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590B1 -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 - Google Patents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590B1
KR101281590B1 KR1020110080444A KR20110080444A KR101281590B1 KR 101281590 B1 KR101281590 B1 KR 101281590B1 KR 1020110080444 A KR1020110080444 A KR 1020110080444A KR 20110080444 A KR20110080444 A KR 20110080444A KR 101281590 B1 KR101281590 B1 KR 101281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reservoir
discharge amount
inlet
contro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802A (ko
Inventor
정휘동
민기홍
Original Assignee
정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동 filed Critical 정휘동
Priority to KR1020110080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590B1/ko
Priority to CN2012100045408A priority patent/CN102927732A/zh
Publication of KR20130017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이 토출될 때 한꺼번에 많은 양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를 구비한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는, 얼음 저장고에 설치되며, 얼음을 상기 얼음 저장고 입구부를 통하여 얼음 저장고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얼음 이송 부재; 및 얼음이 상기 입구부로부터 토출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입구부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로서, 얼음 이송 부재에 의하여 이송되는 얼음에 대하여 이송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Ice discharing amount control structure for ice container}
본 발명은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에 구비된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이 토출될 때 한꺼번에 많은 양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를 구비한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얼음 정수기는, 필터부와, 필터부에서 정수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와,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탱크와, 얼음 또는 냉수를 제조하는 제빙 유닛과,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얼음 냉온수기는, 얼음 정수기의 필터부와 정수 탱크를 대신하여 시중에 시판되는 정수통을 구비하게 되며, 나머지 구성은 얼음 정수기와 동일하다.
수요자는 얼음 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필요한 만큼 조절하여 토출하려고 하는데, 지금까지의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의 경우, 얼음이 원하는 것보다 적게 토출되거나 반대로 원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양의 얼음이 토출되는 경우가 많다. 즉, 얼음이 적정량 토출되지 않고 한꺼번에 많은 양이 토출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9284호, 2010.11.09.공개)
이렇듯, 종래기술에 의하면 수요자가 원하는 정도에 딱 맞는 양의 얼음을 토출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리고, 얼음이 한꺼번에 많이 토출되는 경우, 얼음 저장고를 다시 얼음으로 가득 채우기 위하여 얼음이 제조되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수요자가 원하는 적절한 양만큼의 얼음을 토출시킬 수 있는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는, 얼음 저장고에 설치되며, 얼음을 상기 얼음 저장고 입구부를 통하여 얼음 저장고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얼음 이송 부재; 및 얼음이 상기 입구부로부터 토출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입구부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로서, 얼음 이송 부재에 의하여 이송되는 얼음에 대하여 이송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는 시트 형상으로서, 윗부분은 상기 입구부의 상단 부위에 고정되고, 상기 윗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탄성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는, 상기 입구부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을 향하여 늘어져 있는 복수 개의 시트부가 상기 입구부의 가로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시트부는, 상기 입구부의 중앙 부위에 위치한 중앙 시트부와, 상기 중앙 시트부의 양측에 위치한 사이드 시트부로 이뤄진다.
한편, 상기 사이드 시트부는 상기 중앙 시트부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는,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에 의하면, 수요자는 얼음 저장고로부터 원하는 적절한 양만큼의 얼음을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얼음 저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가 적용된 얼음 정수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상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얼음 정수기의 내부를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에 포함된 얼음 이송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자른 종단면도로서 얼음이 토출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에 포함된 얼음 이송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자른 종단면도로서 얼음이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저장고를 입구쪽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 및 상기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가 적용된 얼음 정수기, 얼음 냉온수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얼음 정수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며, 얼음 정수기가 정수 탱크 및 필터부를 구비한 것 대신 얼음 냉온수기는 정수통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들 구성을 제외한 얼음 정수기의 기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얼음 냉온수기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저장고는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가 적용된 얼음 정수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상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얼음 정수기의 내부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얼음 정수기는, 필터부(40)와, 필터부(40)에서 정수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10)와,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탱크(30)와, 상기 정수 탱크(10) 내의 정수를 냉수 탱크(30)로 공급하는 정수 급수 밸브(14)와, 냉수 탱크(30) 내의 냉수를 제빙 유닛(20)으로 공급해주는 순환 펌프(32)와, 냉수의 일부를 제빙하고 나머지를 냉각시키는 제빙 유닛(20)과, 각종 밸브, 펌프, 제빙 유닛(20)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필터부(40)는 수돗물 등과 같은 원수를 정수하며, 침전 필터, 카본 필터 등의 통상적인 필터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부(40)에서 여과되어 생성된 정수는 정수 탱크(10)에 저장된다.
바람직하게, 정수 탱크(10)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부재(18)가 설치된다. 수위 감지 부재(18)에 의하여 소정 수위 예를 들어, 만수가 되었음이 감지되면 정수 공급이 차단되어 정수 탱크(10)에 수용 용량 이상의 정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온의 물은 정수 취수 밸브(16)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정수 급수 밸브(14)는 정수 탱크(10)의 물을 냉수 탱크(30)로 공급하며, 통상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사용된다.
냉수 탱크(30)의 내부 또는 외측에는 순환 펌프(32)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냉수 탱크(30)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냉수위 센서와, 온도를 감지하는 냉수온도 센서가 설치된다. 냉수 탱크(30)에 저장된 냉수는 냉수 취수 밸브(46)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얼음 그릴(28)은 얼음 저장고(70)를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채로 제빙 유닛(20)의 하부에 설치된다. 얼음 그릴(28)은 복수 개의 격자로 이뤄져 있으며, 인접한 격자 사이의 간격은 제조되는 얼음의 크기보다 좁기 때문에, 후술할 제빙 유닛(20)에서 제조된 얼음이 얼음 그릴(28) 위에 떨어지면 냉수 탱크(30)에 빠지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서 얼음 저장고(70)로 이동된다. 또한, 제빙하는데 사용되고 남은 물 또는 제빙 유닛(20)에 의하여 냉각된 냉수는 얼음 그릴(28)의 격자 사이를 통과하여 냉수 탱크(30)에 저장된다.
순환 펌프(32)는 냉수 또는 얼음의 제조를 위하여, 냉수 탱크(30)에 저장된 냉수를 냉수 공급관(34)을 통하여 제빙 유닛(20)으로 공급한다.
제빙 유닛(20)은 순환 펌프(32)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냉각시키거나 얼음을 제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얼음 그릴(28)의 위에 설치되며 제빙하는 방식에 따라 침지형과 노즐형으로 나뉘는데, 도면 상에서는 노즐형 제빙 유닛(20)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에 포함된 얼음 이송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자른 종단면도로서 얼음이 토출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에 포함된 얼음 이송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자른 종단면도로서 얼음이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저장고를 입구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얼음 저장고(70)는 제빙 유닛(20)에 의하여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며, 얼음 저장고(70)의 내부에 저장된 얼음을 필요에 따라 취출할 수 있도록 얼음 저장고(70)의 입구부 부위에 설치된 얼음 저장고 도어(62)를 구비하며 얼음 저장고 도어(62)는 입구부의 상단부위에 형성된 도어 축(66)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된다.
얼음 저장고 도어(62)에는 단열 처리를 하여 얼음 저장고 도어(62)를 통한 냉기의 유출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얼음 저장고 도어(62)는 얼음 이송 부재 설치공(64)을 갖고, 얼음 이송 부재(50)의 일단은 얼음 이송 부재 설치공(64)을 통하여 얼음 저장고(70)의 내부까지 연장된다.
얼음 이송 부재(50)는 회전축(52) 및 그 외주면을 둘러싸는 스크류(54)를 구비하고, 회전축(52)이 회전하면 그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54)가 얼음 저장고(70)의 내부에 있는 얼음을 얼음 저장고 도어(62) 쪽으로 밀어올리게 되며, 얼음 저장고(70)의 입구부를 통하여 얼음을 얼음 저장고(70)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얼음 저장고(70)는 얼음 저장고 도어(62)의 외측에 설치되어 얼음 저장고(70)로부터의 냉기 유출을 줄여주는 도어 커버(68)를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어 커버(68)는 얼음 저장고 도어(62)가 최대 개방 상태로 열리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얼음 저장고 도어(62)와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얼음 이송 부재(50)의 타단 부위에는 회전축(52)을 구동시키는 구동기(58)가 연결되고 이 구동기(58)가 도어 커버(68)에 설치되어, 얼음 저장고 도어(62)가 열리거나 닫히더라도 얼음 이송 부재(50)는 안정적으로 고정된 채로 구동 가능하다.
얼음 저장고(70)는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에 의하여 둘러싸이거나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어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얼음 저장고(70)는 얼음 저장고 도어(62)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바닥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얼음은 얼음 저장고(70)의 가장 깊은 곳으로부터 얼음 저장고 도어(62)가 위치한 곳까지 차례대로 쌓이게 된다.
또한, 얼음이 얼음 저장고(70)로부터 취출되거나, 얼음 그릴(28) 상에서 얼음 저장고(70)로 공급될 때, 얼음 저장고(70)의 안쪽 면과 얼음이 직접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얼음 저장고(70) 바닥부 상에는 LDPE 등의 재질로 형성된 얼음 저장고 그릴(76)이 설치되며, 단지 바닥부뿐만 아니라 저장고 내측면에 모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부와 얼음 저장고 그릴(76) 사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얼음 저장고(70)의 내부에서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물이 이 공간을 따라 낮은 곳으로 흘러 배수로(72)로 흘러 갈 수 있다.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는, 얼음이 얼음 저장고(70)의 입구부로부터 토출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부재로서, 시트(sheet)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의 윗부분은, 상기 입구부의 상단부위에 고정되어, 도어 축(66)의 근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고정된 윗부분을 제외한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입구부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을 향하여 늘어지게 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는 유연성이 뛰어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단열성, 자기소화성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내충격성과 유연성이 뛰어난 폴리카포네이트(PC) 필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시트가 세로 방향으로 늘어지게 되고, 이러한 시트가 얼음 저장고(70)의 입구부의 가로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얼음 저장고(70)에서는, 얼음 저장고(70)의 바닥부에 위치한 얼음이 얼음 이송 부재(50)에 의하여 이송되어 토출될 뿐만 아니라, 얼음 이송 부재(50)의 위에 쌓여 있는 얼음도 상기 바닥부에 위치한 얼음과 함께 토출되기 때문에 얼음이 얼음 저장고(70)로부터 한꺼번에 많이 토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얼음 이송 부재(50)의 위에 쌓여 있는 얼음이 토출되는 것을 막거나, 적어도 얼음의 토출량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의 상단 부위는, 얼음 이송 부재(50)의 위에 쌓여 있는 얼음에 대하여 이송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있으며, 이 것에 의하여 얼음 이송 부재(50)의 위에 쌓여 있는 얼음이 입구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것을 막거나, 적어도 토출되는 양을 줄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의 하단 부위는 상단 부위에 비하여 더욱 잘 변형될 수 있으므로, 바닥부로부터 이송되는 얼음은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의 탄성에 의한 방해를 거의 받지 않고 입구부를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거나 두껍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얼음 저장고(70)로부터 한 번에 토출되는 얼음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예컨대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의 두께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재질을 기준으로 0.5mm~1mm 수치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가로 세로 길이에 따라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의 적절한 두께는 상기 예시적 수치값과는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으며,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의 재질에 따라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의 적절한 두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5에는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의 예시적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는 입구부의 중앙 부위에 위치한 두 개의 중앙 시트부(82)와, 중앙 시트부(82)의 양측에 위치한 두 개의 사이드 시트부(84)로 이뤄져 있다. 얼음 저장고(70) 입구부의 상단 좌우측 부위는 얼음 저장고(70) 입구부의 상단 중앙 부위에 비하여 얼음이 빠져 나올 수 있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사이드 시트부(84)를 중앙 시트부(82)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얼음 저장고(70) 입구부의 상단 좌우측 부위를 통하여 얼음이 토출되는 양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의 상단 부위가 얼음 이송 부재(50)의 위에 쌓여 있는 얼음에 대하여 얼음이 이송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충분히 가할 수 있도록,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의 상단 부위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할되지 않고,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80)의 하단 부위만 분할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정수 탱크 14 : 정수 급수 밸브
16 : 정수 취수 밸브 18 : 수위 감지 부재
20 : 제빙 유닛 28 : 얼음 그릴
30 : 냉수 탱크 32 : 순환 펌프
34 : 냉수 공급관 40 : 필터부
46 : 냉수 취수 밸브 50 : 얼음 이송 부재
52 : 회전축 54 : 스크류
58 : 구동기 62 : 얼음 저장고 도어
64 : 얼음 이송 부재 설치공 66 : 도어 축
68 : 도어 커버 70 : 얼음 저장고
72 : 배수로 76 : 얼음 저장고 그릴
80 :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 82 : 중앙 시트부
84 : 사이드 시트부

Claims (6)

  1. 얼음 저장고에 설치되며, 얼음을 상기 얼음 저장고 입구부를 통하여 얼음 저장고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얼음 이송 부재;
    상기 얼음 저장고 입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얼음 저장고를 개폐하는 얼음 저장고 도어; 및
    상기 얼음 저장고 입구부의 상부와 측부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얼음 저장고 도어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얼음 이송 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얼음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얼음을 상기 얼음 저장고 입구부의 하부로 유도하는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는 시트 형상으로서, 윗부분은 상기 입구부의 상단 부위에 고정되고, 상기 윗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탄성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토출량 조절 부재는,
    상기 입구부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을 향하여 늘어져 있는 복수 개의 시트부가 상기 입구부의 가로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시트부는,
    상기 입구부의 중앙 부위에 위치한 중앙 시트부와, 상기 중앙 시트부의 양측에 위치한 사이드 시트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부는 상기 중앙 시트부보다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는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에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체.
KR1020110080444A 2011-08-12 2011-08-12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 KR101281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444A KR101281590B1 (ko) 2011-08-12 2011-08-12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
CN2012100045408A CN102927732A (zh) 2011-08-12 2012-01-09 冰块库的冰块吐出量调节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444A KR101281590B1 (ko) 2011-08-12 2011-08-12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802A KR20130017802A (ko) 2013-02-20
KR101281590B1 true KR101281590B1 (ko) 2013-07-03

Family

ID=4764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444A KR101281590B1 (ko) 2011-08-12 2011-08-12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1590B1 (ko)
CN (1) CN1029277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161A (ko) * 2014-04-01 2015-10-12 코웨이 주식회사 이너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KR101682460B1 (ko) * 2015-07-01 2016-12-05 정휘동 제빙 기능을 갖는 음료 공급 장치
US11262116B2 (en) 2019-05-03 2022-03-0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 removable ice storage bi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609B1 (ko) * 2014-08-19 2016-01-25 주식회사 동구 제빙기용 얼음취출장치
KR101711133B1 (ko) * 2015-05-26 2017-02-2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내부 오염을 방지하는 직수형 얼음 정수기
KR101682459B1 (ko) * 2015-06-08 2016-12-05 정휘동 얼음 공급 장치
CN106871518B (zh) * 2017-02-13 2019-06-2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排冰器以及包含该排冰器的冰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071A (ko) * 2005-06-08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90060045A (ko) * 2007-12-07 200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 취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기
KR20100119284A (ko) * 2009-04-30 2010-11-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4539A (ja) * 2006-07-04 2008-01-24 Hoshizaki Electric Co Ltd アイスディスペンサ
KR100820816B1 (ko) * 2006-10-24 2008-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852668B1 (ko) * 2006-11-01 2008-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415760B1 (ko) * 2007-05-28 201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 취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8438868B2 (en) * 2009-09-03 2013-05-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071A (ko) * 2005-06-08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90060045A (ko) * 2007-12-07 200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 취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기
KR20100119284A (ko) * 2009-04-30 2010-11-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161A (ko) * 2014-04-01 2015-10-12 코웨이 주식회사 이너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KR102262828B1 (ko) * 2014-04-01 2021-06-09 코웨이 주식회사 이너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KR101682460B1 (ko) * 2015-07-01 2016-12-05 정휘동 제빙 기능을 갖는 음료 공급 장치
US11262116B2 (en) 2019-05-03 2022-03-0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 removable ice storage b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27732A (zh) 2013-02-13
KR20130017802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590B1 (ko)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
EP2221273B1 (en) Water dispenser and method of purifying water
US8763422B2 (en) Instant hot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20130017803A (ko) 제빙 유닛
KR101419751B1 (ko) 순간 냉각장치
CN102958578A (zh) 储水和排水设备
KR101488906B1 (ko)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
KR20130030031A (ko) 탈빙 소음 저감구조
KR20130013517A (ko) 배수 기능이 향상된 얼음 저장고
KR20150016158A (ko) 기능수 공급 장치
KR100487872B1 (ko) 냉온 정수기 구조
KR101488913B1 (ko) 얼음 공급 장치
KR20130008179A (ko) 정비가 용이한 얼음 정수기
CN102147182B (zh) 冰箱
EP2816303B1 (en) Refrigerator
US9216894B2 (en) Drinking water server
KR20140144575A (ko)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CN216494869U (zh) 多功能饮水机的水箱组件和多功能饮水机
KR101281591B1 (ko) 얼음 저장고의 물 유입 방지 구조
KR101094728B1 (ko) 온도조절이 신속한 음수대
KR200475742Y1 (ko)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101326702B1 (ko) 얼음 정수기
KR101367201B1 (ko)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
CN215686854U (zh) 饮水机和饮水机用水箱组件
KR102145379B1 (ko) 냉매공급 및 배출을 일체형 구조로 구현하는 제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