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805B1 - 공격발을 이용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 - Google Patents

공격발을 이용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805B1
KR101645805B1 KR1020140123687A KR20140123687A KR101645805B1 KR 101645805 B1 KR101645805 B1 KR 101645805B1 KR 1020140123687 A KR1020140123687 A KR 1020140123687A KR 20140123687 A KR20140123687 A KR 20140123687A KR 101645805 B1 KR101645805 B1 KR 101645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foot
gun
shooting
at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927A (ko
Inventor
차춘옥
한선우
Original Assignee
차춘옥
한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춘옥, 한선우 filed Critical 차춘옥
Priority to KR102014012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80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레이저사격 훈련을 위해 총기(10)에 장착되어 표적을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하고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 및 총성을 사격자에게 제공하는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에 있어서, 총열(11)의 전단 위치에 장착되어 발사신호에 따라 레이저빔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레이저발사기(110); 및 탄창과 대응되는 외형을 취하여 총기몸체(12)의 탄창삽입공(13)에 삽입되면서 상기 총기(10)에 장착되되, 상기 레이저발사기(110)와 신호연결되며, 탄알의 발사없이 총기(10) 내부의 공이(14)가 격발동작하는 공격발에 의한 격발소음 또는 격발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공격발이 감지되면 상기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출력하고 내부에 장착된 진동발생모듈(130)을 구동시켜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을 발생시키며 메모리(125)에 저장된 실격발 총성의 음향데이터를 스피커(127)로 출력하는 제어모듈(120);을 포함하는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격발을 이용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Fire Simulation Apparatus For Laser Firing Using Dry Firing}
본 발명은 공격발을 이용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사격 훈련을 위해 총기에 장착되어 표적을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하고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 및 총성을 사격자에게 제공하는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사격 훈련시에는 표적에 레이저 감지장치를 두고 K2 소총이나 M16 소총 등의 총기의 전단에 레이저발사기를 장착하여 상기 레이저발사기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빔이 레이저 감지장치에 수광되는 정도에 따라 사격의 정확성 여부를 따지거나 상기 레이저발사기의 영점을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발사기로부터 레이저빔을 발사시키기 위해서는 사격자가 상기 레이저발사기와 신호연결되어 방아쇠 근처에 장착된 발사스위치를 눌러 레이저발사기로부터 표적을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사격의 정확도를 위해서는 사격자가 가늠좌를 표적에 정밀하게 겨냥하는 동작뿐만 아니라 무호흡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방아쇠를 서서히 누르는 동작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이 레이저사격 훈련시에는 사격자가 방아쇠를 누르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발사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을 취하기 때문에 상기 방아쇠를 서서히 눌러 사격자가 의식하지 않은 상태에서 탄알이 발사되도록 하는 사격훈련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73983호(2011.10.10), 모의사격용 반동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046139호(2011,07.01), 케이2 자동소총의 공포탄 반동력을 대체한 반동력발생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총기가 장전된 상태에서 방아쇠의 누름동작에 의해 공이가 격발동작하는 공격발을 감지하여 레이저발사기가 레이저빔을 자동발사하도록 동작됨으로써 레이저사격 훈련시에도 방아쇠를 누르는 사격훈련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공격발을 이용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레이저사격 훈련을 위해 총기(10)에 장착되어 표적을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하고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 및 총성을 사격자에게 제공하는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에 있어서, 총열(11)의 전단 위치에 장착되어 발사신호에 따라 레이저빔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레이저발사기(110); 및 탄창과 대응되는 외형을 취하여 총기몸체(12)의 탄창삽입공(13)에 삽입되면서 상기 총기(10)에 장착되되, 상기 레이저발사기(110)와 신호연결되며, 탄알의 발사없이 총기(10) 내부의 공이(14)가 격발동작하는 공격발에 의한 격발소음 또는 격발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공격발이 감지되면 상기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출력하고 내부에 장착된 진동발생모듈(130)을 구동시켜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을 발생시키며 메모리(125)에 저장된 실격발 총성의 음향데이터를 스피커(127)로 출력하는 제어모듈(120);을 포함하는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탄창삽입공(13)에 삽입되면서 상단이 상기 총기몸체(1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위치에는 상기 총기몸체(12) 내에서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는 노리쇠(16)의 전진된 상태를 감지하는 노리쇠전진 감지부(160)가 배치되며, 상기 노리쇠전진 감지부(160)에서 노리쇠(16)의 전진된 상태가 감지된 이후에 상기 공격발에 의한 격발소음 또는 격발진동이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레이저사격 훈련을 위해 총기(10)에 장착되어 표적을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하고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 및 총성을 사격자에게 제공하는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에 있어서, 총열(11)의 전단 위치에 장착되어 발사신호에 따라 레이저빔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레이저발사기(110); 탄알과 대응되는 외형으로 형성되어 총기몸체(12) 내부의 약실(17) 위치에 삽입되면서 상기 총기(10)에 장착되며, 탄알의 발사없이 총기(10) 내부의 공이(14)가 격발동작하는 공격발에 의한 공이(14)의 전방이동에 따라 가압되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공격발감지모듈(170); 및 탄창과 대응되는 외형을 취하여 총기몸체(12)의 탄창삽입공(13)에 삽입되면서 장착되고 상기 공격발감지모듈(170)이 상단에 탄알삽탄 방식으로 끼워지며, 상기 레이저발사기(110) 및 공격발감지모듈(170)과 각각 신호연결되어 상기 공격발이 감지되면 상기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출력하고 내부에 장착된 진동발생모듈(130)을 구동시켜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을 발생시키며 메모리(125)에 저장된 실격발 총성의 음향데이터를 스피커(127)로 출력하는 제어모듈(120);을 포함하되, 상기 공격발감지모듈(170)은, 상기 제어모듈(120)의 상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총기몸체(12) 내부의 노리쇠(16) 전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약실(17)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총기(10)가 장전된 상태에서 방아쇠(18a)의 누름동작에 의해 공이(14)가 격발동작하는 공격발을 제어모듈(120)이 감지하여 레이저발사기(110)가 레이저빔을 자동발사하도록 동작됨으로서 레이저사격 훈련시에도 방아쇠(18a)를 누르는 사격훈련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격훈련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어모듈(120)의 경우 총기(10)에 장착됨에 있어서, 탄창과 대응되는 외형으로 형성되어 실제 탄창과 마찬가지로 총기(10)의 탄창삽입공(13)에 삽입되면서 총기(10)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모듈(120)을 총기(10)에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상기 브라켓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더욱 견고하게 제어모듈(120)을 장착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제어모듈(120)이 탄창삽입공(13)에 삽입됨에 따라 제어모듈(120)의 상단에 배치된 공격발감지센서(122)가 총기몸체(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공이(14)의 격발동작에 의한 공격발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제어모듈(120)에는 총기(10)의 장전을 위해 총기몸체(12) 내에서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는 노리쇠(16)의 전진된 상태를 감지하는 노리쇠전진 감지부(160)가 배치되며,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노리쇠전진 감지부(160)에서 노리쇠(16)의 전진된 상태가 감지된 이후에 상기 공격발에 의한 격발소음 또는 격발진동이 감지된 경우에만 레이저발사기(11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총기(10)의 장전을 위해 노리쇠(16)가 후퇴하고 다시 전진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제어모듈(120)이 공격발로 오인하여 레이저빔을 오발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공격발감지모듈(170)을 총기몸체(12) 내부의 약실(17)에 삽입하여 상기 공격발에 의해 공이(14)가 전방이동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격발소음 또는 격발진동의 오감지에 따른 레이저빔의 오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공격발감지모듈(170)의 경우 탄알과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어 탄창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 제어모듈(120)의 상단에 실제 탄알과 같이 탄알삽탄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으므로, 노리쇠(16)의 전진에 따라 가압되면서 상기 약실(17)의 내부에 안정적이고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제어모듈(120)은 공격발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레이저발사기(110)을 발사구동시키되, 내부에 장착된 진동발생모듈(130)을 구동시켜 탄알이 발사되는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을 발생시키며 메모리(125)에 저장된 실격발 총성의 음향데이터를 스피커(127)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격훈련에 대한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20)은 스피커(127)를 통해 실격발 총성소리 뿐만 아니라 원격제어나 별도의 스위치 동작에 의해 사격훈련에 필요한 사격지시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확성기나 스피커로 전체 사격자들에 통합방송하여 사격지시하는 것과 비교하여 사격자에게 사격지시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가 총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공격발감지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몇가지 용어들을 정의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실격발'은 총기(10)에 실제 탄알이 삽입되고 노리쇠(16)가 후퇴, 전진하여 장전된 상태에서 방아쇠(18a)의 누름동작에 의해 공이(14)가 격발동작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탄알의 후미를 타격함으로써 탄알을 발사(화약폭발)시키기 위한 격발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실격발의 격발소음은 탄알의 화약이 폭발하는 총성이다.
또한, '공격발'은 실제 탄알이 삽입되지 않고 노리쇠(16)가 후퇴, 전진하여 장전된 상태에서 방아쇠(18a)의 누름동작에 의해 공이(14)가 격발동작하여 단순히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노리쇠(16)의 후단과 접촉하는 격발을 의미하며, 상기 공격발의 격발소음은 해머(18b)가 공이(14)를 타격하는 것과 이에 공이(14)가 전진하면서 노리쇠(16)와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금속마찰음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격발을 이용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는, 총기(10)가 장전된 상태에서 방아쇠(18a)의 누름동작에 의해 공이(14)가 격발도작하는 공격발을 감지하여 레이저발사기(110)가 레이저빔을 자동발사하도록 동작됨으로써 레이저사격 훈련시에도 방아쇠(18a)를 누르는 사격훈련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로서, 이하에서는 상기 공격발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는, 공격발에 의한 격발소음 또는 격발진동을 감지하여 레이저빔 발사, 반동발생 및 총성효과를 구현하는 사격모사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발사기(110) 및 제어모듈(12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레이저발사기(110)는, 발사신호에 따라 표적을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빔 출력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기(10)에 장착되어 제어모듈(120)의 발사신호에 따라 레이저빔을 전방으로 발사한다.
여기서, 상기 표적은 레이저사격 훈련시 사용되는 타겟이거나 레이저발사기(110)의 영점조정을 위한 타겟판이거나, 마일즈 훈련시 상대팀 인원이 착용한 레이저 감지띠일 수 있으며, 레이저발사기(110)는 하나의 발사신호별로 한 발의 레이저빔을 발사하도록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레이저발사기(110)가 총열(11)의 전단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총기몸체(12)의 일측이나 총구 전방에 장착될 수도 있다. 다만 총열(11)을 통해 발사되는 탄알의 발사방향과 레이저발사기(110)을 통해 발사되는 레이저빔의 발사방향은 전방을 향해 상호 평행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레이저발사기(110)는 총기(10)에 장착됨에 있어서 도면에서와 같이 브라켓(111)을 통해 장착된 후에는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체결되어 레이저사격 훈련시 격한 움직임이나 충격에 의해 장착상태가 탈거되거나 레이저발사기(110)의 장착된 상태가 틀어지면서 레이저발사 방향이 변경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와 같이 레이저발사기(110)의 일측에는 제어모듈(120)과의 신호연결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112)가 구비되어 유선방식으로 신호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에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 구비된 경우 무선방식으로도 신호연결되어 제어모듈(120)로부터 출력되는 발사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120)은, 공격발에 의한 격발소음 또는 격발진동이 감지된 경우 방아쇠(18a)의 누름동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한 발의 레이저빔이 발사되도록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출력하고, 동시에 진동발생모듈(130) 및 스피커(127)를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로서, 실제 총기(10)에 장착되는 탄창과 대응되는 외형을 취하여 총기몸체(12)의 탄창삽입공(13)에 삽입되면서 총기(10)에 장착된다.
여기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20)의 일측에는 레이저발사기(110)와의 신호연결을 위한 케이블 커넥터(129a)가 구비되어 유선방식으로 신호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의 통신부(123)가 무선통신모듈로 구비된 경우 무선방식으로도 신호연결되어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탄알의 발사없이 총기(10) 내부의 공이(14)가 격발동작하는 공격발에 의한 격발소음 또는 격발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공격발이 감지되면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출력하고 내부에 장착된 진동발생모듈(130)을 구동시켜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을 발생시키며, 메모리(125)에 저장된 실격발 총성의 음향데이터를 스피커(127)로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탄창삽입공(13)에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탄창과 동일한 체결구조로 구비된 바디(121)와, 상기 공격발에 의한 격발소음 또는 격발진동을 감지하여 공격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공격발감지센서(122)와, 상기 공격발감지센서(122)와 신호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케이블 커넥터(129a)을 통해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출력하는 통신부(123)와, 제어신호에 따라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을 발생시키는 반동생성부(126)와, 제어신호에 따라 실격발 총성의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127)와, 수신된 공격발 감지신호에 따라 발사신호를 출력하고 동시에 반동생성부(126)와 스피커(127)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24) 및, 상기 실격발 총성 음향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12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121)는 총기(10)에 장착됨에 있어서, 실제 탄창과 대응되는 외형으로 형성되어 탄창과 마찬가지로 총기(10)의 탄창삽입공(13)에 삽입되면서 총기(10)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모듈(120)을 총기(10)에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상기 브라켓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더욱 견고하게 제어모듈(120)을 장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20)은 스피커(127)를 통해 실격발 총성소리 뿐만 아니라 원격제어나 별도의 스위치 동작에 의해 메모리(150)에 기저장된 사격훈련에 필요한 사격지시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확성기나 통합스피커로 전체 사격자들에 통합방송하여 사격지시하는 것과 비교하여 사격자에게 사격지시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20)의 내부에는 각 구성품에 구동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128)가 구비되거나, 외부 전원을 내부로 인가받기 위한 외부전원 커넥터(129b)가 구비되어 기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구동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동생성부(126)의 경우 내부에 전자석(미도시)과 이 전자석과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는 금속블럭 등의 자성체(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124)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석에 자장을 형성시킴으로써 이 자장에 의해 자성체가 강하게 흡착되면서 반동을 발생시키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석의 하부에 자성체가 배치되어 자장에 의해 자성체가 상향 이동하면서 전자석에 흡착되면서 상향 가압하여 실제 실격발시와 동일한 상하 반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방식의 반동발생 구조 이외에 가스압이나 공압을 이용하여 두 개의 부재를 선택적으로 충돌시켜 상하 반동을 발생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격발감지센서(122)는 제어모듈(120)의 상단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제어모듈(120)이 탄창삽입공(13)에 삽입되면서 상단이 총기몸체(12) 내부에 배치된 경우 공격발시 격발동작되는 공이(14)와 근접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격발감지센서(122)는 공격발에 의해 격발소음 감지하는 음향센서이거나, 상기 공격발에 의한 격발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격발감지센서(122)이 음향센서인 경우 메모리(125)에는 공격발에 의해 발생하는 격발소음의 음향주파수에 대한 기준치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음향센서로부터 발생되는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24)는 수신된 감지신호에 포함된 음향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기준치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공격발에 의한 격발소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격발감지센서(122)이 진동센서인 경우 메모리(125)에는 공격발에 의해 발생하는 격발진동의 진동주파수에 대한 기준치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발생되는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24)는 수신된 감지신호에 포함된 진동주파수 데이터와 상기 기준치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공격발에 의한 격발진동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총기(10)의 공격발을 위해서는 총기몸체(12) 내부의 노리쇠(16)를 후퇴하고 다시 전진시키는 장전과정이 필요한데, 이 경우 노리쇠(16)를 후퇴,전진시키는 중에 노리쇠(16)와 총기몸체(12) 내벽간의 마찰음이나 마찰진동에 의해 상기 공격발감지센서(122)가 공격발로 오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는 노리쇠전진 감지부(160)의 구성을 통해 상기 노리쇠(16)의 후퇴,전진을 통한 장전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만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리쇠전진 감지부(160)는 제어모듈(120)의 상단 위치에 배치되어 총기몸체(12) 내에서 수평으로 왕복이동하는 노리쇠(16)의 전진된 상태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노리쇠전진 감지부(160)는 노리쇠(16)의 전진에 따라 하향 가압되는 스위치 형태로 형성되어 가압되는 경우 감지신호를 제어부(124)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밖에 근접센서나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노리쇠(16)가 상부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4)는, 노리쇠전진 감지부(160)에서 노리쇠(16)의 전진된 상태가 감지된 이후에 상기 공격발에 의한 격발소음 또는 격발진동이 감지된 경우에만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된다. 이로 인해 총기(10)의 장전을 위해 노리쇠(16)가 후퇴하고 다시 전진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제어모듈(120)이 공격발로 오인하여 레이저빔을 오발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기(10)의 장전을 위해 사격자가 장전손잡이(미도시)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장전손잡이와 연결되어 있는 노리쇠(16)가 후퇴하면 총기몸체(12) 내부의 해머(18b)가 젖혀져 방아쇠(18a)의 걸림턱에 걸리면서 장전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리쇠(16)가 전진하면 제어모듈(120)의 상단에 배치된 노리쇠전진 감지부(160)가 이를 감지하게 되어 제어부(124)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격자가 실격발과 동일하게 방아쇠(18a)를 누르게 되면 방아쇠(18a)의 걸림턱에 걸려진 해머(18b)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서 탄성반발력에 의해 회동하면서 노리쇠(16) 내부의 공이(14)를 강하게 타격하게 되면서 공격발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해머(18b)가 공이(14)를 타격하거나 타격된 공이(14)가 전진하여 노리쇠(16)의 후단과 부딪히면서 공격발에 의한 격발소음이나 격발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공격발감지센서(122)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24)로 출력한다.
상기 공격발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24)는 노리쇠전진 감지부(160)에 의해 노리쇠(16)가 전진된 상태에서의 소음으로 인정하여 정상적인 격발소음이나 격발진동인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출력하여 레이저발사기(110)이 전방을 향해 한 발의 레이저빔을 발사하게 된다.
동시에 진동발생모듈(130)을 구동제어하여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을 발생시키며 메모리(125)에 저장된 실격발 총성의 음향데이터를 스피커(127)로 출력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는 공격발에 의해 공이(14)가 전진하는 것을 감지하여 레이저빔 발사, 반동발생 및 총성효과를 구현하는 사격모사장치로서, 도 1,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발사기(110), 공격발감지모듈(170) 및 제어모듈(12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레이저발사기(110)는, 총기(10)에 장착되어 발사신호에 따라 표적을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출력장치로서, 상술한 제1실시예의 레이저발사기(110)와 기능 및 동작방식이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공격발감지모듈(170)은, 공이(14)의 전진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감지신호를 제어모듈(120)로 출력하는 감지수단으로서, 탄알과 대응되는 외형으로 형성되어 총기몸체(12) 내부의 약실(17) 위치에 삽입되면서 총기(10)에 장착되며, 탄알의 발사없이 총기(10) 내부의 공이(14)가 격발동작하는 공격발에 의한 공이(14)의 전방이동에 따라 가압되어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공격발감지모듈(170)은 제어모듈(120)의 상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총기몸체(12) 내부의 노리쇠(16) 전진에 의해 가압되어 총기몸체(12) 내부의 약실(17)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격발감지모듈(170)은 공이(14)에 의한 가압을 감지함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알의 형상을 갖는 케이스(171)와, 상기 케이스(171)의 후미에 장착되어 공이(14)의 가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점되는 스위치부(172)와, 상기 스위치부(172)와 신호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부(172)의 접점을 감지하며 이에 따른 공격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발생부(177) 및, 상기 신호발생부(177)와 신호연결되어 생성된 공격발 감지신호를 제어모듈(120)로 출력하는 신호송출부(178)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172)는 케이스(171)의 후단에 내부의 탄성스프링(174)에 의해 탄발가능하게 장착되어 공이(14)에 의해 전단이 선택적으로 가압되며 후단에는 제1접속단자(175)가 구비된 가압판(173)과, 상기 가압판(173)의 후단 위치에 배치되어 가압판(173)의 가압에 따라 제1접속단자(175)와 접촉되는 제2접속단자(176a)가 구비된 단자부(176)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신호송출부(178)는 생성된 공격발 감지신호를 제어모듈(120)로 출력함에 있어서 무선통신모듈로 구비되어 무선방식으로 제어모듈(120)의 통신부(123)와 신호연결되어 제어모듈(12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도 8에서와 같이 케이스(171)의 일측에 구비된 케이블커넥터(179)를 통해 유선방식으로 신호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총기몸체(12) 내부의 빈 공간을 통해 케이블을 연결하여 신호연결되거나 총열(11) 단부의 총구를 통해 총열(11)로 케이블을 인입하여 신호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공격발감지모듈(170)로부터 공격발 감지에 따른 감지신호가 수신된 경우 방아쇠(18a)의 누름동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한 발의 레이저빔이 발사되도록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출력하고, 동시에 진동발생모듈(130) 및 스피커(127)를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탄창과 대응되는 외형을 취하여 총기몸체(12)의 탄창삽입공(13)에 삽입되면서 장착되고 상기 공격발감지모듈(170)이 상단에 탄알삽탄 방식으로 끼워지며, 상기 레이저발사기(110) 및 공격발감지모듈(170)과 각각 신호연결되어 상기 공격발이 감지되면 상기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출력하고 내부에 장착된 진동발생모듈(130)을 구동시켜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을 발생시키며 메모리(125)에 저장된 실격발 총성의 음향데이터를 스피커(127)로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120)은 상기 탄창삽입공(13)에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탄창과 동일한 체결구조로 구비되며 상단에는 탄알형상의 공격발감지모듈(170)가 끼워져 배치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21a)이 마련된 바디(121)와, 상기 공격발감지모듈(170)과 신호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케이블 커넥터(129a)을 통해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출력하는 통신부(123)와, 제어신호에 따라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을 발생시키는 반동생성부(126)와, 제어신호에 따라 실격발 총성의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127)와, 수신된 공격발 감지신호에 따라 발사신호를 출력하고 동시에 반동생성부(126)와 스피커(127)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24) 및, 상기 실격발 총성 음향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12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격발감지모듈(170)을 총기몸체(12) 내부의 약실(17)에 삽입하여 상기 공격발에 의해 공이(14)가 전방이동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격발소음 또는 격발진동의 오감지에 따른 레이저빔의 오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격발감지모듈(170)의 경우 탄알과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어 탄창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 제어모듈(120)의 상단에 실제 탄알과 같이 탄알삽탄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으므로, 노리쇠(16)의 전진에 따라 가압되면서 상기 약실(17)의 내부에 안정적이고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기(10)의 장전을 위해 노리쇠(16)가 후퇴하면 총기몸체(12) 내부의 해머(18b)가 뒤로 젖혀져 방아쇠(18a)의 걸림턱이 걸리면서 장전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리쇠(16)가 전진하면 제어모듈(120)의 상단에 끼워진 공격발감지모듈(170)이 노리쇠(16)에 의해 가압되면서 약실(17)로 삽입되면서 장착된다.
이후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격자가 실격발과 동일하게 방아쇠(18a)를 누르게 되면 방아쇠(18a)의 걸림턱에 걸려진 해머(18b)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서 탄성반발력에 의해 회동하면서 노리쇠(16) 내부의 공이(14)를 강하게 타격하게 되면서 공격발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해머(18b)가 공이(14)를 타격하게 되면 공이(14)의 전단에 배치된 공격발감지모듈(170)의 후단 즉 가압판(173)이 공이(14)에 의해 가압되고 이로 인해 스위치부(172)가 접점되고 신호발생부(177)가 접점을 감지하여 공격발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격발 감지신호를 신호송출부(178)가 제어모듈(120)로 전송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공격발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24)는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출력하여 레이저발사기(110)이 전방을 향해 한 발의 레이저빔을 발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총기(10)가 장전된 상태에서 방아쇠(18a)의 누름동작에 의해 공이(14)가 격발동작하는 공격발을 제어모듈(120)이 감지하여 레이저발사기(110)가 레이저빔을 자동발사하도록 동작됨으로서 레이저사격 훈련시에도 방아쇠(18a)를 누르는 사격훈련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격훈련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20)은 공격발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레이저발사기(110)을 발사구동시키되, 내부에 장착된 진동발생모듈(130)을 구동시켜 탄알이 발사되는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을 발생시키며 메모리(125)에 저장된 실격발 총성의 음향데이터를 스피커(127)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격훈련에 대한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총기 12...총기몸체
13...탄창삽입공 14...공이
16...노리쇠 17...약실
18a...방아쇠 18b...해머
110...레이저발사기 120...제어모듈
121...바디 122...공격발감지센서
123...통신부 124...제어부
125...메모리 126...반동생성부
127...스피커 128...배터리
170...공격발감지모듈 171...케이스
172...스위치부 177...신호발생부
178...신호송출부

Claims (3)

  1. 레이저사격 훈련을 위해 총기(10)에 장착되어 표적을 향해 레이저빔을 발사하고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 및 총성을 사격자에게 제공하는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에 있어서,
    총기(10)에 장착되어 발사신호에 따라 레이저빔을 전방으로 발사하는 레이저발사기(110);
    탄알과 대응되는 외형으로 형성되어 총기몸체(12) 내부의 약실(17) 위치에 삽입되면서 상기 총기(10)에 장착되며, 탄알의 발사없이 총기(10) 내부의 공이(14)가 격발동작하는 공격발에 의한 공이(14)의 전방이동에 따라 가압되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공격발감지모듈(170); 및
    탄창과 대응되는 외형을 취하여 총기몸체(12)의 탄창삽입공(13)에 삽입되면서 장착되고 상기 공격발감지모듈(170)이 상단에 탄알삽탄 방식으로 끼워지며, 상기 레이저발사기(110) 및 공격발감지모듈(170)과 각각 신호연결되어 상기 공격발이 감지되면 상기 레이저발사기(110)로 발사신호를 출력하고 내부에 장착된 진동발생모듈(130)을 구동시켜 실격발과 유사한 반동을 발생시키며 메모리(125)에 저장된 실격발 총성의 음향데이터를 스피커(127)로 출력하는 제어모듈(120);을 포함하되,
    상기 공격발감지모듈(170)은, 상기 제어모듈(120)의 상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총기몸체(12) 내부의 노리쇠(16) 전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약실(17)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40123687A 2014-09-17 2014-09-17 공격발을 이용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 KR101645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687A KR101645805B1 (ko) 2014-09-17 2014-09-17 공격발을 이용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687A KR101645805B1 (ko) 2014-09-17 2014-09-17 공격발을 이용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927A KR20160032927A (ko) 2016-03-25
KR101645805B1 true KR101645805B1 (ko) 2016-08-04

Family

ID=5564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687A KR101645805B1 (ko) 2014-09-17 2014-09-17 공격발을 이용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8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693B1 (ko) 2018-06-21 2019-04-11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KR20190040918A (ko) 2017-10-11 2019-04-19 이승범 레이저 탄환, 탄피방출 제한기구 및 레이저인식표적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389B1 (ko) * 2006-12-06 2008-03-25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모의 탄창 및 이를 이용한 총기 모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982B1 (ko) * 2009-10-21 2012-06-08 (주)한국비에이 광신호를 이용한 격발 감지 장치
KR101046139B1 (ko) 2010-11-12 2011-07-01 김영준 케이2 자동소총의 공포탄 반동력을 대체한 반동력발생장치.
KR101073983B1 (ko) 2010-12-10 2011-10-17 (주)이인텍 모의사격용 반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389B1 (ko) * 2006-12-06 2008-03-25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모의 탄창 및 이를 이용한 총기 모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918A (ko) 2017-10-11 2019-04-19 이승범 레이저 탄환, 탄피방출 제한기구 및 레이저인식표적장치
KR101936693B1 (ko) 2018-06-21 2019-04-11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공포탄 격발인지모듈, 레이저발사기 및 이를 이용한 공포탄 격발인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927A (ko) 2016-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13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resetting trigger mechanism
US20100003643A1 (en) Simulated magazine and gun simulator using the simulated magazine
CN106415187B (zh) 用于武器的电子模拟设备
US104808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iming firearm practice drills
CN112513556B (zh) 用于检测射击事件的设备和方法
US11933575B2 (en) Shooting game system using airsoft gun, method for controlling safe dist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tracer
US9163894B1 (en) Laser transmission system for use with a firearm in a battle field training exercise
KR101645805B1 (ko) 공격발을 이용한 레이저사격용 사격모사장치
US90111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firing a gun
KR20070010263A (ko) 총기모사장치
KR101179218B1 (ko) 영상 사격 게임 장치 및 영상 사격 게임 제공 방법
KR20100136274A (ko) 공압 감지를 이용한 레이저 발사형 모의 화기
KR101234277B1 (ko) 서바이벌 게임용 모의 화기
WO2006096183A3 (en) Target-actuated weapon
TWI225145B (en) Digital pistol
KR20120012352A (ko) 홀센서를 이용한 사격게임용 총 및 사격게임시스템
KR101343393B1 (ko) 모의사격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모의사격훈련시스템
KR20160043248A (ko) 서바이벌 게임용 모의화기의 독립적 발사장치
KR101272360B1 (ko) 지능형 레이저 발사모듈부와 효과음 및 진동발광부를 구비한 마일즈 시스템
KR101153982B1 (ko) 광신호를 이용한 격발 감지 장치
US10712135B1 (en) Non-projectile cartridge for firearm
US7458304B1 (en) Mortar bomb vacuum positioning apparatus
JP2002081897A (ja) 射撃訓練装置
RU183244U1 (ru) Стрелков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военно-тактических игр
KR20090010876U (ko) 영상사격훈련용 총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