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608B1 - 로드 리미터 - Google Patents

로드 리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608B1
KR101477608B1 KR1020130010452A KR20130010452A KR101477608B1 KR 101477608 B1 KR101477608 B1 KR 101477608B1 KR 1020130010452 A KR1020130010452 A KR 1020130010452A KR 20130010452 A KR20130010452 A KR 20130010452A KR 101477608 B1 KR101477608 B1 KR 101477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torsion bar
webbing
spool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299A (ko
Inventor
이경상
이종근
구광모
하정우
박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010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608B1/ko
Publication of KR2014009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60R22/3413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with means to adjust or regulate the amount of energy to be absor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빙이 감겨있는 원통형의 스풀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 충돌 초기에 일시적으로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로드 리미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풀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장착되어,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에 도달하면 비틀려지면서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는 토션바; 및 상기 토션바가 비틀려지면서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다가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면, 더 이상 상기 토션바가 비틀려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지 않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드 리미터 {LOAD LIMITER}
본 발명은 로드 리미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 초기에 일시적으로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는 로드 리미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에는 차량 충돌 시에 탑승자를 구속하는 시트벨트가 마련되어, 차량의 충돌에 의해 탑승자가 전방으로 튀어나가서 차체나 물체와 충돌하여 상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시트벨트는 차량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탑승자는 관성에 의해 몸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면서 시트벨트에 마련된 웨빙이 가슴부위를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웨빙의 결착력을 높여서 탑승자를 견고히 고정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충돌에 의해 탑승자가 전방으로 튀어나가서 차체나 물체와 충돌하여 발생되는 상해는 줄일 수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웨빙이 탑승자의 가슴부위를 강하게 압박하여 가슴이나 복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웨빙의 견고한 결착력에 의해 탑승자의 가슴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을 완화할 수 있도록, 탑승자와 웨빙 상호 간에 작용하는 하중을 기설정된 하중 범위를 넘지 못하도록 하는 로드 리미터가 시트벨트에 구비된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로드 리미터의 경우, 로드 리미터가 작동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탑승자와 웨빙 상호 간에 작용하는 하중을 높은 하중 범위로 제한하고, 그 이후의 단계에서는 하중 범위를 낮추어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드 리미터 작동 초기 단계에 탑승자의 흉부에 작용하는 하중이 이후의 단계보다 높게 작용한다는 것은 로드 리미터 작동 초기, 즉 차량 충돌이 발생한 초기에는 탑승자의 가슴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을 완화시키는 정도가 미약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차량 충돌의 초기에 있어서는 로드 리미터의 기능이 미약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이 발생한 초기에는 탑승자의 가슴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로드 리미터 작동 초기 단계에서는 일시적으로 탑승자와 웨빙 상호 간에 작용하는 하중을 작게 하여 웨빙이 상대적으로 쉽게 풀리도록 하면서도, 이후 탑승자 전방에 배치된 차량의 구조물과 탑승자의 머리 부위가 부딪히기 이전에는 탑승자와 웨빙 상호 간에 작용하는 하중을 높여 웨빙이 상대적으로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여 탑승자의 상해를 완화시켜주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충돌 초기에 일시적으로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는 로드 리미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웨빙이 감겨있는 원통형의 스풀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 충돌 초기에 일시적으로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로드 리미터로서, 상기 스풀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장착되어,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에 도달하면 비틀려지면서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는 토션바; 및 상기 토션바가 비틀려지면서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다가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면, 더 이상 상기 토션바가 비틀려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지 않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로드 리미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토션바가 비틀려진 각도, 상기 웨빙이 인출된 길이,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는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토션바와 함께 상기 스풀의 중공부 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기 이전에는 상기 스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을 하여 상기 토션바가 비틀려지는 것을 제한하지 않다가,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면 회전을 멈추어 상기 토션바가 더 이상 비틀려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토션바와 연결되어 상기 토션바가 비틀려질 때 상기 스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는 이동부; 및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가 회전하는 것을 멈추도록 하여, 상기 이동부와 연결된 상기 토션바가 더 이상 비틀려지지 않도록 하는 멈춤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스풀의 일단부 내측에서 상기 스풀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풀의 중공부 내에서 상기 토션바와 연결되는 연결구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멈춤부는 상기 연결구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가 회전하는 것을 멈출 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 일부 돌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는 상기 토션바가 비틀려지기 시작할 때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 상에서의 회전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달리함으로써,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각도를 변경하는데 있어서 기준을 제시하여 줄 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에 표시된 조절 가늠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 가늠자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서 회전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달리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 상에 회전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멈춤부는 상기 연결구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연결구의 개방된 외주면 일부로 노출되는 멈춤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구 내부에 상기 멈춤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고정 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이동부가 외주면을 따라 회전할 때 상기 이동부의 회전 경로를 안내해줄 수 있도록, 외주면 상에 안내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에 의하면, 차량 충돌 초기에 일시적으로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차량의 충돌이 진행되는 동안 탑승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계적으로 하중을 제한할 수 있는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단계적으로 하중을 제한할 수 있는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단계적으로 하중을 제한할 수 있는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계적으로 하중을 제한할 수 있는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계적으로 하중을 제한할 수 있는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가 작동할 때 시간 대비 하중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계적으로 하중을 제한할 수 있는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단계적으로 하중을 제한할 수 있는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단계적으로 하중을 제한할 수 있는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는 토션바(100) 및 스토퍼(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션바(100)는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에 도달하면 비틀려지면서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웨빙(미도시)은 차량 시트에 탑승한 사람의 가슴부위를 감싸는 합성섬유 재질의 구성요소로, 스풀(10)에 감겨져 있어서 스풀(10)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미도시)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된다.
이러한 웨빙(미도시)에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탑승자와 상호 간에 동일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바, 탑승자에게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게 되고, 이러한 역할을 하는 일 구성요소가 토션바(100)이다.
토션바(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에 도달하면 비틀려지면서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기만 하면, 그 구조, 형상, 위치 등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이 없다.
다만, 웨빙(미도시)이 스풀(10)에 감겨 있는 만큼 스풀(10)에 장착되어야 할 것이며, 웨빙(미도시)이 감겨야 하는 스풀(10)의 구조상 스풀(10)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차량의 일반적인 사용에 있어서 스풀(10)이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음은 물론, 비틀려지는데 있어서 비틀림 하중을 받는 방향을 고려하여 보면, 스풀(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토션바(100)는 스풀(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되어, 스풀(10)의 일단부에 마련된 피니언 기어(20)와 연결되는 종동 기어(30)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스풀(10)의 타단부에 마련된 파일럿 휠(40)과 연결되는 연결구(42)와 타단부가 연결된다. 즉, 토션바(100)는 스풀(10)의 내측에서 스풀(10)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특정 구간에서 스풀(10)은 회전하지 않지만 비틀려지게 된다.
한편, 스토퍼(200)는, 토션바(100)가 작동되면서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다가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면, 더 이상 토션바(10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토퍼(200)는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기 이전에는 스풀(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을 하여 토션바(100)가 비틀려지는 것을 제한하지 않다가,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면 회전을 멈추어 토션바(100)가 더 비틀려지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값이란 토션바(100)가 비틀려진 각도, 웨빙(미도시)이 인출된 길이, 웨빙(미도시)이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는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때, 토션바(100)가 비틀려진 각도, 웨빙(미도시)이 인출된 길이, 웨빙(미도시)이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는 시간은 상호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요소들로서 소정의 관계식을 이용한다면 상호 변환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설정된 기준값에 다른 요소를 추가할 수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특정하지 않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작동과 연관되는 다른 부품들, 예를 들면 프리텐셔너, 리트랙터 등과 같은 시트 벨트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들과의 연관관계를 따져서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생산하는 생산자가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역할을 하는 스토퍼(200)는 토션바(100)의 작동, 즉 토션바(100)가 계속하여 비틀어지는지 여부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만큼, 토션바(10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스토퍼(200)는 토션바(100)와 같이 스풀(10)의 중공부 내에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이와 같이 스풀(10)의 중공부 내에 장착되는 것이 유리한 스토퍼(200)는 이동부(210) 및 멈춤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스토퍼(200)가 전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반드시 이동부(210) 및 멈춤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필요가 없으며, 이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은 물론, 완전히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제한을 주지 않음은 당연하고 할 것이다.
그러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10) 및 멈춤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토퍼(200)를 일례로 들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스토퍼(200)는 토션바(100)와 연결되어 토션바(100)가 비틀려질 때 스풀(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이동부(210) 및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면 이동부(210)가 회전하는 것을 멈추도록 하여 이동부(210)와 연결된 토션바(100)가 더 이상 비틀려지지 않도록 하는 멈춤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210)는 토션바(100)가 비틀려질 때 스풀(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데 있어서, 연결구(4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연결구(42)는, 앞서 토션바(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시 잠시 언급한 바 있었지만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확인하여 보면, 스풀(10)의 일단부 내측에서 스풀(10)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스풀(10)의 중공부 내에서 토션바(100)와 연결되는 부분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연결구(42)는, 이동부(210)가 연결구(4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부(210)가 연결구(4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할 때 이동부(210)의 회전 경로를 안내해주는 안내홈이 외주면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안내홈은 별도로 연결구(42)의 외주면 상에서 함몰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바(100)의 타단부가 장착되는 부분보다 이동부(210)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의 반경을 작게 하여 자연스럽게 안내홈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연결구(42)의 위치 및 형상을 고려하여 볼 때, 이동부(210)는 스풀(10)의 내측에서 스풀(10)의 내주면을 따라 스풀(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동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생산하는 생산자가 기설정된 기준값을 조정할 수 있도록, 연결구(4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각도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이동부(210)를 스풀(10) 내에 최초 장착할 때, 이동부(210)가 연결구(42)의 어느 지점에서 회전을 시작하는지 그 지점을 생산자가 설정하여 둠으로써, 이동부(210)가 연결구(4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부터 토션바(100)가 비틀려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연관되어 웨빙(미도시)이 인출되는 길이,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는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210)가 연결구(42)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각도를 변경하는데 있어서 기준을 제시하여 줄 수 있도록, 스토퍼(200)는 조절 가늠자(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절 가늠자(230)는 연결구(42)에 표시될 수 있는데, 이동부(210)가 연결구(42)의 외주면에서 회전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달리할 수 있도록, 연결구(42) 상에 회전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210)가 후술할 멈춤부(220)의 일면에 접한 채로 연결구(42)의 외주면에서 회전하기 시작하여 멈춤부(220)의 타면에 접하면서 멈추는 경우에는 360도에서 이동부(210)의 두께에 해당하는 각을 뺀 만큼이 회전하는 각도가 되나, 이동부(210)가 멈춤부(220)로부터 30도 떨어진 지점에 표시된 조절 가늠자(230)를 기준으로 연결구(42)의 외주면에서 회전하기 시작하여 멈춤부(220)의 타면에 접하면서 멈추는 경우에는 360도에서 이동부(210)의 두께에 해당하는 각을 빼고 추가적으로 30도를 뺀 만큼이 회전하는 각도가 된다.
한편, 멈춤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면 이동부(210)가 회전하는 것을 멈출 수 있도록 연결구(42)의 외주면에 일부분이 돌출 형성되게 연결구(42)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멈춤부(220) 역시 이동부(210)가 회전하는 것을 멈출 수 있다면 그 구성에 대하여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멈춤부(220)는 멈춤 플레이트(222)와 고정 소켓(2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멈춤부(220)는 연결구(42) 내부에 삽입되되, 연결구(42)의 외주면 중 개방된 일부분에 노출되는 멈춤 플레이트(222)와, 연결구(42) 내부에 멈춤 플레이트(222)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소켓(2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멈춤부(220)를 멈춤 플레이트(222)와 고정 소켓(224)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미리 제작하여 둔 스풀(10) 및 이에 장착되는 피니언 기어(20), 종동 기어(30), 파일럿 휠(40) 등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시트 벨트의 제품 사양에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다면, 미리 제작하여 둔 기존 부품들에 있어서 스토퍼(200)만 장착하면 되고, 이때 스토퍼(200)를 장착하는데 있어서 이동부(210), 멈춤 플레이트(222), 고정 소켓(224)을 연결구(42)에 끼워 넣으면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동부(210)가 멈춤 플레이트(222)와 접하면서 이동을 멈추게 되기 때문에, 멈춤 플레이트(222)와 고정 소켓(224)을 끼울 때에는 억지끼움 방식 또는 별도의 연결핀(미도시) 등을 통해 이동부(210)가 멈춤 플레이트(222)에 접한 이후에 이동부(210)와 함께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이어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계적으로 하중을 제한할 수 있는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계적으로 하중을 제한할 수 있는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가 작동할 때 시간 대비 하중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그래프는, 차량 충돌 이후에 프리텐셔너(미도시)가 작동되어 웨빙(미도시)이 인출되지 않도록 하게 되면서, 탑승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용하는 웨빙(미도시)의 하중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시작한다.
즉, 차량 충돌 이전에는 프리텐셔너(미도시)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웨빙(미도시)의 인출이 자유롭고, 이로 인해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은 거의 없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차량 충돌 이후에 프리텐셔너(미도시)가 작동하게 되면 웨빙(미도시)의 인출이 구속되고, 이로 인해 탑승자의 관성력에 대한 상대적인 하중으로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하기 시작한 이후, 도 8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t1시점이 되면,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F1)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t1시점은 시간 대비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의 증가율의 조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시점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생산자의 의사 또는 차량 충돌 상태 등에 따라 얼마든지 조정 가능하다. 또한, 기설정된 하중(F1) 역시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생산자의 의사 또는 탑승자의 무게, 나이 등에 따라 얼마든지 조정 가능하다.
이렇게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F1)에 도달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인 토션바(100)는 t2시점까지 비틀려지기 시작한다.
이때, t2시점 또한 토션바(100)가 비틀려질 수 있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시점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의 생산자의 의사 또는 차량 충돌 상태 등에 따라 얼마든지 조정 가능하다.
이렇게 토션바(100)가 비틀려지면, 상대적으로 스풀(10)은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웨빙(미도시)은 탑승자의 관성력에 의해 인출될 수 있다. 이렇게 웨빙(미도시)이 인출되면 탑승자 대비 상대적으로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은 증가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계속하여 탑승자의 관성력에 의해 웨빙(미도시)이 인출되도록 하면 시트 벨트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이므로,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어느 시점에서 멈추어야 한다. (이때, 어느 시점이라는 것은 상대적임은 당연하다.)
즉, 차량의 충돌이 발생한 초기에는 탑승자의 가슴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하지 않게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지만, 그 이후 탑승자 전방에 배치된 차량의 구조물과 탑승자의 머리 부위가 부딪히기 이전에는 탑승자와 웨빙 상호 간에 작용하는 하중을 높여 웨빙이 상대적으로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할 필요성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t2시점이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인 스토퍼(200)에 의해 더 이상 토션바(100)는 비틀려지지 않게 되고, 다시 웨빙(미도시)에 작용하는 하중은 증가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시점부터 t2시점까지 토션바(100)가 비틀려질 때 연결구(42)를 따라 회전하는 이동부(21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 플레이트(222)와 접하면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동부(210)와 연결되어 있는 토션바(100)는 더 이상 비틀려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토션바(100)가 더 이상 비틀려지지 않으면, 전수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 리미터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충돌 초기에 일시적으로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차량의 충돌이 진행되는 동안 탑승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은 달성될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스풀 20 : 피니언 기어
30 : 종동 기어 40 : 파일럿 휠
42 : 연결구
100 : 토션바 200 : 스토퍼
210 : 이동부 220 : 멈춤부
222 : 멈춤 플레이트 224 : 고정 소켓
230 : 조절 가늠자

Claims (11)

  1. 웨빙이 감겨있는 원통형의 스풀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 충돌 초기에 일시적으로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로드 리미터로서,
    상기 스풀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장착되어,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에 도달하면 비틀려지면서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는 토션바; 및 상기 토션바가 비틀려지면서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다가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면, 더 이상 상기 토션바가 비틀려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지 않는 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토션바와 함께 상기 스풀의 중공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기 이전에는 상기 스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회전을 하여 상기 토션바가 비틀려지는 것을 제한하지 않다가,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이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면 회전을 멈추어 상기 토션바가 더 이상 비틀려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토션바와 연결되어 상기 토션바가 비틀려질 때 상기 스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는 이동부; 및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가 회전하는 것을 멈추도록 하여, 상기 이동부와 연결된 상기 토션바가 더 이상 비틀려지지 않도록 하는 멈춤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스풀의 일단부 내측에서 상기 스풀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풀의 중공부 내에서 상기 토션바와 연결되는 연결구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멈춤부는, 상기 연결구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가 회전하는 것을 멈출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 일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토션바가 비틀려진 각도, 상기 웨빙이 인출된 길이, 상기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는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토션바가 비틀려지기 시작할 때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 상에서의 회전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달리함으로써,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각도를 변경하는데 있어서 기준을 제시하여 줄 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에 표시된 조절 가늠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가늠자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서 회전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달리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 상에 회전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는,
    상기 연결구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연결구의 개방된 외주면 일부로 노출되는 멈춤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구 내부에 상기 멈춤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고정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이동부가 외주면을 따라 회전할 때 상기 이동부의 회전 경로를 안내해줄 수 있도록, 외주면 상에 안내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 리미터.
KR1020130010452A 2013-01-30 2013-01-30 로드 리미터 KR101477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452A KR101477608B1 (ko) 2013-01-30 2013-01-30 로드 리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452A KR101477608B1 (ko) 2013-01-30 2013-01-30 로드 리미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299A KR20140098299A (ko) 2014-08-08
KR101477608B1 true KR101477608B1 (ko) 2014-12-31

Family

ID=5174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452A KR101477608B1 (ko) 2013-01-30 2013-01-30 로드 리미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6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072B1 (ko) * 2021-01-22 2023-03-29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웨빙의 인출이 제한되는 로드 리미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746A (ko) * 1997-04-08 1998-11-25 기사키 아키라 웨빙 권취장치
KR20070029271A (ko) * 2004-07-29 2007-03-13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안전 벨트 리트랙터
KR20120054401A (ko) * 2010-11-19 2012-05-30 주식회사 셀트리온디비아이 로드 컷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20120095695A (ko) * 2011-02-21 2012-08-29 주식회사 디비아이 로드 리미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746A (ko) * 1997-04-08 1998-11-25 기사키 아키라 웨빙 권취장치
KR20070029271A (ko) * 2004-07-29 2007-03-13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안전 벨트 리트랙터
KR20120054401A (ko) * 2010-11-19 2012-05-30 주식회사 셀트리온디비아이 로드 컷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KR20120095695A (ko) * 2011-02-21 2012-08-29 주식회사 디비아이 로드 리미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299A (ko)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239B1 (ko) 로드 리미터
US7374122B2 (en) Seat belt retractor
US20040206844A1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EP2889191B1 (en) Retractor for safety belt, torsion bar, spool, end cap and safety belt assembly
JP2006507167A (ja) 多レベル荷重制限付き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CN102490681B (zh) 一种安全带卷收装置
CN102837664A (zh) 一种用于安全带的卷收器和安全带总成
CN202743196U (zh) 一种用于安全带的卷收器和安全带总成
JP6491530B2 (ja) タング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5014313B2 (ja) 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ー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477608B1 (ko) 로드 리미터
EP1405777A1 (en) Retractor
JP2006341711A (ja) 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ー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CN104494558A (zh) 一种具有限力停止功能的安全带卷收器
EP3339108B1 (en) Webbing take-up device
KR101492900B1 (ko) 프로그레시브 로드 리미터
EP2052920B1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70291571A1 (en) Webbing take-up device
CN110214101A (zh) 力限制装置和安全带系统
WO2001021453A1 (en) Seat belt retractor
CN102837663B (zh) 用于安全带卷收器的扭力杆及安全带卷收器、安全带总成
CN202743199U (zh) 用于安全带卷收器的扭力杆及安全带卷收器、安全带总成
KR102515072B1 (ko) 웨빙의 인출이 제한되는 로드 리미터
KR102370562B1 (ko) 스풀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동구간이 조절되는 로드리미터
JP2006205822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