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264B1 -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264B1
KR101288264B1 KR1020120006492A KR20120006492A KR101288264B1 KR 101288264 B1 KR101288264 B1 KR 101288264B1 KR 1020120006492 A KR1020120006492 A KR 1020120006492A KR 20120006492 A KR20120006492 A KR 20120006492A KR 101288264 B1 KR101288264 B1 KR 101288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eeding
image
lanes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세영
이구형
Original Assignee
이구형
전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형, 전세영 filed Critical 이구형
Priority to KR102012000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08G1/05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photographing overspeeding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이 주행하는 복수 개의 도로상에 센서부 및 카메라 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의 과속을 단속하는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은 복수 개의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각각의 도로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통과에 따른 과속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센서부(130); 및 상기 복수 개의 차로(110)상의 차로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130)로부터 출력되는 과속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복수 개의 차로(110)상에 주행하는 과속차량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120)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장치(120)는 복수 개 차로(110)상에 이미지 촬영영역(E)을 설정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이미지 촬영영역(E)에서 소정 폭과 높이로 이루어진 과속차량 추출영역(S)을 설정하여 상기 촬영된 복수 개의 차로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속차량의 단속정보 및 차량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1대의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전 차로(복수 개의 주행도로)를 동시에 촬영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 장치의 추가설치 비용이 필요없어 설치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Multi lane velocit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이 주행하는 복수 개의 차로상에 센서부 및 카메라 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의 과속을 단속하는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의 고속도로, 국도 및 지방도로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지능형 교통전송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장비가 설치 및 운영되고 있으며, 그 중 차량검지 시스템(VDS, Vehicle detection system)과 자동차량 인식시스템(AVI, 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은 도로변에 설치되어 차량이 주행하는 차로(도로 또는 레인)의 교통량, 속도를 측정 및 수집하고 과속 차량의 동영상을 저장하여 차량 번호판을 추출한다.
이러한 과속차량의 속도 및 차량 번호판 검출기술은 한국공개 특허공보 제2011-0028855(무선통신을 이용한 다차로의 교통정보수집장치 및 방법)에 개시된다.
상술한 기술은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아, 차량 진행방향을 따라 각각의 차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두 개의 센서(sensor1,sensor2)조합을 통해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고, 하나의 차선에 설치된 하나의 카메라로 차량 번호판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교통량, 속도, 점유율, 번호판 영상 등의 교통자료를 신뢰성 있게 획득한다.
그러나 상술한 기술은 하나의 차로에 하나의 단속 카메라를 설치하거나 또는 두개의 차로에서 두개 차로의 중안인 차선구분 도색선에 하나의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으로 두개 또는 세개 이상의 복수 개의 차로에서 두대 또는 세대 이상의 복수 개의 카메라를 설치해야하거나 2개 또는 3개 이상의 도로에서 1대 또는 2대 이상의 카메라를 설치함에 따른 설치 및 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로상에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차량의 이미지를 캡쳐 및 저장하는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 처리되어 전송된 상기 차량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정보 및 단속정보를 출력하는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은 복수 개의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각각의 도로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통과에 따른 과속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센서부(130); 및 상기 복수 개의 차로(110)상의 차로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130)로부터 출력되는 과속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복수 개의 차로(110)상에 주행하는 과속차량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120)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장치(120)는 복수 개 차로(110)상에 이미지 촬영영역(E)을 설정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이미지 촬영영역(E)에서 소정 폭과 높이로 이루어진 과속차량 추출영역(S)을 설정하여 상기 촬영된 복수 개의 차로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속차량의 단속정보 및 차량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장치(120)는 복수 개의 차로상의 차량 이미지를 촬영하고 생성하는 카메라 입력부(140), 상기 카메라 입력부(14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신호를 캡쳐하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포인트 어레이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포인트 어레이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포함한 차량정보를 추출하는 영상처리부(150) 및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처리된 차량정보 및 단속정보를 입력받고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복수 개의 차로상의 복수 개의 과속차량이 제1 센서부(130a)를 통과하여 소정 시간 차이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과속차량 추출영역(S,S1)에 도달하는 경우에, 후행하는 과속차량은 선행차량과의 시간차이에 대응한 Y좌표값을 이동함으로 새로운 과속차량 추출영역을 설정하여 후행하는 과속차량 이미지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센서부(130)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과속차로, 과속지점 고유번호, 위반일자, 위반종류, 시간, 순간속도, 평균속도, 차량길이, 차량유무의 단속정보 및 차량번호를 포함한 과속차량 전면 이미지가 캡쳐된 차량정보를 처리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차로 속도감지 방법은 복수 개의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영상처리부(150)가 상기 복수 개의 차로(110)에 차량이 진입함에 따른 과속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과속여부를 판단하고, 과속이면 과속차로를 판단함과 아울러 제어신호를 카메라 장치(120)에 전송하여 상기 복수 개의 차로(110)상의 이미지 촬영영역(E)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영상처리부(150)가 상기 판단된 과속차로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복수 개의 도로(110)상에 소정 폭과 높이로 이루어진 과속차량 추출영역(S)을 세팅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속차량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과속차량 이미지로부터 차량 전면 이미지를 포함한 차량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영상처리부(150)가 상기 (b)단계를 수행함과 아울러 센서부(130)를 이용하여 과속차로, 과속지점 고유번호, 위반일자, 위반종류, 시간, 순간속도, 평균속도, 차량길이, 차량유무의 단속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영상처리부(150)가 상기 단계 (b) 및 (c)를 수행하고 과속차량의 단속정보 및 차량정보를 이용한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복수 개의 차로(110)상의 복수 개의 과속차량이 제1 센서부(130a)를 통과하여 소정 시간 차이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과속차량 추출영역(S,S1)에 도달하는 경우에, 후행하는 과속차량은 선행차량과의 시간차이에 대응한 Y좌표값을 이동함으로 새로운 과속차량추출영역을 설정하여 후행하는 과속차량 이미지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1대의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전 차로(복수 개의 주행도로)를 동시에 촬영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 장치의 추가설치 비용이 필요없어 설치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1대의 카메라 장치가 패닝(Panning), 틸팅을 하지않고 전 차로(복수 개의 주행도로)를 동시에 촬영하기 때문에 오작동에 따른 고장이 없어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1대의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전 차로(복수 개의 주행도로)를 동시에 촬영하기 때문에 속도위반 차량의 급차선 변경에 의한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의 도식적인 블록다이어그램;
도 3는 도 1에 도시된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로 속도감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된 소정영역 이미지에 과속차량 추출영역(S)을 세팅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복수 개의 차로상에서 과속차량에 과속차량 추출영역(S)을 설정하고 과속차량 이미지 및 차량 번호판을 추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속차량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의 도식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된 소정영역 이미지에 과속차량 설정영역(S)을 세팅한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복수 개의 차로상에서 과속차량에 과속차량 추출영역(S)을 설정하고 과속차량 이미지 및 차량 번호판을 추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속차량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은 복수 개의 차로(110)를 주행하는 과속차량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 카메라 장치(120) 및 복수 개의 센서부(130a,13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편의상 2개의 도로(110)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또는 그 이상도 가능하다.
센서부(130a,130b)는 루프 코일 또는 마그네틱 코일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주행차로를 가지는 도로(110)상에 차량(A,B)의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매설)되어 차량(A,B)의 통과에 따른 전자기 신호(출력신호)를 검출한다.
센서부(130)는 제1 센서부(130a) 및 제2 센서부(130b)로 이루어지며 제1 센서부(130a)는 통과하는 차량에 따른 출력신호를 검출하고 그 차량의 과속여부, 위치한 과속차로, 과속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출력신호를 제어부(140)에 전송한다.
제2 센서부(130b)는 검출된 출력신호를 카메라 장치(120)에 전송한다.
상기 카메라 장치(120)는 제1 센서부(130a) 및 제2 센서부(130b)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차로(110)를 통과하는 차량의 위반종류, 위반일자, 시간, 순간속도, 평균속도, 차량길이, 차량유무와 같은 차량에 대한 교통 파라미터를 연산한다.
여기서, 과속여부, 위치한 과속차로, 과속지점 고유번호 및 교통 파라미터는 단속정보이다.
차량(A)이 과속인 경우에. 제1 센서부(130a)로부터 검출된 과속 신호의 전자기 신호를 영상처리부(120b)의 제어수단(151)에 전송하면, 제어수단(151)은 전송된 전자기 신호(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속도(순간속도)를 연산하고 그에 따라 정상적인 주행속도 위반(과속)이면 상기 제1 센서부(130a)가 위치한 과속 차로 및 과속 지점을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수단(151)은 카메라 입력부(14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복수 개의 차로(110)상에 주행하는 고해상도의 차량 이미지를 촬영한다.
카메라 장치(120)는 도로의 폴과 같은 구조물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차로(110)의 정중앙에 위치하여 주행하는 차량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어수단(151)은 카메라 입력부(140)를 통하여 촬영된 이미지에서 도로(110) 변에 인접하여 위치한 4점으로 이루어진 과속차량 추출영역(S)을 설정하고 상기 과속차량 추출영역(S)에 위치한 차량 전체 이미지를 추출한다.
제어수단(151)은 센서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출력신호와 카메라 입력부(14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전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단속정보 및 차량정보를 추출한다.
제어수단(151)은 촬영된 복수 개의 차량 전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번호판을 캡쳐함으로 차량번호를 식별하고 또한 차량 전면 이미지를 추출한다.
여기서 차량번호 및 차량 전면 이미지는 차량정보이다.
카레라 장치(120)는 두 개 차로(도로 또는 레인) 기준으로 1600x1200 이상의 고해상도를 가지고 두 개 이상의 차로를 동시에 촬영한다.
본 발명의 개념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복수 개의 차로(110)상에 위치한 1대의 카메라 장치(120)는 차량의 과속신호를 검출하여 도로상의 이미지 촬영을 개시한다.
상기 촬영된 이미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상의 소정영역(E)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영역(E)은 차량의 첫번째 통과지점(L1)부터 두번째 통과지점(L2)을 포함한 영역이다.
제어수단(151)은 촬영된 소정영역(E) 내부에 후술하는 도 5에 도시된 다각형(바람직하게는 4각형)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과속차량 추출영역(S,S1)을 세팅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과속차량 추출영역(S,S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W:Width) 및 높이(H:Height)를 가진 4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과속차량 추출영역(S)은 기준 좌표P1(X1,Y1)를 기준점으로 X축으로 W 만큼 이동하고 Y축으로 H 만큼 이동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 개의 과속차량 추출영역(S,S1)은 촬영된 소정영역(E) 내부(도 5)에서 첫번째 통과지점(L1)과 두번째 통과지점(L2) 사이에 위치하며 첫번째 통과지점(L1)및 두번째 통과지점(L2)은 각각 제1 센서부(130a) 및 제2 센서부(130b) 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주행하는 차량이 속도 위반시 차량의 전면(앞부분)만을 촬영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차로(레인)에 위치한 복수 개의 차량을 포함한 전체 영상를 촬영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과속차량 추출영역(S 및/또는 S1)을 선택하여 추출한다.
여기서 S1->S2 이동은 미도시된 기준점 예를 들어서 P2(100,1500)의 좌표를 X축은 그대로 두고 Y축만 300을 빼서 미도시된 P3(100,1200)에 위치시킨다.
상기 설정된 과속차량 추출영역(S)에 과속차량 전체 이미지를 투시하고 촬영 및 캡쳐하여 640x480의 고해상도로 차량 전체가 나오도록 한다.
제어수단(151)은 촬영, 캡쳐 및 저장된 차량번호를 포함한 차량전면 이미지와 같은 차량정보를 처리한다.
또한, 제어수단(151)은 차량정보 처리와 동시에 과속차량을 검출한 센서부(130)를 이용하여 단속정보를 처리한다.
상기 제어수단(151)은 차량정보와 단속정보를 이용(포함)하여 도 6과 같은 이미지를 외부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장치(120)는 복수 개의 차로상에서 차로를 포함한 차량 이미지를 촬영하고 생성하는 카메라 입력부(140), 상기 카메라 입력부(14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신호를 캡쳐하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포인트 어레이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포인트 어레이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포함한 차량정보를 추출하는 영상처리부(150) 및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처리된 차량정보 및 단속정보를 입력받고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CPU로 이루어지는 제어수단(151) 및 저장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15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51)은 본 발명의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내장한다.
상기 메모리(152)는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로 속도감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차로(110)를 가진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를 모니터링하고 과속에 의해 모니터링된 차량의 차량정보 및 단속정보를 추출 및 처리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차로(110)에서 적용되며, 상기 복수 개는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또는 여덟 또는 여덟 이상도 가능하다.
하나의 도로(110)는 제1 센서부(130a) 및 제2 센서부(130b)를 포함한다.
우선, 제어수단(151)은 복수 개의 주행차로(110)에 매설된 센서부(130a)의 출력신호를 통하여 차량(A 및/또는 B)의 진입을 검출(감지)하고(S210), 상기 진입된 차량이(A 및/또는 B) 과속주행을 하는 지를 판단한다(S220).
또한, 단계 S220에서, 제어수단(151)은 차량이 과속주행이 아니라면 단계 S210 이전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220에서, 제어수단(151)은 센서부(130a)를 통하여 차량이 과속주행이라면 영상처리부(120b)의 웨이크업 기능블록(미도시)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도 5와 같이 복수 개의 차로(110)상의 이미지 촬영영역(E)을 설정하여 차로 이미지 촬영을 개시한다(S250).
상기 제어수단(151)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점P1(X1,Y1) 및 W(폭), H(높이)를 설정하여 과속차량 추출영역(S)을 세팅하고, 좌표에 의해 구성된 과속차량 추출영역(S)을 촬영 이미지에 대응시키고, 대응된 과속 차량 이미지를 짤라서 저장한다(S260).
제어수단(151)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공지된 차량 번호판 추출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추출하고(S270), 차량 번호판을 포함한 차량 전면(전체) 이미지와 같은 차량정보를 추출, 저장 및 처리한다(S280).
단계 S270에서 도 6a의 추출된 차량 전면 이미지로부터 도 6b의 차량 번호판이 추출된다.
제어수단(151)은 단계 S280 및 S240을 수행한 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정보가 포함된 이미지와 단속정보(미도시)를 전송한다(S290).
한편, 제어수단(151)은 단계 S220에서 과속인지를 판단하고, 과속이면 과속차로를 판단하고, 과속차로 판단에 따른 제어신호를 단계 S260의 과속차량추출을 개시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개시신호)로 이용한다(S230).
따라서, 단계 S260은 단계 S230의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서 개시된다.
제어수단(151)은 단계 S260~S280를 실시함과 아울러 센서부(130)를 이용하여 과속차로, 과속지점 고유번호, 위반종류, 위반일자, 시간, 순간속도, 평균속도, 차량길이, 차량유무와 같은 단속정보를 저장 및 처리한다(S240).
단계 S260에서 제어수단(151)은 촬영영역(E) 내부에서 첫번째 통과지점(L1)과 두번째 통과지점(L2) 사이에 위치하는 다각형의 소정면적을 갖는 과속차량 설정영역(S)을 입력(결정)한다.
또한, 제어수단(151)은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과속차량 추출영역(S)이 실제 도로에서 카메라 장치(120)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와 연결가능하도록한다.
여기서, 좌표P, P1, W 및 H는 각각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과속차량 추출영역(S)을 이미지 공간에 투시 매핑하여 도로표면에 겹치게 하고, 카메라 장치(120)는 도로 위의 실물과 카메라의 각각의 픽셀 사이에 1:1 매칭을 한다.
단계 S260에서 투시 매핑에 따른 이미지 좌표가 생성되면, 이미지 좌표에 투시된 이미지 픽셀이 샘플링되어 도로의 대응되는 포인트를 나타낸다.
즉, 단계 S250에서 카메라 장치(120)의 이미지 촬영영역(E)에 과속차량이 접근하든지 빠져나가든지 하면서 차량의 주행 이미지가 캡쳐 및 저장된다.
상기 제어수단(151)은 상기 복수 개의 차로상(110)의 복수 개의 과속차량(A 및B)이 제1 센서부(130a)를 통과하여 소정 시간 차이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과속차량 추출영역(S,S1)에 도달하는 경우에, 후행하는 과속차량(B)은 선행차량(A)과의 시간차이에 대응한 Y좌표값을 빼줌으로 새로운 과속차량 추출영역을 설정(세팅 또는 셋팅)하여 후행하는 과속차량(B) 이미지를 추출한다.
즉, 카메라 장치(120)는 초당 15개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과속차량A(1차로) 통과 후 약 0.07초 후면 차로에 관계없이 과속차량B(2차로)를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과속차량A가 통과 후 0.07초 안에 과속차량B가 통과시에는 과속차량1이 통과시 촬영한 이미지에 과속차량B가 존재함으로 소정 시간차이가 나는 만큼 2차로의 Y좌표값을 이동(빼줌)시켜줌으로 동시 진입차량의 단속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서 도 5에서 미도시된 P1(300,400), W=640, H=480 이라 하고 0.01초당 10픽셀(Pixel)을 이동시켜야 한다고 가정하면, 0.05초의 차이를 두고 진입한 차량B에 대해 (0.05x10)/0.01=50픽셀이므로 Y좌표를 400-50=350으로 하여 새로운 좌표(300,350,640,480)가 과속차량추출 설정영역으로 세팅된다.
120 : 카메라 장치
140 : 카메라 입력부
130 : 센서부

Claims (6)

  1. 복수 개의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각각의 도로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통과에 따른 과속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센서부(130); 및
    상기 복수 개의 차로(110)상의 차로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130)로부터 출력되는 과속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복수 개의 차로(110)상에 주행하는 과속차량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120)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장치(120)는 복수 개 차로(110)상에 이미지 촬영영역(E)을 설정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이미지 촬영영역(E)에서 소정 폭과 높이로 이루어진 과속차량 추출영역(S)을 설정하여 상기 촬영된 복수 개의 차로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속차량의 단속정보 및 차량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카메라 장치(120)는 복수 개의 차로상의 차량 이미지를 촬영하고 생성하는 카메라 입력부(140), 상기 카메라 입력부(14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신호를 캡쳐하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포인트 어레이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포인트 어레이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포함한 차량정보를 추출하는 영상처리부(150) 및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처리된 차량정보 및 단속정보를 입력받고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복수 개의 차로상의 복수 개의 과속차량이 제1 센서부(130a)를 통과하여 소정 시간 차이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과속차량 추출영역(S,S1)에 도달하는 경우에, 후행하는 과속차량은 선행차량과의 시간차이에 대응한 Y좌표값을 이동함으로 새로운 과속차량 추출영역을 설정하여 후행하는 과속차량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센서부(130)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과속차로, 과속지점 고유번호, 위반일자, 위반종류, 시간, 순간속도, 평균속도, 차량길이, 차량유무의 단속정보 및 차량번호를 포함한 과속차량 전면 이미지가 캡쳐된 차량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5. 복수 개의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영상처리부(150)가 상기 복수 개의 차로(110)에 차량이 진입함에 따른 과속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과속여부를 판단하고, 과속이면 과속차로를 판단함과 아울러 제어신호를 카메라 장치(120)에 전송하여 상기 복수 개의 차로(110)상의 이미지 촬영영역(E)을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영상처리부(150)가 상기 판단된 과속차로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복수 개의 도로(110)상에 소정 폭과 높이로 이루어진 과속차량 추출영역(S)을 세팅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속차량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과속차량 이미지로부터 차량 전면 이미지를 포함한 차량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영상처리부(150)가 상기 (b)단계를 수행함과 아울러 센서부(130)를 이용하여 과속차로, 과속지점 고유번호, 위반일자, 위반종류, 시간, 순간속도, 평균속도, 차량길이, 차량유무의 단속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영상처리부(150)가 상기 단계 (b) 및 (c)를 수행하고 과속차량의 단속정보 및 차량정보를 이용한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복수 개의 차로(110)상의 복수 개의 과속차량이 제1 센서부(130a)를 통과하여 소정 시간 차이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과속차량 추출영역(S,S1)에 도달하는 경우에, 후행하는 과속차량은 선행차량과의 시간차이에 대응한 Y좌표값을 이동함으로 새로운 과속차량추출영역을 설정하여 후행하는 과속차량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로 속도감지 방법.
  6. 삭제
KR1020120006492A 2012-01-20 2012-01-20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8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492A KR101288264B1 (ko) 2012-01-20 2012-01-20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492A KR101288264B1 (ko) 2012-01-20 2012-01-20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264B1 true KR101288264B1 (ko) 2013-07-26

Family

ID=4899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492A KR101288264B1 (ko) 2012-01-20 2012-01-20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26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64B1 (ko) 2013-12-13 2015-08-06 도로교통공단 존-검지 체계 기반 교통안전 관리 시스템
KR101694155B1 (ko) * 2016-11-11 2017-01-09 렉스젠(주) 주행 차량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WO2017116134A1 (ko) * 2015-12-30 2017-07-06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레이더 및 영상 융합 차량 단속시스템
KR101925293B1 (ko) 2015-12-30 2018-12-05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레이더 및 영상 융합 차량 단속시스템
KR20220090639A (ko) * 2020-12-22 2022-06-30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Cctv 동영상 기반 다차로 차량번호 인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341A (ko) * 2003-11-19 2005-05-24 (주)시그너스시스템 하나의 무인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전차선 과속단속 시스템
KR20050048961A (ko) * 2003-11-20 2005-05-25 삼덕전기 주식회사 무인 과속 감지 카메라 시스템
KR100768135B1 (ko) * 2007-02-03 2007-10-17 (주) 인펙 복수차선 감시장치
KR100779509B1 (ko) 2007-02-21 2007-11-27 (주) 인펙 차량감식장치와 차량감식장치에 연결된 종합관리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341A (ko) * 2003-11-19 2005-05-24 (주)시그너스시스템 하나의 무인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전차선 과속단속 시스템
KR20050048961A (ko) * 2003-11-20 2005-05-25 삼덕전기 주식회사 무인 과속 감지 카메라 시스템
KR100768135B1 (ko) * 2007-02-03 2007-10-17 (주) 인펙 복수차선 감시장치
KR100779509B1 (ko) 2007-02-21 2007-11-27 (주) 인펙 차량감식장치와 차량감식장치에 연결된 종합관리 서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64B1 (ko) 2013-12-13 2015-08-06 도로교통공단 존-검지 체계 기반 교통안전 관리 시스템
WO2017116134A1 (ko) * 2015-12-30 2017-07-06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레이더 및 영상 융합 차량 단속시스템
KR101925293B1 (ko) 2015-12-30 2018-12-05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레이더 및 영상 융합 차량 단속시스템
KR101694155B1 (ko) * 2016-11-11 2017-01-09 렉스젠(주) 주행 차량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90639A (ko) * 2020-12-22 2022-06-30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Cctv 동영상 기반 다차로 차량번호 인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37148B1 (ko) * 2020-12-22 2023-05-31 대보정보통신(주) Cctv 동영상 기반 다차로 차량번호 인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813B1 (ko) 영상 기반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700622B (zh) 用于识别车牌的方法和设备
KR101288264B1 (ko) 다차로 속도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3331B1 (ko) 차량속도 측정시스템 및 차량속도 측정방법
JP6849973B2 (ja) 交通信号制御装置、交通信号制御方法、および交通信号制御プログラム
KR102039118B1 (ko) 레이더를 이용한 다차로 촬영시스템
KR101051005B1 (ko) 불법 주정차 단속장치, 단속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84105B1 (ko) 다차로 기반의 차량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34486B1 (ko) 교차로 교통법규 위반 단속 시스템 및 방법
JP2007047875A (ja) 車両挙動把握システム
KR20200141834A (ko) 영상기반 교통신호제어 장치 및 방법
CN106327880A (zh) 一种基于监控视频的车速识别方法及其系统
KR100814028B1 (ko) 주행 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KR101112562B1 (ko) 영상검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2008B1 (ko) 무인 과속 감지 카메라 시스템
KR100573317B1 (ko) 하나의 무인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전차선 과속단속 시스템
KR101719799B1 (ko) 교통정보 감응형 cctv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69712B1 (ko) 차량번호 인식장치 및 그 방법
JP2009059313A (ja) 有料道路自動料金所の車両監視装置
KR101203712B1 (ko) 영상 처리를 기반으로 한 끼어들기 단속 시스템
JP2004258981A (ja) 車両監視方法およびその装置
WO20120819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ffic violation detection
KR102221158B1 (ko) 레이더 장치와 영상 처리를 이용하여 차종, 속도, 통행량을 검지하는 장치 및 방법
CN115359671A (zh) 一种路口车辆协同控制方法及相关设备
WO2021094799A1 (ja) 信号機認識方法及び信号機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