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331B1 - 솔더 볼 흡착용 지그 - Google Patents

솔더 볼 흡착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331B1
KR101278331B1 KR1020100097772A KR20100097772A KR101278331B1 KR 101278331 B1 KR101278331 B1 KR 101278331B1 KR 1020100097772 A KR1020100097772 A KR 1020100097772A KR 20100097772 A KR20100097772 A KR 20100097772A KR 101278331 B1 KR101278331 B1 KR 101278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 ball
jig
thin film
adsorption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091A (ko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331B1/ko
Priority to TW100131643A priority patent/TW201230216A/zh
Priority to JP2011195600A priority patent/JP2012084854A/ja
Priority to US13/233,710 priority patent/US8286851B2/en
Publication of KR2012003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07Solder feeding devices
    • B23K3/0623Solder feeding devices for shaped solder piece feeding, e.g. preforms, bumps, balls, pellets, droplets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Jig)에 전도성 박막을 내장시켜 전기적 센서구조의 접목을 통한 전기적인 센서링을 통해 미싱 볼(Missing ball)의 발생 여부는 물론이고, 비정상 솔더 볼(Rarge ball/Small ball/Ball Size)의 흡착 여부도 일일이 화상(Vision)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이 전기적으로 감지가 가능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솔더 볼 흡착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솔더 볼 흡착용 지그{THE JIG FOR ROUND SOLDER BALL ATTACHMENT}
본 발명은 솔더 볼 흡착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플립 칩(Flip Chip) 방식의 인쇄회로기판의 제조에 있어서, 특징적인 공정 중의 하나가 범핑(Bumping) 공정이다. 이러한 범핑 공정은 통상 프린팅(Printing)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플립 칩을 위한 범프(Bump) 제작시 기판의 용도, 디자인 등의 제약사항 등에 따라 별도의 부착장비(Attachment)를 이용하여 구형의 솔더 볼(Round Solder ball)을 직접 패드(Pad) 위에 부착하는 방식으로도 진행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솔더 볼을 패드 위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비는 지그(Jig)를 포함하고 있으며, 통상 진공방식을 통해 상기 지그가 솔더 볼을 흡착한 후 패드 위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범핑 공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지그를 포함하는 부착장비를 이용한 범핑 공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평한 접시 또는 케이스 등에 뿌려져 있는 구형의 솔더 볼에 지그를 인접시킨 상태에서 진공펌프를 가동하여 상기 솔더 볼을 흡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솔더 볼을 흡착하고 있는 지그를 플럭스(Flux)가 도포되어 있는 기판의 상부로 이동시킨 후 진공펌프의 가동을 중단하여 흡착한 솔더 볼을 패드 위에 낙하한다.
따라서, 상기 패드 위에 낙하한 상기 솔더 볼은 플럭스를 통해 부착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플립 칩 방식의 인쇄회로기판의 제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범핑 공정은 솔더 볼의 흡착과 함께 상기 솔더 볼의 흡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단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통상적으로 화상(Vision)에 의존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솔더 볼의 흡착 여부를 화상을 이용하여 감지하기 위한 기술로써, 솔더 볼을 흡착한 지그를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시켜 전수 흡착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즉, 화상을 통해 솔더 볼의 흡착이 정상으로 확인될 경우 지그를 기판 위로 이동시키고, 만약 솔더 볼의 미흡착(Missing ball)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초기 위치로 이동하여 솔더 볼을 재흡착한 후 전수 흡착 여부를 재확인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 1)은 카메라까지 지그를 이동한 후 솔더 볼의 흡착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관계로 불필요한 움직임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감지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이 제안된바,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은 솔더 볼 전달 다이로 기재되어 있는 지그의 표면에 전기패턴을 형성한 후 전기적으로 통전시키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패턴의 통전 여부에 따라 솔더 볼의 흡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굳이 화상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KR 10-2003-0021897 A KR 10-2006-0133282 A KR 10-2006-0132404 A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패턴이 전달 다이의 표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전달 다이에 형성된 수용홈에 솔더 볼이 정상적으로 접착되었는지에 대한 감지 및 판단만이 가능하다.
즉, 솔더 볼의 흡착 여부에 대한 감지기능은 확보하고 있으나, 비정상적인 솔더 볼이 상기 수용홈에 흡착되었는지에 대한 감지기능은 확보하고 있지 않아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특허문헌 1)과 같이 화상을 통해서만 그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서 감지할 수 없었던 비정상적인 솔더 볼의 흡착 여부를 전기적인 센서링을 통해 감지하여 화상체크를 위한 불필요한 시간의 소요 및 작업상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솔더 흡착 여부와 함께 솔더 볼의 불량 여부도 전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솔더 볼 흡착용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절연체로 형성되고, 진공방식을 통해 솔더 볼을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용 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된 전도성 박막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솔더 볼과의 접점이 이루어지는 상기 수용공간상에 노출되도록 전도성 박막이 몸체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도성 박막은 수용공간의 가장자리와 동일선상을 갖도록 가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솔더 볼의 흡착 여부는 물론이고, 전기적 센서링을 통해 비정상 솔더 볼의 흡착 여부를 전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 화상체크의 배제를 통한 공정의 단순화 및 이를 통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 따른 종래방식에서는 솔더 볼의 흡착 여부만을 감지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비정상적인 솔더 볼의 흡착 여부도 전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 굳이 화상체크를 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공정 및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솔더 볼이 흡착되는 수용공간과 전도성 박막이 동일선상을 갖도록 가공형성됨으로써, 상기 솔더 볼의 감지 및 정상적인 솔더 볼인지 여부를 오차 없이 정밀하게 진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솔더 볼 흡착용 지그를 절개하여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박막의 배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솔더 볼 흡착용 지그를 절개하여 솔더 볼 흡착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박막을 통해 솔더 볼을 감지하는 것을 나타내 보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솔더 볼 흡착용 지그(1)는 도 1에서 나타내 보인 것과 같이 진공방식을 통해 솔더 볼(2)을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용 홀(11)이 형성된 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통상의 수지계열을 통해 절연체로 형성되고 있으며, 내부에 형성된 흡착용 홀(11)이 진공펌프(미도시) 등과 연계되어 있어 진공방식을 통해 솔더 볼(2)을 흡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그(1)는 전도성 박막(20)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박막(20)은 솔더 볼(2)의 흡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몸체(10)에 구비되며, 특히 흡착용 홀(11) 사이에 전도성 박막(20)을 배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흡착용 홀(11)을 통해 솔더 볼(2)을 흡착한 상태에서 지그(1)에 전류를 흐르도록 하여 저항값을 측정하면 솔더 볼(2)이 흡착되어 있는 경우 전류가 통함에 따라 전류 경로(Current path)가 형성되어 저항값이 측정된다.
반면, 상기 흡착용 홀(11)에 솔더 볼(2)이 흡착되어 있지 않다면 전류가 통하지 않음으로써, 전류 경로가 단전되어 저항값이 측정되지 않을 것이며, 이를 통해 미싱 볼(Missing ball)의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 예로는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저항값이 다른 전도성 박막(20)을 몸체(10)에 배치하는 것이며, 이때의 저항값은 상대적 개념이다. 본 발명은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저항값이 낮은 전도성 박막(20)을 제1박막(20a)으로 지칭하고, 상대적으로 저항값이 높은 전도성 박막(20)을 제2박막(20b)으로 지칭함을 사전에 밝혀둔다.
즉, 제1박막(20a)을 흡착용 홀(11) 사이에 배치하여 낮은 저항영역(Low R)의 형성하고, 제2박막(20b)을 상기 흡착용 홀(11)이 없는 몸체(10)에 배치하여 높은 저항영역(High R)을 형성한 후 지그(1)에 전류를 흐르도록 하여 저항값을 측정하면 솔더 볼(2)이 흡착되어 있는 경우 전류 경도는 낮은 저항영역(Low R)을 지나게 되어 낮은 저항값이 측정된다.
반대로, 솔더 볼(2)이 흡착되어 있지 않다면 전류 경로는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영역(High R)을 지나가게 되어 높은 저항값이 측정됨으로써, 상기 솔더 볼(2)의 흡착 여부를 전기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이러한 솔더 볼(2)의 흡착 여부와 함께 비정상적인 솔더 볼(Rarge ball/Small ball/Ball Size)의 흡착 여부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1 또는 도 3에서 보듯이, 몸체(10)에 수용공간(12)을 형성하고, 전도성 박막(20)을 상기 몸체(10)의 일정깊이로 내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12)은 흡착용 홀(11)의 끝 부분을 확장 가공하여 형성하게 되며, 구형의 솔더 볼(2)과의 접점이 이루어지는 수용공간(12)상에는 전도성 박막(20)의 끝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하게 된다.
따라서, 실시 예로써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전도성 박막(20)의 두께(d)와 수용공간(12)의 경사각(Theta)을 이용한 수학식
Figure 112010064829981-pat00001
을 통해 솔더 볼(2)의 중심 값(r)을 도출하고 이를 정상적인 중심 값(R)과 비교하여 상기 솔더 볼(2)의 불량 여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몸체(10)에 내장된 전도성 박막(20)을 이용하여 수용공간(12)에 흡착된 비정상적인 솔더 볼(2)을 필터링(Filtering) 할 수 있어 원자재의 전수검사차원에서 불량의 사전 방지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솔더 볼(2)의 인식 정도를 오차 없이 정밀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용공간(12)과 전도성 박막(20)이 동일선상을 갖도록 가공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전도성 박막(20)의 두께(d)에 따라 솔더 볼(2)의 인식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는데, 수용공간(12)의 경사각(Theta)과 전도성 박막(20)의 두께를 조절하면 솔더 볼(2)의 사이즈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실시 예로써, 상기 수용공간(12)의 경사각을 45°로 가공하고 전도성 박막의 두께(d)를 20㎛으로 한다면 솔더 볼(2)의 반경은 앞선 수학식에 근거하여 중심 값 전후 14㎛로 관리되어 그외의 솔더 볼(2)은 불량으로 자동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솔더 볼(2)의 불량 여부를 확인함에 있어서, 굳이 별도의 화상(Vision)을 이용하지 않고도 몸체(10)에 내장된 전도성 박막(20)을 통한 사이즈 및 형태의 감지가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1 - 지그 2 - 솔더 볼
10 - 몸체 11 - 흡착용 홀
12 - 수용공간 20 - 전도성 박막
20a - 제1박막 20b - 제2박막

Claims (2)

  1. 절연체로 형성되고, 진공방식을 통해 솔더 볼을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솔더 볼과의 접점이 이루어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상기 수용공간상에 노출되어 솔더 볼의 흡착 및 불량 여부를 감지하는 전도성 박막;
    을 포함하는 솔더 볼 흡착용 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박막은 수용공간의 가장자리와 동일선상을 갖도록 가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 볼 흡착용 지그.
KR1020100097772A 2010-10-07 2010-10-07 솔더 볼 흡착용 지그 KR101278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772A KR101278331B1 (ko) 2010-10-07 2010-10-07 솔더 볼 흡착용 지그
TW100131643A TW201230216A (en) 2010-10-07 2011-09-02 Jig for round solder ball attachment
JP2011195600A JP2012084854A (ja) 2010-10-07 2011-09-08 はんだボール吸着用治具
US13/233,710 US8286851B2 (en) 2010-10-07 2011-09-15 Jig for round solder ball attach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772A KR101278331B1 (ko) 2010-10-07 2010-10-07 솔더 볼 흡착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091A KR20120036091A (ko) 2012-04-17
KR101278331B1 true KR101278331B1 (ko) 2013-06-25

Family

ID=4592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772A KR101278331B1 (ko) 2010-10-07 2010-10-07 솔더 볼 흡착용 지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86851B2 (ko)
JP (1) JP2012084854A (ko)
KR (1) KR101278331B1 (ko)
TW (1) TW2012302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0170B2 (en) * 2013-11-01 2015-09-01 Zen Voc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cing and mounting solder balls on an integrated circuit substrate
KR20150097841A (ko) * 2014-02-17 2015-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솔더 볼 부착 장치 및 플럭스 도팅 장치
CN107006131A (zh) * 2014-07-28 2017-08-01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用于增强的粘合剂结合的系统和方法
JP6666439B2 (ja) * 2016-06-06 2020-03-1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撮像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7343A (ja) * 1994-05-13 1995-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田ボールの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ボンディング方法
JPH1126467A (ja) * 1997-06-27 1999-01-29 Nippon Steel Corp 微細金属球の吸着ヘ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検査装置、並びにボールバンプ形成方法
KR20030021897A (ko) * 2001-09-10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지 수단을 사용한 솔더볼 부착 방법 및 솔더볼 부착 장치
JP2010171122A (ja) 2009-01-21 2010-08-05 Fukuoka Univ ウェハ検査用治具、半導体ウェハの検査装置及びウェハレベルチップサイズパッケージ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7529B1 (en) * 1993-04-30 2000-07-12 Hewlett-Packard Company A carriage assembly retaining two inkjet print cartridges
JP3196508B2 (ja) * 1994-06-27 2001-08-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田ボールの吸着ヘッド
JP3134688B2 (ja) * 1994-12-01 2001-02-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田ボールの移載方法
JP3196582B2 (ja) * 1995-08-24 2001-08-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導電性ボールの搭載装置および搭載方法
JP3254644B2 (ja) * 1996-11-28 2002-02-12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半田ボール供給装置
JPH10163614A (ja) * 1996-11-28 1998-06-19 Mitsui High Tec Inc 半田ボール供給装置
US6107181A (en) * 1997-09-08 2000-08-22 Fujitsu Limited Method of forming bumps and template used for forming bumps
US5984164A (en) * 1997-10-31 1999-11-16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us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elevation shaping tool
JP3980995B2 (ja) * 2002-11-19 2007-09-26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ボール位置決め治具の製造方法
US20050104853A1 (en) * 2003-11-13 2005-05-19 Chatree Sitalasai Mechanical motion sensor and low-power trigger circuit
KR20060132404A (ko) * 2005-06-18 2006-12-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솔더 볼 검사 방법, 이를 채택한 반도체 부품의 솔더 볼검사 장치, 및 반도체 부품의 솔더 볼 전달 장치
KR20060133282A (ko) 2005-06-20 2006-12-2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기체흐름을 이용한 솔더 볼 범프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
JP2008133533A (ja) * 2006-11-01 2008-06-12 Ne Chemcat Corp 金−銀合金めっき液
US7506792B1 (en) * 2007-05-04 2009-03-24 Manfroy John V Solder sphere placement apparatus
JP2009111226A (ja) * 2007-10-31 2009-05-21 Kyushu Hitachi Maxell Ltd 吸着ヘッ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7343A (ja) * 1994-05-13 1995-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田ボールの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ボンディング方法
JPH1126467A (ja) * 1997-06-27 1999-01-29 Nippon Steel Corp 微細金属球の吸着ヘ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検査装置、並びにボールバンプ形成方法
KR20030021897A (ko) * 2001-09-10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지 수단을 사용한 솔더볼 부착 방법 및 솔더볼 부착 장치
JP2010171122A (ja) 2009-01-21 2010-08-05 Fukuoka Univ ウェハ検査用治具、半導体ウェハの検査装置及びウェハレベルチップサイズパッケージ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84854A (ja) 2012-04-26
KR20120036091A (ko) 2012-04-17
TW201230216A (en) 2012-07-16
US8286851B2 (en) 2012-10-16
US20120085810A1 (en)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331B1 (ko) 솔더 볼 흡착용 지그
JP5324232B2 (ja) 半導体ウエハのアライメント装置
JP2011086880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の実装方法
KR102307528B1 (ko) 솔더 볼 흡착 장치
US20140212127A1 (en) Device allowing independent testing of dual camera module
US944806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WO2014171890A1 (en) Accurate positioning and alignment of a component during processes such as reflow soldering
JP2009146969A (ja) 半導体パッケージ
US20200161199A1 (en) Sensor package substrate, sensor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electronic component embedded substrate
KR20060132404A (ko) 솔더 볼 검사 방법, 이를 채택한 반도체 부품의 솔더 볼검사 장치, 및 반도체 부품의 솔더 볼 전달 장치
US7812465B2 (en) Semiconductor chip having alignment mar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055631B1 (en) Semiconductor package for sensor applications
KR20180092027A (ko) 프로브 카드 어셈블리
KR20130117191A (ko) 작업유닛 이송장치
JP6074734B2 (ja) 半導体製造装置用吸着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半導体装置の吸着方法
JP2007305724A (ja) ペーストの転写状態判定装置およびペーストの転写状態判定方法
JP2009253185A (ja) 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ボンディング装置に用いられるボンディング領域の位置認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86128B2 (ja) 基板検査装置、検査ユニット及び基板検査方法
JP4983267B2 (ja) 電子部品実装方法
TWI526682B (zh) 半導體元件安裝裝置
KR101260409B1 (ko) 프로브 카드 및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 소켓
KR102220327B1 (ko) 노즐 수평 측정 유닛 및 이에 의한 측정 방법
KR101325634B1 (ko) 반도체 패키지용 회로기판의 검사방법
JP2006216719A (ja) チップ実装用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めっき膜の形成方法
JP2014106216A (ja) プローブの針先と被検査体の電極との位置合わせ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