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201B1 -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 - Google Patents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201B1
KR101367201B1 KR1020120083130A KR20120083130A KR101367201B1 KR 101367201 B1 KR101367201 B1 KR 101367201B1 KR 1020120083130 A KR1020120083130 A KR 1020120083130A KR 20120083130 A KR20120083130 A KR 20120083130A KR 101367201 B1 KR101367201 B1 KR 101367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ice
wine cellar
water
w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528A (ko
Inventor
정휘동
김필규
윤희상
Original Assignee
정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동 filed Critical 정휘동
Priority to KR102012008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2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 유닛을 이용하여 얼음과 냉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얼음을 이용하여 적정한 온도에서 와인을 저장할 수 있는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빙 유닛, 얼음, 저장고, 와인 저장고, 냉기 공급관, 및 냉기 회수관을 구비하며, 상기 얼음 저장고 내부의 냉기를 상기 냉기 공급관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냉기 공급공이 상기 얼음 저장고의 측면에 형성되고, 이 냉기 공급공은 얼음 녹은 물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한다.

Description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Structure of circulating cold air for ice making water purifier or ice making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with wine storage}
본 발명은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빙 유닛을 이용하여 얼음과 냉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얼음을 이용하여 적정한 온도에서 와인을 저장할 수 있는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음 정수기는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정수하여 사용자에게 정수와 냉/온수 및 얼음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얼음 정수기는 원수를 정수하는 필터부와,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와, 정수를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 탱크와, 정수를 냉각시켜 저장하는 냉수 탱크 및, 얼음을 만드는 제빙 유닛을 구비한다.
더 나아가, 최근 소비자들은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한국공개특허 10-2009-0131938을 참조하면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얼음 정수기(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는, 제빙 유닛과, 제빙 유닛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와, 와인을 저장할 수 있는 와인 저장고와, 얼음 저장고에서 발생된 찬 공기를 와인 저장고로 유입시킬 수 있는 통기관을 구비한다.
선행기술의 경우, 얼음 저장고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홀로 냉기가 빠져나와 와인 저장고에 유입된다. 그러나, 냉기뿐만 아니라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물도 와인 저장고에 유입될 우려가 있다. 물론, 얼음 저장고의 하단에 물이 흐를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와인 저장고에 물이 유입될 여지를 약간이나마 줄이기는 하였으나, 선행기술은 관통홀로부터 직접 통기공에 떨어지는 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는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와인 저장고에 물이 조금씩 유입되더라도 시간이 흐르면 와인 저장고에 물이 고이게 되고, 특히 와인 라벨에 물이 떨어지면 와인 라벨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얼음 저장고에서 발생하는 얼음 녹은 물이 와인 저장고에 떨어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는,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유닛; 상기 제빙 유닛에서 제조된 얼음을 저장할 수 있는 얼음 저장고; 와인을 저장할 수 있는 와인 저장고; 상기 얼음 저장고 내부의 냉기를 상기 와인 저장고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얼음 저장고의 내부 공간과 상기 와인 저장고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냉기 공급관; 및 상기 와인 저장고 내부의 냉기가 상기 얼음 저장고로 다시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인 저장고 내부 공간과 상기 얼음 저장고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냉기 회수관;을 구비하며, 상기 얼음 저장고 내부의 냉기를 상기 냉기 공급관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냉기 공급공이 상기 얼음 저장고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기 공급공은 얼음 녹은 물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기 회수관을 경유하여 상기 얼음 저장고의 내부로 다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 회수공은, 상기 얼음 저장고 중 상기 냉기 공급공의 맞은 편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기 회수공은 얼음 녹은 물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기 공급공과 상기 냉기 회수공은 슬릿 형상 또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와인 저장고는, 와인 저장고 도어; 상기 와인 저장고 도어 근방에 형성되며 상기 냉기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기를 받아들이는 냉기 입구; 및 상기 와인 저장고 도어와 먼 쪽의 상기 와인 저장고의 후면부 또는 상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와인 저장고 내부의 냉기를 상기 냉기 회수관으로 배출하기 위한 냉기 출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기 입구는 상기 와인 저장고 근방 중 상기 와인 저장고 측면부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기 입구는 상기 와인 저장고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기 공급관은, 분기되어 상기 와인 저장고 양측면에 형성된 냉기 입구들과 연결되는 냉기 공급 매니폴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얼음 저장고의 바닥에는 얼음 녹은 물을 상기 얼음 저장고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바닥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에 따르면, 얼음 저장고에서 발생하는 얼음 녹은 물이 와인 저장고에 떨어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의 주요 구성 및 냉기 순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에 구비된 와인 저장고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며,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가 정수 탱크 및 필터부를 구비한 것 대신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냉온수기는 정수통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들 구성을 제외한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의 기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냉온수기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기 순환 구조는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의 주요 구성 및 냉기 순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이하, '얼음 정수기'라 함)는, 필터부(2)와, 필터부(2)에서 정수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4)와,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탱크(8)와, 상기 정수 탱크(4) 내의 정수를 냉수 탱크(8)로 공급하는 정수 급수 밸브(7)와, 냉수 탱크(8) 내의 냉수를 제빙 유닛(14)으로 공급해주는 순환 펌프(10)와, 냉수의 일부를 제빙하고 나머지를 냉각시키는 제빙 유닛(14)과, 각종 밸브, 펌프, 제빙 유닛(14)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필터부(2)는 수돗물 등과 같은 원수를 정수하며, 침전 필터, 카본 필터 등의 통상적인 필터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부(2)에서 여과되어 생성된 정수는 정수 탱크(4)에 저장된다.
바람직하게, 정수 탱크(4)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수위 감지 부재에 의하여 소정 수위 예를 들어, 만수가 되었음이 감지되면 정수 공급이 차단되어 정수 탱크(4)에 수용 용량 이상의 정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온의 물은 정수 취수 밸브(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정수 탱크(4)의 물은 정수 급수 밸브(7)에 의하여 냉수 탱크(8)로 공급되며, 정수 급수 밸브(7)로는 통상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사용된다.
냉수 탱크(8)의 내부 또는 외측에는 순환 펌프(10)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냉수 탱크(8)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냉수위 센서(미도시)와, 온도를 감지하는 냉수온도 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냉수 탱크(8)에 저장된 냉수는 냉수 취수 밸브(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얼음 그릴(16)은 얼음 저장고(20)를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채로 제빙 유닛(14)의 하부에 설치된다. 얼음 그릴(16)은 복수 개의 격자로 이뤄져 있으며, 인접한 격자 사이의 간격은 제조되는 얼음의 크기보다 좁기 때문에, 후술할 제빙 유닛(14)에서 제조된 얼음이 얼음 그릴(16) 위에 떨어지면 냉수 탱크(8)에 빠지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서 얼음 저장고(20)로 이동된다. 또한, 제빙하는 데에 사용되고 남은 물 또는 제빙 유닛(14)에 의하여 냉각된 냉수는 얼음 그릴(16)의 격자 사이를 통과하여 냉수 탱크(8)에 저장된다.
순환 펌프(10)는 냉수 또는 얼음의 제조를 위하여, 냉수 탱크(8)에 저장된 냉수를 냉수 공급관(12)을 통하여 제빙 유닛(14)으로 공급한다.
제빙 유닛(14)은 냉수 공급관(12)을 통해 순환 펌프(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키거나 얼음을 제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얼음 그릴(16)의 위에 설치되며 제빙하는 방식에 따라 침지형과 노즐형으로 나뉘는데, 도면 상에서는 노즐형 제빙 유닛(14)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에 구비된 와인 저장고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얼음 정수기의 냉기 순환을 위해서, 상기 얼음 정수기는, 제빙 유닛(14)과, 제빙 유닛(14)에서 제조된 얼음을 저장할 수 있는 얼음 저장고(20)와, 와인을 저장할 수 있는 와인 저장고(40)와, 냉기 공급관(30)과, 냉기 회수관(50)을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는, 얼음 저장고(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얼음의 냉기를 와인 저장고(40)에 인가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냉기는 아래로 하강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와인 저장고(40)는 얼음 저장고(20)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인 저장고(40)는 전면에 개폐 가능한 와인 저장고 도어(46)를 구비하며, 와인 저장고(40) 내에 와인병의 입구 부분이 와인 저장고 도어(46)쪽을 향하도록 와인을 수납한다.
냉기 공급관(30)은 얼음 저장고(20) 내부의 냉기를 와인 저장고(40)로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얼음 저장고(20)의 내부 공간과 와인 저장고(40)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킨다. 또한, 냉기 공급관(30)의 내부에는, 얼음 저장고(20) 내부의 냉기를 와인 저장고(4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냉기 공급팬(32)이 설치된다.
냉기 회수관(50)은 와인 저장고(40) 내부의 냉기를 상기 얼음 저장고(20)로 다시 순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와인 저장고(40) 내부 공간과 얼음 저장고(20) 내부 공간을 연통시킨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와인 저장고(40) 측의 냉기를 다시 얼음 저장고(20)로 회수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냉기 회수팬이 냉기 회수관(5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냉기 공급관(30)과 냉기 회수관(50)의 내부에는 와인 저장고(40)로부터의 먼지,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 등이 얼음 저장고(2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먼지 필터 또는 냄새제거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얼음 저장고(20)에는, 얼음 저장고(20) 내부의 냉기를 냉기 공급관(30)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냉기 공급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얼음 녹은 물은 자연스레 중력 방향으로 흐르게 되므로, 만약, 냉기 공급공(22)이 얼음 저장고(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면 얼음 녹은 물은 얼음 저장고(20)의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물이 냉기 공급관(30)으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물이 냉기 공급관(30)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공급공(22)은 얼음 저장고(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만약, 얼음 저장고(20) 내부에 얼음 녹은 물이 발생하더라도 이 얼음 녹은 물이 냉기 공급공(22)으로 넘치지 않도록, 냉기 공급공(22)은 얼음 녹은 물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얼음 저장고(20)의 바닥에는 바닥홈(26)이 형성되며, 이 바닥홈(26)을 통해서 얼음 녹은 물이 얼음 저장고(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얼음 저장고(20) 내부의 얼음이 전부 녹아버린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더라도, 이 얼음 녹은 물은 냉기 공급공(22)으로 넘치지 않고, 바닥홈(26)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기 공급공(22)의 설치 위치와, 바닥홈(26)의 존재로 인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에서는, 얼음 녹은 물이 얼음 저장고(20)의 하부로 이동하여 얼음 저장고(20)의 외부로 빠져나갈 뿐, 얼음 저장고(20)의 측면에 형성된 냉기 공급공(22)을 통하여 빠져나갈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얼음 저장고(20) 중 상기 냉기 공급공(22)의 맞은 편에는 냉기 회수공(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냉기 회수공(24)은 와인 저장고(40)까지 공급된 냉기를 냉기 회수관(50)을 경유하여 얼음 저장고(20) 내부로 다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얼음 저장고(20) 내부에 얼음 녹은 물이 발생하더라도 이 얼음 녹은 물이 냉기 회수공(24)으로 넘치지 않도록, 냉기 회수공(24)은 얼음 녹은 물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얼음 저장고(20) 내부의 얼음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냉기 공급공(22)과 냉기 회수공(24)은, 얼음 저장고(20) 내부의 얼음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냉기 공급공(22)과 냉기 회수공(24)은 하나 이상의 슬릿 형상 또는 격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외에도 얼음이 얼음 저장고(20) 내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냉기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와인 저장고(40)는, 냉기 공급관(30)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기를 받아들이는 냉기 입구(42)와, 와인 저장고(40) 내부의 냉기를 냉기 회수관(50)으로 배출하기 위한 냉기 출구(44)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와인을 와인 저장고(40)에 저장할 때에는 와인병의 입구부분을 잡고 와인병의 바닥부분을 와인 저장고(40)에 밀어 넣게 된다. 이러한 통상적인 와인의 수납 상태를 고려하였을 때, 와인병에 냉기가 충분히 닿을 수 있도록 냉기 입구(42)를 와인병의 입구 근방에 위치시키고, 와인병을 충분히 냉각시킨 냉기는 와인병의 바닥 근방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냉기 입구(42)는 와인 저장고 도어(46) 근방의 와인 저장고(40) 측면부에 형성되며, 냉기 출구(44)는 와인 저장고 도어(46)와 먼 쪽의 와인 저장고(40)의 후면부 또는 상면부에 형성된다.
냉기 입구(42)는 와인 저장고(4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냉기 공급관(30)은 와인 저장고(40) 양측면에 형성된 냉기 입구들(42)과 연결되는 냉기 공급 매니폴드(34)를 갖는다. 냉기 공급 매니폴드(34)에 의하여 분기된 냉기는 냉기 입구들(42)을 통하여 와인 저장고(40)의 양측면으로 공급되므로, 와인 저장고(40)의 용적이 다소 크더라도 수납된 와인들이 균일하게 냉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에서 냉기가 순환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얼음 저장고(20)로부터의 냉기가 냉기 공급공(22)을 통하여 냉기 공급관(30)에 유입된다. 이는 냉기 공급팬(32)에 의하여 더욱 촉진될 수 있다. 그리고, 냉기 공급관(30)의 냉기는 냉기 입구(42)를 통하여 와인 저장고(40) 내부에 인가되어 와인을 냉각시킨다.
와인을 냉각시킨 냉기는 냉기 출구(44)를 통해 냉기 회수관(50)으로 들어가며, 냉기 회수관(50)의 냉기는 냉기 회수공(24)을 통하여 다시 얼음 저장고(2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회수된 냉기는 얼음 저장고(20) 내부의 얼음에 의하여 다시 더 낮은 온도로 냉각되어 냉기 공급공(22)을 통하여 냉기 공급관(30)에 유입되고, 이러한 사이클이 반복되면서 와인 저장고(40) 내부의 와인이 차갑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 필터부 4 : 정수 탱크
7 : 정수 급수 밸브 8 : 냉수 탱크
10 : 순환 펌프 12 : 냉수 공급관
14 : 제빙 유닛 16 : 얼음 그릴
20 : 얼음 저장고 22 : 냉기 공급공
24 : 냉기 회수공 26 : 바닥홈
30 : 냉기 공급관 32 : 냉기 공급팬
34 : 냉기 공급 매니폴드 40 : 와인 저장고
42 : 냉기 입구 44 : 냉기 출구
46 : 와인 저장고 도어 50 : 냉기 회수관

Claims (7)

  1.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유닛;
    상기 제빙 유닛에서 제조된 얼음을 저장할 수 있는 얼음 저장고;
    와인을 저장할 수 있는 와인 저장고;
    상기 얼음 저장고 내부의 냉기를 상기 와인 저장고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얼음 저장고의 내부 공간과 상기 와인 저장고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냉기 공급관; 및
    상기 와인 저장고 내부의 냉기가 상기 얼음 저장고로 다시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인 저장고 내부 공간과 상기 얼음 저장고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냉기 회수관;을 구비하며,
    상기 얼음 저장고 내부의 냉기를 상기 냉기 공급관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냉기 공급공이 상기 얼음 저장고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기 공급공은 얼음 녹은 물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와인 저장고는,
    상기 와인 저장고의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인 저장고의 전면에 마련되는 와인 저장고 도어;
    상기 와인 저장고 도어와 인접하도록 상기 와인 저장고의 양측면의 앞부분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냉기 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냉기 공급관의 냉기를 상기 와인 저장고로 안내할 수 있는 냉기 입구; 및
    상기 와인 저장고 도어와 반대되도록 상기 와인 저장고의 후면에 마련되며, 상기 냉기 회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와인 저장고의 냉기를 상기 냉기 회수관으로 안내할 수 있는 냉기 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회수관을 경유하여 상기 얼음 저장고의 내부로 다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 회수공은, 상기 얼음 저장고 중 상기 냉기 공급공의 맞은 편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기 회수공은 얼음 녹은 물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공과 상기 냉기 회수공은 슬릿 형상 또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관은, 분기되어 상기 와인 저장고 양측면에 형성된 냉기 입구들과 연결되는 냉기 공급 매니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고의 바닥에는 얼음 녹은 물을 상기 얼음 저장고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바닥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
KR1020120083130A 2012-07-30 2012-07-30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 KR101367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130A KR101367201B1 (ko) 2012-07-30 2012-07-30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130A KR101367201B1 (ko) 2012-07-30 2012-07-30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28A KR20140016528A (ko) 2014-02-10
KR101367201B1 true KR101367201B1 (ko) 2014-02-26

Family

ID=5026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130A KR101367201B1 (ko) 2012-07-30 2012-07-30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2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3571A (ja) * 1990-07-13 1992-03-09 Daikin Ind Ltd 製氷装置
US6055826A (en) * 1997-11-07 2000-05-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frigerator
KR20090131938A (ko) * 2008-06-19 2009-12-30 정휘동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3571A (ja) * 1990-07-13 1992-03-09 Daikin Ind Ltd 製氷装置
US6055826A (en) * 1997-11-07 2000-05-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frigerator
KR20090131938A (ko) * 2008-06-19 2009-12-30 정휘동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28A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17564B (zh) 冷水产生设备和具有该设备的净水器
KR101281592B1 (ko) 제빙 유닛
KR20130026969A (ko) 제빙시스템
KR101419751B1 (ko) 순간 냉각장치
KR101281590B1 (ko) 얼음 저장고의 얼음 토출량 조절 구조
CN101809385A (zh) 自动制冰机的制冰水箱
KR101287306B1 (ko) 제빙기
JP5342303B2 (ja) 冷温飲料水サーバー
JP2012026601A (ja) 貯湯タンクおよび貯湯式温水器
KR101367201B1 (ko)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의 냉기 순환 구조
KR20120105662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488913B1 (ko) 얼음 공급 장치
KR20110069248A (ko) 얼음 정수기
KR20090131938A (ko)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KR200473216Y1 (ko) 자동급수 순환방식의 급속냉각장치
KR101255122B1 (ko) 화훼보관고
CN109422342A (zh) 饮用水供给装置
KR102405330B1 (ko) 냉장고
KR101246500B1 (ko) 가스리프트 혐기성 미생물 반응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1239325B1 (ko) 냉수 저장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101369875B1 (ko) 정수기용 순간 온수장치
US11867444B2 (en) Drainless clear ice maker for recycling water used to make clear ice
KR101295088B1 (ko) 정수기용 순간 냉수장치
US11920847B2 (en) Icemaking appliance having a replaceable filter
KR102136802B1 (ko)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