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492B1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492B1
KR101534492B1 KR1020140148696A KR20140148696A KR101534492B1 KR 101534492 B1 KR101534492 B1 KR 101534492B1 KR 1020140148696 A KR1020140148696 A KR 1020140148696A KR 20140148696 A KR20140148696 A KR 20140148696A KR 101534492 B1 KR101534492 B1 KR 101534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panel
panels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권
Original Assignee
일양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양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양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8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053Preserving by heating by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heating gases or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건조패널(21,22)의 상면에 농작물을 공급한 상태에서 교반유닛(30)을 이용하여 농작물을 교반하면서 건조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건조패널(21,22)에 공간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3)에 연결된 보일러(40)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23)에 고온의 열매체를 공급하여 건조패널(21,22)을 가열함으로써, 건조패널(21,22)의 상면에 공급된 농작물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열풍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열풍을 이용하는 종래의 건조장치와 달리, 열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농작물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농작물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식 등과 같은 농작물을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건조장치는 일측에 도어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농작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격판과,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본체의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격판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격판을 분리하여, 격판에 농작물을 넓게 펼쳐지도록 올려놓은 후, 격판을 다시 상기 본체에 설치하여, 농작물을 상기 본체의 내부에 투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격판에 건조할 농작물을 올려놓은 후, 상기 격판을 본체에 설치하고, 상기 열풍공급장치로 상기 본체의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불어넣어 격판에 올려진 농작물을 건조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농작물의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격판을 본체에서 꺼내어 건조된 농작물을 배출하고, 다시 격판에 농작물을 올려놓고, 농작물이 올려진 격판을 다시 본체에 설치하고, 상기 열풍공급장치를 가동시킴으로써, 반복적으로 농작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건조장치는 등록특허 10-0910156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건조장치는 열풍을 이용함으로, 농작물이 균일하게 건조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열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건조장치는 상기 격판의 상면에 농작물을 올리고, 상면에 농작물이 올려진 격판을 상기 본체에 설치한 후,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격판을 본체에서 꺼내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함으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농작물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건조할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배출구(13)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적층되며 둘레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a,22a)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23)가 형성된 복수개의 건조패널(21,22)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패널(21,22)의 상면에 공급된 대상물을 교반하는 교반유닛(30)과, 상기 건조패널(21,22)에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23)의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를 공급하는 보일러(40)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패널(21,22)의 둘레면에는 상기 열매체가 공급되는 유입구(24)와 열매체가 배출되는 배수구(25)가 형성되고, 상기 보일러(40)는 순환관(41)을 통해 상기 유입구(24) 및 배수구(25)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건조패널(21,22)의 상면에 대상물을 공급한 후, 상기 열매체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열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패널(21,22)을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교반유닛(30)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교반하여, 대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조패널(21,22)의 공간부(23)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23)의 내부로 공급된 열매체를 안내하는 가이드패널(23a,23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조패널(21,22)은 상기 관통공(21a)이 내측둘레부에 형성된 제1 건조패널(21)과, 상기 관통공(22a)이 외측둘레부에 형성된 제2 건조패널(22)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건조패널(21,22)이 상호 교대로 적층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교반유닛(3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조패널(21,2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31a)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둘레면에서 각 건조패널(21,22)의 상측 둘레부로 연장된 복수개의 회동바(32)와, 상기 회동바(3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건조패널(21,22)의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을 교반하는 교반블레이드(33,34)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블레이드(33,34)는 상기 제1 건조패널(21)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교반블레이드(33)와, 상기 제2 건조패널(22)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교반블레이드(34)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교반블레이드(33)는 회전방향의 선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1 건조패널(21)의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을 내측의 관통공(21a)으로 밀어내고, 상기 제2 교반블레이드(34)는 회전방향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2 건조패널(22)의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을 외측의 관통공(22a)으로 밀어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31)은 내부에 중공부(31b)가 형성된 파이프형태로 구성되어 상단 또는 하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31)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연통공(31c)이 형성되어, 상기 건조패널(21,22)에 올려져 건조되는 대상물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상기 연통공(31c)을 통해 상기 회전축(31)의 내부로 유입된 후 회전축(31)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건조패널(21,22)의 상면에 농작물을 공급한 상태에서 교반유닛(30)을 이용하여 농작물을 교반하면서 건조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건조패널(21,22)에 공간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3)에 연결된 보일러(40)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23)에 고온의 열매체를 공급하여 건조패널(21,22)을 가열함으로써, 건조패널(21,22)의 상면에 공급된 농작물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열풍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열풍을 이용하는 종래의 건조장치와 달리, 열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농작물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제1 건조패널과 교반유닛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제2 건조패널과 교반유닛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제1 건조패널을 도시한 평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제2 건조패널을 도시한 평단면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곡식 등과 같은 농작물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적층되며 둘레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a,22a)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간부(23)가 형성된 복수개의 건조패널(21,22)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패널(21,22)의 상면에 공급된 농작물을 교반하는 교반유닛(30)과, 상기 건조패널(21,22)에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23)의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를 공급하는 보일러(40)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은 강도가 높으면서 열에 강한 금속재질의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바닥면에 고정된 지지대(15)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외측둘레부에는 도시 안된 단열재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일측에는 농작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하우징(10)의 내부에서 건조되는 농작물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기관(12)이 구비되며, 하단 일측에는 건조된 투입구(11)가 배출되는 배출구(13)가 형성된다.
상기 건조패널(21,22)은 상기 하우징(10)의 내경에 대응되는 디스크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둘레면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구비된 브라켓(14)에 고정되어, 상호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건조패널(21,2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21a)이 내측둘레부에 형성된 제1 건조패널(21)과, 상기 관통공(22a)이 외측둘레부에 형성된 제2 건조패널(22)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건조패널(21,22)이 상호 교대로 적층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제1 건조패널(2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건조패널(21)의 하측에는 상기 제2 건조패널(22)과 제1 건조패널(21)이 교대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하측의 건조패널(21,22)에 형성된 관통공(21a,22a)이 건조패널(21,22)의 내외측으로 번갈아 가면서 위치된다.
상기 공간부(2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패널(21,22)의 내부에 상기 건조패널(21,22)의 형태와 대응되는 원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건조패널(21,22)의 둘레면에는 상기 공간부(23)에 연결되는 유입구(24)와 배수구(25)가 상호 반대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40)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열매체가 상기 유입구(24)를 통해 공간부(23)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배수구(25)를 통해 상기 보일러(40)로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23)의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23)의 내부로 공급된 열매체를 안내하는 가이드패널(23a,23b)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패널(23a,23b)은 십자가형태로 배치된 직선패널(23a)과, 호형상으로 구성된 곡선패널(23b)로 구성되어, 상기 유입구(24)를 통해 공간부(23)의 내부로 공급된 열매체가 복잡한 형태의 궤적을 따라 상기 건조패널(21,22)의 상면 전체를 가열한 후, 상기 배수구(25)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교반유닛(3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조패널(21,2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31a)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둘레면에서 각 건조패널(21,22)의 상측 둘레부로 연장된 복수개의 회동바(32)와, 상기 회동바(3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건조패널(21,22)의 상면에 올려진 농작물을 교반하는 교반블레이드(33,34)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31)은 하단이 밀폐되고 상단이 개방된 중공부(31b)가 내부에 형성된 파이프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양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상하면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상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31)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연통공(31c)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31c)은 상기 건조패널(21,22)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건조패널(21,22)에 올려져 건조되는 농작물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상기 연통공(31c)을 통해 상기 회전축(31)의 내부로 유입된 후 회전축(31)을 통해 하우징(10)의 상측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31a)는 상기 지지대(15)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31)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1)이 일방향, 바람직하게는 상측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회동바(32)는 길이가 긴 바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31)의 둘레면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교반블레이드(33,3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금속패널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1 건조패널(21)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교반블레이드(33)와, 상기 제2 건조패널(22)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교반블레이드(3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교반블레이드(3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방향의 선단부가 상기 제1 건조패널(21)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31)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건조패널(21)의 상면에 올려진 농작물을 내측의 관통공(21a)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교반블레이드(3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방향의 선단부가 상기 제2 건조패널(22)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31)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 건조패널(22)의 상면에 올려진 농작물을 외측의 관통공(22a)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일러(40)는 순환관(41)을 통해 상기 유입구(24) 및 배수구(25)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도시 안된 펌프가 구비되어, 내부에서 가열된 열매체를 가압하여 상기 순환관(41)을 통해 상기 건조패널(21,22)의 공간부(23)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건조패널(21,22)의 배수구(25)에는 압력조절밸브(25a)가 각각 구비되어, 각 건조패널(21,22)의 공간부(23)에 공급되는 열매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보일러(40)를 on시키면, 상기 보일러(40)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가 상기 건조패널(21,22)의 공간부(23)로 공급되어 건조패널(21,22)을 가열한 후, 상기 보일러(40)로 순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건조패널(21,22)이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31a)를 이용하여 교반유닛(30)을 구동시키고,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가장 상측에 위치된 제1 건조패널(21)의 상면 일측에 농작물을 공급하면, 상기 농작물은 상기 교반유닛(30)의 제1 교반블레이드(33)에 의해 밀려 회전되면서 교반 및 건조되고, 상기 제1 교반블레이드(33)의 경사각에 의해 점차 제1 건조패널(21)의 내측으로 밀려, 상기 제1 건조패널(21)의 내측 둘레부에 형성된 관통공(21a)을 통해 하측의 제2 건조패널(22)의 내측 상면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건조패널(22)의 내측 상면으로 배출된 농작물은 상기 교반유닛(30)의 제2 교반블레이드(34)에 의해 밀려 회전되면서 교반 및 건조되고, 점자 제2 건조패널(22)의 외측으로 밀려 제2 건조패널(22)의 외측둘레부에 형성된 관통공(22a)을 통해 하측의 제1 건조패널(21)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농작물이 상기 제1 및 제2 건조패널(21,22)의 관통공(21a,22a)을 통해 점차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교반과 건조를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배출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농작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된 수증기는 상기 배기관(12)과 상기 회전축(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조장치는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건조패널(21,22)의 상면에 농작물을 공급한 상태에서 교반유닛(30)을 이용하여 농작물을 교반하면서 건조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건조패널(21,22)에 공간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3)에 연결된 보일러(40)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23)에 고온의 열매체를 공급하여 건조패널(21,22)을 가열함으로써, 건조패널(21,22)의 상면에 공급된 농작물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열풍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열풍을 이용하는 종래의 건조장치와 달리, 열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농작물을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건조패널(21,22)의 공간부(23)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23)의 내부로 공급된 열매체를 안내하는 가이드패널(23a,23b)이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23)로 공급된 열매체가 복잡한 형태의 궤적을 따라 순환되면서 상기 건조패널(21,22)을 가열한다.
따라서, 열매체가 공간부(23)의 내부에 체재하는 시간을 연장함과 동시에, 열매체의 열이 건조패널(21,22)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되어, 열매체의 열이 건조패널(21,22)에 전달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조패널(21,22) 전체가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여 건조패널(21,22)의 상면에 공급된 농작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패널(21,22)은 상기 관통공(21a)이 내측둘레부에 형성된 제1 건조패널(21)과, 상기 관통공(22a)이 외측둘레부에 형성된 제2 건조패널(22)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건조패널(21,22)이 상호 교대로 적층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교반유닛(3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조패널(21,2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31a)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둘레면에서 각 건조패널(21,22)의 상측 둘레부로 연장된 복수개의 회동바(32)와, 상기 회동바(3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건조패널(21,22)의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을 교반하는 교반블레이드(33,34)로 구성되며, 상기 교반블레이드(33,34)는 상기 제1 건조패널(21)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교반블레이드(33)와, 상기 제2 건조패널(22)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교반블레이드(34)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교반블레이드(33)는 회전방향의 선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1 건조패널(21)의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을 내측의 관통공(21a)으로 밀어내고, 상기 제2 교반블레이드(34)는 회전방향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2 건조패널(22)의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을 외측의 관통공(22a)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장 상측의 건조패널(21,22)로 공급된 농작물이 상기 제1 건조패널(21)의 상면에서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송되고, 제2 건조패널(22)의 상면에서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순차적으로 하측으로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하측의 배출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 작업자가 격판의 상면에 농작물을 공급하여 본체에 설치한 후, 건조가 완료되면 격판을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곡물을 배출하여야 하는 종래의 건조장치에 비해 작업이 용이하며, 농작물을 건조하는 작업 전체를 자동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교반유닛(30)의 회전축(31)에는 상기 건조패널(21,22)의 사이로 개방된 다수개의 연통공(31c)이 형성되어, 각각의 건조패널(21,22)에 올려진 농작물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각각의 연통공(31c)을 통해 회전축(31)의 내부로 유입된 후, 회전축(31)의 상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 농작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농작물을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농작물 이외에, 폐기물이나 기타 다양한 대상물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10. 하우징 21,22. 건조패널
30. 교반유닛 40. 보일러

Claims (4)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지지대(15)의 상부에 설치되고, 외측 둘레부에는 단열재가 구비되되, 상부 일측에는 건조할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는 건조된 대상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3)가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경에 대응되는 디스크형태로 구성되고, 둘레면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구비된 브라켓(14)에 고정되되, 상호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교대로 적층된 제1 및 제2 건조패널(21,22);
    상기 제1 및 제2 건조패널(21,2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건조패널(21,22)의 상면에 공급된 대상물을 교반하는 교반유닛(30);
    상기 제1 및 제2 건조패널(21,22)로 가열된 열매체를 공급하는 보일러(40);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건조패널(21)은 내측둘레부에 관통공(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건조패널(22)은 외측둘레부에 관통공(2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건조패널(21, 22)에는 각각 내부에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건조할 대상물이 공급되는 공간부(23)가 형성되어 있고, 둘레면에는 상기 공간부(23)에 연결된 유입구(24)와 배수구(25)가 상호 반대의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보일러(40)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열매체가 상기 유입구(24)를 통해 상기 공간부(23)로 유입된 후 상기 배수구(25)를 통해 상기 보일러(40)로 순환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공간부(23)에는 십자가 형태로 배치된 직선패널(23a)과, 호형상으로 구성된 곡선패널(23b)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24)를 통해 상기 공간부(23)의 내부로 공급된 열매체가 상기 직선패널(23a)과 상기 곡선패널(23b)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건조패널(21,22)의 상면 전체를 가열한 후, 상기 배수구(25)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교반유닛(3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건조패널(21,2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31a)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둘레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건조패널(21,22)의 상측 둘레부로 연장된 복수개의 회동바(32)와, 상기 회동바(32)에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회전방향의 선단부가 상기 제1 건조패널(21)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31)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건조패널(21)의 상면에 올려진 농작물을 내측의 상기 관통공(21a)으로 밀어내는 제1 교반블레이드(33)와, 상기 회동바(32)에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회전방향의 선단부가 상기 제2 건조패널(22)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31)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 건조패널(22)의 상면에 올려진 농작물을 내측의 상기 관통공(22a)으로 밀어내는 제2 교반블레이드(34)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31)은 내부에 중공부(31b)가 형성된 파이프형태로 구성되어 상단 또는 하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31)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연통공(31c)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건조패널(21,22)에 올려져 건조되는 대상물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상기 연통공(31c)을 통해 상기 회전축(31)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회전축(3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148696A 2014-10-29 2014-10-29 건조장치 KR101534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96A KR101534492B1 (ko) 2014-10-29 2014-10-29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96A KR101534492B1 (ko) 2014-10-29 2014-10-29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492B1 true KR101534492B1 (ko) 2015-07-09

Family

ID=5379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696A KR101534492B1 (ko) 2014-10-29 2014-10-29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7317A (zh) * 2020-02-24 2020-07-10 宁波照泰能源设备有限公司 一种圆盘式干燥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984Y1 (ko) * 2001-02-26 2001-07-19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간접 가열 방식의 건조기
KR20090097375A (ko) * 2008-03-11 2009-09-16 이미순 수산물 건조장치
KR20090124809A (ko) * 2008-05-30 2009-12-03 몽 필 김 건고추 건조기
KR101129359B1 (ko) * 2011-12-29 2012-03-26 비비엔티케이 주식회사 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984Y1 (ko) * 2001-02-26 2001-07-19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간접 가열 방식의 건조기
KR20090097375A (ko) * 2008-03-11 2009-09-16 이미순 수산물 건조장치
KR20090124809A (ko) * 2008-05-30 2009-12-03 몽 필 김 건고추 건조기
KR101129359B1 (ko) * 2011-12-29 2012-03-26 비비엔티케이 주식회사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7317A (zh) * 2020-02-24 2020-07-10 宁波照泰能源设备有限公司 一种圆盘式干燥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878B1 (ko) 폐기물 건조장치
US10527349B2 (en) Apparatus for cooking and drying organic material
JP2017048992A (ja) 乾燥処理装置
KR101613299B1 (ko) 건조장치
TW201211481A (en) Indirectly heated rotary dryer
CN203980858U (zh) 一种新型干燥机
KR101659814B1 (ko) 디스크 건조기
US10995990B2 (en) Rotary dryer with multi-drying chambers
KR102291543B1 (ko) 양방향 슬러지 건조장치
KR101627742B1 (ko) 진공 저온 건조 장치
KR101534492B1 (ko) 건조장치
JP2008267738A (ja) 低速移動撹拌伝熱式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70114739A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1472568B1 (ko) 폐기물 건조장치
CN105268354A (zh) 合成颗粒用搅拌设备及其加热方法
KR101710101B1 (ko) 건조기시스템
KR102025577B1 (ko) 고추 건조기
KR100724687B1 (ko) 감압 건조 탄화장치
KR100511196B1 (ko) 슬러지 건조장치
CN206300437U (zh) 一种用于催化剂生产的烘干装置
CN206886934U (zh) 污泥干燥机
CN208551415U (zh) 电加热内循环风连续烘培炒制机
CN210718456U (zh) 一种有机肥料干燥装置
KR100767066B1 (ko) 버섯 재배용 살균 발효 배지의 제조장치
CN112556365A (zh) 一种化工石油炼制用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