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540B1 -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540B1
KR102173540B1 KR1020190024739A KR20190024739A KR102173540B1 KR 102173540 B1 KR102173540 B1 KR 102173540B1 KR 1020190024739 A KR1020190024739 A KR 1020190024739A KR 20190024739 A KR20190024739 A KR 20190024739A KR 102173540 B1 KR102173540 B1 KR 102173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band
user
signal
head
balance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340A (ko
Inventor
한진태
나상수
Original Assignee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4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54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63B69/0059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wor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63B2071/0661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 A63B2071/0666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worn on the head or face, e.g. combined with goggles or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는, 중앙 영역에 자이로 센서가 마련되는 헤드밴드; 상기 헤드밴드의 양단에 연결되거나 헤드밴드 양단 영역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자이로 센서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좌우 기울어짐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제1 신호 발생부 또는 제2 신호 발생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이로 센서를 통해 머리의 정위 정보(전후, 좌우 기울어짐)를 감지한 후 청각 또는 촉각 등의 방법을 통해 기울어진 방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똑바른 머리 자세로 훈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A device for balancing training in visual interruption}
본 발명은 시각차단 훈련시 전정 및 고유수용성 자극을 위한 일종의 청각되먹음 장치로서 사용자의 시각을 차단한 상태에서 머리의 정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똑바른 머리 자세로 훈련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뇌졸증 환자들은 시각적인 의존도를 차단하고 훈련하기 위해 안대 등으로 시각을 차단한 후 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대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훈련은 환자 자신에게 머리의 정위 정보(머리의 기울어진 빌리정보)를 제대로 제공할 수 없기에 특히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 훈련을 주기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뇌졸증 환자들에게 적절한 훈련 효과를 제공해주지 못하는 현실이다
현재 시각 의존성을 줄이기 위해 안대 등으로 시각을 차단하는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머리의 정위 정보까지 고려한 훈련 도구는 현재 전무한 상태이며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시각차단 상태에서 환자들에게 머리의 정위 정보를 전달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균형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안하는 바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73023호 (2014.12.9.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시각을 차단한 상태에서 머리의 정위 정보(전후, 좌우 기울어짐)를 감지한 후 청각 또는 촉각 등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똑바른 머리 자세로 훈련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의 기울어진 정도에 비례하여 청각 또는 촉각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머리의 기울어진 정도를 한층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좀 더 쉽게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앙 영역에 자이로 센서가 마련되는 헤드밴드; 상기 헤드밴드의 양단에 연결되거나 헤드밴드 양단 영역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자이로 센서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좌우 기울어짐 정도를 판단하여 상기 제1 신호 발생부 또는 제2 신호 발생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신호 발생부는 스피커 또는 진동 발생부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이로 센서의 감지값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신호 발생부 또는 제2 신호 발생부의 구동 세기를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헤드밴드와 교차하도록 연결되되 착용시 사용자의 안면부와 후두부 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보조 헤드밴드; 및 상기 보조 헤드밴드의 양단 영역에 각각 마련되는 제3 및 제4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신호 발생부 모두 진동 발생부이거나, 상기 제1 및 제2 신호 발생부가 스피커 또는 진동 발생부이고 상기 제3 및 제4 신호 발생부는 진동 발생부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이로 센서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내지 제4 신호 발생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되, 자이로 센서의 감지값 정도에 따라 구동 세기를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안대 내면에 마련되어 광을 발산하는 한 쌍의 광 발산부와 한 쌍의 광 발산부 사이에 마련되어 양측을 구획하는 구획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이로 센서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상기 한 쌍의 광 발산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되, 자이로 센서의 감지값 정도에 따라 휘도를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헤드밴드와 안대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헤드밴드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를 탄성적으로 권취 또는 풀림 가능한 케이블 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일정 이상의 신축성을 갖는 연신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헤드밴드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시각을 차단 가능한 안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에 의하면, 자이로 센서를 통해 머리의 정위 정보(전후, 좌우 기울어짐)를 감지한 후 청각 또는 촉각 등의 방법을 통해 기울어진 방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똑바른 머리 자세로 훈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머리의 기울어진 정도에 비례하여 청각 또는 촉각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머리의 기울어진 정도를 한층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여 훈련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신축 와이어와 케이블 릴을 통해 사용자가 머리에 더욱 용이하게 착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착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에서 머리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출력 신호가 조절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의 제어 관계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에서 머리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출력 신호가 조절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는 시각차단 훈련시 전정 및 고유수용성 자극을 위한 일종의 청각되먹음 장치로서 사용자의 시각을 차단한 상태에서 머리의 정위에 대한 정보(머리의 전후, 좌우 움직임)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똑바른 머리 자세로 훈련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덧붙여 보통 뇌졸증 환자들은 시간적인 의존도를 차단하고 안대 등을 착용하여 시각차단 훈련을 실시하는데, 본 발명은 뇌졸증 환자들이 시각 차단 상태에서도 좌우, 전후 방향 균형을 제대로 인식하여 훈련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이하, '균형훈련장치')는 헤드밴드(100), 안대(110), 제1 및 제2 신호 발생부(120,130),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헤드밴드(100)는 일종의 띠 또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본 발명의 균형훈련장치를 착용시 그 양단은 사용자의 귀 부위까지 연장 가능하다. 이러한 헤드밴드(100)는 착용의 편리를 위해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헤드밴드(100)의 중앙 영역에는 자이로 센서(101)가 마련된다. 자이로 센서는 물체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변위 시간동안 측정된 각속도를 적분함으로써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도 산출은 제어부(140)의 연산부(141)를 통해 실시 가능하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균형훈련장치를 착용시, 자이로 센서(101)는 사용자의 머리 상부 중앙 영역, 예를 들면 백회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대(110)는 헤드밴드(100)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착용시 사용자의 시각을 차단 가능하다. 만약 안대와 헤드밴드가 서로 분리된 상태라면, 사용자는 안대와 헤드밴드를 분실하거나 필요할 때 쉽게 찾지 못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일체로 마련되는 경우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대(110)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시각차단 상태의 훈련은 사용자가 자의로 눈을 감은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및 도시의 편의를 위해 헤드밴드의 양단에 안대가 연결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신호 발생부(120,130)는 사용자의 머리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기울어진 방향을 시각적인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시각차단상태에서 머리의 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헤드밴드(100)의 양단에 연결되거나 헤드밴드(100) 양단 영역에 각각 마련되거나 헤드밴드의 양단 영역에 인접한 안대(110)의 양측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관련 도면에는 도시의 편의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신호 발생부(120,130)가 헤드밴드(100)의 양단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신호 발생부(120,130)는 스피커 또는 진동 발생부로 적용 가능하다.
스피커로 적용되는 경우 머리의 좌우 기울어짐에 따라 제1 스피커 또는 제2 스피커가 음향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음향 제공을 통해 기울어진 방향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은 단순 기계음 또는 "왼쪽으로 기울었습니다" 등과 같은 음성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는 좌우 기울어진 방향 뿐만 아니라 "전방으로 기울었습니다" 등과 같이 전후 기울어진 방향을 음성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진동 발생부는 일정 이상의 진동을 발생 가능한 진동센서, 진동모터 등으로 적용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머리의 좌우 기울어짐에 따라 제1 진동센서 또는 제2 진동센서가 진동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진동 제공을 통해 기울어진 방향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140)는 자이로 센서(101)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제1 신호 발생부(120) 또는 제2 신호 발생부(130)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제어부는 자이로 센서(101)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는 연산부(141)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연산부의 산출값을 통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가 좌측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신호 발생부(120)를 구동하고 머리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신호 발생부(130)를 구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자이로 센서(101)의 감지값 정도에 따라 제1 신호 발생부(120) 또는 제2 신호 발생부(130)의 구동 세기를 대응하여 조절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좌측 또는 우측으로 5도, 10도, 20도 기울어진 각도 변화에 따라 제어부는 음향 또는 진동의 세기를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시각차단 상태에서 머리의 기울어진 방향과 더불어 기울어진 각도 정도까지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머리의 다양한 기울어진 각도 범위와 이에 대응하는 음향 또는 진동의 다양한 출력 세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14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자이로 센서(101)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연산부(141)를 통해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한 후 메모리에 기저장된 출력 세기와 비교하여 제1 신호 발생부(120) 또는 제2 신호 발생부(130)로 대응되는 출력 변경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균형훈련장치를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2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 번호를 사용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가 사용자 머리의 좌우 방향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음향 또는 진동 신호를 제공하는데 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균형훈련장치는 좌우 방향에 더해 사용자의 전후 방향 기울어짐도 감지한 후 진동 신호 제공을 통해 사용자가 전후/ 좌우 기울어진 방향을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마련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균형훈련장치는 보조 헤드밴드(250)와 제3 및 제4 신호 발생부(260,270)를 더 포함한다.
먼저, 보조 헤드밴드(250)는 헤드밴드(200)와 교차하도록 연결되되 착용시 사용자의 안면부와 후두부 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재질은 헤드밴드와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 제3 및 제4 신호 발생부(260,270)는 보조 헤드밴드(250)의 양단 영역에 각각 마련되고, 사용자의 착용시 이마와 후두부에 접촉 가능하다.
제1 및 제2 신호 발생부(220,230)는 사용자의 머리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기울어진 방향을 시각적인 방법이 아닌 음향 또는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시각차단상태에서 머리의 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제3 및 제4 신호 발생부(260,270)는 사용자의 머리가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기울어진 방향을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신호 발생부(220,230,260,270)는 모두 진동 발생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제1 및 제2 신호 발생부(220,230)가 스피커 또는 진동 발생부이고 제3 및 제4 신호 발생부(260,270)는 진동 발생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신호 발생부(220,230)는 음향 또는 진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는 제3 및 제4 신호 발생부(260,270)의 경우 진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자이로 센서(201)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제1 내지 제4 신호 발생부(220,230,260,270)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며, 자이로 센서(201)의 감지값 정도에 따라 구동 세기를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유사하게 적용되므로 이하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균형훈련장치를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3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 번호를 사용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가 사용자 머리의 기울어진 방향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기울어진 방향을 인식하도록 음향 또는 진동을 제공하는데 반해, 제3 실시예는 빛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마련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균형훈련장치는 안대(310) 내면에 마련되어 광을 발산하는 한 쌍의 광 발산부(380)와 한 쌍의 광 발산부(380) 사이에 마련되어 양측을 구획하는 구획막(381)을 더 포함한다.
광 발산부(380)는 led로 적용 가능하고, 구획막(381)을 통해 어느 하나의 led로부터 발광된 빛은 일정 이상 차단 가능하다. 구획막(381)은 사용자 착용시 사용자의 좌측 눈, 우측 눈 영역을 구획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균형훈련장치는 사용자가 안대(310)를 착용하고 눈을 감은 상태에서 훈련을 실시할 수 있으며, 눈을 감은 상태에서도 인접한 전방의 빛을 어느 정도 감지할 수 있기에 제3 실시예는 사용자 머리의 기울어진 방향을 광 발산 제공을 통해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이로 센서(301)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한 쌍의 광 발산부(380)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며, 자이로 센서(301)의 감지값 정도에 따라 휘도를 대응하여 조절함으로써 좌우 기울어진 각도를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휘도 조절은 led로의 입력 전압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균형훈련장치를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4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 번호를 사용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균형훈련장치는 헤드밴드(400)와 안대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490)와, 헤드밴드(400)에 마련되어 와이어(490)를 탄성적으로 권취 또는 풀림 가능한 케이블 릴(491)을 더 포함한다.
케이블 릴(491)에는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490)가 권취되어 있으며, 케이블 릴(491)은 토션 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 복원 가능한 상태를 갖고 있다. 즉, 사용자는 안대(410)를 케이블 릴(491)로부터 이격되는 전방으로 길게 잡아당길 수 있으며, 이때 와이어(490)는 케이블 릴(491)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으로 풀리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헤드밴드(400) 착용후 안대(410)를 좀 더 편한 자세로 착용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490)는 일정 이상의 신축성을 갖는 연신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안대(410) 착용을 더욱 편리하게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헤드밴드 101: 자이로 센서
110: 안대 120: 제1 신호 발생부
130: 제2 신호 발생부 140: 제어부
141: 연산부 142: 메모리
250: 보조 헤드밴드 260: 제3 신호 발생부
270: 제4 신호 발생부 380: 광 발산부
381: 구획막 490: 와이어
491: 케이블 릴

Claims (8)

  1. 중앙 영역에 자이로 센서(101,201,301,401)가 마련되는 헤드밴드(100,200,300,400);
    상기 헤드밴드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거나 헤드밴드 일단 및 타단 영역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 신호 발생부(120,130,220,230);
    상기 헤드밴드(100,200,300,400)와 교차하도록 연결되되 착용시 사용자의 안면부와 후두부 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보조 헤드밴드(250);
    상기 보조헤드밴드의 일단 및 타단 영역에 각각 마련되는 제3 및 제4 신호발생부(260, 270);
    상기 헤드밴드(100,200,300,40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시각을 차단 가능한 안대(110,210,310,410);
    상기 자이로 센서(101,201,301,401)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좌우 기울어짐 및 전후 기울어짐 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머리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기울어진 곳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신호 발생부(120,220) 또는 제2 신호 발생부(130,230)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고, 또한 사용자의 머리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기울어진 곳에 대응하는 상기 제3 신호 발생부(260) 또는 제4 신호 발생부(270)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신호발생부(120,130,220,230)는 스피커가 적용되고, 상기 제3 및 제4 신호발생부(260,270)은 진동 발생부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자이로 센서(101,201,301,401)의 감지값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신호 발생부(120,220) 또는 제2 신호 발생부(130,230)의 구동 세기를 대응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대(110,210,310,410) 내면에 마련되어 광을 발산하는 한 쌍의 광 발산부(380)와 한 쌍의 광 발산부 사이에 마련되어 양측을 구획하는 구획막(38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이로 센서(101,201,301,401)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상기 한 쌍의 광 발산부(380)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되, 자이로 센서의 감지값 정도에 따라 휘도를 대응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밴드(100,200,300,400)와 안대(110,210,310,410)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490); 및
    상기 헤드밴드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490)를 탄성적으로 권취 또는 풀림 가능한 케이블 릴(49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490)는 일정 이상의 신축성을 갖는 연신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
KR1020190024739A 2019-03-04 2019-03-04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 KR102173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739A KR102173540B1 (ko) 2019-03-04 2019-03-04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739A KR102173540B1 (ko) 2019-03-04 2019-03-04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340A KR20200106340A (ko) 2020-09-14
KR102173540B1 true KR102173540B1 (ko) 2020-11-03

Family

ID=7247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739A KR102173540B1 (ko) 2019-03-04 2019-03-04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5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36300A (zh) * 2021-09-13 2022-03-04 温州医科大学 一种头位实时监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322B1 (ko) * 2015-09-08 2017-08-04 성승한 자세 교정 장치
KR101857785B1 (ko) * 2017-06-12 2018-05-15 최성욱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
KR200487509Y1 (ko) * 2017-04-03 2018-10-01 김학기 이어마개를 갖는 수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8434B2 (en) 2006-08-31 2010-11-09 Nike, Inc. Zone switched sports training eyewear
KR20180074868A (ko) * 2016-12-23 2018-07-04 주식회사 코엔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322B1 (ko) * 2015-09-08 2017-08-04 성승한 자세 교정 장치
KR200487509Y1 (ko) * 2017-04-03 2018-10-01 김학기 이어마개를 갖는 수경
KR101857785B1 (ko) * 2017-06-12 2018-05-15 최성욱 축구 드리블 훈련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340A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953789U (zh) 由用户佩戴的头部安装显示器
CN111432300B (zh) 用于颈部背面的感官刺激或监视装置
US9851568B2 (en) Retinal display projection device
US20170111740A1 (en) 3D Sound Field Using Bilateral Earpieces System and Method
US20180242073A1 (en) Audio Accelerometric Feedback through Bilateral Ear Worn Device System and Method
US9921645B2 (en) Retinal projection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a display of a retinal projection device
US11039651B1 (en) Artificial reality hat
KR102173540B1 (ko) 시각차단 상태에서 균형훈련을 위한 장치
ITMI20121957A1 (it) Occhiali ad elevata flessibilita' di utilizzo
KR101885473B1 (ko) 시각 장애인 보조용 스마트 글래스
KR20210153671A (ko) 헤드셋 사용자에 대한 머리 관련 전달 함수의 결정을 위한 사운드 주파수의 원격 추론
CN116367768A (zh) 听筒或与听筒相关的改进
KR101653768B1 (ko) 청각 장애인용 안경 스타일 웨어러블 단말기
US20220355063A1 (en) Hearing assistance devices with motion sickness prevention and mitigation features
US20170345274A1 (en) Neck posture recording and warning device
KR101663414B1 (ko) 가상현실 환경에서 사이버 멀미 경감을 위한 머리 장착형 사이버 멀미 경감 장치
KR102183398B1 (ko) 시력훈련시스템 및 시력훈련방법
KR20060073111A (ko)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
US20220321989A1 (en) Contextual Audio System
JP2019054385A (ja) 集音機器、補聴器、及び集音機器セット
KR102313973B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 보조 시스템
CN105193605A (zh) 视力康复训练仪
US11360564B1 (en) Tunable flexible haptic actuators and rel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H0647170A (ja) 仮想現実感生成装置
KR102036853B1 (ko) 발광형 음향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