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063B1 -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063B1
KR101284063B1 KR1020117026759A KR20117026759A KR101284063B1 KR 101284063 B1 KR101284063 B1 KR 101284063B1 KR 1020117026759 A KR1020117026759 A KR 1020117026759A KR 20117026759 A KR20117026759 A KR 20117026759A KR 101284063 B1 KR101284063 B1 KR 101284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random access
competitive random
access preamble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532A (ko
Inventor
지아이 팡
하이양 츄안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20007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by co-ordinating position lines of different shape, e.g. hyperbolic, circular, elliptical or rad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존재하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네트워크 측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타이밍 어드밴스(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절차(501); 상기 네트워크 측이 상기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절차(5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채용하면, LTE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할 수 있어 사용자 단말에 대해 포지셔닝을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USER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지셔닝 기능은 사용자를 위해 다양한 서비스, 예를 들어, 일, 오락, 생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전형적인 포지셔닝 서비스는 지원 서비스, 예를 들어 응급 의료 서비스, 비상 포지셔닝 등; 위치 기반 정보 서비스, 예를 들어, 가장 가까운 레스토랑과 오락 정보 찾기 및 업종별 전화번호부 조회 서비스 등; 프로모션 할인 정보와 같은 광고 서비스; 위치 기반 빌링 추적 등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포지셔닝 기술은 주로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이동국의 도움이 필요 없는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이며; 두 번째는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와 이동국의 기술 이며; 세 번째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s,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기술이다.
포지셔닝 서비스는 또한 시한에 따라 사용자 패널 기반의 방식 및 제어 패널 기반의 방식 두 가지 방식을 포함하는 바, 제어 패널 기반의 방식에서 위치와 관련된 데이터는 표준 신호 링크에서 사용자 단말과 SMLC(Serving Mobile Location Centre,서빙 이동 위치 센터)사이에서 상호 교신되는 것이다. 제어 패널 기반 서비스는 주로 긴급 류 서비스에 사용된다.
기존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시스템에서는, 여러 가지 포지셔닝 기술을 사용하며, 그 중 하나가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와 이동국의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RNC(Radio Network Controller,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는 사용자 단말이 측정을 진행하도록 트리거한다. 사용자 단말은 측정 결과 및 상기 결과의 측정 시간(즉,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을 네트워크에 보고한다. 네트워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보고된 측정 결과와 셀의 지리적 위치를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한다.
기존의 LTE(Long Term Evolution,장기 진화)시스템에는, 아직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이 없으므로, 사용자 단말에 대한 포지셔닝을 진행하기가 비교적 어렵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LTE 시스템에는 아직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안이 없으므로, 사용자 단말에 대한 포지셔닝을 진행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LTE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측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타이밍 어드밴스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절차;
상기 네트워크 측이 상기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타이밍 어드밴스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
상기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포지셔닝 설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타이밍 어드밴스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제1확정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타이밍 어드밴스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은 상기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LTE 시스템에서 비 경쟁 랜덤 액세스를 통해 TA의 측정 값을 확정할 수 있어 LTE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해 포지셔닝을 진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실현하기가 간단하고 쉽기 때문에, 또한 LTE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LTE TDD(Time division duplex,시분할 듀플렉스)시스템의 타이밍 관계 예시도이며;
도2a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사용자 단말에 대해 포지셔닝을 진행하는 예시도1 이며;
도2b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사용자 단말에 대해 포지셔닝을 진행하는 예시도2 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시스템 구성 예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의 구성 예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흐름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타이밍 어드밴스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며; 네트워크 측은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LTE 시스템에서 비 경쟁 랜덤 액세스를 통해 TA의 측정 값을 확정할 수 있어 LTE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해 포지셔닝을 진행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LTE TDD 시스템의 타이밍 관계 예시도에서, T는 각 서브 프레임의 길이를 표시하고, L0은 preamble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 가 위치하는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의 위치 어드밴스(프레임 구성에 의해 결정됨)를 표시하고, L_p는 preamble의 길이(preamble format 등 요소에 의해 결정됨)를 표시한다.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이 도착할 때 이미delta_t1의 지연이 발생되었다. 업 링크 방향에서 preamble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에 도착할 때 또delta_t2의 지연이 발생한다.
종합해 보면, 네트워크 측에서, preamble의 희망 도착 시간(preamble 시퀀스 신호의 수신 완료의 예상 시간)은 t1=T+L0+L_p이다. 그러나, 네트워크 측에서 preamble의 실제 도착 시간(preamble 시퀀스 신호의 수신 완료의 실제 시간)은 t2= t1+delta_t1+delta_t2 이다. 양자의 차이는 delta_t1+delta_t2 이다.
사용자 단말이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시간과 preamble를 발신하는 시간은 아주 짧아, 즉 사용자 단말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 사이의 거리는 거의 같은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상기delta_t1과 delta_t2는 같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과 무선 액세스 설비 사이의 거리는 d=(delta_t1+delta_t2)*(1/2)*C (C는 빛의 속도) 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사용자 단말에서 실현될 때 preamble 코드를 발신하기 전에 최신의 다운 링크 타이밍을 사용하거나, 또는 한 차례의 다운 링크 동기화 과정을 직접 진행하여 최신의 다운 링크 타이밍을 얻음으로써, 다운 링크 전파 지연과 업 링크 전파 지연이 대략 같도록 보장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preamble의 수신을 통해, TA (Timing Advance, 타이밍 어드밴스) 측정 값을 획득한 후,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추정할 수 있으며, 알려진 기지국의 지리 위치 정보를 결합하여 CELL ID+TA의 포지셔닝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preamble 신호의 처리를 통해 도착 각도(Angle of Arrival,AOA)의 측정 값을 획득하여, 기지국 측에서 보이는 사용자 단말의 방위각 정보를 획득하여, 또한 CELL ID+TA+AOA의 포지셔닝 방법을 실현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LTE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으며, 도1의LTE TDD 시스템은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할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LTE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는 기지국 또는 릴레이 노드(RN)설비일 수 있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대해 포지셔닝을 진행하는 예시도1에서, TA의 측정 값을 확정한 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를 원심으로 하고 TA의 측정 값에 빛의 속도를 곱한 값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주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는 바, 즉 사용자 단말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의 상대 지리적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의 절대 지리적 위치(예를 들면 위도와 경도 등 지리 정보)는 알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설비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의 CELL ID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의 절대 지리적 위치를 획득할 수 있어, 조금 전에 획득된 사용자 단말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의 상대 위치를 결합하여 최종 사용자 단말의 절대 지리적 위치를 획득함으로써 CELL ID+TA의 포지셔닝 방법을 실현한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대해 포지셔닝을 진행하는 예시도2에서, TA의 측정 값을 확정한 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를 원심으로 하고 TA의 측정 값에 빛의 속도를 곱한 값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주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것을 확정할 수 있으며;
AOA (Angle of Arrival, 도착 각도)의 측정 값을 확정한 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를 시작점으로 하는 반직선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며, 반직선이 북쪽 방향에서 역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가 AOA의 측정 값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을 결합하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를 원심으로 하는 극좌표계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유일하게 확정할 수 있으며;
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의 절대 지리적 위치(예: 위도와 경도 등 지리 정보)는 알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설비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의 CELL ID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의 절대 지리적 위치를 획득할 수 있어, 조금 전에 획득된 사용자 단말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의 상대 위치를 결합하여 최종 사용자 단말의 절대 지리적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북쪽 방향에서 역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한 것뿐이며, 수요에 따라 임의의 방향을 표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회전 각도도 변경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남쪽 방향에서 시계 방향 회전을 표준으로 할 수 있다. 물론 표준 방식을 수정한 후, AOA 의 측정 값을 측정할 때도 상응한 조정을 진행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 경쟁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는 원인은 경쟁 기반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동일한 preamble 코드가 여러 개 사용자 단말에 의해 동시에 사용될 수 있어(즉, 충돌을 발생함), 네트워크 측이 preamble와 사용자 단말을 일대일로 대응시킬 수 없다. 그러나 비 경쟁 랜덤 액세스를 채용하면 preamble코드가 모 사용자 단말 전용인 것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측이 측정한 후 측정 값과 사용자 단말을 일대일 대응시킬 수 있다.
아래에 명세서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 (10);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10)에 의해 확정된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포지셔닝 설비(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포지셔닝 설비(20)는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설비(예: 기지국 (10))일 수 있으며, 다른 독립적인 네트워크 측 설비 (예: 포지셔닝 센터 SMLC)일 수도 있으며, 하나의 새로운 설비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실시 과정에서, 두 가지 포지셔닝 방식은 있다. 1)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2)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첫번째 방식에 있어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10)는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을 확인하고,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얻은 값을 TA로 하며, TA를 2로 나누어 얻은 값을 TA의 측정 값으로 한다.
상응하게, 포지셔닝 설비(20)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10)에 의해 확정된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여기서, 희망 도착 시간은, 네트워크 측이 다운 링크 타이밍에 근거하여 설정한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 자원 위치 및 preamble 신호의 발신 위치에 근거하여 획득된다. 예를 들어, 도1에서, 네트워크 측이 설정한 PRACH 자원은 해당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위치하고, 해당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의 시작 위치는 T이고, 네트워크 측이 확정한 preamble 발신 시간은 상기 업 링크 서브 프레임 후의 L0시간이고 preamble의 길이는 L_p이며 희망 도착 시간은 T+L0+L_p이다.
두번째 포지셔닝 방식에 있어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10)은 TA의 측정 값을 확정해야 할 뿐더러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신호 각도도 측정해야 하며, 측정된 신호 각도에 근거하여 도착 각도 AOC의 측정 값을 확정한다.
상응하게, 포지셔닝 설비(20)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10)에 의해 확정된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만약,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10)가 TA의 측정 값만 확정하면(즉, CELL ID+TA 의 포지셔닝 방식을 채용),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의 복잡성 및 비용을 줄일 수 있으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10)가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방식(즉, CELL ID+TA+AOA 의 포지셔닝 방식을 채용)에 비해, 포지셔닝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구체적으로 어느 포지셔닝 방식을 채용할지는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에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10)는 사용자 단말에 비 경쟁 랜덤 액세스를 진행하라는 지시 정보를 발신해야 한다. 지시 정보에서는 PRACH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 (즉: preamble 코드) 등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시 정보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 MAC(Media Access Control,미디어 액세스 제어)제어 PDU(Protocol Data Unit,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RRC(Radio Resource Control,무선 자원 제어)신호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10)은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한 번만 수신하면 포지셔닝 설비(20)은 포지셔닝을 진행할 수 있어 네트워크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지만 포지셔닝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포지셔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10)은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여러 회 수신하여 여러 개 측정 값을 확정하고 포지셔닝을 진행함으로써 포지셔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이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여러 회 발신해야 한다면, 사용자 단말이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해야 할 횟수를 지시 정보에 적재하거나 또는 지시 정보에 트리거 원인 정보를 적재할 수 있으며 트리거 원인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발신을 통해 포지셔닝을 진행할 것을 통지하는데 사용된다.
만약, 적재된 것이 횟수라면, 사용자 단말은 지정된 횟수에 근거하여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여러 회 발신하며; 만약, 적재된 것이 트리거 원인 정보라면 발신 횟수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 규정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측이 사용자 단말에 통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함으로써 포지셔닝을 진행해야 함을 확정할 때, 미리 설정된 발신 횟수에 근거하여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여러 회 발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과정에서, 또한 지시 정보에 여러 회 비 경쟁 랜덤 액세스의 여러 개 PRACH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 및 여러 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지시 정보를 받고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한 후, 만약,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2)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사용자 단말은 다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하며. 이 점을 이용하여 여러 회 중복 발신하는 효과도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10)은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한 후, 사용자 단말에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발신하지 않고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 계속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하며), 수신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횟수가 설정된 임계치와 같을 경우 사용자 단말에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발신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발신을 중지할 것을 지시한다.
임계치의 크기는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만약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할 경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10)은 하나의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여 하나의 TA의 측정 값을 확정할 수 있고; 모든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한 후 각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에 근거하여 TA의 측정 값을 확정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포지셔닝 설비(20)은 확정된 여러 개 TA의 측정 값을 덧셈하고 평균하여, 평균 TA의 측정 값을 획득하며, 평균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포지셔닝 설비(20)은 또한 여러 개 TA의 측정 값에서 각 TA의 측정 값에 대응되는 위치 좌표를 확정하여, 확정된 모든 위치 좌표를 평균하며, 확정된 평균 좌표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로 한다.
예를 들어, 모두 세 개 위치 좌표(X1,Y1), (X2,Y2)및(X3,Y3)가 있다면, 평균 좌표는
Figure 112011088644703-pct00001
이다.
만약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할 경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10)은 하나의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고 하나의 TA의 측정 값과 하나의 AOA의 측정 값을 확정할 수 있고; 모든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고 각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에 근거하여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을 확정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포지셔닝 설비(20)은 확정된 여러 개 TA의 측정 값과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각각 덧셈하고 평균하여, 평균 TA의 측정 값과 평균 AOA의 측정 값을 획득하며, 평균 TA의 측정 값과 평균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포지셔닝 설비(20)은 또한 확정된 여러 개 TA의 측정 값과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각 그룹에 하나의 TA의 측정 값과 하나의 AOA의 측정 값이 있고, 같은 그룹에서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은 동일한 하나의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에 의해 확정된다.
각 그룹의 TA의 측정 값과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하나의 위치 좌표를 확정하며, 확정된 모든 위치 좌표를 평균하며, 확정된 평균 좌표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로 한다.
포지셔닝 설비(20)가 구체적으로 어느 방식을 채용할지는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100);
수신 모듈(100)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제 1 확정 모듈(1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는:
제 1 확정 모듈(110)에 의해 확정된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포지셔닝 모듈(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과정에서, 포지셔닝 모듈(120)은 두 가지 포지셔닝 방식이 있다. 1)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2)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첫번째 방식에 있어서, 제 1 확정 모듈(110)이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방식은 도3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10)가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방식과 같기 때문에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응하게, 포지셔닝 모듈(120)은 제 1 확정 모듈(110)에 의해 확정된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두번째 포지셔닝 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는,
수신 모듈(100)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신호 각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신호 각도에 근거하여 도착 각도 AO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제 2 확정 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게, 포지셔닝 모듈(120)은 제 1 확정 모듈(110)에 의해 확정된 TA의 측정 값 및 제 2 확정 모듈(130)에 의해 확정된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어느 포지셔닝 방식을 채용할지는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에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는 사용자 단말에 비 경쟁 랜덤 액세스를 진행하라는 지시 정보를 발신해야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는,
수신 모듈(100)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에, 사용자 단말에 비 경쟁 랜덤 액세스를 진행하라는 지시 정보를 발신하는 지시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시 정보에서는 PRACH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즉,preamble코드)등을 포함한다.
만약, 사용자 단말이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여러 회 발신하도록 하려면, 사용자 단말이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해야 할 횟수를 지시 모듈(140)은 지시 정보에 적재할 수 있거나 또는 지시 정보에서 트리거 원인 정보를 적재할 수 있으며 트리거 원인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게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발신을 통해 포지셔닝을 진행할 것을 통지하는데 사용된다.
만약, 적재된 것이 횟수이라면, 사용자 단말은 지정된 횟수에 근거하여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여러 회 발신하며; 만약, 적재된 것이 트리거 원인 정보이라면 발신 횟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 규정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측이 사용자 단말에 통지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하여 포지셔닝을 진행해야 할 것을 확정할 때, 미리 설정된 발신 횟수에 근거하여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여러 회 발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과정에서, 또한 지시 정보에 여러 회의 비 경쟁 랜덤 액세스의 여러 개 PRACH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 및 여러 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한 후, 만약,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2)를 받지 못했다면 사용자 단말은 다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하며 따라서 여러 회 반복 발신의 효과가 이루어진다. 이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는,
수신 모듈(100)이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한 후, 수신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같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같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에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발신하지 않으며;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에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발신하고 사용자 단말이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발신을 중지할 것을 지시하는 발신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임계치의 크기는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만약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할 경우,
제 1확정 모듈(110)은 수신 모듈(100)에 의해 하나의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여, 하나의 TA의 측정 값을 확정할 수 있고; 수신 모듈(100)에 의해 모든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가 수신된 후, 각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에 근거하여 TA의 측정 값을 확정할 수도 있다.
포지셔닝 모듈(120)이 여러 개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식은 도3에서 포지셔닝 설비(20)가 여러 개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식과 같기 때문에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만약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할 경우,
제 1 확정 모듈(110)과 제 2 확정 모듈(120)은 수신 모듈(100)에 의해 하나의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가 수신되면, 하나의 TA의 측정 값과 하나의 AOA의 측정 값을 각각 확정할 수 있고; 수신 모듈(100)에 의해 모든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가 수신된 후, 각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에 근거하여 TA의 측정 값과 AOA의 값을 각각 확정할 수도 있다.
포지셔닝 모듈(120)이 여러 개 TA의 측정 값과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식은 도3에서 포지셔닝 설비(20)가 여러 개 TA의 측정 값과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식과 같기 때문에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포지셔닝 모듈(120)가 구체적으로 어느 방식을 채용할지는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절차를 포함한다.
절차 501: 네트워크 측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TA의 측정 값을 확정한다.
절차 502: 네트워크 측은 확정된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절차 502에서, 네트워크 측에는 두 가지 포지셔닝 방식이 있다. 1)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거나 2)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첫번째 방식에 있어서, 절차 501에서, 네트워크 측은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을 확인하고,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얻은 값을 TA로 하며, TA를 2로 나누어 얻은 값을 TA의 측정 값으로 한다.
상응하게, 절차 502에서, 네트워크 측은 확정된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여기서, 희망 도착 시간은, 네트워크 측이 다운 링크 타이밍에 근거하여 설정한 PRACH 자원 위치 및 preamble 신호의 발신 위치에 근거하여 획득된다. 예를 들어, 도1에서, 네트워크 측이 설정한 PRACH 자원은 해당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위치하고, 해당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의 시작 위치는 T이며, 네트워크 측이 확정한 preamble 발신 시간은 해당 업 링크 서브 프레임 헤드 후의 L0시간이고 preamble의 길이는 L_p이면 희망 도착 시간은 바로 T+L0+L_p이다.
두번째 포지셔닝 방식에 있어서, 절차 501에서 네트워크 측은 TA의 측정 값을 확정해야 할 뿐더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신호 각도도 측정해야 하며, 측정된 신호 각도에 근거하여 도착 각도 AOC의 측정 값을 확정한다.
상응하게, 절차 502에서 네트워크 측은 확정된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만약, 절차 501에서 네트워크 측이 TA의 측정 값만 확정하면(즉, CELL ID+TA 의 포지셔닝 방식을 채용하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의 복잡성 및 비용을 줄일 수 있으나,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방식(즉, CELL ID+TA+AOA 의 포지셔닝 방식을 채용)에 비해, 포지셔닝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구체적으로 어느 포지셔닝 방식을 채용하는지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절차 501 전에 절차 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차 500: 네트워크 측은 사용자 단말에 비 경쟁 랜덤 액세스를 진행하라는 지시 정보를 발신하며, 지시 정보에서는 PRACH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 (즉, preamble 코드)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시 정보는 PDCCH, MAC 제어 PDU, RRC 신호에서의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절차 501에서 네트워크 측은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일회만 수신하여 포지셔닝을 진행할 수 있다. 이리하여 네트워크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지만 포지셔닝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포지셔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네트워크 측은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여러 회 수신하고 여러 개 측정 값을 확정하고 포지셔닝을 진행한다.
만약, 사용자 단말이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여러 회 발신해야 한다면, 사용자 단말이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해야 할 횟수는 지시 정보에 적재될 수 있거나 또는 지시 정보에 트리거 원인 정보가 적재되어 사용자 단말에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발신을 통해 포지셔닝을 진행할 것을 통지하는데 사용된다.
만약, 적재된 것이 횟수라면, 사용자 단말은 지정된 횟수에 근거하여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여러 회 발신하며; 만약, 적재된 것이 트리거 원인 정보라면 발신 횟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 규정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측이 사용자 단말에 통지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하고 포지셔닝을 진행해야 할 것을 확정할 때, 미리 설정된 발신 횟수에 근거하여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여러 회 발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과정에서, 또한 지시 정보에 여러 회의 비 경쟁 랜덤 액세스의 여러 개 PRACH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 및 여러 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한 후, 만약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Msg2)를 받지 못했다면 사용자 단말은 다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하며 이 점을 이용하여 여러 회 반복 발신의 효과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절차 501에서 네트워크 측은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한 후, 사용자 단말에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발신하지 않고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 계속하여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재발신하며), 수신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횟수가 설정된 임계치와 같으면 사용자 단말에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발신하여 사용자 단말이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발신을 중지할 것을 지시한다.
임계치의 크기는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할 경우, 절차 501에서, 네트워크 측은 하나의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여 하나의 TA의 측정 값을 확정할 수 있고; 모든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고 각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에 근거하여 TA의 측정 값을 확정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절차 502에서 네트워크 측은 확정된 여러 개 TA의 측정 값을 덧셈하고 평균하여, 평균 TA의 측정 값을 획득하며, 평균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절차 502에서 네트워크 측은 또한 여러 개 TA의 측정 값에서 각 TA의 측정 값에 대응되는 위치 좌표를 확정하여, 확정된 모든 위치 좌표를 평균하며, 확정된 평균 좌표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로 한다.
여기서, 만약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할 경우,
절차 501에서 네트워크 측은 하나의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고 하나의 TA의 측정 값과 하나의 AOA의 측정 값을 확정할 수 있고; 모든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고 각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에 근거하여 TA의 측정 값과 AOA의 값을 확정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절차 502에서 네트워크 측은 확정된 여러 개 TA의 측정 값과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각각 덧셈하고 평균하여, 평균 TA의 측정 값과 평균 AOA의 측정 값을 획득하며, 평균 TA의 측정 값과 평균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절차 502에서 네트워크 측은 또한 확정된 여러 개 TA의 측정 값과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각 그룹에 하나의 TA의 측정 값과 하나의 AOA의 측정 값이 있고, 같은 그룹에서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은 동일한 하나의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에 의해 확정된다;
각 그룹에서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하나의 위치 좌표를 확정하며, 확정된 모든 위치 좌표를 평균하며, 확정된 평균 좌표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로 한다.
절차 502에서 네트워크 측은 구체적으로 어느 방식을 채용할지를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은 네트워크 측에서 측정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 단말에 영향을 주지 않고 CELL ID+TA 포지셔닝 기술에서 CELL ID+TA+AOA 포지셔닝 기술로 원활하게 업그레이드를 실현할 수 있다.
CELL ID+TA+AOA 기술을 채용할 경우,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은 동일한 업 링크 전송 신호(preamble 코드)를 기반으로 하여 측정됨으로써 추정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전반 과정에서 업 링크 방향의 비 동기 전송에는 preamble만 존재하기 때문에 또한 업 링크 간섭을 방지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볼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은 상기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한다. LTE 시스템에서 비 경쟁 랜덤 액세스를 통해 TA의 측정 값을 확정할 수 있어 LTE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해 포지셔닝을 진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실현하기 간단하고 쉽기 때문에, 또한 LTE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기능을 통해 사용자를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본 발명에 대해 여러 가지 수정과 변형을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수정과 변형이 본 발명의 청구항 및 그 균등한 기술의 범위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은 이러한 수정과 변형도 포함한다.
10: 네트워크 설비 20: 포시셔닝 설비
100: 수신 모듈 110: 제1 확정 모듈
120: 포지셔닝 모듈 130: 제2 확정 모듈
140: 지시 모듈 150: 발신 모듈

Claims (31)

  1. 삭제
  2. 네트워크 측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타이밍 어드밴스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절차;
    상기 네트워크 측은 상기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절차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이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절차는:
    상기 네트워크 측은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을 확인하는 절차;
    상기 네트워크 측은 상기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얻은 값을 TA로 하는 절차;
    상기 네트워크 측은 상기 TA를 2로 나누어 얻은 값을 상기 TA의 측정 값으로 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3. 제2항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측은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신호 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 각도에 근거하여 도착 각도 AO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절차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측은 상기 TA의 측정 값과 상기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여러 회 수신하는 절차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이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절차는,
    상기 네트워크 측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여러 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여러 개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측은 사용자 단말에 비 경쟁 랜덤 액세스를 진행하는 지시 정보를 발신하는 바, 사용자 단말이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해야 할 횟수를 상기 지시 정보에 적재하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에 트리거 원인 정보가 적재되며 상기 트리거 원인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발신을 통해 포지셔닝을 진행할 것을 통지하기 위한 것인 절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여러 회 수신한 후에,
    수신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횟수가 설정된 임계치와 같으면, 상기 네트워크 측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발신하여 사용자 단말에 비 경쟁 랜덤 프리앰블 시퀀스의 발신을 중지할 것을 지시하는 절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지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이 사용자 단말의 위지 정보를 확정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측은 확정된 여러 개 TA의 측정 값을 덧셈하고 평균하여, 평균 TA의 측정 값을 획득하며, 상기 평균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측은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여러 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신호 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여러 개 신호 각도에 근거하여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절차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측은 확정된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덧셈하고 평균하여, 평균 AOA의 측정 값을 획득하며, 상기 평균 TA의 측정 값과 상기 평균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측은 여러 개 TA의 측정 값에서 각 TA의 측정 값에 대응되는 위치 좌표를 확정하며, 확정된 모든 위치 좌표를 평균하며, 확정된 평균 좌표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로 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측은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여러 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신호 각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여러 개 신호 각도에 근거하여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절차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측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측은 확정된 여러 개 TA의 측정 값과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그룹으로 나누는 바, 각 그룹에 하나의 TA의 측정 값과 하나의 AOA의 측정 값이 있고, 같은 그룹에서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은 동일한 하나의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에 의해 확정되는 절차;
    상기 네트워크 측은 각 그룹에서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하나의 위치 좌표를 확정하는 절차;
    상기 네트워크 측은 확정된 모든 위치 좌표를 평균하며, 확정된 평균 좌표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로 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11. 삭제
  12.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타이밍 어드밴스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
    상기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포지셔닝 설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는,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얻은 값을 TA로 하고, 상기 TA를 2로 나누어 얻은 값을 상기 TA의 측정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는 또한,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신호 각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신호 각도에 근거하여 도착 각도 AOA의 측정 값을 확정하며
    상기 포지셔닝 설비는 또한,
    상기 TA의 측정 값과 상기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는 또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여러 회 수신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여러 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여러 개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는 또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에, 사용자 단말에 비 경쟁 랜덤 액세스를 진행하라는 지시 정보를 발신하는 바, 사용자 단말이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해야 할 횟수를 상기 지시 정보에 적재하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에 트리거 원인 정보가 적재되며 상기 트리거 원인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발신을 통해 포지셔닝을 진행할 것을 통지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는 또한,
    수신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횟수가 설정된 임계치와 같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발신하여 사용자 단말에 비 경쟁 랜덤 프리앰블 시퀀스의 발신을 중지할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설비는,
    확정된 여러 개 TA의 측정 값을 덧셈하고 평균하여, 평균 TA의 측정 값을 획득하며, 상기 평균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는 또한,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여러 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신호 각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여러 개 신호 각도에 근거하여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확정하며,
    상기 포지셔닝 설비는 또한,
    확정된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덧셈하고 평균하여, 평균 AOA의 측정 값을 획득하며, 상기 평균 TA의 측정 값과 상기 평균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설비는,
    여러 개 TA의 측정 값에서 각 TA의 측정 값에 대응되는 위치 좌표를 확정하며, 확정된 모든 위치 좌표를 평균하며, 확정된 평균 좌표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는 또한,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여러 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신호 각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여러 개 신호 각도에 근거하여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확정하며,
    상기 포지셔닝 설비는,
    확정된 여러 개 TA의 측정 값과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그룹으로 나누는 바, 각 그룹에 하나의 TA의 측정 값과 하나의 AOA의 측정 값이 있고, 같은 그룹에서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은 동일한 하나의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에 의해 확정되며, 각 그룹에서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하나의 위치 좌표를 확정하며, 확정된 모든 위치 좌표를 평균하며, 확정된 평균 좌표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시스템.
  21. 삭제
  22. 삭제
  23.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타이밍 어드밴스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제1확정 모듈; 및
    상기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포지셔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확정 모듈은,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얻은 값을 TA로 하고, 상기 TA를 2로 나누어 얻은 값을 상기 TA의 측정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
  24. 제23항에 있어서,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신호 각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신호 각도에 근거하여 도착 각도 AO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제2확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포지셔닝 모듈은,
    상기 TA의 측정 값과 상기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여러 회 수신하며,
    상기 제1확정 모듈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여러 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실제 도착 시간과 희망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여러 개 T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수신하기 전에, 사용자 단말에 비 경쟁 랜덤 액세스를 진행하라는 지시 정보를 발신하는 바, 사용자 단말이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를 발신해야 할 횟수를 상기 지시 정보에 적재하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에 트리거 원인 정보가 적재되며 상기 트리거 원인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발신을 통해 포지셔닝을 진행할 것을 통지하는데 사용되는 지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횟수가 설정된 임계치와 같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발신하여 사용자 단말에 비 경쟁 랜덤 프리앰블 시퀀스의 발신을 중지할 것을 지시하는 발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정 모듈은,
    확정된 여러 개 TA의 측정 값을 덧셈하고 평균하여, 평균 TA의 측정 값을 획득하며, 상기 평균 T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
  29. 제28항에 있어서,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여러 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신호 각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여러 개 신호 각도에 근거하여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제2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포지셔닝 모듈은,
    확정된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덧셈하고 평균하여, 평균 AOA의 측정 값을 획득하며, 상기 평균 TA의 측정 값과 상기 평균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정 모듈은,
    여러 개 TA의 측정 값에서 각 TA의 측정 값에 대응되는 위치 좌표를 확정하며, 확정된 모든 위치 좌표를 평균하며, 확정된 평균 좌표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
  31. 제30항에 있어서,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는 여러 개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의 신호 각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여러 개 신호 각도에 근거하여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확정하는 제2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포지셔닝 모듈은,
    확정된 여러 개 TA의 측정 값과 여러 개 AOA의 측정 값을 그룹으로 나누는 바, 각 그룹에 하나의 TA의 측정 값과 하나의 AOA의 측정 값이 있고, 같은 그룹에서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은 동일한 하나의 비 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시퀀스에 의해 확정되며, 각 그룹에서 TA의 측정 값과 AOA의 측정 값에 근거하여 하나의 위치 좌표를 확정하며, 확정된 모든 위치 좌표를 평균하며, 확정된 평균 좌표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설비.






KR1020117026759A 2009-05-07 2010-05-07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1284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10083875.1 2009-05-07
CN2009100838751A CN101883423B (zh) 2009-05-07 2009-05-07 一种确定终端的位置信息的方法、系统和装置
PCT/CN2010/072511 WO2010127633A1 (zh) 2009-05-07 2010-05-07 一种确定用户终端的位置信息的方法、系统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532A KR20120007532A (ko) 2012-01-20
KR101284063B1 true KR101284063B1 (ko) 2013-07-10

Family

ID=4304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759A KR101284063B1 (ko) 2009-05-07 2010-05-07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134288A1 (ko)
JP (1) JP5319011B2 (ko)
KR (1) KR101284063B1 (ko)
CN (1) CN101883423B (ko)
WO (1) WO2010127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5630B (zh) 2008-12-03 2014-10-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載波聚合上鏈功率餘裕報告
KR20120085274A (ko) 2009-10-01 2012-07-3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EP2721896B1 (en) * 2011-06-17 2018-08-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odes for random access
CN102307385B (zh) * 2011-08-19 2014-09-1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多载波系统中的定位方法、装置及系统
CN102307387A (zh) * 2011-09-07 2012-01-0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家庭基站定位方法、装置及系统
EP2756729B1 (en) * 2011-09-16 2019-02-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proved contention-free random access procedure in wireless networks
EP2761780A1 (en) 2011-09-30 2014-08-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ultipoint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US9247395B2 (en) * 2011-12-28 2016-01-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 assistance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CN103379616B (zh) * 2012-04-23 2016-09-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lte的时间提前调整方法及装置
JP6244009B2 (ja) * 2013-04-03 2017-12-06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累積された送信電力制御コマンドおよび対応するアップリンクサブフレームセットに基づいてアップリンク送信電力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787672B1 (en) * 2013-04-05 2016-08-10 Alcatel Lucent Downlink communication with repetition transmissions
US9398465B2 (en) * 2013-08-08 2016-07-19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distribution information collection
JP6194715B2 (ja) * 2013-09-17 2017-09-13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3763773B (zh) * 2014-01-29 2017-09-26 上海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定位方法及装置
CN105247950B (zh) * 2014-04-25 2019-03-19 华为技术有限公司 获取定位数据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5188861A1 (en) * 2014-06-11 2015-12-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rocessing of random access preamble sequences
CN105792158B (zh) * 2014-12-22 2019-06-11 杭州华为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中的信息传输的方法及装置
US10531512B2 (en) 2015-04-01 2020-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 tracking channel
WO2016169326A1 (en) * 2015-04-24 2016-10-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procedure
WO2017014910A1 (en) * 2015-07-23 2017-01-26 Qualcomm Incorporated Unintrusive position tracking using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US20170026792A1 (en) * 2015-07-23 2017-01-26 Qualcomm Incorporated Unintrusive position tracking using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CN107306411B (zh) * 2016-04-22 2020-07-14 中国移动通信集团广东有限公司 Lte话务分布精确定位方法及装置
CN107846671B (zh) * 2016-09-19 2020-12-11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动态接入控制的方法、基站及系统
US10051422B1 (en) * 2017-05-17 2018-08-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or system for positioning of a mobile device
CN108055639B (zh) * 2017-12-08 2020-07-10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信令数据分析的人流密度预测方法及系统
EP3737958B1 (en) * 2018-01-12 2023-06-21 Red Point Positioning Corporation Media access control (mac) frame structure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in a real-time localization system
WO2020107411A1 (en) * 2018-11-30 2020-06-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device for terminal device positioning with integrated access backhaul
CN112291842A (zh) * 2019-07-22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4503703B (zh) * 2019-09-30 2023-10-10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前导码的定位方法和设备
WO2021072706A1 (zh) * 2019-10-17 2021-04-2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CN111972015B (zh) * 2020-07-01 2022-10-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定位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2006744A1 (zh) * 2020-07-07 2022-01-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定位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893A (ko) * 2000-04-06 2003-04-23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타이밍 어드밴스 및 타이밍 편차 동기화 방법
KR20040053377A (ko) * 2001-11-28 2004-06-23 노키아 코포레이션 통신 네트워크에 부착된 단말기를 위치시키도록 허가하는위치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
US20050175038A1 (en) 2004-01-12 2005-08-11 John Carlso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wireless location servers
WO2008008685A2 (en) 2006-07-12 2008-01-17 Intel Corpo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base station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for a mobile station using uplink time-difference of arriva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5897C (zh) * 2001-10-18 2005-01-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台位置的估计方法及装置
EP1545145B1 (en) * 2003-12-18 2006-04-19 Evolium S.A.S. A method of evaluating a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with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0563370C (zh) * 2006-04-24 2009-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定位移动台的方法及实现该方法的定位辅助装置
JP5285497B2 (ja) * 2009-03-12 2013-09-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893A (ko) * 2000-04-06 2003-04-23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타이밍 어드밴스 및 타이밍 편차 동기화 방법
KR20040053377A (ko) * 2001-11-28 2004-06-23 노키아 코포레이션 통신 네트워크에 부착된 단말기를 위치시키도록 허가하는위치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
US20050175038A1 (en) 2004-01-12 2005-08-11 John Carlso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wireless location servers
WO2008008685A2 (en) 2006-07-12 2008-01-17 Intel Corpo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base station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for a mobile station using uplink time-difference of arriv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34288A1 (en) 2012-05-31
JP2012526425A (ja) 2012-10-25
CN101883423A (zh) 2010-11-10
JP5319011B2 (ja) 2013-10-16
CN101883423B (zh) 2012-07-04
WO2010127633A1 (zh) 2010-11-11
KR20120007532A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063B1 (ko)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10182360B2 (en) FTM protocol with angle of arrival and angle of departure
US11131743B2 (en) Unicast and broadcast protocol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anging and direction finding
TW202203671A (zh) 基於側鏈路介面定位使用者設備的方法
JP5675670B2 (ja) 無線通信において高度な位置決め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8180378B2 (en) Access probe enhancements
US91439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a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730179B2 (en) Passive locationing over multiple channels
KR20230048347A (ko) 네트워크 설정 기반의 사이드링크 측위 방법 및 장치
EP3750360A1 (en) Bandwidth-dependent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transmission for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otdoa) positioning
US11445331B2 (en) Position measurement system for mobile terminal
WO2010091625A1 (zh) 一种长期演进系统中终端定位的方法和装置
US201803101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Position Determination
WO2016086415A1 (zh) 一种tdd上下行不同配置的定位方法和装置
US11985570B2 (en) Position measurement system for mobile terminal
EP3475721A1 (en) Combined fine timing measurement (ftm) and non-ftm messaging for position determination
WO2015013859A1 (zh) 移动终端定位测量处理方法及装置
US10057832B2 (en) FTM protocol with selectable acknowledgement format
US9389304B2 (en) Using multiple access channels for wireless device positioning
CN114503703B (zh) 基于前导码的定位方法和设备
JP2019519948A (ja) 同期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WO202214775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sidelink positioning mechanism
EP4228345A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for measurement of p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232092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 direction from one ue to another using sidelink
TW202329708A (zh) 用於無線電存取技術(rat)相關定位輔助資料的完整性資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