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239B1 - 로드 리미터 - Google Patents

로드 리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239B1
KR101284239B1 KR1020110015168A KR20110015168A KR101284239B1 KR 101284239 B1 KR101284239 B1 KR 101284239B1 KR 1020110015168 A KR1020110015168 A KR 1020110015168A KR 20110015168 A KR20110015168 A KR 20110015168A KR 101284239 B1 KR101284239 B1 KR 101284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torsion bar
spool
webb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695A (ko
Inventor
이경상
홍요선
이종근
구광모
하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비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비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비아이
Priority to KR1020110015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239B1/ko
Priority to US14/000,719 priority patent/US9283928B2/en
Priority to CN201280009743.4A priority patent/CN103517834B/zh
Priority to PCT/KR2012/000653 priority patent/WO2012115358A2/en
Publication of KR20120095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60R22/3413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빙이 감겨있는 원통형의 스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로드 리미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풀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되고, 일단부가 상기 스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토션바;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토션바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토션바와 함께 상기 스풀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스풀의 타단부에 마련된 록킹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 토션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토션바의 한계 비틀림 하중을 상기 제2 토션바의 한계 비틀림 하중보다 작도록 상기 제1 토션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드 리미터 {ROAD LIMITER}
본 발명은 로드 리미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단계에 걸쳐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는 로드 리미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에는 차량 충돌 시에 탑승자를 구속하는 시트벨트가 마련되어, 차량의 충돌에 의해 탑승자가 전방으로 튀어나가서 차체나 물체와 충돌하여 상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시트벨트는 차량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탑승자는 관성에 의해 몸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면서 시트벨트에 마련된 웨빙이 가슴부위를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웨빙의 결착력을 높여서 탑승자를 견고히 고정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충돌에 의해 탑승자가 전방으로 튀어나가서 차체나 물체와 충돌하여 발생되는 상해는 줄일 수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웨빙이 탑승자의 가슴부위를 강하게 압박하여 가슴이나 복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웨빙의 견고한 결착력에 의해 탑승자의 가슴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을 완화할 수 있도록, 탑승자와 웨빙 상호간에 작용하는 하중을 기설정된 하중 범위를 넘지 못하도록 하는 로드 리미터가 시트벨트에 구비된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로드 리미터의 경우, 로드리미터가 작동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탑승자와 웨빙 상호간에 작용하는 하중을 높은 하중 범위로 제한하고, 그 이후의 단계에서는 하중 범위를 낮추어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드 리미터 작동 초기 단계에 탑승자의 흉부에 작용하는 하중이 이후의 단계보다 높게 작용한다는 것은 로드 리미터 작동 초기, 즉 차량 충돌이 발생한 초기에는 탑승자의 가슴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을 완화시키는 정도가 미약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차량 충돌의 초기에 있어서는 로드 리미터의 기능이 미약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이 발생한 초기에는 탑승자의 가슴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로드 리미터 작동 초기 단계에서는 탑승자와 웨빙 상호간에 작용하는 하중을 작게 하여 웨빙이 상대적으로 쉽게 풀리도록 하면서도, 이후 탑승자 전방에 배치된 차량의 구조물과 탑승자의 머리 부위가 부딪히기 이전에는 탑승자와 웨빙 상호간에 작용하는 하중을 높여 웨빙이 상대적으로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여 탑승자의 상해를 완화시켜주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탑승자와 웨빙 상호 간에 작용하는 하중에 있어서 초기의 작동 하중을 그 이후의 작동 하중보다 낮거나 높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이 진행되는 동안 탑승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로드 리미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웨빙이 감겨있는 원통형의 스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로드 리미터로서, 상기 스풀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되고, 일단부가 상기 스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토션바;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토션바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토션바와 함께 상기 스풀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스풀의 타단부에 마련된 록킹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 토션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토션바의 한계 비틀림 하중을 상기 제2 토션바의 한계 비틀림 하중보다 작도록 상기 제1 토션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풀의 일단부는 상기 웨빙의 계속된 인출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풀의 타단부는 상기 록킹부의 록킹으로 인해 고정될 때,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토션바의 비틀림 하중 및 상기 제2 토션바의 비틀림 하중은 모두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 토션바가 한계 비틀림 하중에 먼저 도달하여 비틀려진 이후에 상기 제2 토션바가 한계 비틀림 하중에 도달하여 비틀려짐으로써, 증가하는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두 단계에 걸쳐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단계는, 상기 제1 토션바가 한계 비틀림 하중에 도달하여 비틀려짐으로써,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설정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가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제2 토션바가 한계 비틀림 하중에 도달하여 비틀려짐으로써,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기 제1 설정 하중보다 큰 제2 설정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제2 단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는, 상기 제1 토션바의 타단부와 상기 제2 토션바의 일단부를 연결시키는 원통형의 연결매개체로서, 외주면 상에 일부 구간 돌출된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어댑터; 및 상기 스풀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풀의 일단부는 상기 웨빙의 계속된 인출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풀의 타단부는 상기 록킹부의 록킹으로 인해 고정될 때,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을 향해 절곡된 일단부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릴 때까지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을 따라 선회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는, 상기 스풀의 일단부가 상기 웨빙의 계속된 인출로 인해 회전되고 상기 스풀의 타단부가 상기 록킹부의 록킹으로 인해 고정되기 이전일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에 배치되나, 상기 제1 단계가 진행될 때에는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을 따라 선회하고, 상기 제1 단계가 종료될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단계가 진행될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타측에 접한 채로 상기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어댑터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의 타측까지 선회하는 거리는, 상기 어댑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270도 내지 330도의 원주각에 대응하는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의 둘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는, 일측부에 상기 제1 토션바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부에 반대되는 타측부에 상기 제2 토션바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부에 인접한 외주면 중 상기 스토퍼가 선회하는 경로를 따라 함몰되어 단차짐으로써 상기 스토퍼가 선회하지 않은 외주면에 상대적으로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토션바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토션바의 일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각을 갖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는, 상기 제1 설정 하중의 초기 하중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스풀의 타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록킹부의 일면에 장착되는 변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변형 부재는, 상기 스풀의 일단부가 상기 웨빙의 계속된 인출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풀의 타단부가 상기 록킹부의 록킹으로 인해 고정된 이후에, 상기 변형 부재의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1 설정 하중의 초기 하중이 증가되더라도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할 수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형 부재는, 일단부는 상기 록킹부의 일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단으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록킹부의 일면에 배치되되 고정되지 않고 상기 스풀의 타단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자유단으로 형성된 C자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형성된 절곡부가 상기 안내홈을 통과하면서 완만하게 펴지도록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1 설정 하중의 초기 하중이 증가되더라도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는, 상기 변형 부재가 장착된 상기 록킹부에 상기 제2 토션바를 결합시키고, 상기 어댑터를 연결매개체로 하여 상기 제1 토션바를 상기 제2 토션바에 연결시킨 조립체를 제조한 이후에, 상기 조립체를 상기 스풀의 중공부에 삽입시킨 다음, 상기 스풀의 일단부를 코킹(caulking) 가공하여 상기 제1 토션바를 상기 스풀의 일단부에 결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조립체가 상기 스풀의 중공부에 삽입되기 이전에 상기 스풀의 중공부 내에 미리 삽입되어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조립체에 가조립된 상태로 상기 조립체와 함께 상기 스풀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에 의하면, 비틀림 하중이 다른 두 개의 토션바를 이용하여, 탑승자와 웨빙 상호 간에 작용하는 하중에 있어서 초기의 작동 하중을 그 이후의 작동 하중보다 낮거나 높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이 진행되는 동안 탑승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각 구성요소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가 제작되는 과정을 고려하여 일부 구성요소가 결합된 형태로 도시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풀의 회전축에 수직되게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변형 부재가 록킹부에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에서 변형 부재가 변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풀과 변형 부재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작동에 의해 시간대별로 변화되는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다른 일 실시예(변형 부재를 포함한 경우)의 작동에 의해 시간대별로 변화되는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각 구성요소별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가 제작되는 과정을 고려하여 일부 구성요소가 결합된 형태로 도시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변형 부재가 록킹부에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션바(100) 및 제2 토션바(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있다.
제1 토션바(100) 및 제2 토션바(200)는 웨빙(미도시)이 감겨있는 원통형의 스풀(10)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12)에 설치되어, 스풀(10)의 일단부가 웨빙(미도시)의 계속된 인출로 회전하게 되고 스풀(10)의 타단부가 록킹부(20)의 록킹으로 인해 고정될 때,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제1 토션바(100)는 약 2.5[kN]의 한계 비틀림 하중을 갖는 원통형의 부재로 형성되어, 스풀(10)의 중공부(1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토션바(100)의 일단부는 스풀(10)의 일단부에 형성된 다각형의 홈(미도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미도시)에 끼워져서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토션바(100)의 타단부는 제2 토션바(200)와 연결될 수 있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300)를 연결매개체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 토션바(200)는 제1 토션바(100)보다 큰 한계 비틀림 하중을 갖는, 예를 들면 약 5.0[kN]의 한계 비틀림 하중 하중을 갖는, 원통형의 부재로 형성되어, 제1 토션바(100)와 함께 스풀(10)의 중공부(1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토션바(200)의 일단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300)를 연결매개체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토션바(200)의 타단부는 스풀(10)의 타단부에 마련된 록킹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토션바(200)의 타단부와 록킹부(20)가 결합되는 방법은, 제1 토션바(100)가 스풀(10)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방식과 유사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토션바(100) 및 제2 토션바(200)를 구성함으로써, 스풀(10)의 일단부가 웨빙(미도시)의 계속된 인출로 회전하게 되고 스풀(10)의 타단부가 록킹부(20)의 록킹으로 인해 고정될 때, 제1 토션바(100)가 한계 비틀림 하중에 먼저 도달하여 비틀려지고, 그 이후에 제2 토션바(200)가 한계 비틀림 하중에 도달하여 비틀려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한계 비틀림 하중이 다른 제1 토션바(100) 및 제2 토션바(200)로 나누어 구성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역할을 두 단계에 걸쳐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시트벨트가 장착된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탑승자를 감싸고 있는 시트벨트의 웨빙(미도시)은 자유로이 인출되지 않도록, 스풀(10)의 타단부는 록킹부(20)에 의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록킹된다.
그러나 탑승자에게 작용하는 관성력으로 인하여 웨빙(미도시)은 인출하는 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록킹부(20)가 마련되지 않은 스풀(10)의 일단부는 웨빙(미도시)의 계속된 인출로 인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풀(10)의 일단부는 계속 회전하게 되고 스풀(10)의 타단부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제1 토션바(100)의 비틀림 하중 및 제2 토션바(200)의 비틀림 하중이 모두 증가하게 된다.
이때, 제1 토션바(100)의 한계 비틀림 하중이 제2 토션바(200)의 한계 비틀림 하중보다 작기 때문에, 후술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션바(100)가 한계 비틀림 하중에 도달하여 비틀려짐으로써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설정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제1 단계(S1)와, 제2 토션바(200)가 한계 비틀림 하중에 도달하여 비틀려짐으로써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2 설정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제2 단계(S2)로 나뉘어져서,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하중은 탑승자와 웨빙(미도시)에 상호 작용하는 하중으로서, 탑승자에게 상해를 가하지 않고 탑승자가 시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웨빙(미도시)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허용된 하중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설정된 하중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작용에 의해 제1 설정 하중과 제2 설정 하중으로 구분될 수 있다.제1 설정 하중제2 설정 하중 이때, 제1 설정 하중은 제2 설정 하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하중으로서, 충돌 초기에 탑승자가 시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웨빙(미도시)을 구속시키면서도 탑승자에게 강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을 정도의 하중을 의미한다. 한편, 제2 설정 하중은 제1 설정 하중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하중으로서, 충돌 초기 이후에 탑승자의 전방에 설치된 차량 구조물과 탑승자가 충돌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더 큰 하중으로 탑승자를 구속하는 하중을 의미한다.이와 같이 제1 토션바(100) 및 제2 토션바(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는, 제1 토션바(100)와 제2 토션바(2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매개체인 어댑터(300)와, 상기 어댑터(300)와 함께 제1 토션바(100) 및 제2 토션바(200)에 의해 두 단계에 걸쳐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을 조절하는 것을 보조하는 스토퍼(400)와, 제1 토션바(100) 및 제2 토션바(200)와 함께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을 조절하는 변형 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300)는 제1 토션바(100) 및 제2 토션바(200)와 함께 스풀(10)의 중공부(12)에 삽입될 것을 고려하여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300)는 일측부에 제1 토션바(100)의 타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제1 홈(3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부에 제2 토션바(200)의 일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제2 홈(3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어댑터(300)는 제1 토션바(100) 및 제2 토션바(200)가 제1 홈(320) 및 제2 홈(320)에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홈(320) 및 제2 홈(330)이 제1 토션바(100)의 타단부 및 제2 토션바(200)의 일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런데, 제1 토션바(100)의 타단부 및 제2 토션바(200)의 일단부와, 제1 홈(320) 및 제2 홈(33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제1 토션바(100) 및 제2 토션바(200)가 비틀려 지지 않고 어댑터(300)를 기준으로 헛돌게 되어,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토션바(100)의 타단부 및 제2 토션바(200)의 일단부와, 제1 홈(320) 및 제2 홈(330)은 내각을 갖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며, 일례로 도면상에서는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어댑터(300)에는 후술할 스토퍼(400)와 함께 제1 토션바(100) 및 제2 토션바(200)에 의해 두 단계에 걸쳐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을 조절하는데 이용되는 걸림돌기(3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310)는 어댑터(3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 후술할 스토퍼(400)의 절곡된 일단부(410)가 걸리도록만 하면 어떠한 형상 및 구조를 갖더라도 무방하다.
그러나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것을 일례로 설명하면, 어댑터(300)의 일측부에 인접한 외주면 중 후술할 스토퍼(400)가 선회하는 경로를 따라 함몰되어 단차짐으로써, 스토퍼(400)가 선회하지 않은 외주면이 상대적으로 걸림돌기(310)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돌기(310)를 구성하면, 단순히 어댑터(300)의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가장 높게 돌출된 걸림돌기(310)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가상의 외주면을 그려 중공부(12)에 삽입될 수 있는지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생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스토퍼(400)는 절곡된 일단부(410)를 구비하여 스풀(10)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부재로,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역할을 하면 형상이나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토션바(100), 제2 토션바(200), 어댑터(300), 변형 부재(500), 록킹부(20)를 하나의 조립체로 제조하여 스풀(10)에 삽입시켜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제작하는 경우, 스토퍼(400)를 스풀(1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 즉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토퍼(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풀(10)의 일단부가 웨빙(미도시)의 계속된 인출로 회전하게 되고 스풀(10)의 타단부가 록킹부(20)의 록킹으로 인해 고정될 때, 절곡된 일단부(410)가 걸림돌기(310)에 걸릴 때까지 어댑터(300)의 외주면을 따라 선회하게 된다.
즉, 스토퍼(400)의 일단부(410)는, 스풀(10)의 일단부가 회전하고 스풀(10)의 타단부가 록킹되어 고정되기 이전에는 걸림돌기(310)의 일측에 배치되나, 전술한 제1 단계(S1)가 진행될 때에는 어댑터(300)의 외주면을 따라 선회하고, 제1 단계(S1)가 종료될 때에는 걸림돌기(310)의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배치되며, 제2 단계(S2)가 진행될 때에는 걸림돌기(310)의 타측에 접한 채로, 즉 걸림돌기(310)에 걸려서 어댑터(30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400)의 일단부(410)가 걸림돌기(310)에 걸릴 때까지 어댑터(300)의 외주면을 따라 선회함으로써, 제1 토션바(100)와 제2 토션바(200)에 의해 두 단계에 걸쳐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토퍼(400)는 제1 토션바(100)가 비틀려지고 나서 제2 토션바(200)의 비틀림 하중이 증가될 때 스풀(10)의 회전력을 제2 토션바(200)로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고 할 것이다. 이는 어댑터(300)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제1 토션바(100)에서 제2 토션바(200)로 연속되어지는 비틀림이 일시적으로 단절될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토퍼(400)의 일단부(410)가 걸림돌기(310)의 일측으로부터 걸림돌기(310)의 타측까지 선회하는 거리(각도)는, 제1 토션바(100)의 한계 비틀림 하중 및 제2 토션바(200)의 한계 비틀림 하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토션바(100)의 한계 비틀림 하중을 2.5[kN]으로 하고, 제2 토션바(200)의 한계 비틀림 하중을 5.0[kN]으로 한다면, 스토퍼(400)의 일단부(410)가 선회하는 거리는 어댑터(3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270도 내지 330도 바람직하게는 300도의 원주각에 대응하는 어댑터의 외주면의 둘레일 수 있다.
한편, 변형 부재(500)는 스풀(10)의 타단부에 대향하는 록킹부(20)의 일면에 장착되어, 전술한 제1 설정 하중의 초기 하중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 장착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즉, 변형 부재(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풀(10)의 일단부가 웨빙(미도시)의 계속된 인출로 회전하게 되고 스풀(10)의 타단부가 록킹부(20)의 록킹으로 인해 고정된 이후에, 제1 토션바(100)의 작동과는 별도로, 그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제1 설정 하중의 초기 하중이 증가되더라도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다.
다시 말해서, 변형 부재(500)를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에 추가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하중(제1 설정 하중)에 보조하중을 추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변형 부재(500)는 종래의 디그레시브(digressive) 로드 리미터를 구성하는 로드 폼(load form)과 유사하게 작용하여,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조절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변형 부재(500)는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 부재(500)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부재(500)는 C자형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일단부(510)는 록킹부(20)의 일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단으로 형성되고, 타단부(520)는 록킹부(20)의 일면에 배치되되 고정되지 않고 스풀(10)의 타단부에 형성된 안내홈(14)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자유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변형 부재(500)의 일단부(510)와 타단부(520) 사이에는 절곡부(5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절곡부(530)는 스풀(10)이 회전함에 따라 안내홈(14)이 일단부(510)에서 타단부(520)를 거쳐 지나갈 때 완만하게 펴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 부재(500)의 절곡부(530)가 스풀(10)의 안내홈(14)을 지나가면서 완만하게 펴지는 변형력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하중(제1 설정 하중)에 보조하중을 추가하더라도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에 의해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은 변형하중이 복합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에 있어서, 다른 구성 및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 간의 상호 관계를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20)는 리트랙터(미도시)에 록킹되어 회전이 발생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풀(10)은 웨빙(미도시)이 감겨질 수 있도록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록킹부(20)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풀(10)과 록킹부(20)는 웨빙(미도시)이 인출될 때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웨빙(미도시)이 인출되면, 록킹부(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풀(10)이 회전하게 되고, 스풀(10)의 회전에 의해 변형부재(500) 및 제1 토션바(100)가 작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각각 정해진 회전 구간에서 웨빙(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장력을 조절하게 되고, 비교적 저하중의 제1 토션바(100)의 회전이 완료되면, 비교적 고하중의 제2 토션바(200)가 회전하여 웨빙(미도시)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제1 토션바(100)의 회전량은 스풀(10), 어댑터(300), 스토퍼(400) 등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이러한 상호 관계를 갖는 각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전반적인 작용은 이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변형 부재(500)가 장착된 록킹부(20)에 제2 토션바(200)를 결합시키고, 어댑터(300)를 연결매개체로 하여 제1 토션바(100)를 제2 토션바(200)에 연결시킨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체를 제조한 이후에, 상기 조립체를 스풀(10)의 중공부(12)에 삽입시키고, 스풀(10)의 일단부를 코킹(caulking) 가공하여 제1 토션바(100)를 스풀(10)의 일단부에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코킹 가공이라 함은 두 개 이상의 부재를 압박하여 기밀하게 하는 광범위적인 가공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코킹 가공은 스풀(10)의 일단부 인근에 배치된 코킹 가공점(16)을 압박하여 제1 토션바(100)가 스풀(10)의 일단부에 기밀하게 결합되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스토퍼(4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체가 스풀(10)의 중공부(12)에 삽입되기 이전에 스풀(10)의 중공부(12)에 미리 삽입시켜 장착할 수 있거나, 또는 전술한 조립체에 가조립된 상태로 상기 조립체와 함께 스풀(10)의 중공부(12)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가조립된 상태란 특별한 연결 부재 없이 스토퍼(400)를 배치시켜 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제조하는 것은, 기존에 제조하여둔 스풀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제조하면, 종래의 로드 리미터의 제조 과정에서 일부의 작업만 변경하여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와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풀의 회전축에 수직되게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에서 변형 부재가 변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풀과 변형 부재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작동에 의해 시간대별로 변화되는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다른 일 실시예(변형 부재를 포함한 경우)의 작동에 의해 시간대별로 변화되는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시트벨트가 장착된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스풀(10)의 타단부는 록킹부(20)에 의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록킹되는 반면, 스풀(10)의 일단부는 탑승자에게 작용하는 관성력으로 인하여 토션바(100,200)의 비틀림 하중 이상에서는 웨빙(미도시)의 계속된 인출로 인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풀(10)의 일단부가 웨빙(미도시)의 계속된 인출로 회전하게 되고 스풀(10)의 타단부가 록킹부(20)의 록킹으로 인해 고정되면, 탑승자와 웨빙(미도시)에 상호 작용하는 하중, 즉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은 계속하여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탑승자는 상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1 토션바(100)의 비틀림 하중 및 제2 토션바(200)의 비틀림 하중을 받아 순차적으로 비틀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15[ms] 시점까지 제1 토션바(100)는 비틀림 하중을 받게 되지만 비틀려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계속하여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면, 제1 토션바(100)에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도 증가하게 되고, 15[ms] 시점이 되면 제1 토션바(100)의 한계 비틀림 하중인 2.5[kN]을 넘게 되어, 그 이후로 85[ms] 시점까지 비틀어지게 된다(도 9에서 S1 구간에 해당함).
이와 같이 제1 토션바(100)가 비틀려지는 동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310)의 일측에 위치하던 스토퍼(400)는 선회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310)의 타측에 위치하게 되고, 85[ms] 이후 시점부터는 계속하여 걸림돌기(310)의 타측에 걸려서 걸림돌기(31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스토퍼(400)가 걸림돌기(310)에 걸려서 걸림돌기(310)와 함께 회전하는 85[ms]로부터 95[ms]까지 제2 토션바(200)는 비틀림 하중을 받게 되지만 비틀려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계속하여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면, 제1 토션바(100)와 유사하게, 제2 토션바(200)에 작용하는 비틀림 하중도 증가하게 되고, 95[ms] 시점이 되면 제2 토션바(200)의 한계 비틀림 하중인 5.0[kN]을 넘게 되어, 그 이후로 특정 시점까지 비틀어지게 된다(도 9에서 S2 구간에 해당함).
전술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는, 제1 토션바(100)가 비틀려지는 단계(S1)와 제2 토션바(200)가 비틀려지는 단계(S2)로 나누어,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설정 하중(도 9에서 2.5[kN] 해당)과 제2 설정 하중(도 9에서 5.0[kN]에 해당)을 초과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풀(10)의 일단부가 웨빙(미도시)의 계속된 인출로 회전하게 되고 스풀(10)의 타단부가 록킹부(20)의 록킹으로 인해 고정될 때, 1차적으로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설정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나 노인과 같이 연약한 탑승자에게 상해를 가하지 않고 탑승자가 시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웨빙(미도시)을 구속시킬 수 있다. 또한, 이어서 2차적으로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2 설정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성인 탑승자에게 상해를 가하지 않고 탑승자가 시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웨빙(미도시)을 구속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정 하중의 초기 하중을 증가시키는 경우, 즉 제1 설정 하중에 보조하중을 추가하게 되는 경우에는 변형 부재(500)를 추가로 포함하여 해결할 수 있다.
즉, 스풀(10)의 일단부가 웨빙(미도시)의 계속된 인출로 회전하게 되고 스풀(10)의 타단부가 록킹부(20)의 록킹으로 인해 고정된 이후에, 제1 토션바(100)가 비틀려질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변형 부재(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10)의 일단부에 마련된 안내홈(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안내홈(14)을 따라 변형 부재(500)의 절곡부(530)는 완만하게 펴지게 되며, 절곡부(530)를 펴는데 필요한 힘은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로 나타날 수 있다(도 10에서 S1 구간에 해당). 다시 말해서, 도 10에서의 S1 구간에서는 제1 토션바(100)가 비틀려짐과 동시에, 변형 부재(500)도 변형하게 된다.
이후, 변형 부재(500)의 변형이 완료되면, 즉 절곡부(530)가 모두 펴지게 되면,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므로,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은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제1 토션바(100)는 계속하여 비틀려지고 있으므로,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은 증가하지 않고 전술한 도 9의 S1 구간과 동일하게 작동한다(도 10에서 S2 구간에 해당).
아울러, 더 이상 변형 부재(500)의 작용은 없으므로, 그 이후의 작동은 도 9의 S2 구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가 작동하는 바와 같다고 할 것이며(도 10에서 S3 구간에 해당), 이를 통해 두 단계 또는 그 이상으로쳐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변형 부재(500)를 추가한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변현 부재(500)의 절곡부(530)가 안내홈(14)을 통과하면서 완만하게 펴지는데 필요한 하중만큼 제1 토션바(100)에 의한 제1 설정 하중에 복합적으로 하중이 작동한다. 따라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3단계(S1 내지 S3)에 걸쳐 하중을 조절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스풀 12 : 중공부
14 : 안내홈 16 : 코킹 가공점
20 : 록킹부 30 : 피니언 기어
40 : 회전축
100 : 제1 토션바 200 : 제2 토션바
300 : 어댑터 310 : 걸림돌기
320 : 제1 홈 330 : 제2 홈
400 : 스토퍼 410 : 스토퍼의 절곡된 일단부
500 : 변형 부재 510 : 변형 부재의 일단부
520 : 변형 부재의 타단부 530 : 변형 부재의 절곡부

Claims (12)

  1. 웨빙이 감겨있는 원통형의 스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로드 리미터로서,
    상기 스풀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되고, 일단부가 상기 스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토션바;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토션바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토션바와 함께 상기 스풀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기 스풀의 타단부에 마련된 록킹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 토션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토션바의 한계 비틀림 하중을 상기 제2 토션바의 한계 비틀림 하중보다 작도록 상기 제1 토션바를 형성하여,
    상기 스풀의 일단부는 상기 웨빙의 계속된 인출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풀의 타단부는 상기 록킹부의 록킹으로 인해 고정될 때,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토션바의 비틀림 하중 및 상기 제2 토션바의 비틀림 하중은 모두 증가하고,
    상기 제1 토션바가 한계 비틀림 하중에 먼저 도달하여 비틀려진 이후에 상기 제2 토션바가 한계 비틀림 하중에 도달하여 비틀려짐으로써, 증가하는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두 단계에 걸쳐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단계는,
    상기 제1 토션바가 한계 비틀림 하중에 도달하여 비틀려짐으로써,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설정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가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제2 토션바가 한계 비틀림 하중에 도달하여 비틀려짐으로써,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기 제1 설정 하중보다 큰 제2 설정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하는 제2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션바의 타단부와 상기 제2 토션바의 일단부를 연결시키는 원통형의 연결매개체로서, 외주면 상에 일부 구간 돌출된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어댑터; 및
    상기 스풀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풀의 일단부는 상기 웨빙의 계속된 인출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풀의 타단부는 상기 록킹부의 록킹으로 인해 고정될 때,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을 향해 절곡된 일단부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릴 때까지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을 따라 선회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로드 리미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는,
    상기 스풀의 일단부가 상기 웨빙의 계속된 인출로 인해 회전되고 상기 스풀의 타단부가 상기 록킹부의 록킹으로 인해 고정되기 이전일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에 배치되나,
    상기 제1 단계가 진행될 때에는,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을 따라 선회하고,
    상기 제1 단계가 종료될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단계가 진행될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타측에 접한 채로 상기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어댑터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의 타측까지 선회하는 거리는, 상기 어댑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270도 내지 330도의 원주각에 대응하는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의 둘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일측부에 상기 제1 토션바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부에 반대되는 타측부에 상기 제2 토션바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부에 인접한 외주면 중 상기 스토퍼가 선회하는 경로를 따라 함몰되어 단차짐으로써 상기 스토퍼가 선회하지 않은 외주면에 상대적으로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1 토션바의 타단부 및 상기 제2 토션바의 일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각을 갖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 하중의 초기 하중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스풀의 타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록킹부의 일면에 장착되는 변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변형 부재는,
    상기 스풀의 일단부가 상기 웨빙의 계속된 인출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풀의 타단부가 상기 록킹부의 록킹으로 인해 고정된 이후에, 상기 변형 부재의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1 설정 하중의 초기 하중이 증가되더라도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는,
    일단부는 상기 록킹부의 일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단으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록킹부의 일면에 배치되되 고정되지 않고 상기 스풀의 타단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자유단으로 형성된 C자형의 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형성된 절곡부가 상기 안내홈을 통과하면서 완만하게 펴지도록 변형됨으로써, 상기 제1 설정 하중의 초기 하중이 증가되더라도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부재가 장착된 상기 록킹부에 상기 제2 토션바를 결합시키고, 상기 어댑터를 연결매개체로 하여 상기 제1 토션바를 상기 제2 토션바에 연결시킨 조립체를 제조한 이후에,
    상기 조립체를 상기 스풀의 중공부에 삽입시킨 다음, 상기 스풀의 일단부를 코킹(caulking) 가공하여 상기 제1 토션바를 상기 스풀의 일단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조립체가 상기 스풀의 중공부에 삽입되기 이전에 상기 스풀의 중공부 내에 미리 삽입되어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조립체에 가조립된 상태로 상기 조립체와 함께 상기 스풀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KR1020110015168A 2011-02-21 2011-02-21 로드 리미터 KR101284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168A KR101284239B1 (ko) 2011-02-21 2011-02-21 로드 리미터
US14/000,719 US9283928B2 (en) 2011-02-21 2012-01-30 Load limiter
CN201280009743.4A CN103517834B (zh) 2011-02-21 2012-01-30 负载限制器
PCT/KR2012/000653 WO2012115358A2 (en) 2011-02-21 2012-01-30 Load limi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168A KR101284239B1 (ko) 2011-02-21 2011-02-21 로드 리미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695A KR20120095695A (ko) 2012-08-29
KR101284239B1 true KR101284239B1 (ko) 2013-07-09

Family

ID=4672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168A KR101284239B1 (ko) 2011-02-21 2011-02-21 로드 리미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83928B2 (ko)
KR (1) KR101284239B1 (ko)
CN (1) CN103517834B (ko)
WO (1) WO201211535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193A (ko) * 2018-01-26 2019-08-05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시트벨트 프리텐셔닝 리트랙터 조립체
KR20220106363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웨빙의 인출이 제한되는 로드 리미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6283B2 (ja) * 2011-01-11 2015-02-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3035444A (ja) * 2011-08-09 2013-02-21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477608B1 (ko) * 2013-01-30 2014-12-31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로드 리미터
KR101492900B1 (ko) * 2014-04-14 2015-02-12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프로그레시브 로드 리미터
DE102015207558B4 (de) * 2015-04-24 2021-01-28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urtaufroller
US10040421B2 (en) 2016-05-26 2018-08-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ad-limiting retractor
US11046285B2 (en) * 2019-03-25 2021-06-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retractor assembly
CN114771458B (zh) * 2022-04-25 2023-09-19 东风汽车有限公司东风日产乘用车公司 用于安全带卷收器的限力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810A (ja) * 2000-08-21 2002-02-26 Nsk Ltd 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70029271A (ko) * 2004-07-29 2007-03-13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안전 벨트 리트랙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48C (zh) * 1996-06-26 2002-01-30 奥托里夫发展有限公司 备有可调限力装置的安全带收卷装置
GB2330335A (en) 1997-10-14 1999-04-21 Alliedsignal Ltd Load limiting seat belt restraint
US7669794B2 (en) 2004-09-01 2010-03-02 Key Safety System, Inc Seatbelt retractor with torsion bar
US7410114B2 (en) * 2006-09-12 2008-08-12 Delphi Technologies, Inc. Compact dual-level load limiting seat belt retractor
KR100850922B1 (ko) * 2007-05-18 2008-08-08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토션 바 지지 구조
ES2385367T3 (es) 2007-10-03 2012-07-23 Key Safety Systems, Inc. Sistema de cinturón de seguridad para adultos y niños
WO2009045132A1 (en) * 2007-10-05 2009-04-09 Autoliv Development Ab Adaptive load limiting seat belt retractor
JP5014313B2 (ja) * 2008-11-07 2012-08-29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ー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US8348307B2 (en) * 2008-12-16 2013-01-08 Autoliv Development Ab Seatbelt device
US8220735B2 (en) * 2009-12-22 2012-07-17 Autoliv Asp, Inc. Adaptive load limiting retra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810A (ja) * 2000-08-21 2002-02-26 Nsk Ltd 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70029271A (ko) * 2004-07-29 2007-03-13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안전 벨트 리트랙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193A (ko) * 2018-01-26 2019-08-05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시트벨트 프리텐셔닝 리트랙터 조립체
KR102615602B1 (ko) * 2018-01-26 2023-12-19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시트벨트 프리텐셔닝 리트랙터 조립체
KR20220106363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웨빙의 인출이 제한되는 로드 리미터
KR102515072B1 (ko) * 2021-01-22 2023-03-29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웨빙의 인출이 제한되는 로드 리미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83928B2 (en) 2016-03-15
WO2012115358A3 (en) 2012-11-15
US20130327875A1 (en) 2013-12-12
WO2012115358A2 (en) 2012-08-30
CN103517834B (zh) 2017-03-29
KR20120095695A (ko) 2012-08-29
CN103517834A (zh)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239B1 (ko) 로드 리미터
JP4205700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EP1468882B1 (en) Seat belt retractor
US6969022B2 (en) Seat belt retractor
US7954854B2 (en) Seat belt retractor and torsion bar providing secondary load limiting
US8905439B2 (en) Retractor device for seatbelt, and seatbelt device
KR20040102101A (ko) 좌석 벨트 리트랙터
GB2387575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force limiting wire
JP5014313B2 (ja) 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ー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6341711A (ja) 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ー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6501105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8133010A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EP1975016B1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6507964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6698678B2 (en) Webbing retractor and method of retracting webbing
JP4357721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6264127B1 (en) Seat belt retractor
JP4859131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477608B1 (ko) 로드 리미터
KR102567086B1 (ko) 디그레시브 로드리미터
JP5339042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4278832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2370562B1 (ko) 스풀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동구간이 조절되는 로드리미터
JP2011037411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1694140B1 (ko) 마찰이 감소된 시트벨트 로드리미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