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853B1 -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853B1
KR101287853B1 KR1020110007876A KR20110007876A KR101287853B1 KR 101287853 B1 KR101287853 B1 KR 101287853B1 KR 1020110007876 A KR1020110007876 A KR 1020110007876A KR 20110007876 A KR20110007876 A KR 20110007876A KR 101287853 B1 KR101287853 B1 KR 101287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ying unit
unit
vacuum freeze
freeze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560A (ko
Inventor
조영두
김중열
Original Assignee
조영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두 filed Critical 조영두
Priority to KR1020110007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8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26B5/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the process involv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활한 건조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진공 상태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 케이스부와, 동결된 유기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원통형 건조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건조부는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며 중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활한 건조가 연속적으로 이루지므로 건조시간이 단축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for vacuum freezing drier}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진공동결건조기에 사용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동결건조는 식품가공분야, 제약분야, 생물학분야 등에서 식품, 액상의 약품, 혈액, 세포 등의 건조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진공동결건조는 동결된 물질이 적재되어 있는 챔버 내부 압력을 물, 얼음 및 수증기가 공존하는 물의 삼중점 이하로 저하시키고, 서서히 열을 가하면 얼음이 직접 수증기로 변화되는 승화현상을 이용한다. 즉, 6 밀리바(mbar) 또는 4.6토르(Torr)이하의 낮은 압력 하에서 얼음의 형태를 가지는 수분은 열에너지의 공급에 따라 액체로 변하지 않고 수증기로 직접 승화되며, 승화되는 수증기에 의하여 물질에는 무수히 많은 공간이 남게 된다. 따라서 진공동결건조된 다공성 물질은 완전하고 신속하게 재수화(Rehydration) 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과정은 동결된 물질에 포함된 얼음이 승화될 수 있도록 서서히 열을 가하면서 진행되는데, 종래의 진공동결건조기에 의할 경우 동결된 물질의 적재 공간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대량의 물질을 동결건조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활한 건조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율적인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진공 상태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 케이스부와, 동결된 유기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원통형 건조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건조부는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며 중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복수 개의 상기 건조부는 내부에 적재된 유기물이 교반될 수 있도록 각각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 개의 상기 건조부는 단면이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부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매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은 내경이 가장 작은 상기 건조부의 회전축에서 멀어질수록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부에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부에는 각각의 상기 건조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건조부에 공급되는 열량을 조절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는, 상기 건조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복수 개의 날개부재로 구성된 교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재는 상기 건조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기물이 적재된 상기 원통형 건조부 내주면 및 외주면에는 교반을 위한 교반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플레이트는 상기 건조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교반플레이트는 상기 건조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플레이트는 상기 건조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냉동된 유기물이 원통 형태의 건조부 내에서 연속적으로 뒤섞이며 건조되기 때문에 건조효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건조부가 복수 개 배열되어 있으므로 대량의 유기물을 동시에 건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각 건조부 별로 적절한 열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넷째, 교반부가 구비되어 내부에 적재된 유기물이 타지 않고 원활하고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A-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B-B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의 건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의 교반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a는 정면도이고, 도 6b는 측면도이며, 도 6c는 I-I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A-A의 단면도이며, 도 3은 B-B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진공 상태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 케이스부(100)와, 동결된 유기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100) 내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원통형 건조부(200)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건조부(200)는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며 중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진공동결건조방법을 통해서 인간이나 동물의 시체 등을 포함한 유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유기물을 끊는점이 -196℃인 액화 질소를 사용해서 급속 냉동시키는 과정, 효과적인 건조를 위해서 진동이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유기물을 잘게 분쇄하는 과정, 건조장치 내에서 건조과정을 통해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 마지막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정 중 건조과정에 사용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케이스부(100)와, 상기 케이스부(100) 내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건조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부(100)는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진공 챔버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부(100)에는 기본적으로 유기물 투입 및 토출을 위해 투입구(10) 및 토출구(20)가 구비되고,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제습장치(미도시)로 연결되는 유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할 건조부(200)와 교반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과정은 유기물 내부에 존재하는 고체상태의 수분이 승화될 수 있도록 서서히 열이 가해지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마련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건조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100) 내부에 원통 형상의 상기 건조부(200)가 구비된다.
복수 개의 상기 건조부(200)는 내부에 적재된 유기물이 교반될 수 있도록 각각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통 형상의 상기 건조부(200)가 회전하면 내부에 적재된 유기물이 서로 뒤섞이게 되는데, 뒤섞이는 과정에서 외부로 노출된 유기물의 모든 표면이 상기 건조부(200)에 접촉됨으로써 건조과정이 빠르고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건조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건조부(200)의 회전축 상에는 상기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부(100) 내부에는 원통 형상의 상기 건조부(200)가 복수 개 구비되어 있고, 복수 개의 상기 건조부(200)는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며 중첩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건조부(200)는 단면이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대량의 유기물을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건조부(200)는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할 수 있는 저항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별도의 열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이 간단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의 건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건조부(200)는 복수 개의 관통공(210)이 형성된 매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과정에 있어서 내부에 적재된 유기물이 타지 않고 적절히 건조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건조과정은 상기 건조부(200)를 통해 유기물에 열을 가하는 과정인데, 통상적으로 유기물에 열을 가해도 유기물은 타지 않는다. 이는 가해지는 열이 유기물에 포함된 고체상태의 수분을 기체상태로 승화시키는데 사용(잠열의 형태)되기 때문이다. 다만, 유기물에 포함된 고체상태의 수분이 모두 제거된 이후부터 가해지는 열은 유기물 자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사용(현열의 형태)되기 때문에 계속해서 열을 가할 경우 유기물이 타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부(200)를 복수 개의 관통공(210)이 형성된 매쉬 형태로 형성하고 있다. 건조과정을 통해 수분이 제거된 유기물은 부피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건조부(200)를 복수 개의 관통공(210)이 형성된 매쉬 형태로 형성하면 부피가 줄어든 유기물이 상기 관통공(210)을 통해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유기물에 더 이상 열이 가해지지 않게 되고, 결국 수분이 제거된 유기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건조부(20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210)은 내경이 가장 작은 상기 건조부(200)의 회전축에서 멀어질수록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부(200)가 회전함으로써 유기물이 뒤섞이게 되는데, 이와 같이 뒤섞이는 과정에서 유기물 상호간에 충돌하게 되고, 이때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서 냉동된 유기물이 상기 관통공(210)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부서짐으로써 완전하게 건조되지 않은 유기물이 상기 건조부(200)를 빠져나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각의 상기 건조부(20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210)의 크기를 다르게 구성하고 있다. 복수 개의 상기 건조부(200)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한 상기 건조부(200)에는 가장 큰 상기 관통공(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 외측에 위치한 상기 건조부(200)에는 가장 작은 상기 관통공(21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내경이 가장 작은 상기 건조부(200)의 회전축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관통공(210)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술했던 바와 같이 완전하게 건조되지 않았지만 유기물 간에 발생된 충격에 의해 작게 부서진 유기물이 그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측에 위치한 상기 건조부(20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210)의 크기가 내측에 위치한 상기 건조부(20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210)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빠져나가지 못하고 걸러지게 되며, 이후 외측에 위치한 상기 건조부(200)에서 추가로 건조과정을 거치면서 완전하게 건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기물을 크기별로 구분해서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유기물에 포함된 수분의 양에 따라 건조과정에서 요구되는 열량과 건조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구분해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크기가 큰 유기물은 대체적으로 내측에 위치한 상기 건조부(200)에 모이게 되고, 크기가 작은 유기물은 외측에 위치한 상기 건조부(200)에 모이게 되며, 상기 건조부(200) 각각에 공급되는 열량과 건조시간을 별도로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건조부(200)에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부(100)에는 각각의 상기 건조부(200)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건조부(200)에 공급되는 열량을 조절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물에 포함된 수분의 양에 따라 건조과정에서 요구되는 열량과 건조시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 건조부(200)에 공급되는 열량과 건조시간을 각각의 상기 건조부(200) 별로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조부(200)에 상기 감지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부(미도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온도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부(미도시)에서 감지되는 온도를 이용해서 건조과정의 정상 진행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건조부(200)의 온도가 저하될 경우에는 공급되는 열량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열량의 공급을 증가시켜서 상기 건조부(200)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건조부(200)의 온도가 급상승하게 되는 경우에는 유기물이 완전하게 건조가 되어서 공급되는 열이 현열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열량 공급이 중단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건조부(200)의 회전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의 교반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평면도이다.
상기 케이스부(100) 내부에는, 상기 건조부(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는 지지부재(310)와, 상기 지지부재(3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날개부재(320)로 구성된 교반부(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부(200)는 내부에 적재된 유기물이 뒤섞일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적재된 유기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상기 건조부(200)의 회전만으로는 유기물이 잘 섞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부(100) 내부에 상기 교반부(300)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부(300)는 상기 지지부재(310)와 상기 날개부재(3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10)의 일단은 상기 건조부(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타단은 상기 구동부(미도시)에 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310)의 타단에 설치된 상기 구동부(미도시)가 작동하면 상기 지지부재(310)의 일단은 복수 개의 상기 건조부(200) 사이에서 상기 건조부(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310)에는 복수 개의 상기 날개부재(320)가 구비된다. 상기 날개부재(320)는 상기 지지부재(31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부(200) 내부에 적재된 유기물을 뒤섞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적재된 유기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뒤섞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미도시)는 상기 건조부(200)와 상기 교반부(300)의 회전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건조부(200)와 상기 교반부(300)의 회전속도나 회전방향을 별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교반부(3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건조부(200)만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적재된 유기물을 용이하게 뒤섞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310)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회전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날개부재(320)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재(320)는 유기물을 뒤섞기 위해서 적재되어 있는 유기물을 밀어내며 진행하게 되는데, 만일 상기 날개부재(320)가 상기 지지부재(31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면 유기물을 밀어내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날개부재(320)가 유기물을 밀 때 유기물 자체의 관성이 상기 날개부재(320)의 길이방향 면에 수직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재(320)를 상기 지지부재(3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기물 자체의 관성이 상기 날개부재(320)의 길이방향 면에 비스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유기물을 용이하게 뒤섞을 수 있고, 상기 구동부(미도시)에 걸리게 되는 부하의 양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날개부재(320)가 형성되는 일정 각도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30°, 45°, 60°의 각도로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적재된 유기물의 양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가능하다.
상기 날개부재(320)는 상기 건조부(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상기 날개부재(320)가 상기 지지부재(3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45°(또는 시계방향으로 45°)의 각도로 기울어서 유기물을 뒤섞으면 뒤에 연속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날개부재(320)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45°(또는 반시계방향으로 45°)의 각도로 기울어서 유기물을 뒤섞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동일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지나가는 상기 날개부재(320)의 각도가 연속하여 변하게 되므로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뒤섞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a는 정면도이고, 도 6b는 측면도이며, 도 6c는 I-I 부분의 단면도이다.
유기물이 적재된 상기 원통형 건조부(200) 내주면 및 외주면에는 교반을 위한 교반플레이트(4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플레이트(400)는 상기 건조부(20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건조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부(200) 내부에 적재된 유기물을 교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교반플레이트(400)는 상기 건조부(2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교반플레이트(400)는 상기 건조부(2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부(200)는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데, 각각의 상기 교반플레이트(400)는 상기 건조부(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기물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교반하기 위함이다.
상기 교반플레이트(400)는 상기 건조부(2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교반플레이트(400)는 상기 건조부(2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플레이트(400)는 유기물을 뒤섞기 위해서 적재되어 있는 유기물을 밀어내며 진행하게 되는데, 만일 상기 교반플레이트(400)가 상기 건조부(31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면 유기물을 밀어내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교반플레이트(400)가 유기물을 밀 때 유기물 자체의 관성이 상기 교반플레이트(400)의 길이방향 면에 수직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플레이트(400)를 상기 건조부(2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기물 자체의 관성이 상기 교반플레이트(400)의 길이방향 면에 비스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유기물을 용이하게 뒤섞을 수 있고, 상기 구동부(미도시)에 걸리게 되는 부하의 양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교반플레이트(400)가 형성되는 일정 각도는 상기 건조부(2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30°, 45°, 60°의 각도로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적재된 유기물의 양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가능하다.
상기 교반플레이트(400)는 상기 건조부(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상기 교반플레이트(400)가 상기 건조부(2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45°(또는 시계방향으로 45°)의 각도로 기울어서 유기물을 뒤섞으면 뒤에 연속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교반플레이트(400)는 상기 건조부(2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45°(또는 반시계방향으로 45°)의 각도로 기울어서 유기물을 뒤섞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동일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지나가는 상기 교반플레이트(400)의 각도가 연속하여 변하게 되므로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뒤섞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투입구 20 : 토출구
100 : 케이스부 200 : 건조부
210 : 관통공 300 : 교반부
310 : 지지부재 320 : 날개부재
400 : 교반플레이트

Claims (12)

  1. 내부에 진공 상태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 케이스부;
    동결된 유기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원통형 건조부;
    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건조부는,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며 중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건조부는 내부에 적재된 유기물이 교반될 수 있도록 각각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건조부는 단면이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매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은 내경이 가장 작은 상기 건조부의 회전축에서 멀어질수록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에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부에는 각각의 상기 건조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건조부에 공급되는 열량을 조절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는,
    상기 건조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복수 개의 날개부재로 구성된 교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재는 상기 건조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유기물이 적재된 상기 원통형 건조부 내주면 및 외주면에는 교반을 위한 교반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플레이트는 상기 건조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교반플레이트는 상기 건조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플레이트는 상기 건조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KR1020110007876A 2011-01-26 2011-01-26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KR101287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876A KR101287853B1 (ko) 2011-01-26 2011-01-26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876A KR101287853B1 (ko) 2011-01-26 2011-01-26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560A KR20120086560A (ko) 2012-08-03
KR101287853B1 true KR101287853B1 (ko) 2013-07-19

Family

ID=4687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876A KR101287853B1 (ko) 2011-01-26 2011-01-26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00B1 (ko) 2015-05-19 2016-09-12 주식회사 일신바이오베이스 동결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39535A (zh) * 2021-09-09 2021-12-03 徐州汉承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有机肥料加工用烘干装置
CN115540511B (zh) * 2022-10-08 2024-04-02 耒阳市刘燕酿制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冻干甜酒酿制备用真空冷冻干燥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8672A (ja) * 1997-05-19 1998-12-04 Toyo Kasei Kogyo Co Ltd 乾燥物容器取替型乾燥装置
JP2002139278A (ja) 2000-11-01 2002-05-17 Toyo Kasei Kogyo Co Ltd 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8672A (ja) * 1997-05-19 1998-12-04 Toyo Kasei Kogyo Co Ltd 乾燥物容器取替型乾燥装置
JP2002139278A (ja) 2000-11-01 2002-05-17 Toyo Kasei Kogyo Co Ltd 乾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00B1 (ko) 2015-05-19 2016-09-12 주식회사 일신바이오베이스 동결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560A (ko) 201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211481A (en) Indirectly heated rotary dryer
US8601711B2 (en) Radial rotary dryer
EP3414505B1 (en) A mechanical vapour recompression apparatus
KR101287853B1 (ko)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US20140190792A1 (en) Screw conveyor
WO2017084161A1 (zh) 一种喷雾冻干设备用加热干燥装置及方法
US10995990B2 (en) Rotary dryer with multi-drying chambers
ES2967095T3 (es) Secador para material herbáceo con calentamiento de acceso
JP6233955B2 (ja) 乾燥装置
JP2007113809A (ja) 加熱処理機
KR101472568B1 (ko) 폐기물 건조장치
JP4431097B2 (ja) 振動処理装置並びにこの装置を用いた粉粒体の処理方法
JP2003056983A (ja) 減圧乾燥装置
JP3841781B2 (ja) 含水物質の乾燥装置および生ゴミ乾燥装置
CN205228039U (zh) 喷雾冻干设备用加热干燥装置
CN107166919A (zh) 一种快速干燥的滚筒干燥机
JP7285047B2 (ja) 乾燥機と、その乾燥機を用いた粒状粒子の乾燥方法
CN211668168U (zh) 木质生物颗粒烘干的改进设备
KR102032985B1 (ko) 건조장치
KR100367909B1 (ko) 연속 진공 건조기
JP2002071269A (ja) 乾燥方法および乾燥装置
JP2004020054A (ja) 乾燥装置
KR101130663B1 (ko) 기류와 교반에 의한 복합형 건조기
KR101534492B1 (ko) 건조장치
CN102538413A (zh) 一种旋振微波加热干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