물기피제로부터 발산되는 냄새를 통해 야생생물들이 유도울타리(10)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동물기피제함(105)에 넣어 두는 동물기피제로는 자스민, 오렌지, 콩코드 포도, 히야신스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 마늘 추출액; 고추 추출액; 후추 추출액; 겨자 추출액; 양파 추출액; 생강 추출액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사용한다.
그리고 유도울타리(10)의 표면에 도포하는 동물기피제로는 아크릴 에멀젼:폴리우레탄 수지가 6:4 중량 비율로 중합되어 조성된 바인더 90~95wt%와,
자스민, 오렌지, 콩코드 포도, 히야신스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 마늘 추출액; 고추 추출액; 후추 추출액; 겨자 추출액; 양파 추출액; 생강 추출액;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추출물 0.5~5wt%와,
이산화티타늄(TiO2) 1~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도포액을 사용하며, 상기 도포액을 유도울타리(10)의 표면에 도포처리한다.
상기 동물기피제에 사용하는 바인더는 일정점도를 유지해야 하고, 접착능력이 우수하여야 하며, 첨가제와의 반응이 없어야 한다. 도포제에 있어서 바인더는 도포제 전반적인 특성을 부여하는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바인더를 제조하기 위하여, 아크릴 에멀젼:폴리우레탄 수지를 6:4 중량비율로 혼합 조성한 100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0.1~0.5중량부와, 중합개시제 0.001~0.5중량부를 첨가하여 중합반응을 일으킨다.
상기 분산제인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가 오히려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0.5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입자 크기의 감소효과가 미미하여 무의미하므로,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0.1~0.5중량부의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이 0.001~0.5중량부를 벗어날 경우에는 중합반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제(Initiator)의 분해는 반응을 일으키는 자유라디칼을 생성하게 되는데 유화 중합에서는 주로 수용성 물질을 사용한다. persulfate염이나 과산화수소물질이 많이 사용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sodium, potassium, ammonium persulfate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바인더의 사용량이 90wt% 미만인 경우에는 제대로 도포가 이루어지지 않고, 9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추출물, 이산화티탄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기피효과가 떨어지거나 도포 물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바인더는 전체 동물기피제의 함량 중 90~95wt%의 범위 내로 사용량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은 자스민, 오렌지, 콩코드 포도, 히야신스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이거나, 또는 마늘 추출액 고추 추출액, 후추 추출액, 겨자 추출액, 양파 추출액, 생강 추출액이다.
이와 같은 물질은 천연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하면서 야생동물이 싫어하고 기피하는 향취를 갖기 때문에 야생동물들의 후각 신경을 자극하여 유도울타리(10)로의 접근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자스민, 오렌지, 콩코드 포도, 히야신스의 추출액 내에는 동물들의 기피성분인 methyl anthranilate(MA)이 포함되어 있어 동물들이 유도울타리(10)로 접근하는 것을 억제시켜 준다.
상기 히야신스는 식물분류학적으로 단자엽식물에 속하는 구근으로 독특하면서도 달콤한 향기를 갖는다. 원예상의 히야신스는 대부분 오리엔타리스종(Hyacinthus orientalis L.)의 개량종이다.
상기 추출물의 사용량이 0.5wt% 미만인 경우에는 동물 기피 효과가 떨어지고, 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동물 기피 효과에 큰 변화가 없어 무의미하므로, 상기 추출물의 사용량은 전체 동물기피제의 함량 중 0.5~5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티타늄(TiO2)은 유도울타리에 도포하는 동물기피제의 접착강도, 물성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비중(25℃) 4.0, pH 8.1, 분말크기 0.3㎛인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이산화티타늄(TiO2)의 사용량이 1wt%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강도, 물성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도포작업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이산화티타늄(TiO2)의 사용량은 전체 동물기피제의 함량 중 1~5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제2실시예의 유도울타리(10')를 제시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 1의 유도울타리(10)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자면, 메쉬망(103)을 볏짚 또는 억새가림막(106)으로 가려줌으로써 야생생물들에게 거부감을 주지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차단막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울타리 기둥은 지반에 콘크리트 기초(107)에 의해 고정되어 단단히 고정설치됨으로써, 제1실시예 1에서 유도울타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도울타리 지지대(104)를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 유도울타리(10)를 통해 야생생물들이 도로, 철로로 진입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한 후에는 2차적으로 고정/이동형 먹이대(20, 20')를 통해 야생생물들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야생생물들은 유도울타리(10)를 따라 설치된 고정/이동형 먹이대(20, 20')에 놓인 먹이를 먹으면서 차츰 그 이동방향을 생태이동통로 방향으로 진행을 유도할 수도 있으나, 야생생물들의 특성상 먹이를 구하기 위해 도로변으로 내려온 경우에는 습성상 먹이를 먹고 나서 다시 원래의 서식지로 되돌아가기도 하기 때문에 야생생물들 중 일부만이 유도울타리(10)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생태이동통로(30)를 이용하고, 나머지 일부는 먹이를 먹은 후에 다시 원래의 서식지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 제1실시예의 고정 먹이대(20)는 조류와 초식동물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먹이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새집과 조류의 먹이를 놓아두는 조류먹이대로 이루어진 조류들의 영역과, 하부에 설치되는 우산모양을 갖춘 초식동물 영역이 함께 구성된다.
상기 고정 먹이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201)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조류먹이대(21)와, 상기 조류먹이대(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초식동물 먹이대(22)와, 상기 기둥(201)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둥지지대(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류먹이대(21)는 조류 먹이를 놓아두는 조류먹이공급부(211)와, 상기 조류먹이공급부(211)의 일측 지점에 설치되는 새장(21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초식동물 먹이대(22)는 상기 조류먹이대(21)의 하부로 다각 구조의 우산형상을 갖는 지붕(221)과, 상기 지붕 아래에 설치되되, 상기 기둥(201)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 상기 지붕(221)에 연결되는 다수의 내부목으로 이루어지는 초식동물먹이공급부(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붕(221)의 상면을 수피로 덮어줌으로써, 보다 자연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여 야생생물들의 자연스런 접근을 유도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의 고정 먹이대(20)는 상부를 조류들의 먹이 공간으로 활용하고, 하부에는 초식동물, 설치류 또는 소형포유류 등 해당지역에서 출현빈도가 높은 야생생물들의 먹이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야생생물들의 자연스런 접근 및 이동을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고정 먹이대(20)의 설치개수는 생태이동통로(30)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도 6은 먹이대의 제2실시예로서 이동형 먹이대(2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이동형 먹이대(20')는 상기 고정 먹이대(20)와 달리 이동형이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이동형 먹이대(20')는 자연목으로 만들어진 지붕(201')과, 상기 지붕(201')을 지지하는 다수의 가로대(202')와, 상기 지붕(201')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 가로대(202')와 연결되어 '×'자로 설치되는 '세로대(203')를 포함하며,
또한, 지면에는 야생생물들의 먹이를 두는 먹이통(204')을 구비한다.
상기 생태이동통로(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형태의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301)와,
상기 몸체부(301)의 내부 지면 일측에 형성되는 수로(302)와,
상기 몸체부(301)의 내부 지면 타측에 테이블 형태로 설치하는 이동마루(303)와,
상기 몸체부(301) 내부 측벽에 설치하되, 수피가 제거되지 않은 자연목으로 하는 설치류이동봉(3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생태이동통로(30)를 구성하는 상기 몸체부(301)는 콘크리트 시설물로서 터널 형태로 미리 제작된 것을 현장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작업 현장 여건상 현장에서의 직접 시공도 가능하다.
사슴과 같은 대형의 초식동물은 좁고 긴 터널을 지나가는 것을 매우 꺼리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동물이 지나가도록 터널형 통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터널의 길이를 줄이거나 터널의 단면적을 키워서 좁고 긴 느낌을 줄여야 한다. 이때 어느 정도까지 규모를 키워야 하는가에 대한 적정 수치는 설계와 예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 '개방도(Openness index, Openness ratio)' 라는 개념이 적용되며, 이는 통로의 단면적을 통로의 길이로 나눈 수치이다.(개방도 = 통로 단면적 / 통로 길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사슴과 동물인 고라니의 경우 개방도 0.7 이상의 터널형 통로에서 비교적 원활한 이동을 보인다. 예를 들어, 길이 25m의 터널형 통로 를 설치할 경우에는 폭 5m, 높이 3.5m의 통로박스를 조성할 경우 고라니, 노루 등의 사슴과 동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초식동물을 포함하여, 설치류, 양서·파충류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복합적 생태통로의 조성을 위해서는 개방도를 0.7 이상으로 시공한다.
이와 같이 몸체부(301)가 설치되면, 상기 몸체부(301)에는 벽면 녹화공법을 적용하여 덩굴식물을 식재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야생생물들이 거부감을 갖지 않고 상기 생태이동통로(30)의 자연스런 접근 및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벽면 녹화공법은 일반적으로 벽면이라 칭할 수 있는 곳에 녹화를 적용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연지반에 피복형 식생을 심어 피복을 통한 녹화가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벽면 녹화공법을 위하여, 생태이동통로(30)의 하부 지반에 녹화용토양을 채우고, 상기 녹화용 토양에 덩굴식물을 식재하여 생태이동통로(30) 벽면의 녹화를 이룬다.
상기 덩굴식물에는 마, 참마, 단풍마, 쥐방울덩굴, 거지덩굴, 박주가리, 덩굴별꽃, 갈퀴나물, 큰갈퀴, 해녀콩, 큰조롱, 덩굴박주가리, 큰메꽃, 꼭두서니, 수세미오이, 하늘타리, 노랑하늘타리, 돌턱노박덩굴, 청미래덩굴, 후추등, 모람, 왕모람, 애기모람, 멀꿀, 함박이남오미자, 줄사철나무, 녹보리똥나무, 보리밥나무, 큰보리장나무, 왕볼레나무, 송악, 마삭줄, 민마삭줄, 백화등, 털마삭줄, 나도은조롱, 청가시덩굴, 등칡, 검종덩굴, 종덩굴, 누른종덩굴, 세잎종덩굴, 자주종덩굴, 함북종덩굴, 큰꽃으아리, 으아리, 참으아리, 할미밀망, 사위질빵, 으름, 새모래덩굴, 털새모래덩굴, 댕댕이덩굴, 오미자, 흑오미자, 줄딸기, 덩굴장미, 용가시나무, 칡, 등, 애기등, 덩굴옻나무, 노박덩굴, 미역줄나무, 왕머루, 까마귀머루, 새머루포도, 개머루, 가회톱, 담쟁이, 미국담쟁이, 개다래, 쥐다래, 다래, 섬다래, 보리장나무, 능소화, 계요로부터 선택된 것을 식재한다.
상기 녹화공법을 위하여, 상기 생태이동통로(30)의 내측 벽면에는 와이어형 등반유도재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형 등반유도재는 벽면에 고정하는 와이어고정부재와, 상기 와이어고정부재를 중심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형 등반유도재가 설치되어 있는 하부 지반에는 덩굴식물의 식재를 위한 녹화용 토양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녹화용 토양은 3~5mm의 입자크기를 갖는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10~85wt%와, 펄라이트(Perlite) 10~85wt%와, 숯(Charcoal granule) 5~50wt%의 배합비로 조성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펄라이트(Perlite): 숯(Charcoal granule)를 1:1:0.5의 무게비율로 배합한 것을 녹화용 토양으로 사용한다.
상기 버미큘라이트(蛭石, vermiculite)는 금운모나 흑운모의 변질산물인 함수 운모이며 흡습수, 층간수, 결정수 형태의 3가지 수분을 모두 함유하고 있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색은 회백색 또는 갈색이며 진주광택이 나고 양이온교환능력이 크다. 상기 버미큘라이트는 800℃~1,000℃ 정도의 고온에서 약 1분 동안 가열하여 15-20배 팽창된 것을 사용하며 형태적 변화를 통해 높은 통기성과 공기-수분 친화력을 갖는다.
상기 펄라이트는 진주암을 760~1200℃의 고온에서 급격히 가열하여 공극을 많게 한 것으로서 무게의 3~4배 정도의 흡수력을 가지고, pH는 6.0~8.0 정도로 중성에 가깝다. 완충능이 높지 못하고, 양이온 치환용량(Cation Exchange Capacity) 0.15me/100g로 적다. 반면 무기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잘 파괴되지 않아 배지의 통기성은 양호한 편이다.
상기 버미큘라이트 및 펄라이트는 토양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주는 것으로서, 10wt% 미만인 경우에는 토양의 통기성 향상을 크게 기대하기 어렵고, 8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식물의 생장에 큰 변화가 없어 무의미하므로, 상기 버미큘라이트 및 펄라이트의 사용량은 10~85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숯은 미세하고 무수한 간극을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간극은 전부 다 외부와 통해 있어서 물이나 공기가 자유로 통기성을 가지며, 또한 물이나 공기가 접하는 면적이 넓어 표면의 흡착력이 커진다. 토양 속에 숯을 넣으면 통기성이 좋아지며, 산소도 많이 내포하게 되어 배수나 조수도 좋아진다. 즉 미생물은 이런 환경에서 번식을 계속하고 토양 속 유기물을 점차로 분해하여 식물이 생장하기 쉬운 토양을 만들어주게 된다.
이와 같은 숯의 사용량이 5wt% 미만인 경우에는 숯의 의한 식물의 생장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5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버미큘라이트 및 펄라이트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식물 생장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상기 숯의 사용량은 5~5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로(302)는 양서류·파충류의 이동로로서의 기능 외에 설치류; 고라니, 노루, 산토끼 등의 초식동물들에게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이동마루(303)는 목재를 사용하며, 특히 수피가 제거되지 않은 자연목을 엮어 설치하거나, 또는 가공 목재를 사용하되, 상기 가공 목재 위로, 수피, 나뭇잎, 나뭇가지 등을 쌓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이동마루(303)는 자연목을 엮어 만든 상태 그대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부에 수피, 나뭇잎을 쌓아 두고, 그 위로 나뭇가지, 돌무더기를 쌓아둠으로써 야생 생물들에게 친자연적인 분위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서식처, 피난처로서의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로써 초식동물들은 인공적으로 제공되는 이동통로를 경계심을 갖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마루(303)의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부(301)의 내부 측벽에는 설치류이동봉(304)이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류이동봉(304)은 설치류의 이동을 돕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서, 수피가 제거되지 않은 자연목을 고정수단으로 벽면에 고정하여 설치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연목은 1~3m의 길이의 자연목을 몸체부(301)의 내부 측벽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설치하다. 그리고 설치류의 이동 특성을 고려하여, 1~3m의 길이의 다수의 자연목을 10~30cm의 간격을 두어 설치한다. 이로써, 평소 나무를 타고 이동하는 설치류의 주변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여 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은 야생생물들이 도로, 철로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생태이동통로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줌으로써, 야생생물들의 종 감소를 억제하고, 로드킬에 의해 차량파손 및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1: 시설물
10: 유도울타리
20: 먹이대
30: 생태이동통로
10: 유도울타리
20: 먹이대
30: 생태이동통로
Claims (5)
- 도로 또는 철로의 주변을 따라 자연목 또는 간벌목으로 제조된 울타리를 설치하여 야생생물들이 도로 또는 철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유도울타리(10)와,
조류와 초식동물들의 사용공간을 구분하고, 구분된 사용공간을 통해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대(20)와,
벽면 녹화공법을 이용하여 벽면을 녹화처리하여 친자연적으로 조성하는 생태이동통로(30)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 또는 2 이상의 시설물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도울타리(10)는 1.5~2.0m 높이의 자연목 또는 간벌목을 울타리 기둥(101)으로 하여, 도로, 철로 주변을 따라 울타리 기둥(101)과 기둥(101) 사이의 설치간격을 5~20㎝로 하여 인접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울타리 기둥(101)과, 상기 울타리 기둥(101)의 1.2m~1.8m 높이 지점에 가로방향으로 설치하여 울타리 기둥을 고정하는 상부 가로지지대(102a)와, 상기 울타리 기둥(101)의 30㎝~50㎝ 높이 지점에 가로방향으로 설치하여 울타리 기둥(101)을 고정하는 하부 가로지지대(102b)와, 상기 울타리 기둥(101)를 지지하기 위하여 5m~10m의 폭 간격을 두어 상기 울타리 기둥(101)에 기대어 사선방향으로 설치하는 유도울타리 지지대(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먹이대(20)는
기둥(101)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조류먹이대(21)와, 상기 조류먹이대(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초식동물 먹이대(22)와, 상기 기둥(101)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둥지지대(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조류 먹이를 놓아두는 조류먹이공급부(211)와, 상기 조류먹이공급부(211)의 일측 지점에 설치되는 새장(2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초식동물 먹이대(22)는 상기 조류먹이대(21)의 하부로 다각 구조의 우산형상을 갖는 지붕(221)과, 상기 지붕 아래에 설치되되, 상기 기둥(101)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 상기 지붕(221)에 연결되는 다수의 내부목으로 이루어지는 초식동물먹이공급부(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붕(221)의 상면을 수피로 덮어줌으로써, 보다 자연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여 야생생물들의 자연스런 접근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도울타리(10)는 동물기피제를 수용하는 약품보관함(100)을 부가 구성하거나, 또는 유도울타리(10)의 표면에 동물기피제를 도포처리 하는 것으로서,
상기 동물기피제 도포는 아크릴 에멀젼:폴리우레탄 수지가 6:4 중량 비율로 중합되어 조성된 바인더 90~95wt%와,
자스민, 오렌지, 콩코드 포도, 히야신스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 마늘 추출액; 고추 추출액; 후추 추출액; 겨자 추출액; 양파 추출액; 생강 추출액;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추출물 0.5~5wt%와,
이산화티타늄(TiO2) 1~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도포액으로 도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5400A KR101451324B1 (ko) | 2014-01-16 | 2014-01-16 |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Road-Kill) 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5400A KR101451324B1 (ko) | 2014-01-16 | 2014-01-16 |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Road-Kill) 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1324B1 true KR101451324B1 (ko) | 2014-10-22 |
Family
ID=5199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5400A KR101451324B1 (ko) | 2014-01-16 | 2014-01-16 |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Road-Kill) 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132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9549B1 (ko) * | 2015-07-15 | 2016-01-29 |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 로드킬 예방 및 야생동물 유입방지를 위한 수직형 우드 유도울타리 제조방법 |
KR101596334B1 (ko) * | 2015-07-17 | 2016-02-22 |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 서식지 조성시스템에 활용되는 야생동물먹이대 |
KR101655934B1 (ko) * | 2015-12-07 | 2016-09-08 | 이미란 | 생태통로 목표 종에 적합한 현장 맞춤형 친자연적 통로시스템 |
KR101687267B1 (ko) * | 2016-07-11 | 2016-12-16 |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9297B1 (ko) * | 2005-11-08 | 2007-05-17 | 수풍산업 주식회사 | 야생동물 유도 이동통로 |
KR100919098B1 (ko) * | 2007-10-09 | 2009-09-28 | 박헌광 | 대나무를 이용한 자연친화적 조경휀스 |
KR20110085760A (ko) * | 2010-01-21 | 2011-07-27 | ㈜송림원 | 조류 및 동물이동 유도휀스 |
KR101160394B1 (ko) * | 2009-12-21 | 2012-06-26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초식동물 먹이대 |
-
2014
- 2014-01-16 KR KR1020140005400A patent/KR1014513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9297B1 (ko) * | 2005-11-08 | 2007-05-17 | 수풍산업 주식회사 | 야생동물 유도 이동통로 |
KR100919098B1 (ko) * | 2007-10-09 | 2009-09-28 | 박헌광 | 대나무를 이용한 자연친화적 조경휀스 |
KR101160394B1 (ko) * | 2009-12-21 | 2012-06-26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초식동물 먹이대 |
KR20110085760A (ko) * | 2010-01-21 | 2011-07-27 | ㈜송림원 | 조류 및 동물이동 유도휀스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9549B1 (ko) * | 2015-07-15 | 2016-01-29 |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 로드킬 예방 및 야생동물 유입방지를 위한 수직형 우드 유도울타리 제조방법 |
KR101596334B1 (ko) * | 2015-07-17 | 2016-02-22 |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 서식지 조성시스템에 활용되는 야생동물먹이대 |
KR101655934B1 (ko) * | 2015-12-07 | 2016-09-08 | 이미란 | 생태통로 목표 종에 적합한 현장 맞춤형 친자연적 통로시스템 |
KR101687267B1 (ko) * | 2016-07-11 | 2016-12-16 |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 이산화탄소 흡착과 높은 차폐·방음 효과를 갖는 에코브리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1324B1 (ko) | 도로, 철로에서의 야생생물 사고(Road-Kill) 예방을 위한 단위·복합시설물 | |
Dodd | The amphibians of Great Smoky Mountains national park | |
US20160324080A1 (en) | Compact spiky protector comprising multiple three-pronged elements | |
Löf et al. | Regeneration patterns in mixed-species stands | |
US20230329225A1 (en) |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Iguana Infestation | |
Sedhain et al. | Human-Rhino conflict: Local people’s adaptation to impacts of rhino | |
Basile et al. | Conservation of birds as a function of forestry | |
Fitzwater | Nonlethal methods in rodent control | |
James | The arboriculturalist's companion: a guide to the care of trees | |
KR101655934B1 (ko) | 생태통로 목표 종에 적합한 현장 맞춤형 친자연적 통로시스템 | |
CN209039955U (zh) | 一种用于茶园养鸡的栈道 | |
JP2002220306A (ja) | 防虫用ロープ、防虫用ロープ装置及び防虫用ネット並びに簡易防虫装置 | |
Linzey | A natural history guide to Great Smoky Mountains national park | |
US20120204484A1 (en) | Plant enclosure that offers pest control | |
US1169037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guana infestation | |
KR101369901B1 (ko) | 생태적 연속성 유지를 위한 친자연적 생태통로 | |
Evans | Dynamics of a problematic vulture roost in southwest Florida and responses of vultures to roost-dispersal management efforts | |
Randriamiharisoa et al. | Analysis of wetland uses by common mynas (Acridotheres tristis) in the urban environment of Antananarivo, Madagascar | |
Hakami et al. | The Kingdom of Saudi Arabia’s Forest Development and Protection in Light of the Sharia and the Provisions Pertaining to Statutory | |
Wise | Hiking Trails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Comprehensive Guide | |
Swift et al. | Preventing deer damage | |
Bošković et al. | Economical and ecological impact of shelterbelts | |
Bailey | By Leatherwood Creek: A PERSONAL AND NATURAL HISTORY ALONG A SMALL CREEK IN THE OHIO HILL COUNTRY | |
Jones | 1830–1870: Colonial Noontide | |
Strong | Beavers: Nature’s Wetland Ecosystem Engine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