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322B1 - 자세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322B1
KR101765322B1 KR1020150126987A KR20150126987A KR101765322B1 KR 101765322 B1 KR101765322 B1 KR 101765322B1 KR 1020150126987 A KR1020150126987 A KR 1020150126987A KR 20150126987 A KR20150126987 A KR 20150126987A KR 101765322 B1 KR101765322 B1 KR 101765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rrecting apparatus
posture
posture correcting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867A (ko
Inventor
성승한
Original Assignee
성승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승한 filed Critical 성승한
Priority to KR1020150126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3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세 교정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자세 교정 장치는 사용자에게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인지시키는 알람부,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움직임 센서부, 상기 움직임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알람부를 작동 또는 중지시키는 제어부, 및 신체의 일 영역, 상기 신체에 착용되는 물건 및 운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세 교정 장치{POSTURE CORRECTION DEVICE}
본 발명은 올바른 운동 자세를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를 취할 경우 즉시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자세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에 있어, 올바른 자세는 경기력 향상뿐만 아니라 부상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바, 올바른 자세는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겨진다. 특히, 골프나 양궁, 사격 등과 같이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정적인 스포츠의 경우에는 타 종목에 비해 정확하고 올바른 자세를 요구하는데, 이는 올바른 자세로부터 목표하고자 한 힘과 안정적인 운동 조절력이 발현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골프 중 퍼팅을 예를 들 경우, 스윙시 골퍼들은 무의식적으로 고개를 돌리거나 다리를 움직임으로써, 슬라이스나 훅이 빈번하게 발생하거나, 원하는 위치로 골프공을 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등록특허공보 제10-0685221호)은 사용자의 스윙 자세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후 저장 및 분석하여 관리하다가, 사용자의 재생 요청이 발생하면 그 캡쳐된 영상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제공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은 스윙자세를 스스로 교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올바른 교정자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장소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허용 범위 내에서의 사용자의 미세한 움직임에 대해서는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지 못했다. 이로 인해, 미세한 움직임이 경기 결과에 큰 영향을 끼치는 스포츠 종목에서, 종래 기술은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형 장치로서 사용자의 신체나 운동기구에 쉽고 편리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실시간으로 알림음이 발생되는 자세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세 교정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자세 교정 장치는 사용자에게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인지시키는 알람부;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움직임 센서부; 상기 움직임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알람부를 작동 또는 중지시키는 제어부; 및 신체의 일 영역, 상기 신체에 착용되는 물건 및 운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따라 상기 알람부를 작동 또는 중지 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람부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청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하여 음을 방출하는 음향 방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감지에 따라 상기 음향 방출부를 작동 또는 중지 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람부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감지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점등 또는 소등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람부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촉각으로 인지시키기 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감지에 따라 상기 진동부를 작동 또는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시간 설정, 음향 방출부의 음향 조절, 발광부의 빛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상기 시간 설정을 준비구간 및 타격, 발사구간으로 설정하며, 상기 타격, 발사 구간에서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알람부를 통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방출부를 통하여 상기 타격, 발사구간의 시작시점 및 종료시점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와 분리되어 구비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시작 및 종료 설정, 상기 음향 방출부의 음향 조절, 상기 발광부 빛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신체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를 취할 경우 즉시 경고음을 발생시켜 올바른 자세로 유도하므로 경기력 향상은 물론 올바른 자세를 인식하고 습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나 옷의 일부에 부착되어 신체의 잘못된 자세를 정확히 감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와 연계되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운동 자세를 분석하여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0)는 모자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머리가 움직이는 경우 자세 교정 장치(100)도 함께 움직이게 되며, 자세 교정 장치(100)의 자체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 교정 장치(100)는 이와 같은 움직임의 값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올바른 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프 운동의 경우, 골프공의 타격 이전에 사용자의 머리가 골프공의 진행 방향으로 먼저 돌아가는 헤드업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방향 또는 거리로 골프공을 보낼 수 없다. 이러한 헤드업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세 교정 장치(100)는 모자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감지한 후, 헤드업이 발생하면 실시간으로 알람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올바른 스윙 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자세 교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머리 회전 방향 및 각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운동 자세가 잘못된 경우,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세 교정 장치(100)는 옷, 모자, 신발 등 신체에 착용되는 물건에 부착되어 신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자세 교정 장치(100)는 골프채, 활 등의 운동 기구에 결합되어, 운동 자세의 흐트러짐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 개의 자세 교정 장치(100)를 사용하여, 신체의 각 부위마다 올바른 자세 교정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자세 교정 장치(100)는 골프, 양궁, 사격 등 신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스포츠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0)는 알람부(110), 움직임 센서부(120), 제어부(130) 및 결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0)는 기울기 감지부(150) 및 인터페이스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110)는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 장치(100)의 움직임을 인지시킬 수 있다. 알람부(110)는 음향방출부(111), 발광부(112) 및 진동부(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향방출부(111), 발광부(112) 및 진동부(113) 중 복수 개가 동시에 작동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청각, 시각, 촉각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람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음향방출부(111)는 자세 교정 장치(100)의 움직임을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하여 음을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음이란, 특정 소리, 사람의 음성, 음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움직임과 연동된 자세 교정 장치(100)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음향 방출부(111)는 경고음 등을 방출하여, 사용자에게 자세 불량을 인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음향 방출부(111)를 통해 자세 교정 장치(100)의 작동 시작과 작동 종료를 알려 줄 수 있다.
발광부(112)는 자세 교정 장치(100)의 움직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빛을 일정 주기로 깜빡이거나, 색을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인지시킬 수 있다.
진동부(113)는 자세 교정 장치(100)의 움직임을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자세 교정 장치(100)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이는 사용자의 자세가 불량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부(113)는 실시간으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세가 불량하다는 것을 인지시킬 수 있다.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진동부(113)는 소형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부(120)는, 자세 교정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서, 움직임 센서부(12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나침반 센서, 모션인식센서, G센서, 지자계 센서, 변위센서, 만보기 스위치 등 다양한 감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움직임 센서부(120)가 가속도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자세 교정 장치(100)를 모자에 결합한 후 움직이게 되면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가속도가 변화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움직임 센서부(120)가 자세 교정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움직임 센서부(120)가 만보기 스위치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자세 교정 장치(100)가 움직임에 따라 만보기 스위치 내의 추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면서 스위치가 온/오프되므로 움직임 센서부(120)에서 이를 감지하여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움직임 센서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감지 신호에 따라 알람부(110)를 작동 또는 중지시킬 수 있다. 골프를 예로 들면, 제어부(130)는 전송된 움직임 감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헤드업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음향 방출부(111)를 작동 또는 중지시키거나, 발광부(112)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거나, 진동부(113)를 작동 또는 중지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세가 불량함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자세 교정 장치(100)의 작동에 관한 시간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움직임 센서부(120) 및 알람부(110)의 작동 구간을 특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관하여는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하는바,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입력된 음향 방출부(111)의 음향 조절, 발광부(112)의 빛 조절에 응답하여, 음향 방출부(111) 및 발광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결합부(140)는, 신체의 일 영역, 신체에 착용되는 물건 및 운동 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40)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0)는 모자, 옷, 신체의 일부, 운동 기구에 결합될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상기 신체나 물건들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므로 편리하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울기 감지부(150)는, 자세 교정 장치(10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기울기 감지부(150)는 자세 교정 장치(100)의 기울기가 일정 범위 이상(예: 지면에 대해 10° 이상)인 경우 알람부(110)가 경고음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골프를 예로 들면, 퍼팅시 사용자의 머리 중심을 골프공과 일직선이 되도록 한 후, 고개를 숙인 후 골프공을 주시하여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의 고개가 앞으로 골프공이 진행하게 될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형성하며 기울어져 있는 경우, 알람부(110)가 경고음을 방출하여 정자세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울기 감지부(150)는, 지구의 중력을 감지해 중력이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는지 탐지하는 G센서(Gravity sensor)로 구현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기울기 센서(Tilt sensor)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0)의 동작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원 스위치, 음량 조절 스위치 및 알람 종류(음향, 진동, 빛) 선택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자세 교정 장치(100)의 전원 온/오프, 음향 방출부(111)의 음량 조절, 발광부(112)의 빛의 세기 및 색상 및 진동부(113)의 진동 세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예를 들어, 푸쉬 버튼, 다이얼 스위치, 터치식 버튼 등의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하드웨어 스위치 또는 버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배터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는, 알람부(110), 움직임 센서부(120), 제어부(130) 및 기울기 감지부(1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례로서, 배터리부는 일반적인 건전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동작을 수행하였을 때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 값을 도시하고, 도 3b는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로 동작을 수행하였을 때의 시간에 따른 움직임 값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0)는 움직임 센서부(120)의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자세 교정 장치(100)의 시간 설정을 준비구간 및 타격, 발산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계속하여, 타격, 발산구간 내에서 자세 교정 장치(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알람부(110)를 통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음향 방출부(111)를 통하여 상기 타격, 발사구간의 시각시점 및 종료시점을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경고 알람, 시각시점 및 종료시점 안내 음성은 사용자가 서로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소리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시간 설정을 준비구간 및 타격, 발사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준비구간은 시작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내의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시작 시점은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자세 교정 장치(100)의 시작버튼을 누른 시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준비시간은 사용자가 스포츠 자세를 취하기 위해 준비하는 시간으로서, 준비시간 구간 내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알람부(110)에 의해 알람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타격, 발사구간은 준비시간이 종료된 시점 이후의 일정 시간 내의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30)는 음향 방출부(111)를 통하여 타격, 발사구간의 시작시점 및 종료시점을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타격, 발사구간의 시작과 종료를 인식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타격, 발사구간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알람부(110)에 의해 알람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종래의 특정 범위 내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알람 발생을 억제하던 종래 기술과 달리, 사용자의 움직임 값을 알람부(110)를 통해 모두 알려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에게 자세가 어느 정도 흐트러졌는지를 인식시키기 위하여, 알람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값의 크기에 따라 차별화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방출부(111)는 사용자의 움직임 값이 클수록 음향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음향 방출부(111)는 사용자가 고개를 조금 들면, 작은 세기의 경고음을 방출하다가, 사용자가 고개를 점점 많이 들수록 점점 더 강한 세기의 경고음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음향 방출부(111)를 통해 미리 녹음된 사람의 음성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 값을 수치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부(120)가 기준점에서 사용자의 머리가 1cm 움직였다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음향 방출부(111)를 통해, 예를 들어 “1cm 고개가 들렸습니다.”라는 등의 미리 녹음된 음성을 이용하여 움직임 값의 구체적인 수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30)는 음향 방출부(111)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값이 커질수록, 음향의 제공 빈도를 늘릴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음향 발생의 주기를 짧게 또는 길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고개를 점점 많이 들수록 음향 발생 주기를 짧게 하여 음향 방출부(111)의 음향 발생 빈도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발광부(112)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값의 크기에 따라 빛 제공 빈도를 차별화하거나, 빛의 색상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머리가 기준점에서 점점 멀어질수록, 발광부(112)를 통해 빛의 깜빡임을 점점 늘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머리를 조금 들었을 때는 발광부(112)를 통해 파란 색상의 빛을 제공하다가, 사용자가 머리를 많이 들었을 경우에는 빨간 색상의 빛을 제공하는 등, 사용자의 움직임 값의 크기에 따라 제공되는 빛의 색상을 달리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진동부(113)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값의 크기에 따라 차별화된 진동의 세기 및 진동의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차별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머리가 기준점에서 점점 멀어질수록 진동부(113)를 통해 진동의 강도를 점점 높이거나 진동의 발생 빈도를 점점 늘릴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어부(130)는 알람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미세한 움직임 값도 모두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미세한 움직임에 의한 자세의 흐트러짐도 보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0)는 양궁이나 사격 등과 같이 미세한 움직임도 경기 결과에 큰 영향을 끼치는 종목의 자세 교정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준비구간, 타격, 발사구간의 시간의 길이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각 시간마다의 경계 시점마다 음향, 진동 또는 빛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특정 구간이라는 것을 인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골프의 퍼팅을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시작버튼을 누른 후 준비시간 동안 올바른 자세를 취하기 위해 발의 위치 및 머리의 각도 등을 수정할 수 있다. 준비구간이 종료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 발사구간에 퍼팅 자세를 취한 뒤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된 자세 교정 장치(100)의 움직임 센서부(120)에서 움직임 값이 발생되지 않고 타격, 발사구간이 종료되면, 제어부(130)는 알람부(110)를 통해 종료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종료 알람이 나오기 전에, 골프의 퍼팅 동작을 수행하거나, 양궁의 화살을 쏘면 된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타격, 발사구간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발생하면, 제어부(130)는 알람부(110)를 통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골프 퍼팅의 경우, 움직임 값이 발생한 경우란, 고개를 들거나 숙이는 경우,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에 머리가 먼저 골프공의 진행방향으로 돌아가는 경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잘못된 자세를 바로잡기 위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발생하면, 즉시 경고 알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올바른 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람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값의 크기에 따라 차별화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구역과 C구역의 경우를 살펴보면, B구역 및 C구역에서 사용자의 머리가 기준점으로부터 점점 올라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구역 및 C구역에서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머리가 점점 상승함에 따라, 점점 더 큰 음향을 제공하거나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자세가 많이 흐트러짐을 감지하고 기준점을 향하여 머리를 숙이면, 제어부(130)는 알람부(110)를 통해 점점 더 작은 음향 또는 진동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기준점에 도달한 경우 알람부(11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경고 알람이 발생한 B구역과 C구역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B구역의 최고점 움직임 값이 더 크므로, 사용자는 C구역의 최고점에서 제공된 알람 또는 진동보다 좀더 큰 세기의 알람 또는 진동을 B구역의 최고점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A구역은 기준점보다 사용자의 머리가 더 아래로 내려간 경우로서, 제어부(130)는 머리가 상승한 B구역 및 C구역과 다른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의 머리가 기준점 아래에 위치함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발광부(113)를 통해, B구역 및 C구역과 다른 색상의 빛을 방출시키거나, 음향 방출부(111)를 통해 음성으로 머리가 아래로 향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제어장치(100)는 사용자의 모든 움직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차별화된 알림 제공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를 더욱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시스템은 자세 교정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홈 패드, 태블릿 PC,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탑 등의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전자 하드웨어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 교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자세 교정 장치(100)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 교정 장치(100)의 통신부는 움직임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움직임 감지 신호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골프를 예로 들면, 헤드업에 관한 움직임 감지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알람부(110)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움직임 감지 신호에 관한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는, TCP/IP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 WiFi(Wireless Fidelity) 및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통신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세 교정 장치(100)의 통신부로부터 움직임 감지 신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기(200)에 포함된 단말기 음향 방출부(미도시)를 통해 음을 방출하거나, 단말기 진동부(미도시)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세 교정 장치(100)의 시작 및 종료 설정, 음향 방출부(111)의 음향 조절, 발광부(112)의 빛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0) 제어 신호를 단말기 통신부를 통해 자세 교정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세 교정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검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세 교정 장치(100)의 통신부를 통해, 움직임 감지 신호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신체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영상 및 움직임 감지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기(200)의 카메라부(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자세 교정 장치(100)의 동작 시작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카메라부도 동시에 작동을 시작하여, 사용자의 운동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계속하여, 자세 교정 장치의 종료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카메라부도 동시에 촬영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영상 및 움직임 감지 그래프를 통해, 자신이 어떤 동작 및 시점에서 자세가 흐트러졌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자세 교정 장치(100)를 통해 자세를 교정받을 수 있으며, 운동 또는 연습을 종료한 후에도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자세 불량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코치(C)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사용자(P)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시스템은 복수의 사람이 자세 교정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코치(C)는 사용자(C)에게 어느 동작에서 움직임이 얼마나 발생하였는지, 또한 사용자(P)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실시간으로 설명해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재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습을 마친 후, 사용자(P)도 저장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하여 자신의 자세를 수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자세 교정 장치(100)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P)는 복수의 코치(C)들에게 조언을 받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코치(C)가 복수의 사용자(P)들의 운동 자세를 코치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자세 교정 장치(100)는 원거리에 위치한 코치(C)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P)와 코치(C)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코치(C)의 조언을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자세 교정 장치 110 알람부
111 음향 방출부 112 발광부
113 진동부 120 움직임 센서부
130 제어부 140 결합부
150 기울기 감지부 160 인터페이스부
2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10)

  1. 일정 시간 구간 동안에 사용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세 교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인지시키는 알람부;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움직임 센서부;
    상기 움직임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알람부를 작동 또는 중지시키는 제어부;
    신체의 일 영역, 상기 신체에 착용되는 물건 및 운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시간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상기 시간 설정을 준비구간 및 타격, 발사구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타격, 발사구간에서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알람부를 통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며,
    음향 방출부를 통하여 상기 타격, 발사구간의 시작지점 및 종료시점을 음성으로 안내하고,
    여기서, 상기 일정 시간 구간은 상기 타격, 발사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 장치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기울기에 따라 상기 알람부를 작동 또는 중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청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하여 음을 방출하는 음향 방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감지에 따라 상기 음향 방출부를 작동 또는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감지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촉각으로 인지시키기 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감지에 따라 상기 진동부를 작동 또는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청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하여 음을 방출하는 음향 방출부의 음향 조절, 또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의 빛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 장치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와 분리되어 구비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시작 및 종료 설정, 또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청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하여 음을 방출하는 음향 방출부의 음향 조절, 또는 상기 자세 교정 장치의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의 빛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움직임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신체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장치.
KR1020150126987A 2015-09-08 2015-09-08 자세 교정 장치 KR101765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987A KR101765322B1 (ko) 2015-09-08 2015-09-08 자세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987A KR101765322B1 (ko) 2015-09-08 2015-09-08 자세 교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867A KR20170029867A (ko) 2017-03-16
KR101765322B1 true KR101765322B1 (ko) 2017-08-04

Family

ID=5849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987A KR101765322B1 (ko) 2015-09-08 2015-09-08 자세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340A (ko) * 2019-03-04 2020-09-14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047B1 (ko) * 2017-03-17 2021-12-0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리볼버 사격 훈련을 위한 모션 트래킹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859B1 (ko) 2013-07-26 2014-02-06 몬트롤 주식회사 9축모션센서모듈을 통한 스마트기기연계형 사용자 모션 교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859B1 (ko) 2013-07-26 2014-02-06 몬트롤 주식회사 9축모션센서모듈을 통한 스마트기기연계형 사용자 모션 교정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340A (ko) * 2019-03-04 2020-09-14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
KR102173540B1 (ko) * 2019-03-04 2020-11-03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867A (ko)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6165B2 (en)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a ball including one or more sensors to improve pitching performance
KR200417280Y1 (ko) 스윙자세 교정 장치
CA2946453C (en) Golf-swing monitoring system
US20120196693A1 (en) Swing analysis device, program, and swing analysis method
US9383448B2 (en) Golf GPS device with automatic hole recognition and playing hole selection
US9808692B2 (en) Ball including one or more sensors to improve pitching performance
KR20140062892A (ko) 운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US94078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video recording with sensor data
JP2009106323A (ja) 運動フォーム評価装置および運動フォーム評価プログラム
KR20030014344A (ko) 평가프로그램, 그 기록 매체, 타이밍 평가 장치 및 타이밍평가 시스템
TW201842432A (zh) 自動配置感測器的方法、電子設備及記錄媒體
JP7382670B2 (ja) スウェイ検知装置、及びスウェイ検知プログラム
KR101765322B1 (ko) 자세 교정 장치
US20090239673A1 (en) Golfing Aids
US201601756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biomechanics with immediate prescriptive feedback
KR101721516B1 (ko) 송구 방향 보정 기능을 포함하는 골프 클럽 모듈 및 송구방향 보정 방법
WO20211134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scle memory training and tracking
US11857840B2 (en) Momentum measurement device, momentum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mentum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JP6340646B2 (ja) スウェイ検知装置、スウェイ検知システム及びスウェイ検知プログラム
KR101867165B1 (ko) 헤드업 자세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골프스윙 어드바어저
JP2018149315A (ja) スウェイ検知装置、及びスウェイ検知プログラム
KR101645126B1 (ko) 골프 연습용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스윙 축 변화 감지 방법
KR20240034090A (ko) 사용자의 골프 스윙을 보조하는 장치 및 방법
GB2601605A (en) Device
KR20180089584A (ko) 골프 스윙 자세의 교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