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985B1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985B1
KR102032985B1 KR1020170165387A KR20170165387A KR102032985B1 KR 102032985 B1 KR102032985 B1 KR 102032985B1 KR 1020170165387 A KR1020170165387 A KR 1020170165387A KR 20170165387 A KR20170165387 A KR 20170165387A KR 102032985 B1 KR102032985 B1 KR 102032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transfer
air flow
conveying
heat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5837A (ko
Inventor
강정근
김종철
Original Assignee
강정근
김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근, 김종철 filed Critical 강정근
Priority to KR1020170165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9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을 건조실로 투입하는 제1 이송수단과, 상기 건조실 내부에 복수개의 건조영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다단으로 배치되는 제2 이송수단과, 상기 제2 이송수단 상으로 복사열을 제공하는 복사열 제공수단과, 상기 제2 이송수단 표면에 전도열을 제공하는 전도열 제공수단과, 상기 제2 이송수단에 의해 형성된 복수개의 건조영역 상에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공기유동수단과,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을 구동시키고 상기 복사열 제공수단의 열량과 상기 전도열 제공수단의 열량 및 상기 공기유동수단의 풍량과 풍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장치 {DRYER}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농수산물의 수분을 빠르게 제거하면서도 표피나 내부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수산물의 건조장치는 건조 대상물에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대상물의 부패를 방지하여 장기간 보존하거나, 대상물의 맛과 향을 강화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식품 건조의 경우 태양광과 자연풍에 노출시켜 식품을 건조하는 것이 대상물의 세포의 파괴를 최소화 하면서 수분만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맛과 영양소의 유지를 위해 바람직하지만, 자연건조의 경우 건조지역의 기후와 날씨에 의해 제대로 건조과정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 부패될 수 있으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건조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의 건조장치들은 대상물을 거치하고 열을 가하여 습기를 제거한다.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므로는 온풍기 등을 이용한 대류열, 또는 조명을 이용한 복사열, 열선을 이용한 전도열 등 다양한 가열 수단이 이용된다. 또한, 건조장치는 증발된 수분이 다시 대상물에 흡수되지 못하도록 대상물에서 배출된 수분을 함유하여 습도가 높아진 공기를 외부로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팬을 구비하기도 한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종래의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건조장치에 관한 특허인 등록공고 제10-0755384호에서 발췌한 도면으로서 건조대상(도면상 알갱이로 도시되어 있음)이 투입구(35a)를 통해 투입되면, 컨베이어(32a 내지 32e)에 의해 건조장치 내부에서 이동한다. 컨베이어(32a 내지 32e)에 의한 건조대상물의 이동경로 상에는 적외선 램프(33)가 배치되어 건조대상물을 향하여 복사열을 제공한다. 적외선 램프(33)의 복사열에 의해 건조대상물의 수분이 증발되며, 증발된 수분을 포함한 공기는 건조실(31)의 상측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건조된 건조대상물은 빠르게 건조될 수는 있지만, 계속된 적외선 조사를 통해 건조대상물의 표면 또는 조직 외층(이하, '표피'라 함)가 집중적으로 가열되어 표피가 손상되거나 파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조대상물의 맛이 저하되거나 변질될 수 있다. 또한, 수분이 많이 제거된 상태에서 건조대상물이 과도하게 가열이 되는 경우 내부조직이 변형되거나 파괴될 수 있고, 영양소도 파괴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조실(31)의 상측 배기구로만 공기가 배출되므로 건조실(31) 하부의 공기는 습도가 높은 상태가 유지되므로 건조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5384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에 의한 수분의 기화와, 가열에 의한 증발을 함께 이용하여 건조대상물을 빠르게 건조시키면서도 건조대상물의 표피 또는 내부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자연건조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장치를 ICT 기술을 이용하여 건조실의 온도 및 습도에 맞게 최적의 건조과정으로 건조실을 제어할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을 건조실로 투입하는 제1 이송수단과, 상기 건조실 내부에 복수개의 건조영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다단으로 배치되는 제2 이송수단과, 상기 제2 이송수단 상으로 복사열을 제공하는 복사열 제공수단과, 상기 제2 이송수단 표면에 전도열을 제공하는 전도열 제공수단과, 상기 제2 이송수단에 의해 형성된 복수개의 건조영역 상에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공기유동수단과,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을 구동시키고 상기 복사열 제공수단의 열량과 상기 전도열 제공수단의 열량 및 상기 공기유동수단의 풍량과 풍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은 컨베이어이며, 상기 복사열 제공수단은 적외선 램프이며, 상기 전도열 제공수단은 상기 제2 이송수단에 형성된 열선 또는 상기 제2 이송수단의 표면에 형성된 탄소 면상발열체일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수단은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롤러와 이송면을 형성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이며,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전도열 제공수단에 전류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축 중 대각선으로 위치되는 두 회전축에 양극과 음극이 형성되어 상기 전도열 제공수단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이송수단에는 이송 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표면을 가로질러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제2 이송수단은 인접한 각 제2 이송수단이 서로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상기 건조대상물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이송수단의 상기 제1 이송수단측 단부에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수단의 타측단부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이송수단 상의 복수개의 건조영역은 상기 투입부에 가까운 건조영역일수록 온도가 높고 상기 배출부에 가까운 건조영역일수록 온도가 낮도록 제어되거나; 상기 제2 이송수단 상의 복수개의 건조영역은 상기 투입부에 가까운 건조영역일수록 풍량이 약하고, 상기 배출부에 가까운 건조영역일수록 풍량이 강하도록 제어되거나; 상기 제2 이송수단 상의 복수개의 건조영역은 상기 투입부에 가까운 건조영역일수록 온도가 높고 풍량이 약하며, 상기 배출부에 가까운 건조영역일수록 온도가 낮고 풍량이 강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 이송수단 상의 복수개의 건조영역 내부에는 각 건조영역에 배치되어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건조대상물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건조조건에 대한 DB가 저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 복사열 제공수단, 상기 전도열 제공수단, 상기 공기유동수단의 작동 히스토리가 갱신되는 저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B는, 건조대상물에 따른 각 건조영역에서의 제2 이송수단의 이송 속도 데이터와, 상기 각 건조영역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최적 건조조건에 관한 함수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 건조조건에 관한 함수는 각 건조영역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복사열 공급량, 전도열의 공급량 및 풍량 및 풍향 값을 결정하는 함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각 건조영역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에서 상기 최적 건조조건에 관한 함수를 호출하여 상기 복사열 제공수단, 상기 전도열 제공수단 및 상기 공기유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수단은 내부 메모리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연결된 서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대상물 및 컨베이어로 연결된 복수의 건조블록의 상태를 분석하여 최적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블록별로 건조대상물의 수분 함유량에 따라 가열조건 및 풍량조건을 다르게 함으로써 건조대상물이 건조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표피 및 내부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하여, 생산성을 높이면서도 자연건조에 가까운 건조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건조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건조장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컨베이어 벨트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컨베이어 벨트의 일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건조실과 건조대상물의 이동 궤적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가열, 풍량 제어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건조실 구획을 도시한 개략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제어 수단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형광등 수거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건조대상물을 건조실(100)로 투입하는 제1 이송수단(110, 예컨대 컨베이어)과, 건조실(100) 내부에 복수개의 건조영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다단으로 배치되며 전도열을 제공하는 열선(도시하지 않음)과 복사열을 제공하는 적외선램프(130)을 포함하는 제2 이송수단(120, 예컨대 컨베이어)과, 상기 복수개의 건조영역에 풍압을 형성하여 공기 유동을 만들어 수분이 증가된 공기를 배출하고 공기 유동을 형성하여 건조대상물의 표면의 수분을 기화시키는 복수개의 팬(F, 공기유동수단)을 구비한다. 제2 이송수단(120)은 컨베이어 벨트(125)를 구비하여, 건조대상물이 컨베이어 벨트(125) 상에 거치된 채로 이동하면서 수분이 제거된다. 즉, 제2 이송수단(120)의 컨베이어 벨트(125)는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대의 역할을 한다.
제2 이송수단(120)은 컨베이어 벨트(125)를 이동시키는 회전롤러(123)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이송수단(120)은 열선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컨베이어벨트(125)의 재질을 탄소 면상발열체로 하여 전류가 공급된 경우 컨베이어벨트(125) 자체가 발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제2 이송수단(120)은 회전롤러(123)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회전롤러(123)의 회전축 중 하나인 제1 회전축(124a)을 양극으로 하고, 회전롤러(123)의 회전축 중 다른 하나인 제2 회전축(124b)을 음극으로 하여 전류를 인가하면 컨베이어 벨트(125)에서 발열이 가능하다. 전류의 크기에 따라 컨베이어벨트(125) 상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인 제1 회전축(124a) 및 음극인 제2 회전축(124b)을 대각선으로 배열하는 경우 컨베이어 벨트(125) 전체 면을 따라 전류가 고루 전달되고 컨베이어 벨트(125)가 전체 면적에서 고르게 발열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25) 상에는 이송 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컨베이어 벨트(125)를 가로질러 돌기(126)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126)는 컨베이어 벨트(125)에서 건조대상물이 미끄러지지 않고 효과적으로 이송되게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2 이송수단(120)은 건조대상물을 투입하는 투입부(121)와 건조대상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2)를 제외하고는 인접한 아래쪽 제2 이송수단이(120) 위쪽 제2 이송수단(120)의 이송방향으로 더 튀어나오도록 형성되며, 인접한 제2 이송수단(12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건조대상물을 이송시키기 때문에 전술한 이송방향은 서로 반대이므로, 복수개의 제2 이송수단(120)이 전체적으로 지그재그로 형태로 배열된다. 즉, 인접한 상측 제2 이송수단(120)의 이송방향의 하류 단부에서 건조대상물이 인접한 하측 제2 이송수단(120)으로 낙하한 후 상측 제2 이송수단(120)에서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진행하게 되어 배출부(1220가지 이송된다. 전술한 이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6에서 건조대상물의 이동 궤적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각 제2 이송수단(120) 에는 건조영역이 형성되며 복수개의 건조영역(B1, B2, B3, B4, B5, B6)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건조장치는 건조대상물을 빠르게 건조시키면서도 대상물의 표피 또는 내부조직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도 7은 건조장치의 가열부와 풍량을 제어하는 콘솔 모니터의 메뉴 화면의 일 예로서 각 건조영역이 온도레벨과 풍량레벨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투입부에서 가장 가까운 제1 건조영역(B1)에서 가장 먼 제6 건조영역(B6)까지 각 건조영역을 서로 다른 온도와 풍량으로 제어하고 있다.
건조대상물은 투입직후에 많은 수분함량을 가지며, 수분함량은 각 건조영역(B1 내지 B6)을 거치면서 줄어드는데, 건조대상물의 표피 또는 내부조직의 손상은 건조대상물의 수분함량이 매우 적은 상태에서 과도한 열이 공급되는 경우 나타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투입부(121)에 가까운 건조영역에서는 수분의 빠른 증발을 위해 온도를 높이고, 배출부(122)에 가까운 건조영역에서는 온도는 낮추고 풍량을 증가시켜 표면의 수분을 기화시키도록 건조장치를 제어함한다. 즉, 하류로 갈수록 건조대상물이 함유하는 수분이 줄어들기 때문에 가열량을 줄임으로써 건조대상물의 표피 또는 내부조직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도 7에서 번개 표시는 온도의 수치를 나타내며, 화살표는 바람의 방향과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에서 가까운 건조영역일수록 온도가 높고, 바람의 크기는 낮으며 투입구에서 먼 건조영역일수록 온도는 낮고 바람의 크기는 강하며, 건조대상물의 이송을 돕기 위하여 바람의 방향은 건조대상물의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바람의 방향이 반대가 되는 경우 건조대상물의 이송이 방해되므로 건조대상물이 컨베이어 벨트(125) 상에서 더 오래 머물수 도 있다.
건조 온도 및 풍량은 각 건조영역(B1 내지 B6)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건조영역(B1 내지 B6) 내부에는 각 건조영역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S1 내지 S6)가 배치되어 있다. 센서는 건조실(100)의 내부 벽면에 배치되거나, 제2 이송수단(120)을 지지하는 브라켓 등의 구조물에 형성되거나, 이 구조물에서 컨베이어 벨트(125) 상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는데, 건조영역(B1 내지 B6)의 컨베이어 밸트(125)의 중앙부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대상물이 다른 경우 제2 이송수단(120)의 이송속도, 팬(F)에 의한 풍량, 적외선 램프(130)의 조사량, 컨베이어 벨트(125)에서의 발열 정도가 달리 제어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표면에 수분이 많은 채소류를 건조시키는 경우 전도열의 공급이 효과적이므로 컨베이어 벨트(125)의 발열을 이용할 필요가 있고, 표면이 단단한 껍질을 갖는 건조대상물은 내부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야 하므로 복사열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건조대상물이 거치된 컨베이어 벨트(125)에서 공급되는 전도열의 양과 적외선 램프(130)에 의해 공급되는 복사열의 양은 건조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필요가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센서(S1 내지 S6)는 각 건조영역(B1 내지 B6)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서버(또는 메모리)는 건조대상물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건조조건이 DB화 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건조장치의 작동 히스토리가 갱신된다. 상기 DB는 건조대상물 마다 각 건조영역에서의 제2 이송수단(120)의 이송 속도, 건조영역(B1 내지 B6)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최적 건조조건 함수로서 복사열 공급량, 전도열의 공급량 및 풍량 및 풍향이 포함된다.
제어부(150, CPU)는 센서(S1 내지 S6) 및 서버(또는 메모리)와 연결되어 건조대상물에 따른 최적 건조조건 각 건조영역(B1 내지 B6)의 상태를 바탕으로 DB 상의 최적 건조조건에 도달하도록 팬(F), 적외선 램프(130) 및 컨베이어 벨트(125)에 대한 공급 전류를 제어하여, 풍량, 복사열 및 전도열을 제어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건조대상물의 종류를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서버에서 DB를 검색하여 해당 건조대상물에 대한 이송속도 데이터를 호출한다. 사용자가 건조대상물을 제1 이송수단에 공급하여 건조장치를 작동시키면, 제어부(150)는 호출한 이송속도 데이터에 따라 제2 이송수단(120)을 구동시키며, 각 센서(S1 내지 S6)를 통해 각 건조영역(B1 내지 B6)의 상태를 체크한다. 제어부(150)는 건조대상물 및 센서(S1 내지 S6)에 의해 체크된 각 건조영역(B1 내지 B6)의 상태에 따라 DB에서 최적 건조 조건 함수를 호출하여 팬(F)의 회전방향 및 속도, 적외선 램프(130)의 광량 및 컨베이어 벨트(125)에서 전도열을 생성하도록 공급전류를 제어한다. 건조대상물은 각 건조영역을 거치면서 온도는 점차 낮은 온도로 풍량은 점차 증대된 조건으로 건조되면서 고품질의 건조물이 빠른 속도로 생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110: 제1 이송수단 120: 제2 이송수단
121: 투입부 122: 배출부
123: 회전롤러 124a: 제1 회전축 (양극)
124b: 제2 회전축 (음극) 125: 컨베이어 벨트
126:돌기 130: 적외선 램프
150: 제어부
B1, B2, B3, B4, B5, B6: 건조영역
F: 팬
S1, S2, S3, S4, S5, S6: 센서

Claims (14)

  1. 건조대상물을 건조실로 투입하는 제1 이송수단과,
    상기 건조실 내부에 복수개의 건조영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다단으로 배치되는 제2 이송수단과,
    상기 제2 이송수단 상으로 복사열을 제공하는 복사열 제공수단과,
    상기 제2 이송수단 표면에 전도열을 제공하는 전도열 제공수단과,
    상기 제2 이송수단에 의해 형성된 복수개의 건조영역 상에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공기유동수단과,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을 구동시키고 상기 복사열 제공수단의 열량과 상기 전도열 제공수단의 열량 및 상기 공기유동수단의 풍량과 풍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건조장치로서,
    상기 전도열 제공수단은 상기 제2 이송수단에 형성된 열선 또는 상기 제2 이송수단의 표면에 형성된 탄소 면상발열체이고,
    상기 제2 이송수단은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롤러와 이송면을 형성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이며,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전도열 제공수단에 전류가 공급되는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은 컨베이어인 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사열 제공수단은 적외선 램프인 건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중 대각선으로 위치되는 두 회전축에 양극과 음극이 형성되어 상기 전도열 제공수단에 전류를 공급하는 건조장치.
  7. 청구항 1 내지 3 및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수단에는 이송 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표면을 가로질러 돌출된 돌기가 형성된 건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이송수단은 인접한 각 제2 이송수단이 서로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상기 건조대상물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건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수단의 상기 제1 이송수단측 단부에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수단의 타측단부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이송수단 상의 복수개의 건조영역은 상기 투입부에 가까운 건조영역일수록 온도가 높고 상기 배출부에 가까운 건조영역일수록 온도가 낮도록 제어되는
    건조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수단의 상기 제1 이송수단측 단부에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수단의 타측단부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이송수단 상의 복수개의 건조영역은 상기 투입부에 가까운 건조영역일수록 풍량이 약하고, 상기 배출부에 가까운 건조영역일수록 풍량이 강하도록 제어되는
    건조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수단의 상기 제1 이송수단측 단부에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이송수단의 타측단부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이송수단 상의 복수개의 건조영역은 상기 투입부에 가까운 건조영역일수록 온도가 높고 풍량이 약하게 제어되고,
    상기 배출부에 가까운 건조영역일수록 온도가 낮고 풍량이 강하게 제어되는
    건조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이송수단 상의 복수개의 건조영역 내부에는 각 건조영역에 배치되어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건조대상물의 종류에 따른 건조조건에 대한 DB가 저장되며, 상기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 복사열 제공수단, 상기 전도열 제공수단, 상기 공기유동수단의 작동 히스토리가 갱신되는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건조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DB는, 건조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각 건조영역에서 제2 이송수단의 이송 속도, 상기 건조영역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건조조건함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각 건조영역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에서 상기 건조조건함수를 호출하여 상기 복사열 제공수단, 상기 전도열 제공수단 및 상기 공기유동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건조조건함수는 각 건조영역의 온도 및 습도에 대한 복사열 공급량, 전도열의 공급량 및 풍량 및 풍향의 함수인
    건조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내부 메모리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연결된 서버인 건조장치.
KR1020170165387A 2017-12-04 2017-12-04 건조장치 KR102032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387A KR102032985B1 (ko) 2017-12-04 2017-12-04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387A KR102032985B1 (ko) 2017-12-04 2017-12-04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837A KR20190065837A (ko) 2019-06-12
KR102032985B1 true KR102032985B1 (ko) 2019-10-16

Family

ID=6684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387A KR102032985B1 (ko) 2017-12-04 2017-12-04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885B1 (ko) * 2021-12-09 2022-07-08 대한민국 조사료 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조사료 건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384B1 (ko) * 2006-08-09 2007-09-04 (주)광하테크놀로지 연속식 농수축산물 건조 시스템
KR101498863B1 (ko) * 2014-10-01 2015-03-12 남승화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574562B1 (ko) * 2015-06-02 2015-12-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경 냉동고추의 건조작업 전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123B1 (ko) * 2001-06-18 2003-08-27 한성공업 주식회사 농수산물.곡물 건조기의 원격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384B1 (ko) * 2006-08-09 2007-09-04 (주)광하테크놀로지 연속식 농수축산물 건조 시스템
KR101498863B1 (ko) * 2014-10-01 2015-03-12 남승화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574562B1 (ko) * 2015-06-02 2015-12-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경 냉동고추의 건조작업 전 전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837A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7430A (ko) 스팀 조리 장치 및 방법
KR101585563B1 (ko) 근적외선 냉온풍 감압건조기
JP2006149382A (ja) 茶葉乾燥火入焙煎装置
KR102032985B1 (ko) 건조장치
JP6087021B2 (ja) 保持キャビネット、保持キャビネット内の環境条件を制御する方法、そのような方法を実施する命令を格納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媒体
US20160054059A1 (en) Seed dryer and method
KR20170140905A (ko) 멀티존 온도균일제어형 농산물 건조장치
KR200424159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20180107377A (ko) 농수산물의 복사 건조 장치
US20240081384A1 (en) A continuous process based radiant heat dryer system
KR20180044539A (ko) 건조장치
KR101730971B1 (ko) 신속 저염김치 제조시스템
KR101655880B1 (ko) 신속 낱잎 김치 제조시스템
KR101655883B1 (ko) 신속 세절 맛김치 제조시스템
PT2007112522W (pt) Processo e equipamento para inactivação de grãos.
JP2011223934A (ja) 穀物の害虫駆除方法
KR101287853B1 (ko) 진공동결건조기용 건조장치
CN208154972U (zh) 一种干燥装置
KR101656140B1 (ko) 유기전자소자의 열처리 장치
KR20150027598A (ko)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 주입방법
JP6574406B2 (ja) 食品用乾燥装置
KR20140090842A (ko) 올벼쌀 건조기
KR101519492B1 (ko) 식품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하기 위한 저온건조장치
RU2799695C1 (ru) Способ сушки продуктов
CN212414495U (zh) 一种稻谷杀虫保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