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903B1 - 더블 피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피닝 방법 - Google Patents

더블 피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피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903B1
KR101289903B1 KR1020110145259A KR20110145259A KR101289903B1 KR 101289903 B1 KR101289903 B1 KR 101289903B1 KR 1020110145259 A KR1020110145259 A KR 1020110145259A KR 20110145259 A KR20110145259 A KR 20110145259A KR 101289903 B1 KR101289903 B1 KR 101289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ning
welding
hammer
ground
pinning ham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607A (ko
Inventor
이재익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4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9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flash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2Pressure but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더블 피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피닝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피닝 장치는, 용접 모재들의 가장자리를 맞대고 용접봉을 이용하여 용접 금속을 용융시켜 용접하는 맞대기 용접에서, 용접 금속이 용융된 용접 비드와 용접 모재가 연결되는 지단 부분의 용접 피로 특성을 개선하는 피닝 장치에 있어서, 용접봉의 진행 방향의 후방에서 상기 용접봉과 거리를 두고 용접선을 따라 용접봉과 함께 이동하며 지단을 수직으로 가압하는 제1 피닝 햄머와, 제1 피닝 햄머의 측면에서 각도를 이루면서 지단을 경사지게 가압하는 제2 피닝 햄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더블 피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피닝 방법{DOUBLE PEENING APPARATUS AND DOUBLE PEENING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용접부의 피로 수명의 향상이 가능한 더블 피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 구조물은 용접 모재와 용접 금속으로 이루어진 불연속면이 생성된다. 이러한 불연속면에는 응력이 집중(Notch stress)되어, 통상의 하중이 항복에 이르지 않음에도 반복적인 하중에 의하여 피로 균열이 발생되어 파괴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피로수명 향상 방법으로, 쇼트 피닝, 핀 피닝, 초음파 피닝, 레이저 피닝 또는 토우 그라인딩 등을 이용하여 피로 균열의 발생을 지연시키도록 압축 응력과 기하학적 형상을 부여하여 응력 집중을 완화시키는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피로수명 향상 방법으로 용접부와 용접 모재의 기하학적 불연속면의 끝단(이하, 지단)에 그라인더로 절삭(Toe-Grinding)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라인더 절삭(Toe-Grinding) 방법은 용접 후 절삭 방법이 복잡하고, 용접부 전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용접부의 피로 수명 향상 방법으로서, 초음파 피닝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 초음파 피닝법은 용접 후, 용접 모재와 용접부의 기하학적인 불연속면에 초음파의 주기를 갖는 핀으로 피닝하는 방법을 말한다. 즉, 초음파 피닝법은 용접부의 기하학적인 불연속면에 응력 집중을 완화시키기 위한 기하 형상과 피닝으로 인한 압축 잔류 응력을 생성시키며 피닝 시의 표면의 금속 조직을 변화시켜 용접부의 균열 발생을 지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초음파 피닝법은 작업자에 따라 압축 잔류 응력의 분포가 일정하지 않고 피닝 품질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닝 품질의 향상이 가능한 더블 피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더블 피닝 장치는, 용접 모재들의 가장자리를 맞대고 용접봉을 이용하여 용접 금속을 용융시켜 용접하는 맞대기 용접에서, 용접 금속이 용융된 용접 비드와 용접 모재가 연결되는 지단 부분의 용접 피로 특성을 개선하는 피닝 장치에 있어서, 용접봉의 진행 방향의 후방에서 상기 용접봉과 거리를 두고 용접선을 따라 용접봉과 함께 이동하며 지단을 수직으로 가압하는 제1 피닝 햄머와, 제1 피닝 햄머의 측면에서 각도를 이루면서 지단을 경사지게 가압하는 제2 피닝 햄머를 포함한다.
제1 피닝 햄머 및 제2 피닝 햄머는 서로 다른 위상차를 이루면서 지단을 연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 피닝 햄머 및 제2 피닝 햄머는, 용접봉 위치의 지단의 온도에 대하여 400℃ 내지 700℃ 낮은 온도 위치에 해당하는 지단을 가압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용접봉과 제1 피닝 햄머 및 제2 피닝 햄머의 사이 부분에는 커버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피닝 햄머 및 제2 피닝 햄머는 지단을 향하는 단부의 곡률 반경이 5mm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더블 피닝 방법은, 용접 모재들의 가장자리를 맞대고 용접봉을 이용하여 용접 금속을 용융시켜 용접하는 맞대기 용접에서, 용접 금속이 용융된 용접 비드와 용접 모재가 연결되는 지단 부분의 용접 피로 특성을 개선하는 피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용접봉의 진행 방향의 후방에서 용접봉과 거리를 두고 용접선을 따라 용접봉과 함께 이동하며 지단 부분을 제1 피닝 햄머를 이용하여 타격하는 단계와, (b) 단계 (a)에서 지단 부분에 변형이 발생되면, 제1 피닝 햄머의 일 측면 위치에서 지단 부분을 제2 피닝 햄머를 이용하여 타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피닝 햄머는 지단에 수직하게 작동되며, 제2 피닝 햄머는 제1 피닝 햄머의 작동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며 지단을 가압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1 피닝 햄머와 제2 피닝 햄머는, 용접봉 위치의 지단의 온도에 대하여 400℃ 내지 700℃ 낮은 온도 위치의 지단 상에서 작동될 수 있다.
제1 피닝 햄머 및 제2 피닝 햄머는 서로 다른 위상차를 이루면서 지단을 연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용접봉의 용접 작업 위치와 제1 피닝 햄머 및 제2 피닝 햄머의 피닝 작업 위치와의 사이에는 온도 유지를 위한 커버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접봉의 후방에서 2개의 피닝 햄머를 사용하여 피닝 작업을 실시하여 피닝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피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더블 피닝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용접봉과 더블 피닝 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더블 피닝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피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피닝 장치(100)는, 동일면 내에서 용접 모재인 한쪽의 강판(11)의 단부면과 다른 쪽의 강판(13)의 단부면을 대향시켜 서로를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맞대기 용접에서 용접 부분의 피로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맞대기 용접에서는 피용접재인 한 쪽의 강판(11)과 다른 쪽의 강판(13)의 용접 단부면에는 미리 개선부가 가공될 수 있으며, 이들 강판(11, 13)의 개선부를 맞대어 용접이 시행된다. 맞대기 용접이 시행되면 이들 강판(11, 13)의 표면보다도 외측으로 융기되어 이루어지는 용접 비드(12)가 형성된다. 이하에서 용접 비드(12)의 용접 금속(12a)과 강판(11, 13)의 가장자리 단부면과 연결되는 경계 부분을 지단(12b)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더블 피닝 장치(100)는 지단(12b) 부분에서의 용접 피로 특성을 개선하는 피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블 피닝 장치(100)는, 용접봉(10)의 진행 방향의 후방에서 지단(12b) 부분을 가압하는 제1 피닝 햄머(20)와, 제1 피닝 햄머(20)의 측면에서 지단(12b) 부분을 가압하는 제2 피닝 햄머(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더블 피닝 장치(100)는 용접부의 불연속적인 기하 형상에 응력 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는 형상을 만들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제1 피닝 햄머(20)는 용접봉(10)의 진행 방향의 후방에서 용접봉(1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용접봉(10)의 진행 속도와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지단(1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1 피닝 햄머(20)는 지단(12b)을 수직으로 타격하는 부재로서, 지단(12b)에 타격흔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제1 피닝 햄머(20)는 봉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단(12b)을 향하는 단부는 직경은 최대 곡률 반경이 대략 5mm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피닝 햄머(20)는 해머 피닝 처리 또는 초음파 충격 처리에 의해 지단(12b)을 국소적으로 타격하여 소성 변형시킨다. 이러한 제1 피닝 햄머(20)는, 통상, 처리 대상물인 강판(11, 13) 보다 강도나 경도가 높은 금속 재료를 사용한다.
제1 피닝 햄머(20)는 소정의 타격기구(미도시)에 장착되어 지단(12b)의 상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타격기구(미도시)는 강판(11, 13)의 측면에서 용접봉(10)의 진행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강판(11, 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판(11, 13)의 측면을 따라 레일(미도시)을 설치하고, 이 레일(미도시) 상에 용접봉(10)이 설치된 용접 장치(미도시)와 타격기구(미도시)를 함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타격기구(미도시)의 슬라이딩 가능한 설치는 레일(미도시)을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봉(10)이 용접선(12c)을 따라 이동되면, 용접봉(10)의 후방에서 제1 피닝 햄머(2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함께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피닝 햄머(20)와 용접봉(10) 사이의 거리는, 본 실시예에서 용접봉(10) 위치에서 지단(12b)의 온도에 대하여 400℃ 내지 700℃ 온도가 낮은 위치의 지단(12b)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접봉(10) 위치의 지단(12b) 온도를 5000℃로 가정하면, 제1 피닝 햄머(20)의 위치는 용접봉(10)의 후방에서 지단(12b)의 온도 4300℃ 내지 4700℃로 측정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피닝 햄머(20)와 용접봉(10)의 사이 거리를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격시키는 것은, 지단(12b)에 용접열이 냉각되지 않은 상태에서 응력 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는 성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접봉(10)에 의한 용접이 실시된 후, 지단(12b) 부분의 온도는 급속히 냉각된다. 이때, 지단(12b)의 온도는 용융점의 온도로부터 400℃ 낮은 지점까지는 항복응력이 50MPa의 아주 작은 값을 나타냄으로써, 외부의 힘에 대해서 소성 변형 및 압축 응력을 발생시키기 쉬운 상태가 된다. 한편, 지단(12b) 부분의 냉각이 더욱 진행되어 지단(12b)의 온도는 용융점의 온도로부터 700℃ 낮은 지점에 이르면, 지단(12b)은 상온의 강도를 회복하게 됨으로써, 제1 피닝 햄머(20)를 이용한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피닝 햄머(20)를 용접봉(10)의 후방에서 지단(12b)의 용융점의 온도보다 400℃ 내지 700℃ 낮은 지점의 지단(12b) 상에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지단(12b)의 성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피닝 햄머(20)의 위치를 용접봉(10) 위치에서 지단(12b)의 온도에 대하여 400℃ 내지 700℃ 온도가 낮은 위치의 지단(12b) 위치로 결정되는 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일 실시예로서, 용접봉(10) 위치의 지단(12b)의 온도와 용접봉(10) 후방의 지단(12b)의 온도에 대해 3차원 열전도 해석을 실시하고, 열전도 해석에 의한 결과를 토대로 제1 피닝 햄머(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다른 실시예로서, 온도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 피닝 햄머(20)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용접봉(10) 위치의 지단(12b)의 온도를 측정하고, 용접봉(10) 후방의 지단(12b)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제1 피닝 햄머(20)의 위치를 용접봉(10) 위치에서 지단(12b)의 온도에 대하여 400℃ 내지 700℃ 온도가 낮은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피닝 햄머(20)의 측면에는 제2 피닝 햄머(30)가 설치된다.
제2 피닝 햄머(30)는 제1 피닝 햄머(20)가 설치된 타격기구(미도시)에 함께 장착됨으로써, 제1 피닝 햄머(20)의 이동 작동과 함께 지단(1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피닝 햄머(30)는 제1 피닝 햄머(20)의 설치된 측면에서 지단(12b)을 경사지게 타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피닝 햄머(30)는 봉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단(12b)을 향하는 단부의 최대 곡률 반경이 대략 5mm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피닝 햄머(30)는 제1 피닝 햄머(20)와 동일한 규격의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피닝 햄머(30) 및 제1 피닝 햄머(20)는 용접봉(10)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제2 피닝 햄머(20, 30)의 단부의 곡률 반경을 5mm로 결정하는 것은, 곡률 반경이 5mm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타격시에 주파수가 동일한 진동기에 대비하여 둔감하게 반응되어, 응력 집중을 완화시켜주는 성형효과 및 압축 응력의 부여 효과가 떨이지게 됨으로써, 5mm를 초과하지 않는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피닝 햄머(30)는 제1 피닝 햄머(20)의 작동으로 지단(12b)에 기하학적 형상의 변화가 발생된 부분의 측면에서 작동되는 것으로서, 지단(12b)에 소성 변형과 압축 응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치밀한 미소조직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제1 피닝 햄머(20) 및 제2 피닝 햄머(30)의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닝 햄머(20)가 지단(12b)을 수직한 방향으로 타격한다.
다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닝 햄머(20)의 작동에 의해 지단(12b)에 기하학적인 형상의 변화가 발생되면, 이 형상 변화 부분(a)을 제2 피닝 햄머(30)를 이용하여 타격한다. 그러면, 지단(12b)의 타격 지점에서는 소성 변형과 압축 응력이 발생된다.
이어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피닝 햄머(30)에 의해 지단(12b)에 발생된 기하적적인 형상 변화 부분(a')을 제1 피닝 햄머(20)를 이용하여 재차 타격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지단(12b)에는 제1 피닝 햄머(20) 및 제2 피닝 햄머(30)의 연속적인 타격 작동에 의해 소성 변형과 압축 잔류 응력을 더욱 발생되는 것과 동시에 치밀한 미소 조직이 발생된다.
다음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닝 햄머(20) 및 제2 피닝 햄머(30)의 서로 다른 위상차를 이루며 연속적인 타격 작동으로 기하 형상과 압축 잔류 응력 및 미소 조직의 변화 발생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용접봉(10)과 더블 피닝 장치(100)의 사이에는 지단(12b)의 상측을 덮도록 커버부재(4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용접봉과 더블 피닝 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40)는, 강판(11, 13) 상에 형성된 지단(12b) 부분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40)는 일측은 용접봉(10)이 설치된 용접장치(미도시)에 연결되고 타측은 더블 피닝 장치(100)가 설치된 타격기(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40)를 용접봉(10)과 더블 피닝 장치(100)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고온의 본위기 가스가 용접선(12c)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여 더블 피닝 장치(100)를 이용한 피닝 작업시에 온도 유지가 가능하여 피닝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커버부재(40)는 용접봉(10)과 더블 피닝 장치(100)의 사이 부분을 라운드 형상으로 덮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커버부재(40)가 라운드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또는 타원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피닝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하며,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롤러 피닝 방법은 용접 모재들의 가장자리를 맞대고 용접봉을 이용하여 용접 금속을 용융시켜 용접하는 맞대기 용접에서, 용접 금속이 용융된 용접 비드와 용접 모재가 연결되는 지단 부분의 용접 피로 특성을 개선하는 피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용접봉(10)의 진행 방향의 후방에서 용접봉(10)과 거리를 두고 용접선(12c)을 따라 용접봉(10)과 함께 이동하며 지단(12b)을 제1 피닝 햄머(20)를 이용하여 타격한다.(S1) 제1 피닝 햄머(21)는 지단(12b)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타격할 수 있다.
여기서, 용접봉(10)과 제1 피닝 햄머(20) 사이의 이격된 거리는 용접봉(10) 위치에서 지단(12b)의 측정된 온도에 대하여 400℃ 내지 700℃ 낮은 온도 위치에서의 지단(12b)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음, (S1) 단계에서 지단(12b) 부분에 변형이 발생되면, 제1 피닝 햄머(20)의 일 측면 위치에서 지단(12b)을 제2 피닝 햄머(30)를 이용하여 타격한다.(S2) 제2 피닝 햄머(30)는 제1 피닝 햄머(20)의 작동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며 상기 지단을 가압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S2) 단계의 제2 피닝 햄머(30)와 용접봉(10) 사이의 거리는 제1 피닝 햄머(20)와 용접봉(10)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피닝 햄머(20)와 제2 피닝 햄머(30)는 서로 다른 위상차를 형성하면서 지단(12b)을 연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봉(10)의 후방 위치의 지단(12b)을 제1/제2 피닝 햄머(20, 30)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타격함으로써, 지단(12b)에 소성 변형과 압축 응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치밀한 미소조직이 발생되도록 하여 용접부의 피로 수명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용접봉 11, 13...강판
12...용접 비드 12a..용접 금속
12b..지단 12c..용접선
20...제1 피닝 햄머 30...제2 피닝 햄머
40...커버부재

Claims (10)

  1. 용접 모재들의 가장자리를 맞대고 용접봉을 이용하여 용접 금속을 용융시켜 용접하는 맞대기 용접에서, 상기 용접 금속이 용융된 용접 비드와 상기 용접 모재가 연결되는 지단 부분의 용접 피로 특성을 개선하는 피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봉의 진행 방향의 후방에서 상기 용접봉과 거리를 두고 용접선을 따라 상기 용접봉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지단을 수직으로 가압하는 제1 피닝 햄머; 및
    상기 제1 피닝 햄머의 측면에서 각도를 이루면서 상기 지단을 경사지게 가압하는 제2 피닝 햄머;
    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봉과 상기 제1 피닝 햄머 및 상기 제2 피닝 햄머의 사이 부분에는 커버부재가 설치되는 더블 피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닝 햄머 및 상기 제2 피닝 햄머는 서로 다른 위상차를 이루면서 상기 지단을 연속적으로 가압하는 더블 피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닝 햄머 및 상기 제2 피닝 햄머는, 상기 용접봉 위치의 상기 지단의 온도에 대하여 400℃ 내지 700℃ 낮은 온도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지단을 가압하도록 작동되는 더블 피닝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닝 햄머 및 상기 제2 피닝 햄머는 상기 지단을 향하는 단부의 곡률 반경이 5mm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더블 피닝 장치.
  6. 용접 모재들의 가장자리를 맞대고 용접봉을 이용하여 용접 금속을 용융시켜 용접하는 맞대기 용접에서, 상기 용접 금속이 용융된 용접 비드와 상기 용접 모재가 연결되는 지단 부분의 용접 피로 특성을 개선하는 피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용접봉의 진행 방향의 후방에서 상기 용접봉과 거리를 두고 용접선을 따라 상기 용접봉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지단 부분을 제1 피닝 햄머를 이용하여 타격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지단 부분에 변형이 발생되면, 상기 제1 피닝 햄머의 일 측면 위치에서 상기 지단 부분을 제2 피닝 햄머를 이용하여 타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봉의 용접 작업 위치와 상기 제1 피닝 햄머 및 상기 제2 피닝 햄머의 피닝 작업 위치와의 사이에는 온도 유지를 위한 커버부재가 설치되는 더블 피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닝 햄머는 상기 지단에 수직하게 작동되며, 상기 제2 피닝 햄머 는 상기 제1 피닝 햄머의 작동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며 상기 지단을 가압하도록 작동되는 더블 피닝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닝 햄머와 상기 제2 피닝 햄머는, 상기 용접봉 위치의 상기 지단의 온도에 대하여 400℃ 내지 700℃ 낮은 온도 위치의 상기 지단 상에서 작동되는 더블 피닝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닝 햄머 및 상기 제2 피닝 햄머는 서로 다른 위상차를 이루면서 상기 지단을 연속적으로 가압하는 더블 피닝 방법.
  10. 삭제
KR1020110145259A 2011-12-28 2011-12-28 더블 피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피닝 방법 KR101289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259A KR101289903B1 (ko) 2011-12-28 2011-12-28 더블 피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피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259A KR101289903B1 (ko) 2011-12-28 2011-12-28 더블 피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피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607A KR20130076607A (ko) 2013-07-08
KR101289903B1 true KR101289903B1 (ko) 2013-07-24

Family

ID=4899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259A KR101289903B1 (ko) 2011-12-28 2011-12-28 더블 피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피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9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1854A (ja) * 2018-02-16 2019-08-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220089070A (ko)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544B1 (ko) * 2017-04-28 2022-11-14 슈퍼티그웰딩 주식회사 금속 3차원 프린팅에서 기계적 성질 향상을 위한 피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8879A (ja) * 2004-04-09 2005-10-27 Nippon Steel Corp 表層部を微細結晶化させた金属製品の製造方法
JP2009034721A (ja) * 2007-08-03 2009-02-19 Nippon Steel Corp 耐疲労特性に優れた溶接継手の製作方法およびその製作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8879A (ja) * 2004-04-09 2005-10-27 Nippon Steel Corp 表層部を微細結晶化させた金属製品の製造方法
JP2009034721A (ja) * 2007-08-03 2009-02-19 Nippon Steel Corp 耐疲労特性に優れた溶接継手の製作方法およびその製作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1854A (ja) * 2018-02-16 2019-08-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7010722B2 (ja) 2018-02-16 2022-01-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220089070A (ko)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607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7955B2 (ja) レール溶接部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CN106555046A (zh) 一种消除焊接残余应力的方法
KR101289903B1 (ko) 더블 피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피닝 방법
JP2008110371A (ja) 摩擦攪拌接合方法及び装置
JP2014014831A (ja) 溶接部の疲労強度向上方法および溶接継手
JP5088035B2 (ja) 耐疲労特性に優れた溶接継手の製作方法
JP2011131260A (ja) 溶接部の疲労強度向上方法および溶接継手
WO2013081015A1 (ja) 溶接構造物の疲労損傷抑制方法、打撃痕形成用工具、および溶接構造物
JP5763136B2 (ja) 多結晶シリコンロッドを粉砕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4952856B1 (ja) 打撃処理方法及び装置
JP5251486B2 (ja) 超音波打撃処理を用いた加工方法
JP2007175707A (ja) レール溶接部における疲労強度向上方法
JP2004130313A (ja) 重ね隅肉溶接継手の疲労強度向上方法
JP4895407B2 (ja) ピーニング施工方法とそれを用いた溶接継手
JP5898498B2 (ja) 溶接部の疲労強度向上方法および溶接継手
JP5327567B1 (ja) ピーニング施工方法とそれによって施工された溶接継手
KR20130076241A (ko) 멀티 피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피닝 방법
KR101289904B1 (ko) 롤러 피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러 피닝 방법
JP2013136091A (ja) 打撃痕形成用工具
JP2013233590A (ja) 疲労特性に優れる溶接継手
JP5977077B2 (ja) 溶接部のピーニング方法
JP2019059653A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JP5252112B1 (ja) ピーニング施工方法
JP2022086089A (ja) 金属板の切断装置及び切断方法、並びに、製品金属板の製造方法
JP5955752B2 (ja) 溶接構造物の疲労損傷抑制方法および打撃痕形成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