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693B1 -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 Google Patents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693B1
KR101936693B1 KR1020180071443A KR20180071443A KR101936693B1 KR 101936693 B1 KR101936693 B1 KR 101936693B1 KR 1020180071443 A KR1020180071443 A KR 1020180071443A KR 20180071443 A KR20180071443 A KR 20180071443A KR 101936693 B1 KR101936693 B1 KR 101936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bration
acceleration
percussion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모
이진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Priority to KR1020180071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55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in which the light beam is sent from the weapon to the target

Abstract

본 발명은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에 대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은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진동, 음향 및 가속도 변화를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여 공포탄 격발을 인지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진동, 음향 및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의 신호 입력 여부, 입력 시간 및 순서를 판단하여 공포탄 격발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외부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100);,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인터럽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신호처리부(200);,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Module for recognizing percussion of blank ammunition, las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recognizing percussion of blank ammun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에 대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은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진동, 음향 및 가속도 변화를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여 공포탄 격발을 인지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진동, 음향 및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의 신호 입력 여부, 입력 시간 및 순서를 판단하여 공포탄 격발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발명 001은 총기의 방아쇠가 당겨지면 격발신호를 생성하는 격발신호 생성수단; 상기 생성된 격발신호를 출력하는 격발신호 출력수단; 상기 총기의 탄창 삽입부에 그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탄창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총기에 부착되며 표적물에 발사할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레이저 광 발사체;를 포함하는 총기 모사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2는 사격을 지휘하는 감독관이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는 사격개시 정보와 거리 설정정보를 입력받는 감독관 단말기(200); 상기 감독관 단말기(200)로부터 사격개시 정보와 거리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격개시 정보와 거리 설정정보를 각각 사격개시 신호와 타켓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사격장 관리 서버(100); 상기 사격장 관리 서버(100)로부터 타켓 제어시호를 전달받아 상기 감독관 단말기(200)에서 입력된 타켓정보에 해당하는 타켓으로 자동 교체하는 타켓 제어장치(400); 상기 사격장 관리 서버(100)로부터 사격개시 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부나 음향출력부를 통해 영상 또는 음향의 형태로 상기 사격개시 신호를 출력시켜 사격개시를 알리는 사수 단말기(300); 상기 사수 단말기(300)를 통해 사격개시 신호를 인지하고 사격이 개시됨에 따라, 사수의 총에서 발사되는 레이저빔이 포인팅된 타켓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타켓 촬영 카메라(500); 및 상기 사격장 관리 서버(100)가 상기 타켓 촬영 카메라(500)로부터 레이저빔이 포인팅된 타켓영상을 수신하여 사수의 사격점수를 산출하면, 통신망(600)을 통해 사수의 사격점수를 수신받아 하급부대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상급부대 서버(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사격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3은 모의 교전용 화기 부가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실거리 정보와 해당 화기의 화기정보를 마일즈 코드에 변조한 후, 변조된 마일즈 코드 정보를 레이저 광원으로 송출하는 사거리 측정장치로써, 상기 화기의 상측 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즈 기능을 갖는 사거리 측정 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4는 레이저사격 훈련을 위해 총기(10)에 장착되어 표적을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하고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 및 총성을 사격자에게 제공하는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에 있어서, 총열(11)의 전단 위치에 장착되어 발사신호에 따라 레이저빔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레이저발사기(110); 및 탄창과 대응되는 외형을 취하여 총기몸체(12)의 탄창삽입공(13)에 삽입되면서 상기 총기(10)에 장착되되, 상기 레이저발사기(110)와 신호 연결되며, 탄알의 발사없이 총기(10) 내부의 공이(14)가 격발동작하는 공격발에 의한 격발소음 또는 격발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공격발이 감지되면 상기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출력하고 내부에 장착된 진동발생모듈(130)을 구동시켜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을 발생시키며 메모리(125)에 저장된 실격발 총성의 음향데이터를 스피커(127)로 출력하는 제어모듈(120);을 포함하는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에 대한 것이다.
KR 10-0584928 B1 (등록일자 2006년05월23일) KR 10-0849124 B1 (등록일자 2008년07월23일) KR 10-1032124 B1 (등록일자 2011년04월22일) KR 10-1645805 B1 (등록일자 2016년07월29일)
본 발명은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에 대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은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진동, 음향 및 가속도 변화를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여 공포탄 격발을 인지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진동, 음향 및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의 신호 입력 여부, 입력 시간 및 순서를 판단하여 공포탄 격발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종래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포탄 격발인지모듈에 대한 발명으로서,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외부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100);,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인터럽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신호처리부(200);,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모듈은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진동감지부(110);,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감지부(120);, 가속도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하여 가속도신호를 출력하는 가속도감지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모듈은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기반으로 공포탄의 격발여부를 판단하여 레이저 광 생성신호를 출력하는 격발인지부(310);, 상기 레이저 광 생성신호를 입력받아 레이저를 발사하도록 하는 레이저생성부(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레이저발사기에 대한 발명으로서, 화기 일측에 고정되는 몸체(410);,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청구항 1 내지 3의 공포탄 격발인지모듈의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레이저 광 신호를 출력하는 레이저방사부(420);, 상기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및 레이저방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에 대한 발명으로서,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외부변화를 감지하는 단계(S100);, 상기 감지된 변화값과 미리 입력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00);, 상기 변화값이 기준 설정값에 해당하는지를 토대로 공포탄 격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은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는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진동감지단계;,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감지단계;, 가속도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하여 가속도신호를 출력하는 가속도감지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은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공포탄 격발시 진동, 음향 및 가속도 크기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은 앞서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포탄 격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진동신호, 음향신호 및 가속도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진동, 음향 및 가속도 변화를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여 공포탄 격발을 인지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진동, 음향 및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의 신호 입력 여부, 입력 시간 및 순서를 판단하여 공포탄 격발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한다. 본 발명은 공포탄의 격발을 감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신호를 처리함에 있어, 각 신호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판단하는 논리를 부여하여 공포탄 격발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모듈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레이저발사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중 신호 수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중 공포탄 격발 여부 판단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공포탄 격발인지모듈에 대한 발명으로서,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외부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100);,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인터럽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신호처리부(200);,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진동, 음향 및 가속도 변화를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여 공포탄 격발을 인지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진동, 음향 및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의 신호 입력 여부, 입력 시간 및 순서를 판단하여 공포탄 격발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한다. 종래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은 단순히 화기에 음향과 진동이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기준으로 공포탄 격발 여부를 판단하였다. 따라서 화기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화기는 이를 공포탄 격발에 의한 것으로 오인하여 의도하지 않은 레이저 광 신호를 출력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공포탄 격발을 감지하기 위해 복수 신호를 처리하며, 각 신호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판단하여 공포탄 격발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하는 목적을 가진다. 앞에서 제시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감지부, 신호처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감지부는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외부변화(진동/충격, 음향 및 가속도)를 감지한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인터럽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인터럽트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화기 기종에 따른 음향 및 진동의 크기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신호처리부는 감지부로부터 음향 신호와 진동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며, 음향 신호와 진동 신호의 크기를 기 설정된 신호의 범위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신호의 범위는 화기의 기종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는 진동 신호와 음향 신호를 발생 순서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와 진동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어, 그 자체로 제어부로 입력하는 것이 불가능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제어부에 음향 신호와 진동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음향 정보와 진동 정보를 인터럽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는 음향 및 진동량이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로 음향 및 진동으로 인한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및 진동량이 기 설정된 범위에 미달하는 경우, 음향 및 진동을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제어부로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 이후, 저장한 진동 및 음향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 및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받은 복수의 신호처리 결과에 따라 공포탄 격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연산 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진동감지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진동감지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화기에서 공포탄이 격발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후술하게 될 레이저방사부 및 전원공급부에 레이저 광 생성신호를 출력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진동감지부(110);,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감지부(120);, 가속도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하여 가속도신호를 출력하는 가속도감지부(130);를 포함한다.
공포탄 격발시 발생한 진동, 음향 및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감지부는 공포탄 격발시 발생한 진동을 감지하며, 상기 음향감지부는 공포탄 격발시 발생한 음향을 감지하며, 상기 가속도감지부는 공포탄 격발시 발생한 가속도 크기와 방향을 감지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부는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한다.
공포탄 격발로 인하여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감지부는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감지부는 공포탄 격발인지모듈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면, 진동감지정보를 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감지부는 진동량이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진동감지정보를 제어부로 출력하며, 진동량이 기 설정된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 및 신호처리부로 별도의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음향감지부는 음향센서를 포함한다.
공포탄 격발로 인하여 발생한 음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음향감지부는 음향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감지부는 음향을 감지하면, 음향감지정보를 제어부 및 신호처리부로 출력한다. 상기 음향감지부는 음향의 음량이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음향감지정보를 제어부 및 신호처리부로 출력하며, 음향의 음량이 기 설정된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 및 신호처리부로 별도의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실시예 2-2, 2-3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센서 및 음향센서 일측에 부착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한다.
진동 및/또는 충격 등의 완충역할을 하여 정확한 감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수단은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진동감지센서 및 음향센서에 부착한다. 상기 완충수단은 센서 압력에 대해 민감하게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감지부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한다.
공포탄 격발의 반동으로 인한 공포탄 격발인지모듈의 속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속도감지부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가속도감지부는 가속도의 크기와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감지부는 공포탄 격발인지모듈의 속도 변화를 감지하면, 가속도감지정보를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속도감지부는 반동에 의한 가속도의 크기 및 방향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감지부는 가속도의 크기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고, 가속도의 방향이 기 설정된 방향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면, 가속도감지정보를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감지부는 가속도의 방향이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거나 가속도의 크기가 기 설정된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가속도를 공포탄 격발에 의한 것이 아닌 다른 원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감지부는 가속도 변화를 무시하여 제어부로 별도의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속도감지부가 설정한 가속도의 크기와 방향은 공포탄 격발인지모듈을 구비하는 화기의 특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기반으로 공포탄의 격발여부를 판단하여 레이저 광 생성신호를 출력하는 격발인지부(310);, 상기 레이저 광 생성신호를 입력받아 레이저를 발사하도록 하는 레이저생성부(320);를 포함한다.
화기에서 짧은 시간내 수 회에 걸쳐 공포탄이 발사될 경우, 하나의 제어부에서 수 회에 걸친 공포탄 격발을 인지하고 레이저 광 생성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는 격발인지부와 레이저생성부로 분할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격발인지부는 음향감지부, 진동감지부, 가속도감지부 및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받은 복수의 신호 정보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격발인지부는 복수의 신호 정보의 처리 결과에 따라 공포탄의 격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격발인지부는 진동감지부의 구동 신호에 의해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발인지부는 진동감지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발인지부는 복수의 신호 정보를 처리한 결과 공포탄이 격발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레이저생성부로 레이저 광 생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생성부는 격발인지부로부터 입력받은 레이저 광 생성신호에 따라 레이저 발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레이저발사기에 대한 발명으로서, 화기 일측에 고정되는 몸체(410);,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청구항 1 내지 3의 공포탄 격발인지모듈의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레이저 광 신호를 출력하는 레이저방사부(420);, 상기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및 레이저방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30);를 포함한다.
모의 화기의 공포탄 격발시 레이저 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레이저발사기는 화기의 공포탄 격발 여부를 판단하는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공포탄 격발시 외부로 레이저 광 신호를 출력하는 레이저방사부 및 공포탄 격발인지모듈과 레이저방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저방사부는 공포탄 격발시 공포탄 격발인지모듈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레이저 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방사부는 훈련자 식별부호, 화기 정보, 탄종 정보 및 레이저 코드 등을 포함하는 레이저 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공포탄 격발인지모듈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레이저방사부로 레이저 광 신호 출력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에 대한 발명으로서,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외부변화를 감지하는 단계(S100);, 상기 감지된 변화값과 미리 입력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00);, 상기 변화값이 기준 설정값에 해당하는지를 토대로 공포탄 격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포탄 격발시 진동, 음향 및 가속도 신호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판단하는 논리를 부여하여, 공포탄 격발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격발인지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외부변화 감지단계, 제어신호 생성단계, 공포탄 격발 여부 판단단계 순서로 제시된다. 앞에서 제시한 상기 외부변화 감지단계는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진동, 음향 및 가속도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단계는 수신된 감지 결과 정보와 기 설정된 정보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신호는 제어부로 공급된다. 상기 공포탄 격발 여부 판단단계는 공포탄 격발시 발생된 음향, 진동 및 가속도 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는 제어부에서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의 신호 수신 및 공포탄 격발 여부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화기의 공포탄 격발시 화기에 진동이 전달되며, 이를 진동감지부에서 감지한다. 진동을 감지한 진동감지부는 제어부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경우에는 구동을 종료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진동 신호, 음향 신호 및 가속도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진동 신호, 음향 신호 및 가속도 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진동 신호, 음향 신호 및 가속도 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공포탄 격발에 의한 것이 아닌 별개의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공포탄 격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공포탄을 격발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레이저생성부로 레이저 광 생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생성부는 격발인지부로부터 입력받은 레이저 광 생성신호에 따라 레이저 발사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은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며, 디바이스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로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로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외부변화 감지단계에서 입력된 신호를 인터럽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음향 신호와 진동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제어부로 입력하는 것이 불가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어부에 음향 신호와 진동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음향 정보와 진동 정보를 인터럽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한 이후에는, 진동 및 음향 신호를 발생 순서에 따라 저장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외부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는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진동감지단계;,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감지단계;, 가속도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하여 가속도신호를 출력하는 가속도감지단계;를 포함한다.
공포탄 격발시 발생한 진동, 음향 및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감지단계는 진동감지센서에 의해 공포탄 격발시 발생한 진동을 감지한다. 상기 음향감지단계는 음향센서에 의해 공포탄 격발시 발생한 음향을 감지한다. 상기 가속도감지단계는 가속도센서에 의해 공포탄 격발시 가속도 크기와 방향을 감지한다. 상기 단계를 통해 감지한 음향, 진동 및 가속도 신호에 관한 정보는 제어부 및 신호처리부로 출력한다.
[실시예 7-1]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공포탄 격발시 진동, 음향 및 가속도 크기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공포탄 격발로 인한 것이 아닌 진동, 음향 및 가속도에 의한 레이저 발사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공포탄 격발시 진동, 음향 및 가속도의 크기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와 가속도의 방향이 기 설정된 방향의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제어부에서 판단한다. 제어부는 음향감지부, 진동감지부 및 가속도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음향, 진동 및 가속도 정보로부터 공포탄 격발인지모듈이 장착된 화기가 공포탄을 격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실시예 8-1] 본 발명의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공포탄 격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진동신호, 음향신호 및 가속도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구동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구동이 종료되기 전에,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진동, 음향 및 가속도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구동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진동, 음향 및 가속도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입력받는 경우에는, 화기의 공포탄 격발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진동, 음향 및 가속도 신호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나, 제어부가 구동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발생하여 이를 입력받지 못한 경우에는, 공포탄의 격발이 아닌 다른 사건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진동, 음향 및 가속도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발생하였으나, 상기 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공포탄의 격발이 아닌 다른 사건에 의하여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는 다르게 제어부가 구동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진동, 음향 및 가속도 신호를 입력받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먼저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입력받은 진동, 음향 및 가속도 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100 : 감지부 110 : 진동감지부
120 : 음향감지부 130 : 가속도감지부
200 : 신호처리부 300 : 제어부
310 : 격발인지부 320 : 레이저생성부
410 : 몸체 420 : 레이저방사부
430 : 전원공급부

Claims (8)

  1. 공포탄 격발인지모듈에 있어서,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외부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100);,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인터럽트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신호처리부(200);,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300);,
    상기 감지부는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진동감지부(110);,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감지부(120);,
    가속도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하여 가속도신호를 출력하는 가속도감지부
    (130);,
    진동감지센서 및 음향센서 일측에 부착되는 완충수단;,
    상기 신호처리부는 화기 기종에 따른 음향 및 진동의 크기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기반으로 공포탄의 격발여부를 판단하여 레이저 광 생성신호를 출력하는 격발인지부(310);,
    상기 레이저 광 생성신호를 입력받아 레이저를 발사하도록 하는 레이저생성부(320);를 포함하는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4. 화기 일측에 고정되는 몸체(410);,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청구항 1 또는 3의 공포탄 격발인지모듈의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레이저 광 신호를 출력하는 레이저방사부(420);,
    상기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및 레이저방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30);를 포함하는 레이저발사기.
  5. 공포탄 격발인지방법에 있어서,
    공포탄 격발시 발생하는 외부변화를 감지하는 단계(S100);,
    상기 감지된 변화값과 미리 입력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00);,
    상기 변화값이 기준 설정값에 해당하는지를 토대로 공포탄 격발 여부를 판단
    하는 단계(S300);,
    상기 외부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는 진동을 감지하여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진
    동감지단계;,
    음향을 감지하여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감지단계;,
    가속도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하여 가속도신호를 출력하는 가속도감지단계;를 포함하고, 화기의 공포탄 격발시 화기에 진동이 감지되면 제어부로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구동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는 진동 신호, 음향 신호 및 가속도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공포탄 격발시 진동, 음향 및 가속도 크기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포탄 격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진동신호, 음향신호 및 가속도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KR1020180071443A 2018-06-21 2018-06-21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KR101936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443A KR101936693B1 (ko) 2018-06-21 2018-06-21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443A KR101936693B1 (ko) 2018-06-21 2018-06-21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693B1 true KR101936693B1 (ko) 2019-04-11

Family

ID=6616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443A KR101936693B1 (ko) 2018-06-21 2018-06-21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69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4296A (ko) * 2004-09-29 2006-05-16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이차전지 충방전 제어회로 및 센싱 무선단말
KR100584928B1 (ko) 2004-01-06 2006-06-07 (주)한림에스티 총기 모사시스템
JP2007298267A (ja) * 2006-04-07 2007-11-15 Babcock Hitachi Kk 発射弾検出器、弾薬管理装置及び発射弾数計数装置
KR100849124B1 (ko) 2008-01-25 2008-07-30 (주)이인텍 모의사격 시스템 및 방법
KR101032124B1 (ko) 2010-11-02 2011-05-02 송승준 마일즈 기능을 갖는 사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
KR20110113839A (ko) * 2010-04-12 2011-10-19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레이저 광 출력장치와 통합된 공포탄 어뎁터 및 그에 따른 공포탄 어뎁터가 장착된 화기
KR101645805B1 (ko) 2014-09-17 2016-08-04 차춘옥 공격발을 이용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928B1 (ko) 2004-01-06 2006-06-07 (주)한림에스티 총기 모사시스템
KR20060044296A (ko) * 2004-09-29 2006-05-16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이차전지 충방전 제어회로 및 센싱 무선단말
JP2007298267A (ja) * 2006-04-07 2007-11-15 Babcock Hitachi Kk 発射弾検出器、弾薬管理装置及び発射弾数計数装置
KR100849124B1 (ko) 2008-01-25 2008-07-30 (주)이인텍 모의사격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3839A (ko) * 2010-04-12 2011-10-19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레이저 광 출력장치와 통합된 공포탄 어뎁터 및 그에 따른 공포탄 어뎁터가 장착된 화기
KR101032124B1 (ko) 2010-11-02 2011-05-02 송승준 마일즈 기능을 갖는 사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
KR101645805B1 (ko) 2014-09-17 2016-08-04 차춘옥 공격발을 이용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541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 gunshot sequence or recoil dynamics of a gunshot for a firearm
US86168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fire shot event in a weapon
US20100240015A1 (en) Light Based Projectile Detection System for a Virtual Firearms Training Simulator
CN112513556B (zh) 用于检测射击事件的设备和方法
US3948522A (en) Projectile simulation
KR101997387B1 (ko) 음향 센서를 이용한 탄착점 추정 방법 및 장치
KR101936693B1 (ko)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KR101034558B1 (ko) 스크린 영상을 이용한 레저용 클레이 사격 시뮬레이션 방법, 시스템 및 기록매체
JPWO2002065049A1 (ja) 射撃訓練用レーザ送受信システム、射撃訓練用レーザ送信器、及び射撃訓練用レーザ受信器
US20230113679A1 (en) Electromechanical trigger and methods of operating a gun using the same
US7617778B2 (en) Impact cartridge unit for military exercise
US6890178B2 (en) Digital pistol
KR101645805B1 (ko) 공격발을 이용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
JPH11142098A (ja) 投下爆弾の着弾位置検出方法及び装置
JP7406617B1 (ja) 発射弾数カウンタ、発射弾数検出器、情報処理装置、発砲判定プログラム
KR20070040494A (ko) 영상사격훈련시스템
US104385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ed non-lethal weapons training
KR101765144B1 (ko) 2인용 스크린 슈팅 게임의 총기 발사 감지 장치 및 방법
CN216676977U (zh) 可见光弹射击玩具及接收靶标
KR100572006B1 (ko)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KR19990045317A (ko)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KR102327663B1 (ko) 전술 훈련용 모의소총 및 이를 이용한 전술 훈련 방법
CN214372014U (zh) 一种虚拟训练枪感应系统
KR20240060743A (ko) 레이저 사격 시스템의 자동 영점 보정 방법
KR101280093B1 (ko) 피격 재현을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