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598A -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 주입방법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 주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598A
KR20150027598A KR20130106229A KR20130106229A KR20150027598A KR 20150027598 A KR20150027598 A KR 20150027598A KR 20130106229 A KR20130106229 A KR 20130106229A KR 20130106229 A KR20130106229 A KR 20130106229A KR 20150027598 A KR20150027598 A KR 20150027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ner frame
drying
frame
dry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텍
Priority to KR20130106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7598A/ko
Publication of KR20150027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tributing fluidising gas, e.g. grids,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내부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과의 사이에 충전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내부프레임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개구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와; 상기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와;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내부프레임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공기공급통로와 건조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실로 각각 구획하며, 상기 공기공급통로와 상기 건조실을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의 연통홀이 형성된 칸막이부와; 상기 칸막이부에 마련된 받침부재에 안치되는 복수의 채반들과; 상기 공기공급통로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와; 상기 공기공급통로 또는 상기 송풍부에 설치된 히터와; 상기 건조실 내부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LED를 포함하는 광조사부와; 상기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프레임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부와; 상기 송풍부와 상기 히터와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배기부의 작동 상태 및 작동 유지시간을 각각 선택된 모드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에 의하면, 농수산물의 균일한 건조와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며 그에 따라 건조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 주입방법{Drier and expandable filler injection method}
본 발명은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체 주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장치 내부 즉, 건조실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고밀도 발포체를 이용하고, 건조실의 온도를 건조 조건에 적합하도록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체 주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나 고가의 약재 및 약초 등과 같은 농작물 또는 건어물 등과 같은 수산물은 자연 바람과 태양열에 의해 건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먼지나 이물질과 같은 비위생적인 물질들로 인한 오염과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을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건조하기가 부적합하므로 통상 건조장치를 사용하여 한정된 공간에서 농작물을 대량으로 건조하고 있다.
종래에는 농수산물을 건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건조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온풍을 사용하는 건조장치는 대부분 온풍을 강제 순환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온풍 순환식 건조장치에는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6-0000503호의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체 주입방법" 등이 있다.
상기의 온풍 순환식 건조장치는 건조대상물로부터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제습수단이 구비되어야 하지만 제습수단의 설치로 인한 비용의 상승과 부피의 증가 등을 이유로 제습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건조 상태가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풍이 열기가 되어 상승되면서 다수 개의 채반을 연속으로 관통하도록 되어 있어 건조대상물의 고른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건조공간의 상부에 위치된 건조대상물은 빠르게 건조되고 건조공간의 하부에 위치된 건조대상물은 상대적으로 건조속도가 느린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건조장치는 농작물을 건조시키는 밀폐공간에서 농작물로부터 증발된 수분과 함께 공기를 단순히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 온도만을 상승시키게 되므로 건조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건조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가 단순히 금속 패널로 이루어져 있어 단열성이 좋지 못하며, 건조장치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하나의 건조장치를 통해 농수산물을 건조시키고 있는 실정이므로 건조시간이 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농수산물의 균일한 건조와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며 그에 따라 건조실 내부의 온도를 최적의 건조 조건을 유지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면서, 건조장치의 단열성능을 향샹시킴으로써 건조장치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체 주입방법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체 주입방법은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내부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과의 사이에 충전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내부프레임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개구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와; 상기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와;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내부프레임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공기공급통로와 건조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실로 각각 구획하며, 상기 공기공급통로와 상기 건조실을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의 연통홀이 형성된 칸막이부와; 상기 칸막이부에 마련된 받침부재에 안치되는 복수의 채반들과; 상기 공기공급통로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와; 상기 공기공급통로 또는 상기 송풍부에 설치된 히터와; 상기 건조실 내부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LED를 포함하는 광조사부와; 상기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프레임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부와; 상기 송풍부와 상기 히터와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배기부의 작동 상태 및 작동 유지시간을 각각 선택된 모드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건조실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건조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공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송출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리브들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의 주입방법은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내부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과의 사이에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를 주입할 수 있는 충전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내부프레임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프레임을 구비하는 건조장치의 상기 충전공간에 상기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를 주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충전제의 온도와 상기 프레임부의 온도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들의 허용범위를 확보하는 확보단계와; 상기 파라미터들의 허용범위를 입력하여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파라미터들을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파라미터들의 측정값이 설정된 허용범위 내에 있는지 비교하는 비교단계와; 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파라미터들의 측정값이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충전공간으로 상기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를 주입하는 주입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파라미터들의 측정값이 허용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허용범위를 벗어난 파라미터들을 조절하는 파라미터 조절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주입단계는 상기 충전공간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단계와; 상기 측정된 압력이 허용범위 내에 있는지 검사하는 검사단계와; 상기 측정된 압력이 허용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충전공간으로 투입되는 상기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주입량 조절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체 주입방법에 의하면, 농수산물의 균일한 건조와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며 그에 따라 건조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체 주입방법은 서로 다른 건조장치를 통해 각각 서로 다른 건조 단계를 일정 시간 차이를 두고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기 수전용량을 낮출 수 있어 계약 전력 사용량을 최대화하므로 수전설비 투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를 이용한 건조공정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 주입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 및 건조장치의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의 주입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조장치(1)는 프레임부(10)와, 도어부(13)와 칸막이부(20)와, 채반(30)들과, 송풍부(40)와, 히터(50)와, 배기부(60)와, 습도센서(71)와, 온도센서(72)와, 광조사부(73)와, 조작부(80)와, 제어부(90)를 구비한다.
프레임부(10)는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내부프레임(11)과, 상기 내부프레임(11)과의 사이에 충전공간(14)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프레임(11)의 외측에 상기 내부프레임(11)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프레임(12)을 구비한다.
프레임부(10)의 일 측에 마련된 개구부에는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부(10)는 내부프레임(11)과 외부프레임(12)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내부프레임(11)과 외부프레임(12)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리브(미도시)들이 충전공간(14)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부(20)는 수용공간에 프레임부(10) 내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공기공급통로와,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실로 각각 구획하며, 공기공급통로와 건조실을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의 연통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채반(30)들은 칸막이부(20)에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받침부재(22)에 지지되어 건조실에 상하로 배치 및 내부에 건조대상물이 안치되며,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게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구멍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송풍부(40)는 공기공급통로를 통해 건조실로 공기를 공급하고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실 외부로 배출하거나 다시 공기공급통로로 공급한다.
히터(50)는 송풍부(40) 내부 또는 공기공급통로 상에 설치되어 송풍부(4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배기부(60)는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프레임부(10)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로 송풍팬을 적용한다.
습도센서(71)는 건조실에 설치되어 건조실 내부의 습도를 측정한다.
광조사부(73)는 다수의 LED를 포함하며 건조실 내부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조사부(73)는 채반(30)들 사이의 위치에 복수 개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채반(30)들에 안치되는 건조대상물에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조작부(8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공정을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90)로 송출하는 것으로, 프레임부(10) 외측에 다수의 버튼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90)는 조작부(80)에서 송출된 신호가 수신되면 송풍부(40), 히터(50), 배기부(60), 광조사부(73)의 작동 상태 및 작동 유지시간을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부(90)를 통한 건조장치의 건조공정의 일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에 의한 건조공정은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 1 순환배기단계(S1)와, 온풍공급단계(S2)와, 제 2 순환배기단계(S3)와, 유휴단계(S4)로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작업자가 조작부(80)를 조작하여 송출된 신호가 수신되면 송풍부(40)와 배기부(60)를 가동되게 제어하여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 및 배기시키는 제 1 순환배기단계(S1)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 1 순환배기단계(S1)에서 가동되는 송풍부(40)와 배기부(60)는 외부공기를 수용공간으로 흡입하여 순환시키고 순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건조실 내부에 적치된 건조대상물을 건조하도록 한다.
제어부(90)는 제 1 순환배기단계(S1)를 수행하는 중 습도센서(71)로부터 측정된 습도값을 수신하며, 수신된 습도값이 설정된 제 1 목표값 이하이면, 히터(50)를 설정된 시간 동안 가동되게 제어하거나, 습도센서(71)에서 측정된 건조실 내부의 습도값이 제 2 목표값 이하로 강하될 때까지 히터를 가동 및 배기부(60)를 중지되게 제어하여 건조실 내부로 온풍을 공급 및 순환시키는 온풍공급단계(S2)를 수행한다.
온풍공급단계(S2)에서는 송풍부(40) 및 히터(50)를 통하여 공기공급통로 및 건조실로 공급하며, 이에 따라 건조실 내부에 적치된 건조대상물의 온도가 상승되면서 건조대상물에 함유된 수분이 건조대상물 외부 즉, 건조실로 배출된다.
온풍공급단계(S2)에서는 배기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습도를 머금은 공기는 송풍부(40)를 통해 수용공간 내에서 순환된다. 상기 온풍공급단계(S2)에서 제어부(90)는 히터(50)뿐만 아니라 광조사부(73)에서 광이 출사되도록 광조사부(73)를 제어한다.
제어부(90)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습도센서(71)에서 측정된 건조실 내부의 습도값이 제 2 목표값 이하로 하강 되면 히터(50)를 중지되게 제어하고, 배기부(60)를 가동되게 제어하여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설정된 시간 동안 순환 및 배기시키는 제 2 순환배기단계(S3)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 2 순환배기단계(S3)에서는 히터(50)가 중지됨으로써 열풍은 공급되지 않지만 배기부(60)는 가동되는 상태이므로 온풍공급단계(S2)에서 발생한 습기가 프레임부(10) 외부로 배출된다. 제 2 순환배기단계(S3)에서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온도가 상승된 건조대상물에 공급되면서 건조대상물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대상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즉, 건조대상물을 가열 및 냉각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건조대상물을 지속적으로 가열하는 것보다 건조대상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90)는 제 2 순환배기단계(S3)가 수행되는 시간이 경과 하는 동안에 습도센서(71)에서 측정된 건조실 내부의 습도값이 설정된 최종 값 이상이면 온풍공급단계(S2), 제 2 순환배기단계(S3)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90)는 습도센서(71)를 통해 측정된 건조실 내부의 습도값이 최종 값 미만이면 송풍부(40)와 배기부(60)를 설정된 시간 동안 가동되게 제어하고, 설정된 시간 내에 건조실 내부의 습도값이 최종 값 이상이면 온풍공급단계(S2)와 제 2 순환배기단계(S3)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유휴단계(S4);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유휴단계(S4)는 실질적으로 건조장치를 통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하기 위한 모든 건조 단계가 완료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의 건조공정은 제어부(90)가 유휴단계(S4)를 수행하도록 제어한 후 완료되며 조작부(80)로부터 제어부(90)에 신호가 수신되기 이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건조장치의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의 주입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 주입방법은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내부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과의 사이에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15)를 주입할 수 있는 충전공간(14)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내부프레임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0)를 구비하는 건조장치의 상기 충전공간(14)에 상기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15)를 주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충전제(15)의 온도와 상기 프레임부(10)의 온도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들의 허용범위를 확보하는 확보단계(S100)와; 상기 파라미터들의 허용범위를 입력하여 설정하는 설정단계(S110)와; 상기 파라미터들을 측정하는 측정단계(S120)와; 상기 파라미터들의 측정값이 설정된 허용범위 내에 있는지 비교하는 비교단계(S130)와; 상기 비교단계(S130)에서 상기 파라미터들의 측정값이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충전공간(14)으로 상기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15)를 주입하는 주입단계(S140);를 포함한다.
비교단계(S130)에서 상기 파라미터들의 측정값이 허용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허용범위를 벗어난 파라미터들을 조절하는 파라미터 조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단계(S140)는 상기 충전공간(14)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단계(S141)와; 상기 측정된 압력이 허용범위 내에 있는지 검사하는 검사단계(S142)와; 상기 측정된 압력이 허용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충전공간(14)으로 투입되는 상기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15)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주입량 조절단계(S143)를; 포함한다.
이는, 건조장치의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 주입공정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에 대하여, 균일한 밀도로 발포성 충전제(15)를 충전 및 발포되게 하는 각각의 파라미터들의 허용범위(조건)를 미리 구하여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여 두고, 상기 파라미터들을 수시로 측정하여 상기 파라미터들이 허용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감시하여,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온도, 압력 등의 조절 기구로 상기 파라미터들을 조절한 이후에 비로소 발포 공정을 거침으로써, 균일하고 양호한 밀도로 충전공간(14)에 발포 폼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비교단계(S130)에서 상기 파라미터들의 측정값이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상기 측정 단계를 다시 시행하도록 하여, 수시로 상기 파라미터가 상기 허용범위 내에 속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신뢰성 있는 양호한 품질의 발포 폼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파라미터는 발포 폼의 성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발포성 충전제(15)의 온도, 프레임부(10)의 온도, 충전공간(14)의 압력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부(10)의 온도는 내부프레임 또는 외부프레임의 표면에 삽입 설치된 온도 센서에 의하여 직접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파라미터인 발포성 충전제(15)의 온도나 프레임부(10)의 온도는 발포성 충전제(15) 주입구나 프레임부(10)의 주변에 설치된 열선 등을 통해 조절된다.
또 다른 파라미터인 단위 시간당 주입되는 발포성 충전제(15) 주입량은 이를 조절하는 밸브에 의하여 조절된다.
또한, 상기 측정 온도가 허용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측정 온도가 허용범위 내에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고 메세지를 상기 비교단계(S130)에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경고 메세지를 보고 작업자가 참고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성형 공정을 즉시 중단시켜 불균일한 밀도로 발포성 충전제(15)가 충전공간(14)에 불균일한 밀도로 충전 및 성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입단계(S140)는 충전공간(14)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단계(S141)와; 상기 측정된 압력이 허용범위 내에 있는지 검사하는 검사단계(S142)와; 상기 측정된 압력이 허용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발포성 충전제(15) 주입기의 유속을 조절하는 주입량 조절단계(S143)를; 더 포함하는 효과적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건조장치의 발포성 충전제(15)의 주입방법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상기 상기 건조장치의 내부프레임 또는 외부프레임에 설치된 충전공간(14) 온도센서와; 발포성 충전제(15) 주입기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충전공간(14)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센서들로부터 측정값이 설정된 허용범위 내에 있는지 비교하는 제어기와; 상기 발포성 충전제(15)와 상기 충전공간(14) 내의 온도와 압력를 조절하는 조절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센서들로부터 측정값이 상기 허용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 기구로 온도, 압력 등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피드백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의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15)는 폴리우레탄 발포액을 적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발포액이 화학 반응에 의하여 발포되기 위해서는 폴리우레탄 발포액 주위의 온도가 상온보다 높은 온도인 45℃±5℃의 범위를 유지해야 하므로, 프레임부(10)의 온도와, 발포성 충전제(15) 및 발포성 충전제(15) 주입기의 온도를 소정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프레임부(10)와 발포성 충전제(15) 주입기에 설치된 온도 센서들을 이용하여, 프레임부(10)의 온도와, 발포액의 온도를 수시로 측정하여, 측정 온도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바로 발포액을 주입하고, 측정 온도가 허용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열선 등을 이용하여 허용범위 내의 온도로 조절한 후에 발포성 충전제(15)를 주입하도록 한다.
일 예로 발포성 충전제(15) 주입기를 통해 주입되는 발포성 충전제(15)는, 이소시아(icocyanate)액과, 레진(resin)이나 폴리올(polyol)액과, 물이 적절한 혼합 비율로 섞인 후 충전공간(14) 내로 공급된다.
제어기에는, 균일한 밀도 분포의 발포성 충전제(15)가 발포 및 성형되기 위한 온도와 압력의 허용범위를 실험이나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구하여 데이터베이스 형태의 데이터로 미리 저장 설정하여 두고, 온도 및 압력 센서들로부터의 측정값이 저장된 허용범위 내에 속하고 있는지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측정 온도값이 모두 허용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발포성 충전제(15) 주입기를 통하여 발포성 충전제(15)가 충전공간(14) 내부로 주입된다.
한편, 측정 온도값이 설정된 허용범위 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온도나 압력을 조절하는 열선, 밸브 등의 조절 기구를 작동시켜 온도나 압력이 허용범위 내에 속하도록 조절한다. 동시에, 경보기 등을 통하여 경고 메세지를 작업자에게 표시하여 알림으로써, 작업자가 작업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충전공간(14) 내에 발포성 충전제(15)가 균일한 밀도로 분포 가능하게 하며, 균일한 밀도로 발포 폼을 성형하여 우수한 단열 효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체 주입방법의 제어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부
10a : 내부프레임
10b : 외부프레임
20 : 칸막이부
30 : 채반
40 : 송풍부
50 : 히터
60 : 배기부
71 : 습도센서
72 : 온도센서
73 : 광조사부
80 : 조작부
90 : 제어부
S1 : 제 1 순환배기단계
S2 : 온풍공급단계
S3 : 제 2 순환배기단계
S4 : 유휴단계
S100 : 확보단계
S110 : 설정단계
S120 : 측정단계
S130 : 비교단계
S140 : 주입단계

Claims (6)

  1.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내부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과의 사이에 충전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내부프레임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개구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와;
    상기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와;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내부프레임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공기공급통로와 건조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실로 각각 구획하며, 상기 공기공급통로와 상기 건조실을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다수의 연통홀이 형성된 칸막이부와;
    상기 칸막이부에 마련된 받침부재에 안치되는 복수의 채반들과;
    상기 공기공급통로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와;
    상기 공기공급통로 또는 상기 송풍부에 설치된 히터와;
    상기 건조실 내부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LED를 포함하는 광조사부와;
    상기 건조실 내부의 공기를 상기 프레임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부와;
    상기 송풍부와 상기 히터와 상기 광조사부와 상기 배기부의 작동 상태 및 작동 유지시간을 각각 선택된 모드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건조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공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송출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리브들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4.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내부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과의 사이에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를 주입할 수 있는 충전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내부프레임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프레임을 구비하는 건조장치의 상기 충전공간에 상기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를 주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충전제의 온도와 상기 프레임부의 온도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들의 허용범위를 확보하는 확보단계와;
    상기 파라미터들의 허용범위를 입력하여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파라미터들을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파라미터들의 측정값이 설정된 허용범위 내에 있는지 비교하는 비교단계와;
    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파라미터들의 측정값이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충전공간으로 상기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를 주입하는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의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 주입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단계에서 상기 파라미터들의 측정값이 허용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허용범위를 벗어난 파라미터들을 조절하는 파라미터 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의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 주입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단계는
    상기 충전공간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단계와;
    상기 측정된 압력이 허용범위 내에 있는지 검사하는 검사단계와;
    상기 측정된 압력이 허용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충전공간으로 투입되는 상기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주입량 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내의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 주입방법.
KR20130106229A 2013-09-04 2013-09-04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 주입방법 KR20150027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229A KR20150027598A (ko) 2013-09-04 2013-09-04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 주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229A KR20150027598A (ko) 2013-09-04 2013-09-04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 주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598A true KR20150027598A (ko) 2015-03-12

Family

ID=5302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6229A KR20150027598A (ko) 2013-09-04 2013-09-04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 주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75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0769A (zh) * 2016-10-28 2017-02-01 佳木斯大学 一种防粘连木耳干燥装置及其干燥控制方法
CN109007911A (zh) * 2018-07-20 2018-12-18 临泉县金满园农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农副产品烤房的发热炉
CN110292185A (zh) * 2019-05-20 2019-10-01 安徽坤霖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菌菇加工用脱水烘干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0769A (zh) * 2016-10-28 2017-02-01 佳木斯大学 一种防粘连木耳干燥装置及其干燥控制方法
CN109007911A (zh) * 2018-07-20 2018-12-18 临泉县金满园农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农副产品烤房的发热炉
CN110292185A (zh) * 2019-05-20 2019-10-01 安徽坤霖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菌菇加工用脱水烘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5625B2 (en) Holding cabinets, methods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holding cabinets, and computer-readable media storing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such methods
KR20210087430A (ko) 스팀 조리 장치 및 방법
US20050211258A1 (en) Tobacco curing barn
US8486345B1 (en) Mobile sanitizer unit
RU2591695C1 (ru) Шкафы для хранения, способы управления условиями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в шкафах для хранения и компьютерночитаемые носители, хранящие команды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их способов
CA2885751A1 (en) Grain drying and storage system
KR20150027598A (ko) 건조장치 및 고밀도 발포성 충전제 주입방법
US10635121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modifying temperature and humidity
KR101275867B1 (ko) Led를 이용한 식물재배 겸용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107377A (ko) 농수산물의 복사 건조 장치
ES2390387T3 (es) Carro de secado
KR101198338B1 (ko) 발효식품 제조 장치
KR20100001099U (ko) 면상발열체의 원적외선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JP5635952B2 (ja) 乾燥装置
JP2014135933A (ja) 鉄粉被覆種子酸化装置
KR101334962B1 (ko) 도넛 반죽물 숙성용 히팅장치
CA207367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ubating eggs
RU2723327C1 (ru) Способ хранения зерна в емкости
KR102032985B1 (ko) 건조장치
JP6425347B2 (ja) オゾン発生装置
KR100782320B1 (ko) 농수산물의 살균장치
KR20090044325A (ko) 입국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48240B1 (ko) 고구마 치료 및 저장방법
US202100484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smoke absorption into food products
JPH053600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