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371B1 - 선박 화물탱크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화물탱크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371B1
KR101284371B1 KR1020080124447A KR20080124447A KR101284371B1 KR 101284371 B1 KR101284371 B1 KR 101284371B1 KR 1020080124447 A KR1020080124447 A KR 1020080124447A KR 20080124447 A KR20080124447 A KR 20080124447A KR 101284371 B1 KR101284371 B1 KR 101284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rgo
air vent
fluid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5870A (ko
Inventor
마정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4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3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6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pressur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2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using ventilating she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2Anti-slosh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화물탱크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선박의 운항시 선체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되는 유체화물의 슬로싱으로 인해 유체화물의 일부가 에어벤트 또는 압력보정파이프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박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 화물탱크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선박 화물탱크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에어벤트 또는 압력조정파이프가 설치되는 개구의 이웃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개구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로 개구의 하단부를 커버하여 상기 화물탱크에 선적된 유체화물의 슬로싱에 의해 개구측을 향해 튀어오르는 유체화물을 막아주는 커버부; 및 상기 개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개구를 통한 공기의 흐름은 가능하도록 하는 개방부로 구성된 선박 화물탱크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유체화물, 슬로싱, 커버부, 개방부

Description

선박 화물탱크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luid Freight Through Air Vent of Ship Tank}
본 발명은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선적된 유체화물이 선박의 운항시 발생되는 슬러싱(Sloshing)에 의해 에어벤트파이프 또는 압력보정파이프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선박 화물탱트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사람이나 가축 또는 각종 화물을 싣고 해상을 통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교통수단으로써, 다른 교통수단에 비하여 대량의 화물을 한번에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선박은 해상을 통한 이동시 엔진과 피칭 및 롤링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엔진에 의한 진동은 선박의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해 선박의 내부에 장착된 엔진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기술력의 발전으로 대형선박의 경우 엔진에 의한 진동은 아주 미미한 정도이다. 상기 피칭은 선체가 앞뒤로 흔들리는 것으로, 소형 선박의 경우에는 피칭에 의한 진동을 심하게 느낄 수 있으나, 화물의 운송을 위한 대형선박의 경우에는 피칭에 의한 진동은 아주 미미한 정도이 다. 상기 롤링은 선체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으로, 상술한 엔진이나 피칭에 의한 진동에 비해 선박의 운항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즉, 운항중인 선박에는 엔진의 구동이나 피칭 보다는 롤링에 의한 흔들림이 더 크게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롤링에 의해 화물탱크 내에 선적된 화물에는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화물탱크내에 유체화물이 선적된 경우, 선체의 반복적인 흔들림에 의해 유체화물의 슬로싱이 반복되면서 유체화물의 일부가 에어밴트 또는 압력보정파이프를 통해 유출되는 일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유체화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벤트 파이프 또는 압력보정파이프에 반달형태의 막을 파이프의 중간중간에 설치하는 구조가 제시되었으나, 제작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효 직경의 확보를 위해 파이프의 직경이 커져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운항시 선체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되는 유체화물의 슬로싱으로 인해 유체화물의 일부가 에어벤트 또는 압력보정파이프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박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 화물탱크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선박 화물탱크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는 선박 화물탱크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에어벤트 또는 압력조정파이프가 설치되는 개구의 이웃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개구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로 개구의 하단부를 커버하여 상기 화물탱크에 선적된 유체화물의 슬로싱에 의해 개구측을 향해 튀어오르는 유체화물을 막아주는 커버부; 및 상기 개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개구를 통한 공기의 흐름은 가능하도록 하는 개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좌/우 양끝단이 상기 화물탱크에 고정되고 중앙부가 아랫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는 커버부의 전/후 측면이 개방된 것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 상기 개방부의 개구면적이 상기 개구의 단면적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슬로싱에 의한 유체화물의 선상 유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선주들의 유체화물 유출방지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유체화물, 즉 오일의 유출에 의한 해상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출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2 는 도 1의 정면도를, 도 3 은 도 1의 측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출방지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100)는 커버부(120)와, 개방부(130)로 구성된다. 이러한 유출방지장치(100)는 화물탱크(200)에 형성된 개구(210)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선체의 흔들림에 의한 유체화물의 슬로싱 발생시 개구(210)측을 향해 튀어 오르는 유체화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구(210)는 선박에 구비된 화물탱크(20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화물탱크(200)의 공기순환을 위한 에어벤트(220) 또는 화물탱크(200)의 압력조절을 위한 압력조정파이프가 설치되는 구멍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는 개구(210)에 에어벤트(220)가 설치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120)는 화물탱크(200)의 천장에 고정되어 슬로싱에 의해 개구(210)측으로 튀어 오르는 유체화물이 개구(2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부(120)는 좌/우 양끝단이 화물탱크(200)의 상단에 고정되고, 중 앙부가 아래쪽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버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은 개구(210)와 연속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개방부(130)는 커버부(120)의 전/후 측면(120a,120b)을 개방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개방부(130)는 커버부(120)의 전/후 측면(120a,120b)뿐만 아니라 커버부(120)의 좌/우 측면의 일부를 개방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커버부(120)의 좌/우 측면은 전/후 측면에 비하여 개구(210)와 근거리에 위치함으로써 좌/우 측면에 개방부를 형성할 경우, 유체화물이 개구로 유입될 가능성이 더 높아지게 되므로, 상기 개방부(130)는 커버부(120)의 전/후 측면(120a,120b)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구(210)에 미도시된 압력보정파이프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개구(210)를 통한 오일의 정상적인 유출입이 허용되어야만 하며, 이때 본 발명의 유출방지장치(100)가 오일의 정상적인 유출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개방부(130)의 개구면적(A1)은 개구(210)의 단면적(A2)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체화물 유출방지장치(1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체화물을 싣고 운항중인 선박에 반복적인 흔들림 즉, 롤링이 발생될 경우, 화물탱크(200)내의 유체화물에 슬로싱이 반복되면서 유체화물이 화물탱크(200)의 천장을 향해 튀어오르게 되며, 이중 일부의 유체화물은 개구(210)측을 향해 튀어오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구(210)측을 향해 튀어오르는 유체화물은 커버부(120)의 저면에 부딪혀 개구(210)로 들어가지 못하게 됨으로써, 슬로싱에 의한 유체화물의 유출을 방지하게 되며, 커버부(120)의 측면에 구비된 개방부(130)에 의해 정상적인 공기의 흐름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출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정면도,
도 3 은 도 1의 측면도,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유출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출방지장치 (120) : 커버부
(130) : 개방부 (200) : 화물탱크
(210) : 개구 (220) : 에어벤트

Claims (3)

  1. 선박 화물탱크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에어벤트 또는 압력조정파이프가 설치되는 개구(210)의 이웃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개구(21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로 개구의 하단부를 커버하여 상기 화물탱크에 선적된 유체화물의 슬로싱에 의해 개구측을 향해 튀어오르는 유체화물을 막아주는 커버부(120); 및
    상기 개구(210)와 연통하도록 상기 커버부(120)의 측면에 형성되어 개구를 통한 공기의 흐름은 가능하도록 하는 개방부(130)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120)는, 좌/우 양끝단이 상기 화물탱크에 고정되고, 중앙부가 아랫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130)는, 상기 커버부(120)의 전/후 측면이 개방된 것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탱크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30)의 개구면적(A1)이 상기 개구(210)의 단면적(A2)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탱크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 화물의 유출방지장치.
KR1020080124447A 2008-12-09 2008-12-09 선박 화물탱크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 KR101284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447A KR101284371B1 (ko) 2008-12-09 2008-12-09 선박 화물탱크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447A KR101284371B1 (ko) 2008-12-09 2008-12-09 선박 화물탱크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870A KR20100065870A (ko) 2010-06-17
KR101284371B1 true KR101284371B1 (ko) 2013-07-09

Family

ID=4236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447A KR101284371B1 (ko) 2008-12-09 2008-12-09 선박 화물탱크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282A (ko) 2017-05-08 2018-11-16 홍민식 탱커 파공 부위의 유체 유출입 저감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826U (ko) * 1993-11-16 1995-06-17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오일 넘침 방지용 오일캡 조립체
JP2003021101A (ja) 2001-07-09 2003-01-24 Yanmar Co Ltd 作動油タンク構造
JP2004360769A (ja) 2003-06-03 2004-12-24 Toyota Industries Corp フォークリフト用作動油タンクのブリーザ装置
JP2005220943A (ja) * 2004-02-03 2005-08-18 Sumitomonacco Materials Handling Co Ltd オイルタンクおよび移動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826U (ko) * 1993-11-16 1995-06-17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오일 넘침 방지용 오일캡 조립체
JP2003021101A (ja) 2001-07-09 2003-01-24 Yanmar Co Ltd 作動油タンク構造
JP2004360769A (ja) 2003-06-03 2004-12-24 Toyota Industries Corp フォークリフト用作動油タンクのブリーザ装置
JP2005220943A (ja) * 2004-02-03 2005-08-18 Sumitomonacco Materials Handling Co Ltd オイルタンクおよび移動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282A (ko) 2017-05-08 2018-11-16 홍민식 탱커 파공 부위의 유체 유출입 저감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870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031B2 (en) Vessel including automatic ballast system using tubes
KR101173364B1 (ko) 논-밸러스트선
JP4721169B2 (ja) パラメトリック横揺れ防止用可変周期型減揺水槽装置
KR101284371B1 (ko) 선박 화물탱크의 에어벤트를 통한 유체화물의 유출방지장치
KR20230058351A (ko) 컨테이너 선박
KR20130006980U (ko) 플로우트 밸브
JP2018090023A (ja) 船舶のベント管設置構造
KR101955838B1 (ko) 활주형 선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38537A (ko) 선박 연료탱크용 에어벤트 조립체
JP4562201B2 (ja) 空気抜き管
JP2005231528A (ja) ばら積船の船体構造
JPH07121715B2 (ja) 船舶の減揺水槽
US10106225B1 (en) Hull for a watercraft
KR200473227Y1 (ko) 씨체스트 에어벤트의 역류방지 기구
KR20190119289A (ko) 선박
WO2022092234A1 (ja) 浮体
KR100827397B1 (ko) 이중저구조 연료탱크 컨테이너선
US7434532B2 (en) Fluid filler opening system for a small planing boat
JPH11115885A (ja) 油槽船
KR20170032574A (ko) 침몰 방지구조를 갖는 선박
KR20070068528A (ko) 원유 운반선의 가스 압력 조절밸브를 통한 원유누출방지장치
KR101008439B1 (ko) 단일 및 이중선체 혼합형 액체운반선
KR101920989B1 (ko)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
JP2023106751A (ja) 船舶
KR101224311B1 (ko) 착탈식 방벽부를 이용한 공기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