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297B1 -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운전실캡 - Google Patents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운전실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297B1
KR101291297B1 KR1020070053322A KR20070053322A KR101291297B1 KR 101291297 B1 KR101291297 B1 KR 101291297B1 KR 1020070053322 A KR1020070053322 A KR 1020070053322A KR 20070053322 A KR20070053322 A KR 20070053322A KR 101291297 B1 KR101291297 B1 KR 101291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le box
armrest
cab
tilting
til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5568A (ko
Inventor
김용권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70053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297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8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7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2Joy stick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중장비의 콘솔박스를 틸팅시킬 경우 아암레스트가 연동되어 콘솔박스 틸팅방향으로 틸팅됨에 따라, 아암레스트의 선단부가 콘솔박스에 설치된 조작레버 또는 조작버튼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장비의 오작동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은, 좌우측에 아암레스트가 설치되는 운전석과,
운전석의 좌우측에 장착되며, 운전자에 의한 조작으로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조작레버 및 조작버튼이 각각 설치되는 콘솔박스와,
콘솔박스중 출입문측의 콘솔박스 측면에 설치되며, 회동시 링크에 의해 콘솔박스의 래치를 해제시키는 틸팅레버와,
콘솔박스의 래치 해제시 반력에 의해 콘솔박스를 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틸팅시키는 가스스프링과,
출입문측의 콘솔박스 소정위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아암레스트의 후단에 타단이 고정되며, 틸팅레버의 조작으로 콘솔박스의 틸팅시 인장력에 의해 아암레스트를 콘솔박스의 회동방향으로 연동으로 틸팅시키는 와이어 형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운전실캡에 승하차하기 위하여 틸팅레버 조작으로 인해 콘솔박스를 틸팅시 킬 경우 연결부재에 의해 아암레스트를 콘솔박스 틸팅방향으로 틸팅시켜 아암레스 트와 콘솔박스의 상호접촉으로 인한 장비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장비, 운전실캡, 콘솔박스, 아암레스트

Description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cab of heavy equipment of console box and arm rest are interlocked}
도 1(a)은 종래 기술에 의한 중장비용 운전실캡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1(b)는 콘솔박스를 틸팅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틸팅수단의 개략도,
도 1(c)는 콘솔박스 틸팅시 아암레스트가 콘솔박스의 조작레버에 접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의 개략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를 연동시키는 연결부재의 개략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아암레스트(arm rest) 3; 조작레버(RCV lever)
6; 콘솔박스(console box) 9; 안전바(safety bar)
11; 링크 13; 가스스프링
15; 연결부재 17; 브라킷
19; 고정브라킷
본 발명은 중장비의 운전석을 이탈하기 위하여 콘솔박스(console box)를 틸팅시키는 경우 아암레스트(arm rest)가 연동되어 콘솔박스 틸팅방향으로 틸팅되므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의 상호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arm rest)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콘솔박스를 틸팅시킬 경우 아암레스트가 연동되어 틸팅됨에 따라, 아암레스트의 선단부가 콘솔박스에 설치된 조작레버(RCV lever) 또는 조작버튼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장비의 오작동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에 관한 것이다.
도 1(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은, 아암레스트(1)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운전석(2)과,
운전석(2)의 좌우측에 각각 장착되며, 운전자에 의한 조작으로 유압실린더 등의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조작레버(3)와 각종 조작버튼(5)이 각각 설치되는 콘솔박스(6)와,
한 쌍의 콘솔박스중 출입구측의 콘솔박스(6)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운전실캡(8)에 대해 승하차하기 위하여 운전실캡(8) 바닥면쪽으로 회동시, 조작레버(3)에 접속되는 전기신호를 자동으로 차단하므로 장비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안전바(9)(safety bar)와,
운전자에 의해 회동시 콘솔박스(6)의 래치(12)(latch)의 로킹을 해제시킴에 따라 가스스프링(13)의 반력에 의해 콘솔박스(6)를 자동으로 틸팅시키는 틸팅레버(10)를 포함한다.
따라서, 운전실캡(8)에 대해 승하차하기 위하여 틸팅레버(10)를 회동시키는 경우, 틸팅레버(10)와 연결되는 링크(11)에 의해 래치(12)(latch)가 고정핀(23)으로부터 이탈되므로 해제된다. 이로 인해 가스스프링(13)의 반력에 의해 콘솔박스(6)는 이의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틸팅된다.
이때 틸팅레버(10)의 조작에 따라 래치(12)의 로킹을 해제시키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출입통로가 충분하게 확보되는 운전실캡(8)에 대해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아암레스트(1)가 틸팅되지않은 상태에서 콘솔박스(6)를 틸팅시키는 경우, 아암레스트(1)의 선단이 콘솔박스(6)의 조작버 튼(5)에 접촉되거나, 또는 콘솔박스(6)의 조작레버(3)와 충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운전자의 의사에 반하여 조작버튼 또는 조작레버(3)가 작동되어 장비의 오작동을 초래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아암레스트(1)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경우 장비 특성상 장시간동안 동일한 운전자세를 유지하는 운전자가 아암레스트(1) 위에 팔을 올려놓을 때 편안한 운전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폭이 넓고, 아암레스트(1)에 근접되도록 길이가 긴 아암레스트(1)를 선호함에 따라, 길이가 짧은 아암레스트(1)는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중장비의 콘솔박스를 틸팅시킬 경우 아암레스트가 연동되어 콘솔박스 틸팅방향으로 틸팅됨에 따라, 아암레스트의 선단이 콘솔박스에 설치되는 조작레버 등에 접촉시 발생되는 장비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길이가 길고 폭이 넓은 아암레스트를 콘솔박스에 근접되게 설치함에 따라, 장시간동안 동일한 운전자세를 유지하는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운전실캡에 대해 승,하차시 충분한 통로 확보로 인해 신뢰성 및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은, 좌우측에 아암레스트가 설치되는 운전석과,
운전석의 좌우측에 장착되며, 운전자에 의한 조작으로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조작레버 및 조작버튼이 각각 설치되는 콘솔박스와,
콘솔박스중 출입문측의 콘솔박스 측면에 설치되며, 회동시 링크에 의해 콘솔박스의 래치를 해제시키는 틸팅레버와,
콘솔박스의 래치 해제시 반력에 의해 콘솔박스를 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틸팅시키는 가스스프링과,
출입문측의 콘솔박스 소정위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아암레스트의 후단에 타단이 고정되며, 틸팅레버의 조작으로 콘솔박스의 회동시 인장력에 의해 아암레스트를 콘솔박스의 회동방향으로 연동으로 틸팅시키는 와이어 형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운전실캡에 승하차하기 위하여 틸팅레버의 조작으로 인해 콘솔박스를 틸팅시 킬 경우 연결부재에 의해 아암레스트를 콘솔박스 틸팅방향으로 틸팅시켜 아암레스트와 콘솔박스의 상호접촉으로 인한 장비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연결부재 외측으로 씌워져 결합되며, 콘솔박스의 틸팅시 유동되는 연결부재와 인접한 부품의 상호간섭 및 파손을 방지하는 튜브형 보호관을 더 포함한 다.
전술한 콘솔박스의 틸팅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연결부재의 유동경로를 일정범위내로 제한하는 브라킷을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은, 좌우측에 아암레스트(1)가 설치되는 운전석(2),
운전석(2)의 좌우측에 장착되며, 운전자에 의한 조작으로 붐실린더(미도시됨) 등의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조작레버(3)(RCV lever) 및 조작버튼(미도시됨)이 각각 설치되는 콘솔박스(6)와,
한 쌍의 콘솔박스중 출입문측의 콘솔박스(6) 측면에 설치되며, 회동시 링크(11)에 의해 콘솔박스(6)의 래치(12)를 해제시켜 고정핀(23)으로부터 이탈시키는 틸팅레버(10)와,
콘솔박스(6)의 래치(12) 해제시 반력에 의해 콘솔박스(6)를 이의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틸팅시키는 가스스프링(13)과,
출입문측의 콘솔박스(6)의 소정위치(일예로서 바닥면을 말함)에 일단이 고정되고 아암레스트(1)의 후단 소정위치에 타단이 고정되며, 틸팅레버(10)의 조작으로 콘솔박스(6)의 틸팅시 인장력에 의해 아암레스트(1)를 콘솔박스(6)의 회동방향으로 연동으로 틸팅시키는 와이어 형상의 연결부재(15)를 포함하여,
운전실캡(8)에 승하차하기 위하여 틸팅레버(10)의 조작으로 인해 콘솔박스(6)를 틸팅시킬 경우, 연결부재(15)에 의해 아암레스트(1)를 콘솔박스(6)의 틸팅방향으로 동시에 틸팅시켜 아암레스트(1)와 콘솔박스(6)의 상호접촉으로 인한 장비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연결부재(15)를 보호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씌워져 결합되며, 콘솔박스(6)의 틸팅시 유동되는 연결부재(15)와 인접한 부품의 상호간섭 및 파손을 방지하는 튜브형 보호관(16)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콘솔박스(6)의 틸팅시 콘솔박스(6)와 아암레스트(1)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연결부재(15)의 유동경로를 일정범위내로 제한함에 따라, 연결부재(15)와 인접한 부품의 상호간섭을 방지하는 브라킷(17)을 더 포함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9는 콘솔박스(6)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운전실캡(8)에 대해 승하차하기 위하여 운전실캡(8) 바닥면쪽으로 회동시 조작레버(3)에 접속되는 전기신호를 자동으로 차단하므로 장비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안전바이고, 18은 연결부재(15)의 길이를 소정길이로 조절하고 연결부재(15) 단부를 콘솔박스(6)와 아암레스트(1)의 고정브라킷(19)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너트이며, 21은 콘솔박스(6)의 틸팅시 반력에 의해 아암레스트(1)를 틸팅시키는 가스스프링이다.
이때, 전술한 콘솔박스(6)와 아암레스트(1)의 소정위치에 양단이 고정되고, 콘솔박스(6)를 틸팅시키는 경우 아암레스트(1)를 콘솔박스(6)의 회동방향으로 연동으로 틸팅시키는 연결부재(15)를 제외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실캡(8)에 승차하거나, 작업중 운전석(2)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하여 출입문측의 콘솔박스(6)의 외측면에 설치된 틸팅레버(10)를 장비 후방쪽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링크(11)에 의해 콘솔박스(6)의 래치(12)가 고정핀(23)으로부터 이탈되어 해제된다. 이로 인해 콘솔박스(6)는 이의 회전축(1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틸팅된다.
이때 틸팅레버(10)의 조작에 따라 래치(12)의 로킹을 해제시키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동시에, 콘솔박스(6)의 바닥면과 아암레스트(1)의 후단 소정위치에 양 단이 고정된 연결부재(15)의 인장력에 의해 아암레스트(1)를 이의 회전축(20)을 중심으로 콘솔박스(6)의 회동방향으로 틸팅시킨다. 이때 연결부재(15)는 길이방향으로 선팽창되지않는 강선(鋼線)(일예로서 자전거 브레이크용 와이어가 사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출입문쪽 콘솔박스(6)의 틸팅으로 인해 출입통로가 충분하게 확보되므로 운전자는 운전실캡(8)에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다.
또한, 틸팅레버(10)의 조작으로 인해 콘솔박스(6) 틸팅시 아암레스트(1)를 연동시켜 콘솔박스(6)의 회동방향으로 틸팅시킴에 따라, 콘솔박스(6)의 조작레버(3) 및 조작버튼(미도시됨)이 아암레스트(1)의 선단부와 접촉 또는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콘솔박스(6)의 회동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접촉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전실캡(8)에 대해 승,하차하기 위하여 출입문측의 콘솔박스(6)를 틸팅시키는 경우, 운전자 의사에 반하여 조작레버(3) 및 조작버튼의 조작으로 인한 장비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와이어 형상의 연결부재(15)의 외측으로 튜브형 보호관(16)이 씌워져 결합됨에 따라, 콘솔박스(6)의 틸팅시 유동경로 범위내에서 유동되는 연결부재(15)와 인접부품의 상호간섭을 방지하고 연결부재(1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솔박스(6)의 틸팅시 유동되는 연결부재(15)가 설정된 유동경로를 벗어나지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킷(17)에 의해 연결부재(15)의 소정위치(절곡부위를 말함)를 구속함에 따라, 콘솔박스(6)의 틸팅시 연결부재(15)와 인접한 부 품의 상호간섭을 방지할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운전실캡(8)에 대해 승하차하기 위하여 틸팅레버(10) 조작으로 출입문측의 콘솔박스(6)를 틸팅시킬 경우, 아암레스트(1)를 연동시켜 콘솔박스(6)의 회동방향으로 틸팅시킴에 따라, 콘솔박스(6)의 조작레버(3) 및 조작버튼과 아암레스트(1)의 상호접촉으로 인해 장비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중장비의 콘솔박스를 틸팅시킬 경우 아암레스트가 연동되어 틸팅됨에 따라, 아암레스트의 선단이 콘솔박스에 설치되는 조작레버 등에 접촉시 발생되는 위험요인(장비의 오작동)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길이가 길고 폭이 넓은 아암레스트를 콘솔박스에 근접되게 설치하여 장시간 동안 동일한 운전자세를 유지하는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전실캡에 대해 승,하차시 충분한 통로 확보로 인해 장비의 신뢰성 및 경쟁력을 갖는다.

Claims (3)

  1. 좌우측에 아암레스트가 설치되는 운전석;
    상기 운전석의 좌우측에 장착되며, 운전자에 의한 조작으로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조작레버 및 조작버튼이 각각 설치되는 콘솔박스;
    상기 콘솔박스중 출입문측의 콘솔박스 외측면에 설치되며, 회동시 링크에 의해 상기 콘솔박스의 래치를 해제시키는 틸팅레버;
    상기 콘솔박스의 래치 해제시 상기 콘솔박스를 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틸팅시키는 가스스프링; 및
    상기 출입문측의 콘솔박스 소정위치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아암레스트의 후단에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틸팅레버의 조작으로 콘솔박스의 틸팅시 인장력에 의해 아암레스트를 콘솔박스의 회동방향으로 연동으로 틸팅시키는 와이어 형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운전실캡에 승하차하기 위하여 틸팅레버 조작으로 인해 콘솔박스를 틸팅시 킬 경우,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아암레스트를 콘솔박스 틸팅방향으로 틸팅시켜 아암레스트와 콘솔박스의 상호접촉으로 인한 장비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외측으로 씌워져 결합되며, 상기 콘솔박 스의 틸팅시 유동되는 연결부재와 인접한 부품의 상호간섭 및 파손을 방지하는 튜브형 보호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솔박스의 틸팅시, 상기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상기 연결부재의 유동경로를 일정범위내로 제한하는 브라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 운전실캡.
KR1020070053322A 2007-05-31 2007-05-31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운전실캡 KR101291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322A KR101291297B1 (ko) 2007-05-31 2007-05-31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운전실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322A KR101291297B1 (ko) 2007-05-31 2007-05-31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운전실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568A KR20080105568A (ko) 2008-12-04
KR101291297B1 true KR101291297B1 (ko) 2013-07-30

Family

ID=4036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322A KR101291297B1 (ko) 2007-05-31 2007-05-31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운전실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2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676A1 (ko) * 2015-09-10 2017-03-1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장비 운전실의 운전석 조립체
CN107719485A (zh) * 2017-09-13 2018-02-23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商用车辆及其驾驶室后悬置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8415A (ja) * 1994-08-25 1996-03-05 Kato Works Co Ltd オペレータシートシステム
JP2560922B2 (ja) 1991-03-18 1996-12-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荷役車両における踏み込みペダルのロック装置
JP2002294761A (ja) 2001-03-29 2002-10-09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操作ペダルロック構造
KR20040073058A (ko) * 2003-02-13 2004-08-19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용 조종레버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0922B2 (ja) 1991-03-18 1996-12-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荷役車両における踏み込みペダルのロック装置
JPH0858415A (ja) * 1994-08-25 1996-03-05 Kato Works Co Ltd オペレータシートシステム
JP2002294761A (ja) 2001-03-29 2002-10-09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操作ペダルロック構造
KR20040073058A (ko) * 2003-02-13 2004-08-19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용 조종레버 안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676A1 (ko) * 2015-09-10 2017-03-1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장비 운전실의 운전석 조립체
CN107719485A (zh) * 2017-09-13 2018-02-23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商用车辆及其驾驶室后悬置装置
CN107719485B (zh) * 2017-09-13 2020-03-27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商用车辆及其驾驶室后悬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568A (ko)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6379A (en) Multi-positional seat having a following instrument panel
JP4658582B2 (ja) フードラッチアセンブリのセーフティレバー作動構造
US8960738B2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US9279275B2 (en) Outside handle for vehicle
KR100826628B1 (ko)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운전실캡
JP2004010008A (ja) シートバーチカル装置
KR101254002B1 (ko) 언록킹 장치
KR101291297B1 (ko) 콘솔박스와 아암레스트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장비용운전실캡
JPH10316380A (ja) 昇降部乗り込み型フォークリフト
EP1966027B1 (en) Cab structure for a vehicle
JP6712970B2 (ja) 車両用突入防止装置
US6550560B2 (en) Control handle pivot apparatus
JP2603000B2 (ja) 車両系建設機械の安全装置
JP5091498B2 (ja) チルト式キャビンのストッパ構造
JP2009287333A (ja) ドアロック装置
JP6534195B2 (ja) ダンプトラック等における後アオリのキャッチロック自動開閉装置
JP4624154B2 (ja) 車両用安全装置
JP5279398B2 (ja) 産業用車両の操作レバーロック装置
JPH0336337A (ja) ショベルローダのリフトアーム下降防止装置
JP6566837B2 (ja) 作業車及びスタンド付きフロントローダ
KR20210067214A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안전 장치
JP4296148B2 (ja) ドアラッチ装置
JP2006069542A (ja) ベルト端部取付装置
JP2009091107A (ja) 作業機械
JP4061201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ハンドレ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