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695B1 - 롤러 - Google Patents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695B1
KR101287695B1 KR1020120142959A KR20120142959A KR101287695B1 KR 101287695 B1 KR101287695 B1 KR 101287695B1 KR 1020120142959 A KR1020120142959 A KR 1020120142959A KR 20120142959 A KR20120142959 A KR 20120142959A KR 101287695 B1 KR101287695 B1 KR 10128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bearing
roller
block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
박재선
박동근
Original Assignee
오원
박동근
박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원, 박동근, 박재선 filed Critical 오원
Priority to KR1020120142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4Rollers; Nee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03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grease as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80Labyrinth sealings
    • F16C33/805Labyrinth sealings in addition to other sealings, e.g. dirt guards to protect sealings with sealing 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고, 외주를 따라 롤링면을 갖는 롤링부가 형성되는 롤러몸체, 상기 롤러몸체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회전축이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부의 일단부를 통해 설치되되,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롤러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을 상기 롤러몸체에 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설치공간부의 타단부를 통해 설치되는 롤러커버, 및 상기 롤러몸체에 구비되어 가압력에 의해 상기 고정블럭과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실링하기 위한 실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 및 최소화시켜 베어링의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베어링의 유동을 방지하여 회전력의 손실을 최소화시켜 전달할 수 있어 회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Roller}
본 발명은 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및 최소화시키고, 베어링의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킴에 따라 회전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롤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는 베어링에 의해 어느 하나의 축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롤러의 일 실시 예로, 등록특허 제10-0839032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축의 외주면을 따라 롤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이 구비된다.
여기서, 베어링은 롤몸체 내부에서 축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베어링에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파손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실링부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를 갖는 롤러 구조는, 도 1에서 일 실시 예로, 도시하였으며, 이 도 1은 종래 롤러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0)에 롤러(1)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롤러(1)는 롤러몸체(2)와 베어링(3), 롤러커버(4), 고정블럭(5) 및 실링부재(6a, 7a)를 갖는 부싱(6, 7)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롤러(1)는 회전 시, 회전축(20)의 중심축선을 따라 유동되는 것으로, 이는, 두 개의 베어링(3)의 설치 위치를 유지할 수 없어 발생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롤러(1)의 유동은 회전축(20)에 고정되는 고정블럭(5)과 롤러몸체(2) 사이에 간격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간격으로 두 개의 부싱(6, 7)이 상호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유동됨에 따라,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틈새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물질 유입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으며, 유입된 이물질은 베어링(3)으로 유입되어 볼을 표면에 부착되고, 이물질이 부착된 상태로 베어링(3)의 볼이 회전될 경우, 롤링이 용이하지 않아 베어링(3)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베어링(3)이 파손될 경우, 롤러(1) 자체를 교환해야되며, 캐터필러를 사용하는 중장비의 경우, 롤러(1)의 사용 개수가 많아 교체를 위한 비용이 증가되고,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롤러 내부에서 베어링의 설치 위치를 유지하여 유동을 방지 및 최소화시킴에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회전축에 고정되는 고정블럭이 베어링에 의해 롤러몸체에 설치되되, 실링수단에 의해 롤러몸체의 설치공간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수단과 걸림턱, 간격유지링, 고정블럭에 의해 베어링의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의 유동을 방지하여 회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롤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고, 외주를 따라 롤링면을 갖는 롤링부가 형성되는 롤러몸체, 상기 롤러몸체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회전축이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부의 일단부를 통해 설치되되,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롤러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을 상기 롤러몸체에 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설치공간부의 타단부를 통해 설치되는 롤러커버, 및 상기 롤러몸체에 구비되어 가압력에 의해 상기 고정블럭과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실링하기 위한 실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치공간부의 타단부 내측면을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기 위한 고정와셔가 구비되며, 상기 설치공간부에 롤러커버가 거치된 후, 상기 고정와셔가 고정홈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롤러커버가 롤러몸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설치공간부보다 큰 직경을 갖고, 상기 고정블럭의 설치방향과 직교되는 면을 갖는 설치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설치공간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실링공간부, 상기 실링공간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블럭의 가장자리에 돌출형성되는 실링턱, 상기 실링턱과 설치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링턱과 미끄러질 수 있도록 밀착되는 실링블럭, 및 상기 실링블럭을 상기 실링턱 방향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실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실링부는, 탄성을 갖는 고무링, 및 상기 고무링의 일부가 수납되도록 상기 설치면에 형성되는 가압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실링블럭이 위치되는 상기 설치면에 형성되는 가압홈, 상기 설치홈에 형성되어 상기 실링블럭과 접촉되는 가압블럭, 및 상기 가압홈을 따라 다수 개 구비되어 가압블럭을 상기 실링블럭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실링블럭을 상기 고정블럭의 실링턱과 밀착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실링턱은, 상기 실링블럭과 일부 접촉되도록 접촉부가 더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턱과 실링블럭의 접촉면은, 상기 고정블럭이 롤러몸체에 설치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평면이다.
또한, 상기 실링턱과 실링블럭의 접촉면은, 상기 고정블럭이 롤러몸체에 설치되는 방향과 일정 각도를 갖도록 경사면이다.
그리고 상기 롤러몸체의 설치공간부의 중간부 내측면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은, 상기 설치공간부의 일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의 일단부에 걸려지고, 상기 고정블럭에 의해 설치되는 제1베어링, 및 상기 설치공간부의 타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의 타단부에 걸려지고, 상기 고정수단과 롤러커버에 의해 설치되는 제2베어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베어링과 제2베어링은 볼을 기준으로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은 상기 볼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또한, 상기 제1베어링의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 사이 간격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제1베어링과 고정블럭 사이에 제2실링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2실링수단은 걸림턱과 함께 상기 제1베어링의 외부프레임을 가압하여 설치 위치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실링수단은, 일정 두께를 갖고, 상기 제1베어링의 내부프레임과 상기 고정블럭 사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베어링의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 사이 간격을 가리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베어링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탄성부, 상기 고정부와 탄성부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고정부와 탄성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유지부, 및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베어링의 외부프레임을 상기 걸림턱 방향으로 가압하여 외부프레임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베어링의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 사이 간격에 제3실링수단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베어링의 내부프레임과 상기 제2베어링의 내부프레임 사이에 간격유지링이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수단 및 고정블럭과 함께 상기 제1베어링의 내부프레임과 상기 제2베어링의 내부프레임을 상기 롤러몸체의 설치공간부에서 설치된 위치를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링너트이며, 상기 고정블럭의 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이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간격유지링 및 고정블럭과 함께 상기 제1베어링의 내부프레임과 제2베어링의 내부프레임의 설치위치를 유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롤러에 의하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 및 최소화시켜 베어링의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베어링의 유동을 방지하여 회전력의 손실을 최소화시켜 전달할 수 있어 회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롤러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롤러의 이물질 유입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의 실링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에 제2실링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에 제3실링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의 실링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에 제2실링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에 제3실링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10)는 롤러몸체(100)와 베어링(200), 고정블럭(300), 고정수단(400), 롤러커버(500) 및 실링수단(6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롤러몸체(100)는 내부에 설치공간부(110)를 갖고, 외주를 따라 롤링면(122)을 갖는 롤링부(120)가 형성되어 밸트 등의 대상물과 접촉하여 회전되며, 롤러몸체(100)의 설치공간부(100)에는 베어링(200)이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블럭(300)은 회전축(20)이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310)이 내부에 형성되고, 설치공간부(110)의 일단부를 통해 설치되되, 베어링(200)에 의해 롤러몸체(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고정수단(400)은 고정블럭(300)을 롤러몸체(100)에 위치되도록 고정시키고, 롤러커버(500)는 설치공간부(110)의 타단부를 통해 설치된다.
또한 실링수단(600)은 롤러몸체(100)에 구비되어 가압력에 의해 고정블럭(300)과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실링함에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설치공간부(110)의 타단부 내측면을 따라 고정홈(510)이 형성되고, 고정홈(510)에 끼워지기 위한 고정와셔(520)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와셔(520)는 롤러커버(500)를 롤러몸체(100)에 설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롤러몸체(100)의 설치공간부(110)에 롤러커버(500)가 거치된 후, 고정와셔(520)가 고정홈(510)에 끼워짐에 따라 롤러커버(500)가 롤러몸체(100)에 설치된다.
물론, 롤러커버(500)의 외주면에는 롤러몸체(100)의 설치공간부(110) 내측면과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오링(502)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이 당연하다.
그리고 실링수단(600)은 실링공간부(610)와 실링턱(620), 실링블럭(630) 및 실링부(640)로 구성된다.
실링공간부(610)는 설치공간부(110)보다 큰 직경을 갖고, 고정블럭(300)의 설치방향과 직교되는 면을 갖는 설치면(612)이 형성되도록 설치공간부(11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실링턱(620)은 실링공간부(610)에 위치되도록 고정블럭(300)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고, 실링블럭(630)은 실링턱(620)과 설치면(612) 사이에 구비되어 실링턱(620)과 밀착되되, 미끄러질 수 있도록 밀착된다.
실링부(640)는 실링블럭(630)을 실링턱(620) 방향으로 가압시킴에 따라, 실링턱(620)과 실링블럭(630) 사이를 밀폐시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실링턱(620)과 실링블럭(630)은 동일한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철 또는 서스(Sus)로 제작되어 열처리함에 따라 동일한 강도를 갖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실링턱(620)과 실링블럭(630)이 상호 닿아 접촉하여 미끄러지기 위한 부분을 연삭 가공하여 상호 접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실링턱(620)과 실링블럭(630)은 열처리되어 동일한 강도를 갖고, 연삭 가공됨에 따라 상호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상호 미끄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실링부(640)는 일 실시 예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링(642)과 가압홈(644)으로 구성된다.
가압홈(644)은 실링공간부(610)의 설치면(612)에 형성되는 것으로, 실링블럭(630)이 위치되는 설치면(612) 일부를 따라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홈(644)에 고무링(642)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 고무링(642)의 일부가 수납되는 깊이로 형성되어 나머지 부분은 가압홈(644)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가압홈(644)은 고무링(642)의 직경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실링블럭(630)에 의해 가압되어 눌러진 고무링(642)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형상이 변형된 고무링(642)은 탄발력에 의해 실링블럭(630)을 실링턱(620)으로 가압하게 되어 실링턱(620)과 실링블럭(630)을 상호 밀착시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실링부(640')는 가압홈(642')과 가압블럭(644') 및 스프링(646')으로 구성된다.
가압홈(642')은 실링블럭(630)이 위치되는 설치면(612)에 형성되고, 가압블럭(644')은 가압홈(642')에 형성되어 실링블럭(630)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646')은 가압홈(642')을 따라 다수 개 구비되어 가압블럭(644')을 실링블럭(630)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실링블럭(630)을 고정블럭(300)의 실링턱(620)과 밀착시키게 된다.
여기서, 실링턱(620)은 실링블럭(630)과 일부 접촉되도록 접촉부(622)가 더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각 실시 예의 가압부(640, 640')에 의해 접촉부(622)와 실링블럭(630)이 밀착된 상태로 상호 미끄러질 수 있게 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5 내지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링턱(620)과 실링블럭(630)의 접촉면은 고정블럭(300)이 롤러몸체(100)에 설치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실링턱(620)과 실링블럭(630)의 접촉면은 롤러몸체(100)가 회전되는 중심축과 직교되는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링턱(620)과 실링블럭(630)의 접촉면은 고정블럭(300)이 롤러몸체(100)에 설치되는 방향과 일정 각도를 갖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의 접촉면은 고정블럭(300)이 롤러몸체(100)에 설치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수직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며, 이 경사는 고정블럭(3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경사지거나 또는 그 반대로,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경사면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물질의 유입은 회전축(20)이 끼워지는 고정블럭(300)과 롤러몸체(100)의 설치공간부(110)로 유입되는 것으로, 실링턱(620)과 실링블럭(630)의 접촉면을 고정블럭(3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게 되면, 유입경로가 역행함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실링턱(620)과 실링블럭(630)의 접촉면을 고정블럭(3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킬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이와 같이, 실링턱(620)과 실링블럭(630)의 접촉면을 고정블럭(3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더라도 실링수단(600)에 의해 실링턱(620)과 실링블럭(630)의 충분한 밀착력이 존재함에 따라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몸체(100)의 설치공간부(120)의 중간부 내측면에 걸림턱(140)이 돌출 형성되며, 베어링(200)은 제1베어링(210)과 제2베어링(220)으로 구성된다.
제1베어링(210)은 설치공간부(110)의 일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걸림턱(140)의 일단부에 걸려지고, 고정블럭(300)에 의해 설치된다.
또한 제2베어링(220)은 설치공간부(110)의 타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걸림턱(140)의 타단부에 걸려지고, 고정수단(400)과 롤러커버(500)에 의해 설치된다.
이러한 걸림턱(140)은 롤러몸체(100)의 롤러부(120) 폭을 중심점을 지나는 연장선을 기준으로, 고정블럭(300)이 설치되는 설치공간부(110)의 일단부 방향으로 위치된다.
이는, 롤러(10)는 회전축에 인접한 부위의 응력이 그 반대 부위의 응력보다 크기 때문에 이러한 응력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1베어링(210)과 제2베어링(220)은 각각의 볼(212, 222)을 기준으로 내부프레임(214, 224)과 외부프레임(216, 226)으로 구성되고, 내부프레임(214, 224)과 외부프레임(216, 226)은 볼(212, 222)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러한 제1베어링(210)의 내부프레임(214)과 외부프레임(216) 사이 간격을 밀폐시키도록 제1베어링(210)과 고정블럭(300) 사이에 제2실링수단(700)이 더 구비된다.
이 제2실링수단(700)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베어링(210)의 내부프레임(214)과 외부프레임(216) 사이 간격을 밀폐시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걸림턱(140)과 함께 제1베어링(210)의 외부프레임(216)을 가압하여 설치 위치를 유지하여 롤러몸체(100)의 회전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실링수단(700)은 고정블럭(300)의 회전 중심축을 따라 일정 두께를 갖고, 외주방향으로 다수 회 굽혀서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부(710)와 탄성부(720), 탄성유지부(730) 및 가압부(740)로 구성된다.
먼저, 고정부(710)는 일정 두께를 갖고, 제1베어링(210)의 내부프레임(214)과 고정블럭(300) 사이에 고정된다.
그리고 탄성부(720)는 고정부(710)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베어링(210)의 내부프레임(214)과 외부프레임(216) 사이 간격을 가리도록 구비되되, 제1베어링(210)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탄성유지부(730)는 고정부(710)와 탄성부(720)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되, 고정부(710)와 탄성부(720)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탄성부(720)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가압부(740)는 탄성부(72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베어링(210)의 외부프레임(216)을 걸림턱(140) 방향으로 가압하여 외부프레임(216)의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베어링(210)의 내부프레임(214)과 외부프레임(216)이 고정블럭(300)이나 롤러몸체(100)의 회전 중심축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베어링(210)의 내부프레임(214)과 제2베어링(220)의 내부프레임(224) 사이에 간격유지링(150)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간격유지링(150)은 고정수단(400) 및 고정블럭(300)과 함께 제1베어링(20)의 내부프레임(214)과 제2베어링(220)의 내부프레임(224)을 롤러몸체(100)의 설치공간부(110)에서 설치된 위치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간격유지링(150)은 걸림턱(140)과 고정수단(400), 고정블럭(300) 및 제2실링수단(700)과 함께 제1베어링(210)과 제2베어링(22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어 롤러몸체(100)의 회전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수단(400)은 링너트이며, 고정블럭(300)의 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수단(400)이 나사결합됨에 따라 간격유지링(150) 및 고정블럭(300)과 함께 제1베어링(210)의 내부프레임(214)과 제2베어링(220)의 내부프레임(224)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베어링(210)의 내부프레임(214)과 외부프레임(216) 사이 간격에 제3실링수단(800)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제3실링수단(800)은 제1베어링(210)의 내부프레임(214)과 외부프레임(216) 사이 간격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실링수단(600) 및 제2실링수단(700)과 함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방지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실링수단(700)과 제3실링수단(800) 및 베어링(200)은 열처리됨에 따라 동일한 강도로 형성됨이 당연하며, 베어링(200)에는 구리스 등의 윤활제가 도포됨이 당연하다.
10 : 롤러 20 : 회전축
100 : 롤러몸체 110 : 설치공간부
120 : 롤러부 140 : 걸림턱
150 : 간격유지링 200 : 베어링
210 : 제1베어링 220 : 제2베어링
212, 222 : 볼 214, 224 : 내부프레임
216, 226 : 외부프레임 300 : 고정블럭
400 : 고정수단 500 : 롤러커버
510 : 고정홈 520 : 고정와셔
600 : 실링구단 610 : 실링공간부
620 : 실링턱 630 : 실링블럭
640, 640' : 실링부 642 : 고무링
644 : 가압홈 700 : 제2실링수단
800 : 제3실링수단

Claims (14)

  1.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고, 외주를 따라 롤링면을 갖는 롤링부가 형성되는 롤러몸체;
    상기 롤러몸체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회전축이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부의 일단부를 통해 설치되되,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롤러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을 상기 롤러몸체에 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설치공간부의 타단부를 통해 설치되는 롤러커버; 및
    상기 롤러몸체에 구비되어 가압력에 의해 상기 고정블럭과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실링하기 위한 실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단은,
    링너트와 상기 롤러몸체의 설치공간부의 중간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설치공간부의 일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의 일단부에 걸려지고, 상기 고정블럭에 의해 설치되는 제1베어링; 및
    상기 설치공간부의 타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의 타단부에 걸려지고, 상기 고정수단과 롤러커버에 의해 설치되는 제2베어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베어링과 제2베어링은 각각의 볼을 기준으로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은 상기 볼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베어링의 내부프레임과 상기 제2베어링의 내부프레임 사이에 간격유지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블럭의 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링너트가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간격유지링 및 고정블럭과 함께 상기 제1베어링의 내부프레임과 제2베어링의 내부프레임을 상기 롤러몸체의 설치공간부에서 설치된 위치를 유지시키며,
    상기 제2베어링의 외부프레임은 상기 롤러커버와 걸림턱에 의해 상기 롤러몸체의 설치공간부에서 설치된 위치를 유지시킴에 따라 상기 롤러몸체와 베어링, 고정블럭을 위치 유지시키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부의 타단부 내측면을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기 위한 고정와셔가 구비되며,
    상기 설치공간부에 롤러커버가 거치된 후, 상기 고정와셔가 고정홈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롤러커버가 롤러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설치공간부보다 큰 직경을 갖고, 상기 고정블럭의 설치방향과 직교되는 면을 갖는 설치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설치공간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실링공간부;
    상기 실링공간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블럭의 가장자리에 돌출형성되는 실링턱;
    상기 실링턱과 설치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링턱과 미끄러질 수 있도록 밀착되는 실링블럭; 및
    상기 실링블럭을 상기 실링턱 방향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실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탄성을 갖는 고무링; 및
    상기 고무링의 일부가 수납되도록 상기 설치면에 형성되는 가압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실링블럭이 위치되는 상기 설치면에 형성되는 가압홈;
    상기 가압홈에 형성되어 상기 실링블럭과 접촉되는 가압블럭; 및
    상기 가압홈을 따라 다수 개 구비되어 가압블럭을 상기 실링블럭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실링블럭을 상기 고정블럭의 실링턱과 밀착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턱은,
    상기 실링블럭과 일부 접촉되도록 접촉부가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턱과 실링블럭의 접촉면은,
    상기 고정블럭이 롤러몸체에 설치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턱과 실링블럭의 접촉면은,
    상기 고정블럭이 롤러몸체에 설치되는 방향과 일정 각도를 갖도록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어링의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 사이 간격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제1베어링과 고정블럭 사이에 제2실링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2실링수단은 걸림턱과 함께 상기 제1베어링의 외부프레임을 가압하여 설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수단은,
    일정 두께를 갖고, 상기 제1베어링의 내부프레임과 상기 고정블럭 사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베어링의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 사이 간격을 가리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베어링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탄성부;
    상기 고정부와 탄성부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고정부에서 탄성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유지부; 및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베어링의 외부프레임을 상기 걸림턱 방향으로 가압하여 외부프레임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어링의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 사이 간격에 제3실링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142959A 2012-12-10 2012-12-10 롤러 KR101287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959A KR101287695B1 (ko) 2012-12-10 2012-12-10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959A KR101287695B1 (ko) 2012-12-10 2012-12-10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695B1 true KR101287695B1 (ko) 2013-08-07

Family

ID=4921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959A KR101287695B1 (ko) 2012-12-10 2012-12-10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242A (ko) * 2015-03-02 2016-09-1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연속식 하역기용 가이드 롤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8217A (ja) 2002-06-26 2004-01-29 Ntn Corp クラスタミル用バックアップベアリング
JP2007198437A (ja) 2006-01-24 2007-08-09 Jtekt Corp ハブユニット
JP2008223965A (ja) 2007-03-15 2008-09-25 Nsk Ltd 転がり軸受
JP2010133507A (ja) 2008-12-05 2010-06-17 Nsk Ltd 転がり軸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8217A (ja) 2002-06-26 2004-01-29 Ntn Corp クラスタミル用バックアップベアリング
JP2007198437A (ja) 2006-01-24 2007-08-09 Jtekt Corp ハブユニット
JP2008223965A (ja) 2007-03-15 2008-09-25 Nsk Ltd 転がり軸受
JP2010133507A (ja) 2008-12-05 2010-06-17 Nsk Ltd 転がり軸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242A (ko) * 2015-03-02 2016-09-1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연속식 하역기용 가이드 롤러
KR101685788B1 (ko) 2015-03-02 2016-12-1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연속식 하역기용 가이드 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733B2 (en) Idler roll seal
JP3200253U (ja) 密封装置付き転がり軸受
US9004776B2 (en) Rolling bearing assembly
CA2864575C (en) Bearing assembly with spacer for locating a seal sleeve
KR20120010786A (ko) 컨베이어용 롤러
KR101287695B1 (ko) 롤러
CA2780928C (en) External bearing shroud
JP2016084939A (ja) チェーン又はベルトのためのプーリー装置及び当該装置を備えた自動車
BR102015018187B1 (pt) Vedação para um mancal de rolamento com o inserto, junta universal com uma bucha de mancal e/ou bucha de mancal com a vedação
JP2014178006A (ja) 密封装置付き軸受装置
CA2732467A1 (en) Railway car bearing seal
US20090175567A1 (en) Cam followers for long life
JP2013224721A (ja) 密封装置付き自動調心ころ軸受
JP2013204617A (ja) 転がり軸受
KR101956811B1 (ko) 휠 베어링 씰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JP2007270966A (ja) 転がり軸受のクリープ防止構造
US10087991B2 (en) Ball bearing comprising a cage provided with a wire and a seal
JP2010048301A (ja) 軸受装置
JP5434349B2 (ja) 軸受装置
JP2017015121A (ja) 転がり軸受
KR20090113558A (ko) 회전축의 베어링 체결장치
JP2015161405A (ja) 密封装置付き転がり軸受
CN103388681B (zh) 用于皮带轮的盒式密封系统
JP2013151977A (ja) 転がり軸受装置
JP2016160943A (ja) プーリ用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