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093B1 -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093B1
KR101280093B1 KR1020120115578A KR20120115578A KR101280093B1 KR 101280093 B1 KR101280093 B1 KR 101280093B1 KR 1020120115578 A KR1020120115578 A KR 1020120115578A KR 20120115578 A KR20120115578 A KR 20120115578A KR 101280093 B1 KR101280093 B1 KR 101280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t
shot
level
damag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일
Original Assignee
박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일 filed Critical 박찬일
Priority to KR102012011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4Acoustical simulation of gun fire, e.g. by pyrotech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14Apparatus for signalling hits or scores to the shooter, e.g. manually operated, or for communication between target and shooter; Apparatus for recording hits or s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표적이 피격되면, 표적의 피격된 상태에 따라 피격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피격 레벨을 전송하는 피격재현송신기와, 상기 피격 레벨을 수신하여, 수신된 피격 레벨에 따라 표적의 피격된 상태에 따라 실제 상황에서 피해 정도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하는 피격재현수신기를 포함하여 제공한다.

Description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A SYSTEM FOR SHOOTING FEEDBACK, AN APPARATUS THEREOF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격 훈련 시, 표적의 피격 정도를 정확하게 피드백하여 훈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격훈련 및 경호 훈련에 있어서, 군 및 경찰, 정부기관에서 사용하는 사격 타켓(표적기)은 단지 사격하는 목적으로만 쓰이고 있다. 따라서 표적에 대한 제압을 못하더라도 점수 또는 기술 점수 감점으로 표시될 뿐, 표적에 대한 피격 상태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훈련자 본인이 나중에 표적을 확인하는 것 이외에는 즉시 이루어지는 피드백은 없다. 이는 즉, 사격자의 실전 훈련의 효과가 없으며, 현실감이 현저히 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고려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격 훈련시, 훈련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는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격된 정도에 따라 그 정도를 인지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은, 표적이 피격되면, 표적의 피격된 상태에 따라 피격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피격 레벨을 전송하는 피격재현송신기; 및 상기 피격 레벨을 수신하여, 수신된 피격 레벨에 따라 표적의 피격된 상태에 따라 실제 상황에서 피해 정도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하는 피격재현수신기;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격 재현을 위한 장치는, 표적의 피격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및 표적이 피격되면,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표적의 피격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피격된 상태에 따라 실제 상황에서 피해 정도에 대응하는 피격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피격 레벨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피격 레벨은 피격된 부분 및 각도에 따라 도출되는 피해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격 레벨은 피격 부분인 인체의 각 부분을 나타내는 코드와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이전 발사와 현재 발사의 인터벌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인터벌 보다 짧은 경우, 부정 사격으로 간주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부정 사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격 재현을 위한 장치는, 통신을 위한 통신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표적의 피격된 상태에 따라 검출되는 실제 상황에서 피해 정도에 대응하는 피격 레벨을 수신하고, 상기 피격 레벨에 따라, 상기 실제 상황에서 피해 정도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격 레벨은 피격된 부분 및 각도에 따라 도출되는 피해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피격 레벨에 따라 피해 정도가 심할수록 약한 전기 충격, 약한 진동, 높은 음, 느린 주기의 램프 점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하며, 피해 정도가 약할수록 강한 전기 충격, 강한 진동, 높은 음, 빠른 주기의 램프 점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격 레벨은 피격 부위인 인체의 각 부분을 나타내는 코드와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피격 레벨에 따라, 상기 피격 부위 및 상기 피격 부위의 피해 정도를 나타내도록, 음성, 텍스트, 전기 충격,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부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청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 촉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부정 사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부정 사격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격 재현을 위한 방법은, 피격재현송신기 표적이 피격되면, 표적의 피격된 상태에 따라 피격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피격재현송신기가 상기 검출된 피격 레벨을 전송하는 단계; 및 피격재현수신기가 상기 피격 레벨을 수신하여, 수신된 피격 레벨에 따라 표적의 피격된 상태에 따라 실제 상황에서 피해 정도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격된 정도에 따라 그 피해 정도를 인지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격 훈련을 하는 사용자가 사격을 할 때마다, 표적에 피격된 상태에 따라 실제 상황이라고 가정한 경우에 입히는 피해 정도를 피드백 받을 수 있어, 사용자에게 현실에 가까운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격 훈련시, 훈련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각각의 발사가 이루어질 때 마다, "즉시" 피드백을 해줌으로써, 사용자는 관통상 등으로 표적을 제압한 후에는 더 이상의 사격이 필요 없는 것을 알 수 있고, 찰과상을 입힌 경우에는 추가로 발사가 이루어져야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사격이 모두 끝난 후에 확인하는 것에 비해 보다 현실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어, 훈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격 재현을 위한 피격재현송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격 재현을 위한 피격재현수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의 피격 재현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격 재현을 위한 피격재현송신기의 피격 재현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격 재현을 위한 피격재현수신기의 피격 재현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피격재현송신기(100) 및 피격재현수신기(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표적 및 훈련용총을 더 포함한다.
훈련용총(20)은 탄환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탄환 또는 레이저가 발사되며, 피격재현송신기(100)는 사용자가 훈련용총으로 표적을 향해 발사하면, 피격재현송신기(100)는 표적의 피격 여부를 감지하고, 표적이 피격된 것을 감지하면, 표적에 피격된 상태를 판별한다. 그리고 피격재현송신기(100) 피격된 상태에 따라 미리 결정된 규칙에 의거하여 피격 레벨을 도출한다. 여기서, 피격된 상태("피격 상태")는 피격된 부분(위치) 및 피격된 각도를 포함한다. 여기서, 피격 레벨은 실제 상황이라고 가정된 경우에 입히는 피해 정도에 따라 설정되는 레벨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올림픽과 같은 스포츠에서는 중앙을 맞출수록 점수가 높지만, 실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심장 혹은 뇌부분이 피격되었을 입는 피해가 몸의 정중앙에 피격되었을 때 보다 더 크다. 따라서 피격 레벨은 이러한 실제 상황을 가정한 경우에 피해 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격재현송신기(100)는 피격된 부분과 피격된 각도에 따라 표적이 인체라고 가정한 경우에 피격 레벨을 도출할 수 있다. 예컨대, 피격된 부분이 다리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다리 부분에 피격되었지만, 피격된 각도에 따라 관통상을 입히거나, 혹은, 찰과상을 입힐 수 있다. 이와 같이, 피격재현송신기(100)는 피격된 상태, 즉, 피격된 부분 및 각도에 따라 피격 레벨을 도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격 레벨을 도출한 피격재현송신기(100)는 도출된 피격 레벨을 피격재현수신기(200)로 전송한다.
피격재현수신기(200)는 피격재현송신기(100)로부터 피격 레벨을 수신하여, 수신된 피격 레벨에 따라 실제 상황이라고 가정한 경우에 입힐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피해 정도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출력은 예를 들면, 텍스트, 부저, 램프, 알람, 전기 충격, 진동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써, 피격재현수신기(200)는 관통상 등의 높은 피해를 입힌 경우, 약한 전기 충격, 약한 진동, 낮은 음, 느린 주기의 램프 점등 등을 출력할 수 있고, 피격재현수신기(200)는 찰과상 등의 낮은 피해를 입힌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강한 전기 충격, 강한 진동, 높은 음, 빠른 주기의 램프 점등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경각심을 주기 위하여 피격이 빗나가거나 낮은 피해를 입힌 경우 강한 자극을 주도록 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피격 내용과 동일한 자극을 주도록 피격 레벨에 따라 피해 정도가 심할수록 강한 전기 충격, 강한 진동, 높은 음, 빠른 주기의 램프 점등을 출력, 피해 정도가 약할수록 약한 전기 충격, 약한 진동, 낮은 음, 느린 주기의 램프 점등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격 훈련을 하는 사용자가 사격을 할 때마다, 표적에 피격된 상태에 따라 실제 상황이라면 표적의 해당 부분에 피격되었을 때 입히는 피해 정도를 피드백 받을 수 있어, 현실에 가까운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훈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발사가 이루어질 때 마다, "즉시" 피드백을 해줌으로써, 사용자는 관통상 등으로 표적을 제압한 후에는 더 이상의 사격이 필요 없는 것을 알 수 있고, 찰과상을 입힌 경우에는 추가로 발사가 이루어져야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사격이 모두 끝난 후에 확인하는 것에 비해 보다 현실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어, 훈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격 재현을 위한 피격재현송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피격재현송신기(100)는 센서 모듈(110), 통신 모듈(120) 및 제어 모듈(130)을 포함한다.
센서 모듈(110)은 표적과 연결되어, 표적의 피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센서 모듈(110)은 표적이 피격된 것을 감지하면, 표적에 피격된 상태를 판별하여, 표적에 피격된 상태를 제어 모듈(130)에 전달한다. 즉, 센서 모듈(110)은 피격된 부분 및 피격된 각도를 포함하는 피격된 상태를 판별하여, 표적에 피격된 부분 및 피격된 각도를 포함하는 피격된 상태를 제어 모듈(130)에 전달한다.
통신 모듈(120)은 피격재현수신기(200)와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통신 모듈(110)은 피격 레벨, 부정 사격임을 알리는 메시지 등을 피격재현수신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110)은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ISM 대역은 산업, 과학, 의료용 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며, ITU-R에서는 ISM 대역으로 13.553~13.567MHz, 26.975~27.283MHz, 40.66~40.70MHz, 433.05~433.79MHz(1지역), 902~928MHz(2지역), 2.4~2.48GHz, 5.725~5.875GHz, 24~24.25GHz, 61~61.5GHz, 122~123GHz, 244~246GHz를 지정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대역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110)은 무선 LA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지그비와 같은 규격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모듈(110)은 해당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40)은 센서 모듈(110)을 통해 표적이 피격되었음을 감지하고, 센서 모듈(110)로부터 표적의 피격된 상태를 전달 받으면, 그 피격된 상태에 따라 미리 결정된 규칙에 의거하여 피격 레벨을 도출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130)은 도출된 피격 레벨을 통신 모듈(120)로 전달하여 피격 레벨이 피격재현수신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피격 레벨은 실제 상황이라면 표적의 해당 부분에 피격되었을 때 입히는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컨대, 피격된 부분이 다리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다리 부분에 피격되었지만, 피격된 각도에 따라 관통상을 입히거나, 혹은, 찰과상을 입힐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모듈(140)은 피격된 상태, 즉, 피격된 부분 및 각도에 따라 피격 레벨을 도출한다. 즉, 피격 레벨은 피해의 정도가 심할수록 높은 레벨로, 피해의 정도가 약할수록 낮은 레벨로 도출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140)은 센서 모듈(110)을 통해 표적인 피격되었을 때, 부정 사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부정 사격은 사용자가 훈련 점수 등을 높일 목적으로 부정하게 발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훈련용총이 레이저를 발사하는 것인 경우, 탄환 사격과 달리, 탄환수의 제한이 없다. 특히, 레이저는 탄환을 이용하는 것과는 달리, 발사 후, 다시 발사가 이루어지는 인터벌이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아쇠를 누른 상태로 난사하게 되면, 정확한 훈련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제어 모듈(130)은 이전 발사와 현재 발사의 인터벌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인터벌 보다 짧은 경우, 부정 사격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벌은 실제 탄환을 사용하는 총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이 부정 사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에러를 리턴하고, 부정 사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통신 모듈(120)을 통해 피격재현수신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격 재현을 위한 피격재현수신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격재현수신기(200)는 통신부(210), 출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피격재현수신기(200)는 사용자의 벨트에 장착되는 벨트타입, 사용자의 포켓에 휴대할 수 있는 포켓타입, 사용자의 의복 등에 장착할 수 있는 클립타입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피격재현수신기(200)는 사격 훈련에 임하는 사용자 및 훈련을 지도하는 교관이 착용하거나 휴대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피격재현송신기(100)와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통신부(210)는 피격 레벨, 부정 사격임을 알리는 메시지 등을 피격재현송신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110)은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통신부(210)는 무선 LA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지그비와 같은 규격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210)는 해당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20)는 피격 레벨에 대응하는 피해 정도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또는,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출력부(22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청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 촉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램프, LED, 스크린 등이 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는 대표적으로 스피커를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햅틱 장치는 진동을 출력하는 모터 전기 자극을 위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출력부(220)는 텍스트를 표시하거나, 전기 충격의 세기, 진동의 세기, 부저의 음 높이, 램프 혹은 LED 점등의 주기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피격 레벨을 수신하면, 수신된 피격 레벨에 따라 실제 상황이라고 가정한 경우에 입힐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피해 정도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출력부(220)를 제어한다. 이러한 출력은 텍스트, 부저, 램프, 알람, 진동, 전기 충격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30)는 출력부(220)를 제어하여, 피해 정도가 심할수록 약한 전기 충격, 약한 진동, 낮은 음, 느린 주기의 램프 점등 등을 출력하도록 하며, 피해 정도가 약할수록 강한 전기 충격, 강한 진동, 높은 음, 빠른 주기의 램프 또는 LED 점등 등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강도로 전기 충격 등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출력부(220)를 제어하여, 피해 정도를 텍스트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수신된 데이터가 피격 레벨이면, 부정 사격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출력부(220)를 제어한다. 이러한 출력은 경고음 등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격 재현 시스템의 피격 재현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훈련용총으로 표적을 향해 발사하면, 피격재현송신기(100)는 표적의 피격 여부를 알 수 있다. 피격재현송신기(100)는 S410 단계에서 표적이 피격된 것을 감지하면, S420 단계에서 표적에 피격된 상태를 판별한다. 그런 다음, 피격재현송신기(100)는 S430 단계에서 그 피격된 상태에 따라 미리 결정된 규칙에 의거하여 피격 레벨을 생성한다. 여기서, 피격 레벨은 실제 상황이라면 표적의 해당 부분에 피격되었을 때 입히는 피해 정도에 따라 설정되는 레벨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격 레벨은 이러한 실제 상황을 가정한 경우에 피해 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격 레벨은 피격된 상태, 즉, 피격된 부분 및 각도에 따라 도출되는 피해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 될 수 있다. 예컨대, 피격 레벨은 피해의 정도에 따라 1 내지 10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수치 1 내지 10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격 레벨은 피격된 부분 및 각도에 따라 도출되는 피해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피격 레벨은 피격 부분인 인체의 각 부분을 나타내는 코드와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코드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피해의 정도가 "왼쪽 다리 부분 찰과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왼쪽 다리를 나타내는 코드 "LL"과 찰과상을 나타내는 코드 "01"로 이루어진 코드 "LL0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피격재현송신기(100)는 S440 단계에서 피격 레벨을 피격재현수신기(200)로 전송한다. 피격 레벨을 수신한 피격재현수신기(200)는 S450 단계에서 수신된 피격 레벨에 따라 실제 상황이라고 가정한 경우에 입힐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피해 정도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한다. 예컨대, 이러한 출력은 텍스트, 부저, 램프, 알람, 전기 충격 등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격 레벨은 피격된 상태, 즉, 피격된 부분 및 각도에 따라 도출되는 피해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 될 수 있다. 예컨대, 피격 레벨이 피해의 정도에 따라 1 내지 10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수치 1 내지 10으로 나타내는 경우, 피격재현수신기(200)는 피격 레벨에 따라, 피해 정도가 심할수록 약한 전기 충격, 약한 진동, 낮은 음, 느린 주기의 램프 점등 등을 출력하며, 피해 정도가 약할수록 강한 전기 충격, 강한 진동, 높은 음, 빠른 주기의 램프 또는 LED 점등 등을 출력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피격 레벨이, 피격 레벨은 피격 부위인 인체의 각 부분을 나타내는 코드와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코드를 통해 나타내어지는 경우, 피격재현수신기(200)는 피격 레벨에 따라, 피격 부위 및 피해 정도를 나타내도록, 음성, 텍스트, 전기 충격, 진동,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피격재현수신기(200)가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표적 근처에 텍스트를 출력하는 피격재현수신기(200)를 설치하고, 훈련중인 사용자에게는 전기 충격 또는 진동을 출력하는 피격재현수신기(200)를 휴대 또는 장착하도록 하고, 복수의 피격재현수신기(20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텍스트를 출력하고, 동시에 다른 하나를 통해 진동 등의 자극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훈련중인 사용자는 보다 정확하게 피해 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격 훈련을 하는 사용자가 사격을 할 때마다, 표적에 피격된 상태에 따라 실제 상황이라면 표적의 해당 부분에 피격되었을 때 입히는 피해 정도를 피드백 받을 수 있어, 현실에 가까운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훈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발사가 이루어질 때 마다, 즉시, 피드백을 해줌으로써, 사격이 모두 끝난 후에 확인하는 것에 비해 보다 현실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어, 훈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격재현송신기의 피격 재현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130)은 S510 단계에서 대기 모드에 있다. 이때, 제어 모듈(130)은 S520 단계에서 센서 모듈(110)을 통해 표적이 피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제어 모듈(130)은 표적인 피격된 경우, S53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S510 단계의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
표적인 피격된 경우, 제어 모듈(130)은 S530 단계에서 부정 사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 사격은 사용자가 훈련 점수 등을 높일 목적으로 부정하게 발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훈련용총은 실제 탄환이 발사되지 않으며, 레이저를 통해 발사되는 것임으로, 탄환 사격과 달리, 탄환수의 제한이 없다. 또한, 실제 탄환이 아님으로, 발사 후, 다시 발사가 이루어지는 인터벌이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아쇠를 누른 상태로 난사하게 되면, 정확한 훈련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제어 모듈(130)은 S530 단계에서 이전 발사와 현재 발사의 인터벌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인터벌 보다 짧은 경우, 부정 사격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벌은 실제 탄환을 사용하는 총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부정 사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 모듈(130)은 S540 단계로 진행하고, S530 단계에서 부정 사격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 모듈(130)은 S560 단계로 진행한다.
부정 사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 모듈(130)은 S540 단계에서 에러를 리턴 한다. 그런 다음, 제어 모듈(130)은 S550 단계에서 부정 사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통신 모듈(120)을 통해 피격재현수신기(200)로 전송한다.
부정 사격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 모듈(130)은 S560 단계에서 표적에서 피격된 상태를 판별한다. 그런 다음, 제어 모듈(130)은 S570 단계에서 그 피격 부분에 따라 미리 결정된 규칙에 의거하여 피격 레벨을 도출한다. 여기서, 피격 레벨은 실제 상황을 가정한 경우 표적의 해당 부분에 피격되었을 때 입히는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격 레벨은 피격된 상태, 즉, 피격된 부분 및 각도에 따라 도출되는 피해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 될 수 있다. 예컨대, 피격 레벨은 피해의 정도에 따라 1 내지 10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수치 1 내지 10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격 레벨은 피격된 부분 및 각도에 따라 도출되는 피해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피격 레벨은 피격 부분인 인체의 각 부분을 나타내는 코드와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코드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피해의 정도가 "왼쪽 다리 부분 찰과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왼쪽 다리를 나타내는 코드 "LL"과 찰과상을 나타내는 코드 "01"로 이루어진 코드 "LL0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어서, 제어 모듈(130)은 S580 단계에서 앞서 도출된 피격 레벨을 통신 모듈(120)을 통해 피격재현수신기(200)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격재현수신기의 피격 재현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S610 단계에서 통신부(21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230)는 S620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피격 레벨인지 혹은 부정 사격임을 알리는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제어부(230)는 수신된 데이터가 피격 레벨이면, 제어부(230)는 S630 단계로 진행하며, 수신된 데이터가 부정 사격임을 알리는 메시지이면, 제어부(230)는 S640 단계로 진행한다.
S630 단계에서 제어부(230)는 출력부(220)를 제어하여 수신된 피격 레벨에 따라 실제 상황이라고 가정한 경우에 입힐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피해 정도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감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한다. 예컨대, 이러한 출력은 텍스트, 부저, 램프, 알람, 전기 충격 등이 될 수 있다.
피격 레벨은 실제 상황을 가정한 경우 표적의 해당 부분에 피격되었을 때 입히는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격 레벨은 피격된 상태, 즉, 피격된 부분 및 각도에 따라 도출되는 피해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 될 수 있다. 예컨대, 피격 레벨은 피해의 정도에 따라 1 내지 10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수치 1 내지 10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230)는 출력부(220)를 제어하여, 피격 레벨에 따라, 피해 정도가 심할수록 약한 전기 충격, 약한 진동, 낮은 음, 느린 주기의 램프 점등 등을 출력하도록 하며, 피해 정도가 약할수록 강한 전기 충격, 강한 진동, 높은 음, 빠른 주기의 램프 또는 LED 점등 등을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격 레벨은 피격된 부분 및 각도에 따라 도출되는 피해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피격 레벨은 피격 부위인 인체의 각 부분을 나타내는 코드와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코드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피해의 정도가 "왼쪽 다리 부분 찰과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왼쪽 다리를 나타내는 코드 "LL"과 찰과상을 나타내는 코드 "01"로 이루어진 코드 "LL0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230)는 출력부(220)를 제어하여, 피격 레벨에 따라, 피격 부위 및 피해 정도를 나타내도록, 음성, 텍스트, 전기 충격, 진동,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S640 단계에서 제어부(230)는 부정 사격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출력부(220)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격 훈련을 하는 사용자가 사격을 할 때마다, 표적에 피격된 상태에 따라 실제 상황이라고 가정한 경우에 입히는 피해 정도를 피드백 받을 수 있어, 사용자에게 현실에 가까운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발사가 이루어질 때 마다, "즉시" 피드백을 해줌으로써, 사용자는 관통상 등으로 표적을 제압한 후에는 더 이상의 사격이 필요 없는 것을 알 수 있고, 찰과상을 입힌 경우에는 추가로 발사가 이루어져야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사격이 모두 끝난 후에 확인하는 것에 비해 보다 현실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어, 훈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0: 표적 20: 훈련용총
100: 피격재현송신기 110: 센서 모듈
120: 통신 모듈 130: 제어 모듈
200: 피격재현수신기 210: 통신부
220: 출력부 230: 제어부

Claims (11)

  1.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표적이 피격되면, 표적의 피격된 상태에 따라 피격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피격 레벨을 전송하는 피격재현송신기; 및
    상기 피격 레벨을 수신하여,
    수신된 피격 레벨에 따라 실제 상황에서 피해 정도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하는 피격재현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피격재현송신기는 이전 발사와 현재 발사의 인터벌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인터벌보다 짧은 경우, 부정 사격으로 간주하고 부정 사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피격재현수신기는 부정 사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부정 사격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
  2. 피격 재현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표적의 피격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및
    표적이 피격되면,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표적의 피격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피격된 상태에 따라 실제 상황에서 피해 정도에 대응하는 피격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피격 레벨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이전 발사와 현재 발사의 인터벌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인터벌보다 짧은 경우, 부정 사격으로 간주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부정 사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격 재현을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격 레벨은
    피격된 부분 및 각도에 따라 도출되는 피해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격 재현을 위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격 레벨은
    피격 부분인 인체의 각 부분을 나타내는 코드와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격 재현을 위한 장치.
  5. 삭제
  6. 피격 재현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통신을 위한 통신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표적의 피격된 상태에 따라 검출되는 실제 상황에서 피해 정도에 대응하는 피격 레벨을 수신하고, 상기 피격 레벨에 따라, 상기 실제 상황에서 피해 정도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부정 사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부정 사격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격 재현을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격 레벨은 피격된 부분 및 각도에 따라 도출되는 피해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피격 레벨에 따라 피해 정도가 심할수록 약한 전기 충격, 약한 진동, 낮은 음, 느린 주기의 램프 점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하며, 피해 정도가 약할수록 강한 전기 충격, 강한 진동, 높은 음, 빠른 주기의 램프 점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격 재현을 위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격 레벨은 피격 부위인 인체의 각 부분을 나타내는 코드와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피격 레벨에 따라, 상기 피격 부위 및 상기 피격 부위의 피해 정도를 나타내도록, 음성, 텍스트, 전기 충격,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격 재현을 위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청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 촉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격 재현을 위한 장치.
  10. 삭제
  11. 피격 재현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표적이 피격되면, 상기 표적의 피격된 상태에 따라 피격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피격이 부정 사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부정 사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피격재현송신기가 부정 사격 메시지를 전송하고, 피격재현수신기가 상기 부정 사격 메시지를 수신하여 부정 사격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계;
    부정 사격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피격재현송신기가 상기 검출된 피격 레벨을 전송하고, 상기 피격재현수신기가 상기 피격 레벨을 수신하여, 수신된 피격 레벨에 따라 실제 상황에서 피해 정도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격 재현을 위한 방법.
KR1020120115578A 2012-10-17 2012-10-17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280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78A KR101280093B1 (ko) 2012-10-17 2012-10-17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78A KR101280093B1 (ko) 2012-10-17 2012-10-17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093B1 true KR101280093B1 (ko) 2013-06-28

Family

ID=4886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578A KR101280093B1 (ko) 2012-10-17 2012-10-17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0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228A (ko) * 2002-03-05 2003-09-19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표적 장치에서의 득점 및 착탄 위치에 대한 표시 제어
KR101121993B1 (ko) * 2009-07-17 2012-03-09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정확한 명중 부위 인식이 가능한 사격훈련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228A (ko) * 2002-03-05 2003-09-19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표적 장치에서의 득점 및 착탄 위치에 대한 표시 제어
KR101121993B1 (ko) * 2009-07-17 2012-03-09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정확한 명중 부위 인식이 가능한 사격훈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4578B2 (en) Shift hub dock for incident recording systems and methods
US8267691B1 (en) Threat fire simulation and training system
KR101914314B1 (ko) 전기 충격 스트레스 노출 훈련을 위한 컨트롤러
US20160138895A1 (en) Projectile weapon training apparatus using visual display to determine targeting, accuracy, and/or reaction timing
US20060121419A1 (en) Threat fire simulation system
TWI716706B (zh) 人工智能之輔助操作系統
US119209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peration between cameras and conducted electrical weapons
US20150018057A1 (en) Simulated Shooting System and Method
US20150170540A1 (en) Weapons training system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US9885545B2 (en) Disruptor device simulation system
US20160117945A1 (en) Use of force training system implementing eye movement tracking
US111706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280093B1 (ko)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JP2010121914A (ja) 射撃訓練用模擬対抗装置
TWI326351B (en) System and methods for multiple function electronic weaponry
WO2018218496A1 (zh) 适用于真人cs游戏的可穿戴设备及系统
JP2010121915A (ja) 射撃訓練用模擬対抗装置
KR20160035718A (ko) 수류탄 모의투척 훈련시스템
US9786191B2 (en) Emission of a commencement sound and a conclusion sound
KR101765322B1 (ko) 자세 교정 장치
KR102265348B1 (ko) 개인용 피해 표시 장치를 이용한 모의교전 훈련 시스템
JP698688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83249A (ko) 마일즈장비 착용하 모의교전훈련시 중상자 및 사망자 표시장치
JP2001124497A (ja) 射撃訓練装置
KR20070040494A (ko) 영상사격훈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