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142B1 -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화상 처리 시스템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화상 처리 시스템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142B1
KR101288142B1 KR1020100017845A KR20100017845A KR101288142B1 KR 101288142 B1 KR101288142 B1 KR 101288142B1 KR 1020100017845 A KR1020100017845 A KR 1020100017845A KR 20100017845 A KR20100017845 A KR 20100017845A KR 101288142 B1 KR101288142 B1 KR 101288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job
processing apparatus
destination
exec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328A (ko
Inventor
마사히로 이와다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8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15Assigning priority to, or interrupting, a particular operation
    • H04N1/00923Variably assigning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05Automation of particular receiver jobs, e.g. rejecting unwanted calls
    • H04N1/32021Automation of particular receiver jobs, e.g. rejecting unwanted calls according to the type of receiv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2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 H04N1/32539Detecting 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outpu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45Distributing a job or task among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or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2Detecting the status of a conn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2201/218Deletion of stored data; Preventing such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85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2201/3295Deletion of stored data; Preventing such dele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가 서로 연계하여 단일 잡을 처리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정보 보안성 관리 기술이다. 단일 잡이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연계하여 실행되는 경우, 연계처로서의 화상 처리 장치는, 잡의 연계원으로서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레벨이 지원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화상 소거 레벨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는, 잡이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된 HDD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HDD를 사용하지 않고 잡이 실행될 수 있는 경우,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는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잡이 실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Description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화상 처리 시스템 및 기억 매체{DESTIN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가 서로 연계하여 단일 잡(single job)을 처리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정보 보안성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화상 처리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소거하는 방법에 대하여, 종래, 서로 연계된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 사이에 보안성 레벨 정보가 미리 교환되고, 이에 의해 화상 처리 장치들이 동일한 보안성의 레벨에서 동작할 수 있게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이 제안되어 왔다(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8-035269호 참조).
또한, 화상 데이터의 소거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의 소거의 상황이 잡 로그(job log)에 기록되고, 이에 의해 유저가 그 소거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6-211229호 참조).
그러나,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가 연계 방식으로 단일 잡을 실행하는 경우,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8-035269호 및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6-211229호에 개시된 방법들은 이하의 문제점들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8-035269호에서, 연계원(cooperation source)으로서의 화상 처리 장치는, 연계처(cooperation destination)로서의 화상 처리 장치의 보안성 레벨에 따라 동작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가 보안성이 높은 소거 방법을 지원하더라도,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가 보안성이 낮은 소거 방법만을 지원하는 경우,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도 보안성이 낮은 소거 방법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소거하도록 요구받는다. 따라서, 연계원 및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에서, 정보의 보안성이 충분히 유지될 수 없다.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가 서로 연계하여 단일 잡을 실행하는 경우,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6-211229호에 따른 소거 확인이 수행되면, 이하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언급된 경우에서,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 및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서로 이격된 각각의 장소들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연계원 및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들의 유저들은, 통상 그들이 사용하는 화상 처리 장치들 가까이에 있지 않다. 따라서, 유저 각각은, 유저가 소거 확인을 하고 싶은 화상 처리 장치들이 설치된 장소에 가야 한다. 이것은 유저에게 번거롭다.
또한, 예를 들어, 화상 처리 장치 A에 의해 수신된 팩시밀리 화상 데이터(이하, "FAX 데이터"로 지칭됨)가 화상 처리 장치 B로 전송되고 이에 의해 인쇄되는 연계 잡에서, 화상 처리 장치 A는, 단순한 중계기로서만 기능한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경우들에서, 화상 처리 장치 A의 유저는, 화상 처리 장치 A가 FAX 데이터를 중계한 사실도 모르므로, 화상 처리 장치 B의 유저가 인쇄 처리를 확인하고, 화상 처리 장치 B를 사용하여 소거 확인을 수행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한편, 화상 처리 장치 A에 의해 스캔된 화상 데이터가 화상 처리 장치 B로 전송된 다음, FAX 송신에 의해 다른 장치로 또한 전송되는 연계 잡에서, 화상 처리 장치 B는, 단순한 중계기로서만 기능한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경우들에서, 화상 처리 장치 B의 유저는, 화상 처리 장치 B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중계한 사실도 모르므로, 화상 처리 장치 A의 유저가 스캔 처리를 확인하고, 화상 처리 장치 A를 사용하여 소거 확인을 수행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더 편리한 화상 데이터 소거 확인을 위해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 및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 중 어느 것이 선택되어야 하는지는, 연계 잡의 설정들에 의존한다. 따라서,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 및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 모두가 소거 확인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더라도, 그 장점은 매우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가 연계 방식으로 단일 잡을 실행하는 경우, 연계원으로서의 화상 처리 장치 및 연계처로서의 화상 처리 장치가 전체적으로 정보의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단일 잡이,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연계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포함되어 목적지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이며,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잡에서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방법을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1 판정 유닛, 상기 제1 판정 유닛이,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상기 화상 소거 방법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잡이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된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판정 유닛, 및 상기 제2 판정 유닛이, 상기 잡이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잡이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 단일 잡이, 네트워크를 통해, 소스 화상 처리 장치 및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연계하여 실행되는 화상 처리 시스템이며, 상기 잡에 대하여 소스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상기 소스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잡에 대하여 목적지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잡과 연관된 화상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한 소거 방법을 지정하도록 구성된 지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지정 유닛에 의해 지정된 상기 소거 방법을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1 판정 유닛, 상기 제1 판정 유닛이,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지정 유닛에 의해 지정된 상기 소거 방법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잡이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된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판정 유닛, 및 상기 제2 판정 유닛이, 상기 잡이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잡이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서, 단일 잡이,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연계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포함되어 목적지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며,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잡에서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방법을 지원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방법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된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서, 단일 잡이,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연계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포함되어 목적지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 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이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잡에서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방법을 지원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방법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된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가 연계 방식으로 단일 잡을 실행하는 경우, 연계원(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으로서의 화상 처리 장치 및 연계처(목적지 디바이스(destination device))로서의 화상 처리 장치가 전체적으로 정보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방법에 따라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가 화상 소거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도, 연관된 화상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정보의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는)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의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 및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의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FAX 수신 연계 잡이 실행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MFP)의 하드웨어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네트워크 프린터)의 하드웨어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5는, FAX 수신 연계 잡을 위해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FAX 수신 연계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FAX 수신 연계 잡에서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입력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FAX 수신 연계 잡에서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출력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FAX 수신 연계 잡에서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FAX 수신 연계 잡에서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의 흐름도들이다.
도 10은,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FAX 수신 연계 잡에서 실행되는 잡 종료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FAX 수신 연계 잡에서 사용되는 잡 관리 테이블의 구성, 및 도 5의 단계에서 설정된 값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JobStart 커맨드의 내용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JobStartAck 커맨드의 내용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화상 송신 모드 = 멀티인 경우, 연계원과 연계처 사이의 커맨드 교환의 시퀀스 도면이다.
도 15는, 화상 송신 모드 = 싱글인 경우, 연계원과 연계처 사이의 커맨드 교환의 시퀀스 도면이다.
도 16은, JobCompleted 이벤트의 내용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FAX 수신 연계 잡에서 사용되는 잡 로그의 레코드의 구성, 및 도 7의 단계에서 설정된 값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DeleteCompleted 이벤트의 내용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FAX 수신 연계 잡을 위해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FAX 수신 연계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FAX 수신 연계 잡에서 실행되는 잡 접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21은,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FAX 수신 연계 잡에서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입출력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FAX 수신 연계 잡에서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의 흐름도들이다.
도 23은, FAX 수신 연계 잡에서 사용되는 잡 관리 테이블의 구성, 및 도 20의 단계에서 설정된 값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FAX 수신 연계 잡에서 사용되는 잡 로그의 레코드의 구성, 및 도 21의 단계에서 설정된 값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FAX 수신 연계 잡에서 인쇄 완료 통지 및 화상 소거 완료 통지를 전송하는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FAX 수신 연계 잡에서 잡 로그의 도중 표시의 일례의 도면이다.
도 27은, FAX 수신 연계 잡에서 잡 로그의 최종 표시의 일례의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에 의해 FAX 송신 연계 잡이 실행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의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복사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30은, FAX 송신 연계 잡에서의 잡 관리 테이블의 구성, 및 도 5의 단계에서 설정된 값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FAX 송신 연계 잡에서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출력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32는, FAX 송신 연계 잡에서 사용되는 잡 로그의 레코드의 구성, 및 도 7의 단계에서 설정된 값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FAX 송신 연계 잡에서 사용되는 잡 관리 테이블의 구성, 및 도 20의 단계에서 설정된 값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의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FAX 송신 연계 잡에서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입출력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35는, FAX 송신 연계 잡에서 사용되는 잡 로그의 레코드의 구성, 및 도 21의 단계에서 설정된 값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a 및 도 36b는, 잡 제어부에 의해 FAX 송신 연계 잡에서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의 흐름도들이다.
도 37은, FAX 송신 연계 잡에서 FAX 송신 완료 통지 및 화상 소거 완료 통지를 전송하는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은, FAX 송신 연계 잡에서의 잡 로그의 도중 표시의 일례의 도면이다.
도 39는, FAX 송신 연계 잡에서의 잡 로그의 최종 표시의 일례의 도면이다.
이제, 그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연계원으로서의 화상 처리 장치 및 연계처로서의 화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의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 및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는, 연계 방식으로 단일 잡을 실행하기 위해 동일한 네트워크(4)에 접속되어 있다. 요컨대, 화상 처리 장치들(1, 2)은 연계 잡들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처리 시스템을 형성하는 구성 장치들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는 복합기(multifunction peripheral)(MFP)로 구현되는 한편,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는 네트워크 프린터로 구현된다. 따라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장치들은 하드웨어 구성에서 다소 상이하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장치들은 본 실시예 특유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적인 블록들을 갖는다. 더 구체적으로,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 및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는, 전자가 화상 데이터 입력부(105)를 갖는 반면 후자가 화상 데이터 입력부 대신에 화상 형성 출력부(205)를 갖는다는 점에서만, 서로 상이하다.
화상 데이터 입력부(105) 및 화상 형성 출력부(205)를 제외하고, 화상 처리 장치들(1, 2)은 동일한 기능적인 블록들, 즉, 잡 제어부들(101, 201), 기억부들(103, 203), 화상 데이터 소거부들(104, 204) 및 조작 표시부들(110, 210)을 갖는다. 화상 처리 장치들(1, 2)은, 각각의 인터페이스부들(102, 202) 및 네트워크(4)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화상 처리 장치(1(2))의 잡 제어부(101(201))는, 잡 관리 테이블(109(209))을 갖는다. 화상 처리 장치(1(2))의 기억부(103(203))는, 화상 데이터(106(206)) 및 잡 로그(107(207))를 기억한다. 또한, 화상 소거 레벨(108(208))은 화상 처리 장치(1(2))의 화상 데이터 소거부(104(204))에 설정된다.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는, 화상 데이터 입력부(105)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03)에 기억하고, 인터페이스부(102) 및 네트워크(4)를 통해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화상 처리 장치(2)는, 화상 처리 장치(1)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203)(더 구체적으로, 이하에 참조되는 HDD(2006))에 기억한 후에, 또는 기억부(203)에 기억하지 않고, 화상 형성 출력부(205)로 출력한다. 이러한 "기억한 후에" 또는 "기억하지 않고"라는 점은, 본 실시예들의 특징이므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 및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가 연계 방식으로 화상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잡은, "연계 잡"으로서 지칭된다.
도 2는,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해 수신된 FAX 데이터가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 또는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3)로 전송되어,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 또는 3)에 의해 인쇄되는 FAX 수신 연계 잡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화상 처리 장치들(1 내지 3)은, 서로 연계하도록 동일한 네트워크(4)에 접속되어, FAX 수신 연계 잡을 실행한다. 화상 처리 장치(1)는,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로서 기능하고, 스캔 기능, 프린트 기능 및 팩시밀리 기능을 구비한 MFP로 구현되어 있다. 화상 처리 장치들(2, 3) 각각은,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로서 기능한다. 화상 처리 장치(2)는 네트워크 프린터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화상 처리 장치(3)는 스캔 기능 및 프린트 기능을 구비한 복사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FAX 수신 연계 잡은,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해 수신된 FAX 데이터가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 또는 3)로 전송되고,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 또는 3)에 의해 인쇄되는 수순에 따라 실행된다.
도 3은, 화상 처리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의 블록도이다. 화상 처리 장치(1)는, 전술된 바와 같이 MFP에 의해 구현되며, 스캐너(13), 프린터(12) 및 조작 패널(11)에 접속된 컨트롤러(10)를 갖는다.
컨트롤러(10)는, CPU(1001), ROM(1010), RAM(1011), 패널 인터페이스(1003), FAX 모뎀(1004), 화상 처리부(1005), HDD(1006), 프린터 인터페이스(1007), 스캐너인터페이스(1008)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9)로 구성되어 있다. 이 디바이스들은, 그것들 사이에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버스(1002)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패널 인터페이스(1003)는, 조작 패널(11)에 접속되어 조작 패널(11)로부터 송신된 조작 신호들을 CPU(1001)로 전송하고, CPU(1001)로부터의 메시지들, 소프트 버튼들 등을 조작 패널(11)의 터치 패널(도시되지 않음) 상으로 출력한다. FAX 모뎀(1004)은, 공중 통신 회선(public communication line)(5)에 접속된 그외의 팩시밀리 기기들과 FAX 데이터를 교환한다.
스캐너 인터페이스(1008)는 스캐너(13)에 접속되어, 스캐너(13)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1005)로 공급한다. 프린터 인터페이스(1007)는 프린터(12)에 접속되어, 화상 처리부(1005)에 의해 화상 처리가 실시되어 HDD(1006)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12)로 출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9)는, 네트워크(4)에 접속된 외부 장치들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네트워크(4)에 접속된 외부 장치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HDD(1006)는, FAX 모뎀(1004), 스캐너 인터페이스(1008)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9)로부터 입력되어, 화상 처리부(1005)에 의해 화상 처리가 실시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한, HDD(1006)는, 잡 로그들을 기억한다. 화상 처리부(1005)는, CPU(1001)의 제어하에서, 화상 데이터의 출력 전 또는 입력 후에,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압축/압축 해제, 보정 및 필터링 등의 다양한 종류의 화상 처리를 수행한다.
CPU(1001)는, ROM(1010)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컨트롤러(10)의 디바이스들 각각을 제어한다. ROM(1010)은, 제어 프로그램들뿐만 아니라 조작 패널(11)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UI 화면 정보도 기억한다. RAM(1011)은, CPU(1001)용의 작업 영역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제, 도 1의 화상 처리 장치(1)의 기능적인 블록도와, 도 3의 화상 처리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의 블록도 사이의 대응 관계들을 설명한다. 도 1의 잡 제어부(101) 및 화상 데이터 소거부(104)는, 도 3의 CPU(1001), ROM(1010), RAM(1011) 및 화상 처리부(1005)에 대응한다. 도 1의 인터페이스부(102)는, 도 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09)에 대응한다. 도 1의 기억부(103)는, 도 3의 HDD(1006)에 대응한다. 도 1의 화상 데이터 입력부(105)는, 도 3의 FAX 모뎀(1004)에 대응한다. 도 1의 조작 표시부(110)는, 조작 패널(11), 패널 인터페이스(1003), CPU(1001), ROM(1010) 및 RAM(1011)에 대응한다.
도 4는, 화상 처리 장치(2)의 하드웨어 구성의 블록도이다. 화상 처리 장치(2)는 네트워크 프린터로서 기능하므로, 화상 처리 장치(2)가 FAX 모뎀(1004), 스캐너(13) 및 스캐너 인터페이스(1008)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들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MFP로서 구성된 화상 처리 장치(1)와 상이하다.
이제, 도 1의 화상 처리 장치(2)의 기능적인 블록도와, 도 4의 화상 처리 장치(2)의 하드웨어 구성의 블록도 사이의 대응 관계를 설명한다. 도 1의 잡 제어부(201) 및 화상 데이터 소거부(204)는, 도 4의 CPU(2001), ROM(2010), RAM(2011) 및 화상 처리부(2005)에 대응한다. 도 1의 인터페이스부(202)는, 도 4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09)에 대응한다. 도 1의 기억부(203)는, 도 4의 HDD(2006)에 대응한다. 도 1의 화상 형성 출력부(205)는, 도 4의 프린터 인터페이스(2007) 및 프린터(22)에 대응한다. 도 1의 조작 표시부(210)는, 도 4의 조작 패널(21), 패널 인터페이스(2003), CPU(2001), ROM(2010) 및 RAM(2011)에 대응한다. CPU(2001), 패널 인터페이스(2003), 화상 처리부(2005), HDD(2006), 프린터 인터페이스(2007),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09), ROM(2010) 및 RAM(2011)은 컨트롤러(2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FAX 수신 연계 잡을 위해 화상 처리 장치들(1, 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0은, FAX 수신 연계 잡을 위해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해 실행되는 각각의 처리들의 흐름도들이다.
도 5는, FAX 수신 연계 잡을 위해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해 실행되는 FAX 수신 연계 처리의 개요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화상 데이터 입력부(105)(FAX 모뎀(1004))로부터 FAX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의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을 생성하고, 잡 관리 테이블(109)의 정보 항목들에 각각의 값들을 설정한다(S501). 잡 관리 테이블(109)의 정보 항목들 및 단계 S501에서 설정된 값들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잡 ID" 항목은 잡의 식별자를 나타내며, 잡 제어부(101)에 의해 잡에 할당된 ID 값으로 설정된다. "잡 유형" 항목은 연계 잡의 유형을 나타내고, "FAX 수신"으로 설정된다. "잡 접수 시각" 항목은, 연계 잡의 접수 시각을 나타내며, 도 5의 단계 S501이 실행될 때의 시각으로 설정된다. "잡 처리 상황" 항목은, 연계 잡의 처리 상황을 나타내고, 단계 S501에 대응하는 시점에서 "데이터 입력"으로 설정된다. "FAX 수신 정보" 항목은, FAX 수신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나타내고, FAX 송신원의 전화번호 등의 정보로 설정된다. "화상 기억 정보" 항목은 기억부(103)의 화상 데이터의 기억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고, 화상 기억처 어드레스 등의 정보로 설정된다.
"화상 소거 레벨" 항목은, 연계 잡으로 핸들링되는 화상 데이터의 소거 레벨(0/1/2)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화상 소거 레벨"은, "레벨 0: 논리적인 소거만", "레벨 1: 랜덤 데이터로 1회 덮어쓰기" 및 "레벨 2: 랜덤 데이터로 3회 덮어쓰기"로 간주된다.
이 경우, 정보의 보안성의 정도는, 레벨 0 < 레벨 1 < 레벨 2이 된다. 이것은, 랜덤 데이터로 덮어쓰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원래의 데이터의 불명확성의 정도가 높아지므로,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실제의 효과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S501에서, 화상 처리 장치(1)에 설정되어 있는 화상 소거 레벨의 값은 잡 관리 테이블(109)에 미리 설정된다. "화상 소거 확인" 항목은, 연계원 및 연계처 중 어느 것이 연계 잡에 관련된 화상 소거를 확인하는지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연계 잡의 유형에 따라 연계원 및 연계처 중 하나가 설정된다.
FAX 수신 연계 잡에서, 화상 소거의 확인은, 단지 FAX 데이터를 전송하는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보다, FAX 데이터를 인쇄하는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에서 더 편리하므로, "화상 소거 확인" 항목은 "연계처"로 설정된다.
"자기(Self-Apparatus)의 화상 소거 상황" 항목은, 화상 처리 장치(1)(연계원)의 기억부(103)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106)의 소거 상황(미소거/소거)을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 "자기의 화상 소거 상황"은 "미소거"로 설정된다. "화상 출력처" 항목은, 화상 데이터의 출력처(연계처)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의 IP 어드레스 등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연계처가 아직 지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화상 출력처" 항목은 아무것도 설정되지 않는다.
"화상 송신 모드" 항목은, 연계원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연계처로 송신하기 위한 화상 송신 방법(멀티/싱글)을 나타닌다. "멀티" 값은, 화상 데이터의 모든 페이지들을 일괄하여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며, "싱글" 값은, 화상 데이터를 1 페이지 단위로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에서,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는,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로 전송될 복수의 페이지에 대응하는 양의 화상 데이터(106)를 기억부(103)에 기억하고 있으므로, 이 시점에서, 디폴트(default)로 "멀티"가 설정된다.
"연계처로부터의 화상 소거 완료 통지" 항목은, 화상 데이터 소거 완료의 통지가 연계원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화상 데이터(106)는 아직 송신되지 않았기 때문에, "연계처로부터의 화상 소거 완료 통지" 항목은 아무것도 설정되지 않는다. "연계처에서의 화상 소거 상황" 항목은, 연계처에서의 화상 데이터 소거 상황(미소거/소거)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화상 데이터(106)는 아직 송신되지 않았기 때문에, "연계처에서의 화상 소거 상황" 항목은 아무것도 설정되지 않는다.
잡 제어부(101)는, 화상 데이터 입력부(105)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데이터 입력 처리(S502), 화상 처리 장치(2)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 출력 처리(S503),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S504) 및 잡 종료 처리(S505)를 언급한 순서로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이하, 언급된 순서의 처리들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연계원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입력 처리의 흐름도이다.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의 잡 제어부(101)는, 화상 데이터 입력부(105)(FAX 모뎀(1004))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페이지들)(106)를 기억부(103)(HDD(1006))에 순차적으로 기억한다(S601 내지 S602). 다음으로, 잡 제어부(101)는,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03).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으면,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의 "잡 처리 상황"을 "화상 데이터 입력 완료"로 갱신하고(S604), 그 후, 화상 데이터 입력 처리가 종료된다.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았으면,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의 "잡 처리 상황"을 "화상 데이터 입력 에러"로 갱신한(S605) 다음, 잡 종료 처리를 실행하고(S606), 그 후, 연계원에서의 FAX 수신 연계 잡이 종료된다.
도 7은, 연계원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출력 처리의 흐름도이다.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의 잡 제어부(101)는, 화상 데이터 출력처(연계처)를 판정하고, 잡 관리 테이블(109)의 "화상 출력처"를 화상 데이터 출력처로 설정한다(S701).
연계처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FAX 송신원의 전화번호에 따라 연계처를 결정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예를 들어, FAX 송신원들의 전화번호들과 각각의 연계처들을 연관시킨 대응 테이블(도시되지 않음)은 연계원의 화상 처리 장치(1)에 미리 설정된다.
이것은, 잡 제어부(101)가 잡 관리 테이블(109)에 설정되어 있는 FAX 송신원의 전화번호를 대응 테이블에서 검색한 다음, 연계처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FAX 기능을 갖는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 각각이 네트워크(4) 상에 존재하면, 화상 처리 장치들 각각은 연계원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FAX 기능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들 각각에 대응 테이블(도시되지 않음)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잡 제어부(101)는, 단계 S601에서 기억부(103)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106)를, 인터페이스부(102)를 통해 연계처(화상 처리 장치(2))로 전송한다(S702).
이제, 단계 S703 등을 설명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도 8을 참조하여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 도 13 및 도 16 내지 도 18은,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에서, 화상 처리 장치(1)(연계원)와 화상 처리 장치(2)(연계처) 사이에 교환되는 각각의 커맨드들을 도시한다. 또한, 도 14 및 도 15 각각은, 화상 처리 장치(1)(연계원)와 화상 처리 장치(2)(연계처) 사이의 커맨드 교환의 시퀀스를 도시한다.
먼저, 화상 처리 장치(1)(연계원)의 잡 제어부(101)는, 화상 처리 장치(2)(연계처)로 연계 잡의 개시를 나타내는 "JobStart" 커맨드를 전송한다(도 8의 S801). "JobStart" 커맨드는, 도 12에 도시된 정보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보 항목들 각각은, 잡 관리 테이블(109)의 정보 항목들 중 연관된 하나의 값으로 설정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JobStart" 커맨드는 연계 잡의 개시를 연계처에 통지할 뿐만 아니라, 연계 잡에 의해 핸들링되는 화상 데이터의 소거에 대한 지시 정보("화상 소거 레벨" 및 "화상 소거 확인")를 포함한다.
화상 처리 장치(2)로부터 "JobStart"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JobStartAck" 커맨드(도 13을 참조)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잡 제어부(101)는 커맨드 내의 "Status"가 "OK"로 설정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802). "Status" = "NG"이면,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의 "잡 처리 상황" 항목을 "연계처측 접수 에러"로 갱신한(S804) 다음, 잡 종료 처리를 실행하고(S805), 이에 의해 연계원에 의한 FAX 수신 연계 잡이 종료된다.
"Status" = "OK"이면,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의 "화상 송신 모드"의 값(멀티/싱글)을, 커맨드 내의 "화상 송신 모드"의 값으로 덮어쓰고, 이에 의해 전자를 갱신한다(S803). 연계원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송신 모드"에서 연계처가 동작할 수 없는 경우, 연계원이 "화상 송신 모드"의 값을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가 동작할 수 있는 "화상 송신 모드"의 값(멀티/싱글)으로 절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단계가 실행된다.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의 "화상 송신 모드" 항목이 "멀티" 또는 "싱글" 중 어느 것으로 설정되는지를 판정한다(S806). "화상 송신 모드" = "멀티"이면, 잡 제어부(101)는 화상 데이터(106)의 모든 페이지들을 화상 처리 장치(2)로 일괄하여 전송한다(S807).
도 14는, "화상 송신 모드" = "멀티"인 경우에 실행되는 커맨드 시퀀스를 도시한다. "화상 송신 모드" = "멀티"인 경우, 화상 데이터의 모든 페이지들의 송신은, 송신의 개시를 나타내는 "PageStart" 커맨드로부터 송신의 종료를 나타내는 "PageEndAck" 커맨드까지 단일 페이지 시퀀스로 수행된다.
"화상 송신 모드" = "싱글"이면, 잡 제어부(101)는 화상 데이터(106)를 1 페이지 단위로 화상 처리 장치(2)로 전송한다(S808). "화상 송신 모드" = "싱글"인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 송신 동작들은, "PageStart" 커맨드로부터 "PageEndAck" 커맨드까지의 복수의 페이지 시퀀스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즉, 이 경우, "PageStart" 커맨드로부터 "PageEndAck" 커맨드까지의 페이지 시퀀스는, 페이지 수와 동일한 횟수로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화상 데이터(106)의 송신이 종료되는 경우, 잡 제어부(101)는 화상 처리 장치(2)로 화상 데이터 송신의 종료를 나타내는 "JobEnd" 커맨드를 전송한다(S809). 화상 처리 장치(2)로부터 "JobEnd" 커맨드에 대한 응답인 "JobEndAck" 커맨드가 수신되는 경우, 잡 제어부(101)는, 수신된 커맨드 내의 "Status" 항목이 "OK"로 설정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810).
"Status" = "OK"이면,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의 "잡 처리 상황" 항목을 "화상 데이터 송신 종료"로 갱신하고(S811), 그 후,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Status" = "NG"이면,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의 "잡 처리 상황" 항목을 "화상 데이터 송신 에러"로 갱신한(S812) 다음, 잡 종료 처리를 실행하고(S813), 그 후, 연계원에 의한 FAX 수신 연계 잡이 종료된다.
도 7의 화상 데이터 출력 처리의 설명으로 복귀하여, 화상 처리 장치(2)로 화상 데이터(106)를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가 종료되는 경우, 잡 제어부(101)는, 화상 처리 장치(2)로부터의 인쇄 완료 통지("JobCompleted" 이벤트)의 도착을 대기한다(S703). 이 인쇄 완료 통지("JobCompleted" 이벤트)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소거 완료 통지(오프/오프)" 항목을 포함한다.
화상 처리 장치(2)로부터 인쇄 완료 통지가 수신되는 경우,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을 갱신한다(S704). 이 경우,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의 "잡 처리 상황" 항목을 "인쇄 종료"로 갱신하고, "연계처로부터의 화상 소거 완료 통지"를, "JobCompleted" 이벤트의 "화상 소거 완료 통지(오프(OFF)/온(ON))" 항목의 설정값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잡 제어부(101)는, 잡 로그(107)에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하고, 추가된 레코드에, 잡 로그(107)의 각각의 정보 항목들과 연관된 잡 관리 테이블(109)의 정보 항목들의 값들 등을 기록하고(S705), 그 후, 화상 데이터 출력 처리가 종료된다. 도 17은, 잡 로그(107)의 레코드의 구성 및 단계 S705에서 잡 제어부(101)에 의해 설정된 값들의 예시들을 도시한다.
"레코드 번호" 항목은, 추가된 레코드의 레코드 번호로 설정된다. "잡 ID", "잡 유형", "잡 접수 시각", "FAX 수신 정보" 및 "화상 출력처" 항목들은, 잡 관리 테이블(109)의 각각의 연관된 정보 항목들의 값들로 설정된다. "잡 종료 결과" 및 "인쇄 매수" 항목들은, 화상 처리 장치(2)로부터 전송된 인쇄 완료 통지에 설정된 "Status" 및 "페이지 수"의 각각의 값들로 설정된다. "잡 종료 시각" 항목은, 현재의 시각으로 설정된다.
"자기의 화상 소거 상황" 항목은, 연계원 장치 자체(본 예시에서, 화상 처리 장치(1))에서의 화상 데이터 소거 상황(미소거/소거)을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 "자기의 화상 소거 상황" 항목은 "미소거"로 설정된다. "자기의 화상 소거 시각" 및 "화상 소거 레벨" 항목들은, "화상 소거 상황"이 "소거"로 설정될 때 설정된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자기의 화상 소거 시각" 및 "화상 소거 레벨" 항목들은 아무것도 설정되지 않는다.
"연계처에서의 화상 소거 상황" 항목은, 연계처(본 예시에서, 화상 처리 장치(2))에서의 화상 데이터 소거 상황(미소거/소거)을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 "연계처에서의 화상 소거 상황" 항목은 "미소거"로 설정된다. "연계처에서의 화상 소거 시각" 항목은, "화상 소거 상황"이 "소거"로 설정될 때 설정된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연계처에서의 화상 소거 시각" 항목은 아무것도 설정되지 않는다.
도 9a 및 도 9b는, 연계원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의 흐름도이다.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의 잡 제어부(101)는, 화상 데이터 소거부(104)에 FAX 수신 연계 잡에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를 소거하도록 지시한다(S901).
이때, 잡 제어부(101)는, 화상 데이터 소거 방법으로서, 잡 관리 테이블(109)의 "화상 소거 레벨"로서 설정되어 있는 값(0/1/2)을 지정한다. 화상 데이터 소거부(104)는, 잡 제어부(101)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레벨"에 따른 소거 방법에 의해, 현재의 잡에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를 소거한다. 화상 데이터 소거부(104)에 의한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는, 잡 제어부(101)에 의한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된다.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의 "화상 소거 확인(연계원/연계처)"항목을 참조한다(S902). "화상 소거 확인" 항목이 "연계원"으로 설정되면, 처리는 단계 S903으로 진행하는 반면, "화상 소거 확인" 항목이 "연계처"로 설정되면, 처리는 단계 S908로 진행한다.
"화상 소거 확인" = "연계원"이면, 잡 제어부(101)는, 단계 S903에서 잡 관리 테이블(109)의 "연계처로부터의 화상 소거 완료 통지(오프/온)" 항목을 참조한다.
"연계처로부터의 화상 소거 완료 통지" = "온"이면, 잡 제어부(101)는, 연계처(화상 처리 장치(2))로부터 "화상 소거 완료 통지"의 도착(S904), 및 자기(화상 데이터 소거부(104))의 화상 소거의 완료(S905) 모두를 대기한다. 한편, "연계처로부터의 화상 소거 완료 통지" = "오프"이면, 잡 제어부(101)는, 자기(화상 데이터 소거부(104))의 화상 소거의 완료(S905)만을 대기한다.
단계 S902에서 "화상 소거 확인" = "연계처"라고 판정되면, 잡 제어부(101)는, 자기(화상 데이터 소거부(104))의 화상 소거의 완료를 대기한다(S908). 다음으로, 화상 소거가 완료되면, 잡 제어부(101)는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에 화상 소거 완료 통지를 전송한다(S909). 이 화상 소거 완료 통지("DeleteCompleted" 이벤트)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소거 레벨(0/1/2)" 항목을 포함한다.
"화상 소거 확인" = "연계처"인 경우, 후술되는 바와 같이, 화상 소거 완료 통지(오프/온), 즉, 도 16의 화상 소거 완료 통지(오프/온)를 포함하는 인쇄 완료 통지("JobCompleted" 이벤트)는 연계처로부터 전송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화상 소거 확인" = "연계원"인 경우와 상이하게, "화상 소거 확인" = "연계처"인 경우,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의 "연계처로부터의 화상 소거 완료 통지(오프/온)" 항목을 참조하지 않는다. 본 예시에서, 잡 제어부(101)는 "화상 소거 확인" = "연계처"라고 판정하기 때문에, 처리는 단계 S902로부터 단계 S908로 진행한다.
자기의 화상 소거 또는 연계처(화상 처리 장치(2))의 화상 소거가 완료되는 경우, 즉, 단계 S905 또는 단계 S909의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의 "잡 처리 상황" 항목을 "화상 소거 완료"로 갱신한다(S906).
다음으로, 잡 제어부(101)는, 현재의 잡에 대한 잡 로그(107)의 레코드를 이하와 같이 갱신한(단계 S907) 후에,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를 종료한다: 잡 제어부(101)는, "자기의 화상 소거 상황"을 "소거"로, "자기의 화상 소거 시각"을 "현재의 시각"으로, "연계처의 화상 소거 상황"을 "-"로, "연계처의 화상 소거 시각"을 "-"로, "화상 소거 레벨"을 잡 관리 테이블(109)에 설정되어 있는 "화상 소거 레벨"의 값으로 설정한다.
도 10은, 연계원에 의해 실행되는 잡 종료 처리의 흐름도이다. 잡 종료 처리는, 이하의 경우들에서 실행된다:
경우 1: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까지의 처리가 정상적으로 실행된 경우(도 5의 단계 S505)
경우 2: 화상 데이터 입력 처리가 화상 데이터 입력 에러로 되는 경우(도 6의 단계 S606)
경우 3: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가 연계처측 접수 에러로 되는 경우(도 8의 단계 S805)
경우 4: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가 화상 데이터 송신 에러로 되는 경우(도 8의 단계 S813)
먼저,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의 "잡 처리 상황" 항목을 참조하고, "잡 처리 상황" 항목이 전술된 경우들 중 어느 것에 대응하는지를 판정한다(S1001 내지 S1003). "잡 처리 상황"이 경우 1에 대응하면,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을 클리어하고(S1007), 그 후, 잡 종료 처리가 종료된다.
"잡 처리 상황" 항목이 경우 2 또는 경우 3에 대응하는 경우, 화상 데이터(106)가 연계처로 전송되기 전에 연계 잡이 종료되므로, 화상 데이터 소거 확인은, 초기의 설정들(도 5의 단계 S501)에 관계없이 연계원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우,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의 "화상 소거 확인" 항목을 "연계원"으로 갱신하고(S1004), 처리는 단계 S1005 및 단계 S1006으로 진행한다.
"잡 처리 상황" 항목이 경우 4에 대응하면, 화상 데이터(106)는 연계처로 이미 전송되었으므로, 잡 관리 테이블(109)의 "화상 소거 확인" 항목은 갱신되지 않는다.
잡 제어부(101)는, 단계 S1004 또는 단계 S1003의 실행 후에 잡 로그(107)에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하고, 이에 의해 연계 잡의 결과들을 기록한다(S1005). 경우 2 또는 경우 3에서, 이 시점에서는,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가 아직 실행되지 않았으므로, 잡 제어부(101)는,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를 실행한다(S1006).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가 종료되는 경우,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을 클리어하고(S1007), 그 후, 잡 종료 처리가 종료된다.
도 19 내지 도 22b는, FAX 수신 연계 잡을 위해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들의 흐름도들이다. 이하, 흐름도들을 사용하여, 연계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들을 설명한다.
도 19는, FAX 수신 연계 잡을 위해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에 의해 실행되는 FAX 수신 연계 처리의 흐름도이다.
본 FAX 수신 연계 처리는, 인터페이스부(202)를 통해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로부터 입력되는 연계 잡의 개시를 나타내는 "JobStart" 커맨드에 의해 개시되고,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의 잡 제어부(201)에 의해 실행된다.
잡 제어부(201)는, 잡 접수 처리(S1901), 화상 데이터 입출력 처리(S1902) 및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S1903)를 순차적으로 실행하고, 마지막으로 잡 관리 테이블(209)을 클리어하고(S1904), 그 후, 연계처에서의 FAX 수신 연계 잡이 종료된다.
이하, 언급된 순서대로 전술된 처리들을 설명한다.
도 20은, 연계처에 의해 실행되는 잡 접수 처리의 흐름도이다. 먼저, 잡 제어부(201)는 잡 관리 테이블(209)을 생성하고, 연계원(화상 처리 장치(1))으로부터 수신된 "JobStart" 커맨드에 기초하여, 잡 관리 테이블(209)의 정보 항목들에 각각의 값들을 설정한다(S2001).
도 23은, 잡 관리 테이블(209)의 구성 및 단계 S2001에서 설정된 값들을 도시한다. 먼저, 잡 관리 테이블(209)의 정보 항목들을 설명한다. "잡 ID" 내지 "자기의 화상 소거 상황" 항목들은, 연계원(화상 처리 장치(1))의 잡 관리 테이블(109)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된다.
"화상 입력원" 항목은, 화상 데이터 입력원(연계원)을 나타낸다. "HDD 기억" 항목은, 연계원으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203)(HDD(2006))에 기억할 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연계원의 화상 소거 상황" 항목은, 연계원에서의 화상 데이터 소거 상황(미소거/소거)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단계 S2001에서 설정된 값들을 설명한다. "잡 ID", "잡 유형", "FAX 수신 정보", "화상 소거 확인" 및 "화상 입력원" 항목들은, "JobStart" 커맨드에서 지정된 각각의 연관된 값들로 설정된다. "잡 접수 시각" 항목은, 현재의 시각으로 설정된다. "잡 처리 상황" 항목은, "잡 접수중"으로 설정된다.
"화상 기억 정보" 항목은, 화상 처리 장치(1)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206)가 기억되는 기억처의 어드레스 등으로 설정된다. "화상 소거 레벨" 항목은, 화상 처리 장치(1)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화상 소거 레벨(208)의 값으로 설정된다. "자기의 화상 소거 상황", "HDD 기억" 및 "연계원의 화상 소거 상황" 항목들은, 아직 결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것들은 아무것도 설정되지 않는다.
화상 처리 장치(2)의 잡 제어부(201)는, 연계처인 화상 처리 장치(2)가 연계원(화상 처리 장치(1))으로부터 수신된 "JobStart" 커맨드에서 지정된 화상 소거 레벨을 지원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02). 이 단계는 본 발명의 제1 판정 유닛의 일례를 제공한다.
연계원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레벨이 지원되면, 잡 제어부(201)는 잡 관리 테이블(209)을 이하와 같이 갱신한다(S2003): "HDD 기억" 항목이 "온"으로 설정되고, "화상 소거 레벨" 항목이 연계원으로부터 수신된 "JobStart" 커맨드에서 지정된 화상 소거 레벨로 갱신된다. 이것은, 연계원 및 연계처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벨로 조정된 연계 잡의 화상 소거 레벨(소거 방법)을 이용하여 연계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잡 제어부(201)는,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로 "JobStartAck" 커맨드를 전송하고, 이에 의해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로 잡 접수가 가능함을 통지한다(S2004).
한편, 연계원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레벨이 지원되지 않으면, 잡 제어부(201)는, 연계 잡이 기억부(203)(HDD(2006))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RAM(2011) 만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05).
단계 S2005의 판정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루틴, 그 기억 매체 및 그 실행 수단인 CPU(2001)는, 본 발명의 제2 판정 유닛의 일례이다.
지정된 "화상 소거 레벨"이 지원되지 않아도, 화상 데이터가 HDD(2006)에 기억되지 않으면, HDD(2006)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소거하는 처리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단계 S2005의 판정 처리가 실행된다.
즉, 지정된 화상 소거 레벨이 지원되지 않아도, 정보의 보안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없는 비휘발성 기억 매체인 HDD(2006)에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지 않으면, 가장 높은 레벨에서 정보의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소거 처리가 연계처에 의해 실제로 실행되지 않아도, 연계 잡에 관한 소거 지시의 의도(목적)는 실질적으로 가장 유리한 방법으로 달성되므로, 연계 잡의 일관성(연계 처리의 실행 가능성)은 충분히 유지될 수 있다.
HDD(2006)를 사용하지 않고 연계 잡을 처리할 수 있으면, 잡 제어부(201)는 잡 관리 테이블(209)의 "HDD 기억" 항목을 "오프"로 설정한다(S2006).
HDD(2006)를 사용하지 않고 연계 잡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로 전송하는 송신 방법이, "멀티"로부터 "싱글"로 변경되고, 화상 처리 장치(2)에 의해 수신된 화상 데이터가 휘발성 RAM(2011)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휘발성 RAM(2011)을 사용하는 방법은, HDD(2006)를 사용하지 않고 연계 잡의 거의 100%를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메모리 용량 부족으로 인해 RAM(2011)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저렴한 휘발성 RAM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문제점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잡 관리 테이블(209)의 "HDD 기억" 항목을 "오프"로 설정한 후에, 잡 제어부(201)는,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로 "JobStartAck" 커맨드를 전송하여,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로 잡 접수가 가능함을 통지한다(S2007). 이 경우, 잡 제어부(201)는, "JobStartAck" 커맨드의 "화상 송신 모드" 항목을 "싱글"로 설정한다.
연계 잡이 HDD(2006)를 사용하지 않고 처리될 수 없으면, 잡 제어부(201)는,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로 Status = NG를 갖는 "JobStartAck" 커맨드를 전송하고(S2008), 이에 의해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로 잡 접수가 불가능함을 통지한다. 이 경우, 잡 제어부(201)는, 잡 관리 테이블(209)을 클리어하고(S2009), 연계처에 의한 FAX 수신 연계 처리가 종료된다.
연계 잡의 실행이 상기와 같이 거부되는 경우, 연계 잡 자체의 연계 처리의 실행 가능성은 유지될 수 없지만, 정보의 보안성을 가능한 가장 높은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잡 접수 처리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및 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수단인 CPU(2001)는, 본 발명에서의 제어 유닛의 일례를 제공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21은, 연계처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입출력 처리의 흐름도이다. 잡 제어부(201)는, 잡 관리 테이블(209)의 "HDD 기억" 항목을 참조하고, HDD(2006)가 현재의 연계 잡을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101).
"HDD 기억" = "온"이면, 즉, HDD(2006)를 사용하여 연계 잡이 처리되면, 잡 제어부(201)는, 화상 처리 장치(1)로부터 모든 페이지들의 화상 데이터를 일괄하여 수신한다(S2102: 도 14의 시퀀스). 다음으로, 잡 제어부(201)는,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HDD(2006)에 기억한다(S2102).
다음으로, 잡 제어부(201)는, HDD(2006)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형성 출력부(205)(프린터(22))로 출력하여, 모든 페이지들을 인쇄한다(S2103).
한편, "HDD 기억" = "오프"이면, 즉, HDD(2006)를 사용하지 않고 연계 잡이 처리되면, 잡 제어부(201)는, 화상 데이터를 1 페이지 단위로 수신한다(S2104: 도 15의 시퀀스). 잡 제어부(201)는, 수신된 1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를 RAM(2011)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S2104).
다음으로, 잡 제어부(201)는, RAM(2011)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형성 출력부(205)(프린터(22))로 출력하여, 1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S2105). 잡 제어부(201)는, 단계 S2104 및 단계 S2105 및 단계 S2106을 화상 데이터의 페이지 수에 대응하는 횟수로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이에 의해 모든 페이지들을 인쇄한다.
모든 페이지들의 인쇄가 완료되는 경우, 잡 제어부(201)는 잡 관리 테이블(209)의 "잡 처리 상황" 항목을 "인쇄 완료"로 갱신한다(S2107). 마지막으로, 잡 제어부(201)는, 잡 로그(207)에 레코드를 추가하고, 레코드의 정보 항목들에 각각의 값들을 설정하고(S2108), 그 후, 화상 데이터 입출력 처리가 종료된다.
도 24는, 잡 로그(207)의 레코드의 구성 및 단계 S2108에서 잡 제어부(201)에 의해 설정된 값들을 도시한다. 레코드의 정보 항목들은, 화상 처리 장치(1)의 잡 로그(107)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된다.
"레코드 번호" 항목은 추가된 레코드의 레코드 번호로 설정된다. "잡 ID", "잡 유형", "잡 접수 시각" 및 "FAX 수신 정보" 항목들은, 잡 관리 테이블(209)의 각각의 연관된 정보 항목들의 값들로 설정된다. "화상 출력처" 항목은, 화상 처리 장치(2), 즉,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자기(연계처)를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IP 어드레스)으로 설정된다.
"잡 종료 결과" 및 "인쇄 매수" 항목들은, 화상 형성 출력부(205)에 의해 실행되는 인쇄의 결과들로 설정된다. "화상 소거 상황" 항목은, 화상 데이터 소거 상황(미소거/소거)을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 "화상 소거 상황" 항목은 "미소거"로 설정된다. "화상 소거 시각" 및 "화상 소거 레벨" 항목들은, "화상 소거 상황" 항목이 "소거"로 설정될 때 설정되므로, 그것들은 이 시점에서 아무것도 설정되지 않는다.
도 22a 및 도 22b는,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의 잡 제어부(201)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의 흐름도들이다.
잡 제어부(201)는, 잡 관리 테이블(209)의 "화상 소거 확인"(연계원/연계처) 항목을 참조한다(S2201). "화상 소거 확인" 항목이 "연계원"으로 설정되면, 처리는 단계 S2202로 진행하는 반면, "화상 소거 확인" 항목이 "연계처"로 설정되면, 처리는 단계 S2208로 진행한다.
단계 S2201에서 "화상 소거 확인 = 연계원"이면, 잡 제어부(201)는, 잡 관리 테이블(209)의 "HDD 기억" 항목을 참조한다(S2202). "HDD 기억" = "온"이면, 잡 제어부(201)는, 연계원으로 인쇄 완료 통지("JobCompleted" 이벤트)를 전송한다(S2203). 이때, 잡 제어부(201)는, "JobCompleted" 이벤트의 "화상 소거 완료 통지" 항목을 "온"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잡 제어부(201)는, 화상 데이터 소거부(204)에 연계 잡에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소거를 지시한다(S2204). 이때, 잡 제어부(201)는, 화상 데이터 소거 방법으로서, 잡 관리 테이블(209)의 "화상 소거 레벨"로 설정되어 있는 값을 지정한다.
화상 데이터 소거부(204)는, 잡 제어부(201)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레벨에 대응하는 소거 모드에서 연계 잡에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를 소거한다. 화상 데이터 소거부(204)에 의한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는, 잡 제어부(201)에 의한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된다.
다음으로, 잡 제어부(201)는, 자기(화상 데이터 소거부(204))의 화상 소거의 완료를 대기한다(S2205). 화상 데이터의 소거가 완료되는 경우, 잡 제어부(201)는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로 화상 소거 완료 통지("DeleteCompleted" 이벤트)를 전송한다(S2206).
단계 S2202에서 "HDD 기억" = "오프"이면, 잡 제어부(201)는, 연계원(화상 처리 장치(1))으로 인쇄 완료 통지("JobCompleted" 이벤트)를 전송한다(S2207). 이 경우, 자기의 HDD(2006)에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므로, 잡 제어부(201)는, "JobCompleted" 이벤트의 "화상 소거 완료 통지" 항목을 "오프"로 설정한다.
단계 S2201에서 "화상 소거 확인" = "연계처"로 판정되면, 잡 제어부(201)는, 연계원(화상 처리 장치(1))으로 인쇄 완료 통지("JobCompleted" 이벤트)를 전송한다(S2208). 이 경우, 연계원으로부터 화상 소거 완료 통지가 전송되므로, 잡 제어부(201)는, "JobCompleted" 이벤트의 "화상 소거 완료 통지" 항목을 "오프"로 설정한다(S2209).
다음으로, 잡 제어부(201)는, 연계원(화상 처리 장치(1))으로부터의 화상 소거 완료 통지의 도착(S2209), 및 자기(화상 데이터 소거부(204))의 화상 소거의 완료 모두를 대기한다(S2210).
자기 및 연계원(화상 처리 장치(1))의 화상 소거가 완료되는 경우, 잡 제어부(201)는 잡 관리 테이블(209)의 "잡 처리 상황" 항목을 "화상 소거 완료"로 갱신한다(S2211). 다음으로, 잡 제어부(201)는, 현재의 잡에 대한 잡 로그(207)의 레코드를 이하와 같이 갱신한 후에,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를 종료한다:
"화상 소거 상황" = "소거"
"화상 소거 시각" = "현재의 시각"
"화상 소거 레벨" = 잡 관리 테이블(209)의 "화상 소거 레벨" 항목의 값
도 25는, 본 실시예의, 인쇄 완료 통지("JobCompleted" 이벤트)와 화상 소거 완료 통지("DeleteCompleted" 이벤트)를 교환하는 시퀀스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실행되는 처리(도시된 예시에 대응함)에서, "화상 소거 확인 = 연계처"이기 때문에, 먼저, 도 22a의 단계 S2208에서,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로부터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로 인쇄 완료 통지("JobCompleted" 이벤트)가 전송된다. 다음으로, 도 9a의 단계 S909에서,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로부터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로 화상 소거 완료 통지("DeleteCompleted" 이벤트)가 전송된다.
도 26 및 도 27은,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의 조작 표시부(210)에 표시된 잡 로그(207)의 예시들을 도시한다.
도 26은, 화상 처리 장치(2)에 의해 인쇄가 완료되는 경우, 즉, 화상 데이터 입출력 처리가 종료되는 경우(도 21의 S2108)에 표시되는 잡 로그(207)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시점에서, 화상 데이터는 아직 소거되지 않았으므로, "화상 소거"는, "자기(연계처) = 미소거" 및 "연계원 = 미소거"로 표시된다.
도 27은, 화상 처리 장치(1) 및 화상 처리 장치(2) 모두에 의해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가 종료되는 경우(도 22b의 단계 S2212)에 표시되는 잡 로그(207)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시점에서, HDD(2006)에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지 않고 연계 잡이 실행되는 경우 - 연계 잡의 실행이 거부되는 경우도 포함함 -, 화상 데이터는 이미 소거된 상태이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화상 소거"는, "자기(연계처) = 소거" 및 "연계원 = 소거"로 표시된다.
따라서, "화상 소거 확인" = "연계처"인 경우,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2)의 유저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중계기로서만 기능하는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1)의 화상 데이터 소거 상황뿐만 아니라, 장치(2)에 의해 연계 잡에서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소거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유저 편의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다음으로,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3a))에 의해 스캔된 화상 데이터를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로 전송하고, 화상 처리 장치(1)가 FAX 송신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다른 장치로 전송하게 하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FAX 송신 연계 잡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에 의해 FAX 송신 연계 잡이 실행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화상 처리 장치들(1, 3, 3a)은 동일한 네트워크(4)에 접속되어, 서로 연계하여 FAX 송신 연계 잡을 실행한다.
화상 처리 장치들(3, 3a)은,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들이며, 그것들 각각은 스캔 기능 및 프린트 기능을 구비한 복사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화상 처리 장치(1)는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이다. 화상 처리 장치(1)는 스캔 기능, 프린트 기능 및 팩시밀리 기능을 구비한 MFP로서 구성되어 있다.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 또는 3a)는 이하의 수순으로 실행되는 FAX 송신 연계 잡을 개시한다: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3a))는 FAX 송신을 위한 원고(문서)를 스캔하여, 스캔된 화상 데이터를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로 전송하고,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는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FAX 송신에 의해 다른 장치로 전송한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본 예시에서의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3a))(복사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블록도이다.
화상 처리 장치(3(3a))의 하드웨어 구성은, 화상 처리 장치(3(3a))가 FAX 기능 (FAX 모뎀(1004))을 구비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면, 화상 처리 장치(1)(도 3을 참조)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된다.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와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 사이에서 FAX 송신 연계 잡을 위해 실행되는 FAX 송신 연계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FAX 송신 연계 처리의 처리 단계들은, 도 5의 FAX 수신 연계 처리의 대응하는 단계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처리 단계들에서의 구체적인 처리는, FAX 수신 연계 처리에서의 그것과 다소 상이하다. 이하, 도 5의 FAX 수신 연계 처리와 본 FAX 송신 연계 처리 사이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그 기능적인 블록들을 참조하여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3a))를 설명하는 경우, 도 1의 좌측의 큰 블록(참조 번호 1로 표시됨) 내의 각각의 기능적인 블록들을 나타내는 참조 번호들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는, 도 1의 우측의 큰 블록(참조 번호 2로 표시됨) 내의 각각의 기능적인 블록들을 나타내는 참조 번호들을 사용하여 설명된다.
FAX 송신을 위한 조작 지시가 조작 패널(11)을 통해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의 잡 제어부(101)로 입력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메인 루틴(main routine)이 개시된다. 따라서, 도 5의 단계 번호들을 참조하여 이하를 설명한다.
먼저,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의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을 생성하고, 잡 관리 테이블(109)의 정보 항목들에 각각의 값들을 설정한다(S501).
도 30은, 잡 관리 테이블(109)의 구성 및 단계 S501에서 설정된 값들을 도시한다. 잡 관리 테이블(109)은, 이하의 점들에서 도 11의 잡 관리 테이블(109)과 상이하다:
"잡 유형" 항목은 "FAX 송신"으로 설정된다. "FAX 송신 정보" 항목은 FAX 송신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나타내고, 항목은, 예를 들어, 송신처의 전화번호로 설정된다. FAX 송신 연계 잡에서, 화상 소거의 확인은, 연계처보다 FAX 송신을 위한 조작을 수행하는 연계원에서 더 편리하므로, 도 30에 도시된 본 예시에서, "화상 소거 확인" 항목은 "연계원"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계원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입력 처리는, 처리 단계들의 관점에서 도 6의 화상 데이터 입력 처리와 유사하다. 그러나, 처리 단계들에서의 구체적인 처리는, 도 6의 화상 데이터 입력 처리에서의 그것과 다소 상이하다. 이하, 도 6의 단계 번호들을 참조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 단계들에서의 처리와 본 실시예의 화상 데이터 입력 처리 사이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의 잡 제어부(101)는, 화상 데이터 입력부(105)(스캐너(13))에 의해 수신된 화상 데이터(페이지들)(106)를 기억부(103)(HDD(1006))에 순차적으로 기억한다(S601 내지 S602). 단계 S603 내지 단계 S606은, 도 6의 화상 데이터 입력 처리에서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 31은, 본 실시예에서 연계원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출력 처리의 흐름도이다.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의 잡 제어부(101)는, 화상 데이터의 출력처(연계처)를 결정하고, 잡 관리 테이블(109)의 "화상 출력처" 항목을 결정된 출력처로 설정한다(S3101). 연계처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유저가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에 연계처를 미리 설정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따라서, 단계 S3101에서,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의 "화상 출력처" 항목을 미리 설정된 연계처로 설정한다.
잡 제어부(101)는, 기억부(103)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106)를, 인터페이스부(102) 및 네트워크(4)를 통해 연계처(화상 처리 장치(1))로 전송한다(S3102). 본 화상 데이터 송신 처리는, 도 8의 그것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된다.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로의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는 경우, 잡 제어부(101)는,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로부터 FAX 송신 완료 통지 ("JobCompleted" 이벤트)의 도착을 대기한다(S3103). 이 FAX 송신 완료 통지("JobCompleted" 이벤트)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JobCompleted" 이벤트와 유사하다.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로부터 FAX 송신 완료 통지가 수신되는 경우, 잡 제어부(101)는, 잡 관리 테이블(109)을 갱신한다(S3104). 잡 제어부(101)는, "잡 처리 상황" 항목을 "FAX 송신 완료"로 갱신하고, "연계처로부터의 화상 소거 완료 통지" 항목을 FAX 송신 완료 통지에서 설정된 값들(오프/온) 중 하나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잡 제어부(101)는, 잡 로그(107)에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하고, 현재의 연계 잡의 FAX 송신 결과를 기록하고(S3105), 그 후, 화상 데이터 출력 처리가 종료된다.
도 32는, 잡 로그(107)의 레코드의 구성 및 단계 S3105에서 잡 제어부(101)에 의해 설정된 값들의 예시들을 도시한다.
잡 로그(107)의 레코드는 도 17의 "FAX 수신 정보" 항목 대신에 도 32의 정보 항목 "FAX 송신 정보"를 포함하고, 도 17의 "인쇄 매수" 대신에 도 32의 "FAX 송신 매수" 항목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2의 잡 로그(107)는 도 17의 잡 로그(107)와 상이하다. 또한, "잡 종료 결과" 항목이 "FAX 송신 완료 통지의 값(상황)"으로 설정된다는 점에서 도 32의 잡 로그(107)는 도 17의 잡 로그(107)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연계원에 의한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는, 도 9a 및 도 9b의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예시에서, "화상 소거 확인" = "연계원"이므로, 처리는 단계 S902로부터 단계 S908로 진행한다.
제2 실시예에서 연계원에 의한 잡 종료 처리는, 도 10의 대응하는 잡 종료 처리와 동일하다.
FAX 송신 연계 잡을 위해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개요는, 도 19의 대응하는 FAX 수신 연계 처리를 위해 실행되는 처리의 그것과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연계처에 의해 실행되는 잡 접수 처리는, 처리 단계들의 관점에서 도 20의 대응하는 잡 접수 처리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잡 접수 처리에서 단계 S2001에서 수행되는 처리는, 도 20의 잡 접수 처리의 대응하는 처리와 다소 상이하다. 도 33은, 차이점들, 즉, 잡 관리 테이블(209)의 구성 및 단계 S2001에서 설정된 값들을 나타낸다. "잡 유형"이 "FAX 송신"으로 설정되고, "화상 소거 확인"이 "연계원"으로 설정된다는 점에서, 도 33의 잡 관리 테이블(209)은 도 23의 잡 관리 테이블(209)과 상이하다.
도 34는, 제2 실시예에서 연계처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입출력 처리의 흐름도이다.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의 잡 제어부(201)는,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로부터 일괄적으로 또는 1 페이지 단위로 순차적으로 수신된 모든 페이지들의 화상 데이터를 FAX에 의해 송신한다(S3401 내지 S3402 및 S3403 또는 S3404 및 S3405).
다음으로,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의 잡 제어부(201)는, 화상 데이터의 수신의 상황을 잡 관리 테이블(209)에 반영하고(S3407), 상황을 잡 로그(207)에 기록한다(S3408).
도 35는, 연계처의 잡 로그(207)의 레코드의 구성 및 단계 S3408에서 잡 제어부(201)에 의해 설정된 값들을 도시한다. 잡 로그(207)의 레코드는 도 24의 "FAX 수신 정보" 항목 대신에 도 35의 정보 항목 "FAX 송신 정보"를 포함하고, 도 24의 "인쇄 매수" 대신에 도 35의 "FAX 송신 매수" 항목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5의 잡 로그(207)는 도 24의 잡 로그(207)와 상이하다. 또한, 도 35에서, "잡 종료 결과" 항목은 "FAX 송신 결과"로 설정된다.
도 36a 및 도 36b는, 본 실시예에서 연계처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36a 및 도 36b의 화상 데이터 소거 처리는, 인쇄 완료 통지가 연계원으로 전송되는 것(도 22a의 S2203, S2207 및 S2208) 대신에, FAX 송신 완료 통지가 연계원으로 전송된다(S3603, S3607 및 S3608)는 점에서, 도 22a 및 도 22b의 그것과 상이하다.
도 37은, 본 예시에서의 FAX 송신 완료 통지("JobCompleted" 이벤트) 및 화상 소거 완료 통지("DeleteCompleted" 이벤트)를 전송하는 시퀀스를 도시한다.
본 예시에서, "화상 소거 확인" = "연계원"이기 때문에, 먼저, 도 36a의 단계 S3603(또는 S3607)에서,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로부터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로 FAX 송신 완료 통지("JobCompleted" 이벤트)가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도 36a의 단계 S3606에서,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로부터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로 화상 소거 완료 통지("DeleteCompleted" 이벤트)가 전송된다.
도 38 및 도 39는,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의 조작 표시부(110)에 표시된 잡 로그(107)의 예시들을 도시한다.
도 38은,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한 FAX 송신이 완료되는 경우(도 31의 S3105)에 표시된 잡 로그(107)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시점에서, 화상 데이터는 아직 소거되지 않았으므로, "화상 소거"는, "자기(연계원) = 미소거" 및 "연계처 = 미소거"로 표시된다.
도 39는,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 및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 모두에 의해 화상 데이터 소거가 완료되는 경우(도 9b의 단계 S907)에 표시된 잡 로그(107)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시점에서, 화상 데이터는 이미 소거된 상태이다. 따라서, 화상 소거 결과들("자기(연계원)" = "소거", "연계처" = "소거", 및 "소거 시각"과 "소거 레벨")이 표시된다.
따라서, "화상 소거 확인" = "연계원"인 경우,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3)의 유저는, 장치(3)에 의해 연계 잡에서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소거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을 위한 중계기로서만 기능하는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1)에서의 화상 데이터 소거도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은 유저 편의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중계기로서의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연계 잡이 실행되므로, 연계 잡에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기억 매체로부터의 소거의 확인을 위한 표시는 연계원 화상 처리 장치에 맡겨진다.
이것은, 연계 잡이 현재 실행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연계원의 유저에게 소거 확인을 맡기고, 연계 잡의 실행을 인식할 수 없는 연계처의 유저가 소거 확인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 편의성이 향상된다.
전술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은, 이하의 유리한 효과들을 제공한다:
먼저, 연계원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레벨이 연계처에 의해 지원되는 경우, 연계원과 연계처는 서로 연계하여 동일한 레벨의 정보 보안성을 보장하는 소거 방법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소거할 수 있다. 이것은, 정보의 보안성을 유지하면서,연계 잡의 연계 처리의 실행 가능성을 완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연계원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레벨이 연계처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경우, 정보의 보안성을 보장할 수 없는 비휘발성 기억 매체인 HDD에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지 않으므로, 가능한 가장 높은 레벨에서 정보의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계원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레벨"이 연계처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경우, 연계 잡의 실행이 거부되면, 연계 잡의 연계 처리의 실행 가능성을 유지할 수 없지만, 정보의 보안성은, 가능한 가장 높은 레벨에서 유지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연계원에서 지정된 화상 소거 레벨이 연계처에서 지원되지 않는 경우, 실제의 소거 처리는 연계처에 의해 실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연계 잡에 대한 소거 지시는 실질적으로 가장 유리한 방법으로 달성되므로, 연계 잡의 연계 처리의 실행 가능성은 충분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연계처가 HDD를 사용하지 않고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연계 잡의 실행을 위해, 화상 데이터는 1 페이지 단위로 수신되고, 저렴하게 추가로 설치될 수 있는 RAM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인 사상을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거 확인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중계기로서만 기능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그외의 연계원 또는 연계처 화상 처리 장치, 즉, 유저가 연계 잡의 존재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이것은, 시스템의 유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전술된 실시예는,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서로 연계하여 실행되는 임의의 연계 잡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연계원 및 연계처는, 항상 하나의 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연계처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상 처리 장치는, 프린터, 복사기 또는 MFP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바이스 또는 장치가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인 사상은, 스캐너 디바이스, 팩시밀리 기기 또는 컴퓨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HDD를 사용하지 않고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연계처는 연계원에 1 페이지 단위로 화상 데이터 송신을 요구하는 것 대신에, 적어도 모든 페이지들의 화상 데이터를 일괄하여 전송하지 않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것은, 정보의 보안성을 유지하면서, 연계 잡의 실행 속도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게 한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HDD에 의해 구현되지만, 특정한 기억 매체가 HDD 이외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인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특정한 기억 매체는, 화상 처리 장치에 내장되거나, 또는, 화상 처리 장치에 외장으로(및, 예를 들어,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들은, 전술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 및 단계들이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기능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로부터 컴퓨터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그러한 변경들 및 등가 구조물들 및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2009년 2월 27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9-046267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된다.
101, 201: 잡 제어부
102, 202: 인터페이스부
103, 203: 기억부
104, 204: 화상 데이터 소거부
105: 화상 데이터 입력부
106, 206: 화상 데이터
107, 207: 잡 로그
108, 208: 화상 소거 레벨
205: 화상 형성 출력부

Claims (11)

  1. 단일 잡이,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연계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포함되어 목적지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이며,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잡에서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방법을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1 판정 유닛;
    상기 제1 판정 유닛이,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상기 화상 소거 방법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잡이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된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판정 유닛; 및
    상기 제2 판정 유닛이, 상기 잡이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잡이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되도록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된 다른 기억 매체를 사용하여 상기 잡이 실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 유닛이,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상기 화상 소거 방법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또한 상기 제2 판정 유닛이, 상기 잡이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된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잡의 실행을 거부하는,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되도록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하여 복수의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를 일괄하여 전송하지 않도록 요구하는,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되도록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하여 복수의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를 페이지 단위로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 유닛은,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가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지 또는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외장되어 있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중계기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잡의 내용들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잡에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로부터의 소거를 확인하기 위한 표시가 상기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맡겨지는,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상기 화상 소거 방법은,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소거할 때 이용되는 화상 소거 방법인,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
  9. 단일 잡이, 네트워크를 통해, 소스 화상 처리 장치 및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연계하여 실행되는 화상 처리 시스템이며,
    상기 잡에 대하여 소스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상기 소스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잡에 대하여 목적지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잡과 연관된 화상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한 소거 방법을 지정하도록 구성된 지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지정 유닛에 의해 지정된 상기 소거 방법을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1 판정 유닛;
    상기 제1 판정 유닛이,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지정 유닛에 의해 지정된 상기 소거 방법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잡이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된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판정 유닛; 및
    상기 제2 판정 유닛이, 상기 잡이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 상기 잡이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실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되도록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된 다른 기억 매체를 사용하여 상기 잡이 실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10. 단일 잡이,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연계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포함되어 목적지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며,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잡에서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방법을 지원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방법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된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되도록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된 다른 기억 매체를 사용하여 상기 잡이 실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1. 단일 잡이,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연계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에 포함되어 목적지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 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이며,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상기 잡에서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방법을 지원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가 소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지정된 화상 소거 방법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된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특정한 기억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잡이 실행되도록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된 다른 기억 매체를 사용하여 상기 잡이 실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100017845A 2009-02-27 2010-02-26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화상 처리 시스템 및 기억 매체 KR101288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46267 2009-02-27
JP2009046267A JP5404097B2 (ja) 2009-02-27 2009-02-27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328A KR20100098328A (ko) 2010-09-06
KR101288142B1 true KR101288142B1 (ko) 2013-07-18

Family

ID=4227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845A KR101288142B1 (ko) 2009-02-27 2010-02-26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화상 처리 시스템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90860B2 (ko)
EP (1) EP2224720A1 (ko)
JP (1) JP5404097B2 (ko)
KR (1) KR101288142B1 (ko)
CN (1) CN1018204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9571B2 (ja) * 2010-12-28 2015-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683310B2 (ja) * 2011-02-10 2015-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71497B2 (ja) * 2011-06-27 2016-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データ消去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882638B2 (ja) * 2011-08-30 2016-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2984418A (zh) * 2011-09-06 2013-03-20 株式会社东芝 图像形成装置以及数据管理方法
JP2014130543A (ja) * 2012-12-28 2014-07-10 Ricoh Co Ltd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6875808B2 (ja) * 2016-09-09 2021-05-2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7558A (ja) * 2003-11-21 2005-06-16 Ricoh Co Ltd プリンタシステム及びプリンタマネジメントプログラム
JP2006211229A (ja) * 2005-01-27 2006-08-10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8021007A (ja) * 2006-07-11 2008-01-31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27266T2 (de) * 1995-10-13 2003-12-24 Seiko Epson Corp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Drucken von sich teilweise wiederholenden Daten
JP3437485B2 (ja) 1999-04-13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印刷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4147097B2 (ja) * 2002-11-29 2008-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4439187B2 (ja) * 2003-02-10 2010-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JP2005144844A (ja) * 2003-11-14 2005-06-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ジョブ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4274175B2 (ja) * 2005-12-28 2009-06-0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デバイス、並びにデータ消去プログラム
JP4890990B2 (ja) 2006-07-28 2012-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42643A (ja) * 2007-03-26 2008-10-09 Brother Ind Ltd セキュアジョブ情報を扱う画像形成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7558A (ja) * 2003-11-21 2005-06-16 Ricoh Co Ltd プリンタシステム及びプリンタマネジメントプログラム
JP2006211229A (ja) * 2005-01-27 2006-08-10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8021007A (ja) * 2006-07-11 2008-01-31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20490B (zh) 2012-12-12
US20100220357A1 (en) 2010-09-02
JP5404097B2 (ja) 2014-01-29
EP2224720A1 (en) 2010-09-01
KR20100098328A (ko) 2010-09-06
CN101820490A (zh) 2010-09-01
US8390860B2 (en) 2013-03-05
JP2010206243A (ja)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142B1 (ko) 목적지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화상 처리 시스템 및 기억 매체
KR100973125B1 (ko) 화상 처리 장치, 디지털 복합기 및 그 제어 방법
JP4375434B2 (ja) ワークフロー実行システム及び実行方法、画像処理装置並びにワーク代替処理プログラム
JP2011255516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114674A (ja) 画像形成装置、記憶領域確保方法
JP2011066741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77600A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61424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サーバ
JP2005231158A (ja) ジョブ処理装置およびジョブ処理システム
JP4631445B2 (ja) ジョブフロー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その課金方法、ジョブフローサービス装置
JP6089621B2 (ja) 操作端末、操作端末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784643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4618213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8193588A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2100275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436917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printing system
JP3618662B2 (ja) 画像読取装置
JP4725584B2 (ja) ファックス送信システム
JP561073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30039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ファクシミリデータ送受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30036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5275471A (ja) サービス連携システム
JP5310777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305170B2 (ja) 処理実行装置
JP2020096263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