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412B1 - 전원장치 및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전원장치 및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412B1
KR101277412B1 KR1020110060739A KR20110060739A KR101277412B1 KR 101277412 B1 KR101277412 B1 KR 101277412B1 KR 1020110060739 A KR1020110060739 A KR 1020110060739A KR 20110060739 A KR20110060739 A KR 20110060739A KR 101277412 B1 KR101277412 B1 KR 101277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output current
value
light emitting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620A (ko
Inventor
히로시 데라사카
하지메 오사키
마사히코 가마타
나오코 이와이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1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2Pulse-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57Driver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retrofit LED light sources
    • H05B45/3578Emulating the electrical or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6Circuits for reducing or suppressing harmonics, ripples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7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buck topolog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8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boost top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Dc-Dc Converter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아크의 계속을 방지하면서 반도체 발광소자의 동작 불균일을 억제한 LED 램프의 전용 전원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조명기구는, 기구 본체와, 반도체 발광소자(25)를 가지는 직관형 LED 램프(16)와, 반도체 발광소자(25)를 점등시키는 전용 전원(17)을 구비한다. 전용 전원(17)은, 피크 부분의 기간이 1사이클의 54% 이상인 사다리꼴 파 형상의 전류를 출력함으로써 반도체 발광소자(25)를 점등시킨다.

Description

전원장치 및 조명기구{Power supply device and Lighting fixture}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전류를 출력함으로써 부하를 동작시키는 전원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부하로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복수 직렬로 접속한 발광 모듈을 탑재한 조명기구가 있다. 이러한 조명기구는, 전원회로로부터 발광 모듈에 직류의 정전류를 공급하여 LED를 대략 균일하게 점등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회로중의 각 접속부가 탈착, 접촉 불량 혹은 단선 등일 때에, 회로중에 아크가 발생하면, 직류의 정전류를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아크를 소멸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전원회로의 출력에 아크를 소호(消弧)시키기 위한 출력 저감 기간을 두어, 아크의 계속을 방지하는 구성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0100호
그러나, 출력에 출력 저감 기간을 두면, 부하의 동작 불균일, 특히 LED의 경우에는 깜박임(플리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아크의 계속을 방지하면서 부하의 동작 불균일을 억제한 전원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전원장치는, 최대치의 기간이 1사이클의 54% 이상인 사다리꼴 파 형상의 전류를 출력함으로써 부하를 동작시키는 전원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회로가, 최대치의 기간이 1사이클의 54% 이상인 사다리꼴 파 형상의 전류를 출력함으로써 부하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1사이클마다 출력 전류치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기간을 마련하여 아크의 계속을 방지하면서, 출력 전류의 리플율을 저감하여 부하의 동작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제1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원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 상기 전원장치를 구비한 조명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 (a) 내지 (c)는 상기 전원장치의 부하의 제어에 대응하는 출력 전류의 파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 상기 전원장치의 출력 전류 파형의 리플율의 계산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 상기의 조명기구의 광출력과 전원장치의 출력 전류 제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상기의 전원장치의 출력 전류의 최대치의 기간의 1사이클에 대한 비율과 반도체 발광소자의 깜박임을 느낀 피험자의 비율의 대응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7] (a) 내지 (c)는 제2의 실시형태의 전원장치의 부하의 제어에 대응하는 출력 전류의 파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11은 조명기구를 나타내고, 이 조명기구(11)는, 천장 직접부착형 조명기구로서, 천장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부 및 이 본체부에 부착되는 역삼각형의 반사체(12)를 가진 기구 본체(13), 이 기구 본체(13)의 양단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광원 부착 수단으로서의 소켓(14), 이들 한 쌍의 소켓(14) 사이에 접속되는 직관형의 광원 즉 램프로서의 LED 램프인 직관형 LED 램프(16), 및 이 직관형 LED 램프(16)에 전력을 공급하여 직관형 LED 램프(16)를 점등시키는 전원장치(전원회로)로서의 전용 전원(17)을 구비하고 있다. 이 조명기구(11)는, 2등(燈)용이며, 한 쌍의 소켓(14)이 2조 이용되고, 2개의 직관형 LED 램프(16)가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조명기구(11)는, 직관형 형광 램프를 사용하는 이미 설치된 조명기구 구조의 기구 본체(13) 및 소켓(14)을 그대로 사용하여, 직관형 LED 램프 (16) 및 전용 전원(17)을 사용하는 조명기구(11)로서 리뉴얼하는 것이다. 혹은, 직관형 LED 램프(16) 및 전용 전원(17)을 사용하는 조명기구(11)를 신규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직관형 형광 램프를 사용하는 기존의 조명기구 구조의 기구 본체(13) 및 소켓(14)을 유용하여, 직관형 LED 램프(16) 및 전용 전원(17)을 사용하는 조명기구 (11)로서 설치하는 것이다.
직관형 LED 램프(16)는,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직관형의 관체(21), 이 관체(21) 내에 수용된 발광 모듈(22), 및 관체(21)의 양단에 마련된 접속부(23)를 구비하고 있다.
관체(21)는, 투광성 및 확산성을 가진 유리나 수지 재료로, 직관형 형광 램프와 대략 동일한 관 길이 및 관 지름으로 직관형 형광 램프와 대략 동일한 외관의 기다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부착부인 접속부(23)가 마련되어 있다.
발광 모듈(22)은, 관체(21)의 관축 방향을 따라서 가늘고 긴 기판(도시하지 않음), 및 이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실장된 예를 들면 LED 소자 등의 부하로서의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2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발광 모듈(22)은, 기판을 평판 형상으로 하고, 그 기판의 한 면에 반도체 발광소자(25)를 실장하여, 주로 관체 (21)의 소정의 방향으로부터 빛이 방사되도록 해도 좋고, 혹은, 기판을 다각형의 통 형상으로 하고, 그 기판의 둘레면에 반도체 발광소자(25)를 실장하여, 관체(21)의 전체 둘레로부터 빛이 방사되도록 해도 좋다. 반도체 발광소자(25)는, 예를 들면 LED 소자의 경우, 청색광을 발광하는 LED 칩이, 청색광으로 여기되어 황색광을 방출하는 형광체를 함유한 투명 수지로 밀봉되어 있으며, 이 투명 수지의 표면으로부터 백색계의 빛이 방사된다.
접속부(23)는, 소켓(14)에 대하여 접속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서, 직관형 형광 램프의 꼭지쇠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관체(21)의 단부에 피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접속부(23)의 단면에는, 직관형 형광 램프의 램프 핀과 동일한 수전부로서의 한 쌍의 램프 핀(26)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접속부(23)는, 한 쌍의 램프 핀(26)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램프 핀이어도 좋고, 혹은 다른 구성이어도 좋으며, 소켓(14)에 대해서 전기적 접속이나 지지가 가능하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이 접속부(23)는, 예를 들면 어댑터 등을 통하여 소켓(14)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접속해도 좋다.
그리고, 직관형 LED 램프(16)는, 예를 들면 기존의 직관형 형광 램프 40W형 (FL40형, FHF32형)과 바깥지름 및 전광속(全光束)이 대략 동등한 것으로, 관축방향의 전체 길이가 1300mm 미만, 1000mm 이상의 범위이며, 전광속이 2000lm 이상의 정격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용 교류 전원 e(예를 들면 100VAC, 50/60Hz)를 공급하는 한 쌍의 전원선(31)이 기구 본체(13) 내를 통해서 전용 전원 (17)의 입력측에 접속되고, 이 전용 전원(17)의 출력측과 각 소켓(14)이 접속선 (35)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 1에는, 한쪽의 직관형 LED 램프(16)만을 나타내지만, 다른쪽의 직관형 LED 램프(16)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 경우, 전용 전원(17)은,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 e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 등의 전파 정류 소자(37), 이 전파 정류 소자(37)로부터의 출력 전력을 평활하는 평활 콘덴서 등의 (제1) 평활 소자(38), 승압 수단으로서의 승압 회로(39), 및, 강압 수단으로서의 강압 회로(40) 등을 구비하고, 교류 정현파 또는 교류 구형파의 교류 전력을 직류 변환하여 소켓(14)을 통해서 직관형 LED 램프(16)의 램프 핀(26)에 공급한다. 한편, 전용 전원(17)은,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 e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서 출력하는 형광 램프용의 점등 장치 등의 교류 전원의 출력측에 접속해도 좋고, 전파 정류 소자(37)와의 사이에 라인 필터 등을 형성하여도 좋다.
승압 회로(39)는, 예를 들면 승압 초퍼 회로 등의 기존의 회로이며, 평활 소자(38)의 출력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이 승압 회로(39)는 임의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구성을 생략한다.
또한, 강압 회로(40)는, 예를 들면 강압 초퍼 회로이며, 승압 회로(39)의 출력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MOSFET 등의 스위칭 소자(41)와 플라이 휠 다이오드가 되는 다이오드(42)의 직렬 회로, 이 다이오드(42)에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인덕터(43)와 콘덴서 등의 (제2) 평활 소자(44)와의 직렬 회로를 가지고 있으며, 제어 수단(45)에 의해 스위칭 소자(41)가 스위칭 제어되는 것에 의해 강압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용 전원(17)은, 예를 들면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내는 사다리꼴 파 형상의 출력 전류를 출력하여, 스위칭 소자(41)의 스위칭 제어(스위칭 주파수 및 듀티 비)에 의해서 출력 전류(전류 파형)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용 전원(17)에서는, 사다리꼴 파 형상의 최대치, 즉 피크 부분의 기간 d1가 1사이클의 54%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출력 전류의 파형은, 어디까지나 이상적인 (계산상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실제의 출력 전류의 파형은 다소의 형상 오차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의 피크 부분의 기간 d1는, 출력 전류의 리플율 RF에 의해서 규정되어 있다. 리플율 RF란, 전류의 변동폭 A를 평균치(실효 전류치) Ia로 나눈 것으로(RF=A/Ia), 리플율 RF가 작을수록, 출력 전류에 포함되는 맥류가 작은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출력 전류가 도 4의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형파인 경우, 전류의 변동폭 A는 구형파의 최대치가 되기 때문에, 1사이클에 대한 구형파의 폭(온 듀티)을 d2로 하면, 리플율 RF는, A/(A·d2)=1/d2가 된다. 이 전용 전원(17)은, 리플율 RF를 1.3 이하로 설정하기 때문에, 1/d2≤1.3으로부터, d2≥0.769…를 얻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와 같이, 출력 전류가 사다리꼴 파 형상일 때, 도 4의 상상선으로 나타낸 구형파에 근사시키면, d1=d2-(1-d2)=2·d2-1이 되기 때문에, 상기의 d2≥0.769…를 대입함으로써, d1≥0.538…을 얻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전용 전원(17)은, 출력 전류의 리플율 RF를 1.3 이하로 하기 위해서, 출력 전류의 사다리꼴 파의 피크 부분의 기간 d1, 바꾸어 말하면 온 듀티를 1사이클의 54% 이상으로 한다.
또한, 전용 전원(17)은, 제어 수단(45)에 의한 스위칭 소자(41)의 제어에 의해 반도체 발광소자(25)로 출력하는 출력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반도체 발광소자 (25)의 제어 즉 조광(調光)이 가능해지고 있다. 여기서, 전용 전원(17)은, 상기와 같이 출력 전류의 피크 부분의 기간 d1를 1사이클의 54% 이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출력 전류를 작게 하여 깊은 조광을 얻을 때에는, 최대치를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5의 그래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용 전원(17)은, 전광(全光) 점등 상태, 즉 광출력 100%(조광율 0%)에 대응하는 최대 출력 전류치(도 3(a))로부터, 소정의 광출력 P1(100%미만)에 대응하는 소정 출력 전류치(도 3(b))까지의 사이는, 최대치를 소정치로 고정하고, 피크 부분의 기간 d1를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광출력을 제어하여(그래프중의 꺾은선 L1), 소정의 광출력 P1보다 작은 광출력에 대응하는 전류치, 즉 소정 출력 전류치 이하의 전류치까지 출력 전류를 제어할 때, 바꾸어 말하면 조광율을 더 증가시킬 때는, 피크 부분의 기간 d1를 1사이클의 54%로 고정하여 최대치(변동폭 A)를 증감시키도록(도 3(c)) 구성되어 있다(그래프중의 꺾은선 L2).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광출력 P1는, 전용 전원(17)의 사다리꼴 파 형상의 출력 전류의 피크 부분의 기간 d1가 1사이클의 54%이고, 또한, 최대치가 상기 소정치가 되어 있을 때의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출력이 되고 있다.
한편, 출력 전류의 피크 부분의 기간 d1과 최대치의 증감은, 반드시 리니어하게 제어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전용 전원(17)은, 50/60Hz의 상용 교류 전원 e를 전파 정류 소자(37)에 의해 전파 정류하고 있기 때문에, 출력 전류에 포함되는 맥류의 주파수는 100/120Hz가 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출력 전류에 포함되는 맥류가 100Hz 이상의 주파수이면, 마찬가지로 대응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용 전원(17)에서는, 승압 회로(39)에 의해 승압된 승압 전압에 대해서, 강압 회로(40)에서 제어수단(45)이 스위칭 소자(41)를 온 함으로써, 인덕터(43)에 증가 전류가 흘러 자기 에너지가 축적되고, 스위칭 소자(41)를 오프함으로써, 인덕터(43)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가 다이오드(42)를 경유하여 방출되어 감소 전류가 흘러 평활 소자(44)가 충전된다. 이하 동일한 회로 동작의 반복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사다리꼴 파 형상의 전류 파형을 가진 정전류가 전용 전원(17)으로부터 출력되고, 이 출력 전류가 접속선(35), 소켓(14) 및 접속부 (23)의 램프 핀(26)을 통하여 발광 모듈(22)의 반도체 발광소자(25)에 공급되고, 반도체 발광소자(25)가 점등한다.
이때, 전용 전원(17)의 출력 전류를 사다리꼴 파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각 접속 부분의 탈착, 접촉 불량, 단선 등에 의해서 회로중에 만일 아크가 발생한 경우에도, 직관형 LED 램프(16)에 공급하는 출력전압(출력 전류)이 1사이클마다 0이 되는 것에 의해 아크의 계속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용 전원(17)은, 사다리꼴 파 형상의 출력 전류의 피크 부분의 기간 d1를 1사이클의 54% 이상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전용 전원(17)의 출력 전류의 리플율 RF가 1.3 이하가 된다. 이 때문에, 반도체 발광소자(25)의 동작 불균일, 즉 깜박임,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관찰 가능한 레벨의 발광량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특히, 고조도의 환경하에서의 플리커를 적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피험자에 대해서 사다리꼴 파 형상의 출력 전류의 피크 부분의 기간이 다른 램프를 보여주고, 깜박임을 느꼈는지를 실험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는, 사다리꼴 파 형상의 출력 전류의 피크 부분의 기간 d1를 각각 54%, 82%로 하고, 종래예에 대응하는 비교예에서는 33%로 했다. 바꾸어 말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출력 전류의 각각 리플율 RF를 1.3, 1.1로 하고, 비교예는 출력 전류의 리플율 RF를 1.5로 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 50% 이상의 피험자가 깜박임을 느낀 것에 비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에는, 깜박임을 느낀 피험자가 각각 10%, 5%가 되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다리꼴 파 형상의 출력 전류의 피크 부분의 기간 d1를 1사이클의 54% 이상으로 함으로써, 출력 전류의 리플율 RF를 저감하여 반도체 발광소자(25)의 깜박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출력 전류에 포함되는 맥류의 주파수가 비교적 작은 범위, 예를 들면 100Hz 정도의 주파수에서는, 인간의 눈으로 반도체 발광소자(25)의 깜박임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깜박임을 느끼기 쉽다. 이 때문에, 100Hz 이상의 맥류를 포함한 출력 전류를 출력하는 전용 전원(17)에서, 사다리꼴 파 형상의 출력 전류의 피크 부분의 기간 d1를 1사이클의 54%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깜박임을 느끼기 쉬운 주파수 대역의 맥류를 포함한 출력 전류에 의해 점등하는 반도체 발광소자(25)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깜박임을 잘 느끼지 않게 되어, 깜박임에 기인하는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직관형 LED 램프(16)와 적합한 조명기구(11)에서는, 전용 전원(17)을 기구 본체(13)측에 배치함으로써, 직관형 LED 램프(16)를 염가로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기존의 직관형 형광 램프와 마찬가지로 교환할 수 있으므로, 직관형 LED 램프(16)의 교환이 용이해진다. 게다가, 이 직관형 LED 램프(16)의 교환시의 비용적인 부담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전용 전원(17)이 반도체 발광소자(25)로부터 열적 영향을 받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전용 전원(17)의 신뢰성이나 수명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사다리꼴 파 형상의 전류의 피크 부분의 기간을 1사이클의 54% 이상의 범위에서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최대 출력 전류치로부터 이 최대 출력 전류치보다 작은 소정 출력 전류치의 사이에서 반도체 발광소자(25)로의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동시에, 이 출력 전류를 소정 출력 전류치 이하로 제어할 때는 최대치의 기간을 1사이클의 54%로 고정하여 최대치를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아크의 계속을 방지하고, 출력 전류의 리플율을 저감하여 반도체 발광소자(25)의 동작 불균일(깜박임)을 억제하면서, 보다 효과적인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제어, 즉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조광폭을 넓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반도체 발광소자(25)의 깊은 조광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제2의 실시형태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의 실시형태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전용 전원(17)의 출력 전류의 제어가 다른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용 전원(17)은, 출력 전류의 피크 부분의 기간 d1를 1사이클의 54% 이상의 소정 기간으로 고정하고{스위칭 소자(41)의 온 듀티를 소정의 온 듀티로 고정하고}, 출력 전류를 크게 할 때에는, 최소치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용 전원(17)은, 최대 광출력, 즉 광출력 100%(조광율 0%)에 대응하는 최대 출력 전류치(도 7(a))로부터, 소정의 광출력 P2(100%미만)에 대응하는 소정 출력 전류치(도 7(b))까지의 사이에는, 최소치, 즉 사다리꼴 파 형상의 출력 전류의 사이클 사이의 골짜기의 부분을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광출력을 제어하고, 소정의 광출력 P2보다 작은 광출력에 대응하는 전류치, 즉 소정 출력 전류치 이하의 전류치까지 출력 전류를 제어할 때, 바꾸어 말하면 조광율을 더 증가시킬 때는, 출력 전류의 피크 부분의 기간 d1를 1사이클의 54% 이상의 소정 기간에 고정한 채로, 최대치(변동폭 A)를 증감시키도록(도 7(c)) 구성되어 있다. 한편, 최소치는 각 접속 부분의 탈착, 접촉 불량, 단선 등에 의해서 회로중에 발생한 아크를 소호시킬 수 있는 범위로 제어하는 것으로 한다. 이 범위는, 조명기구(11){전용 전원(17)} 중의 각 접속 부분의 거리 등에 따라 소정의 범위로 미리 설정된다.
그리고, 사다리꼴 파 형상의 전류의 피크 부분의 기간 d1를 1사이클의 54% 이상의 소정치로 고정하여 최소치를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최대 출력 전류로부터 이 최대 출력 전류보다 작은 소정 출력 전류치의 사이로 부하로의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동시에, 이 출력 전류를 소정 출력 전류치 이하로 제어할 때는 최대치의 기간을 상기 소정치로 고정하여 최대치를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아크의 계속을 방지하고, 출력 전류의 리플율을 저감하여 부하의 동작 불균일을 억제하면서, 보다 효과적인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제어, 즉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조광폭을 넓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반도체 발광소자(25)의 깊은 조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전용 전원(17)은, 사다리꼴 파 형상의 출력 전류의 최대치의 기간 d1를 54% 이상으로 설정하면, 예를 들면 1사이클마다 출력전압(출력 전류)이 0V(0A)가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직관형 LED 램프(16) 내의 회로중의 각 접속 부분의 탈착, 접촉 불량, 단선 등에 의해서 회로중에 아크가 발생한 경우에도, 직관형 LED 램프(16)에 공급하는 출력전압(출력 전류)이 1사이클마다 0이 되는 것에 의해 아크의 계속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명기구(11)로서는, 예를 들면 한 쌍의 소켓(14)을 1조 이용한 1등형의 조명기구라도 좋고, 한 쌍의 소켓(14)을 3조 이상 이용한 복수등형의 조명기구라도 좋다. 또한, 천장 직접부착형 조명기구에 한정하지 않고, 매립형 조명기구 등이어도 좋다.
또한, 램프로서는, 직관형 LED 램프(16)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구형의 LED 램프 등이어도 좋다. 따라서, 램프의 구성은 전용 전원(17)에 의해 점등되어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25)를 구비한 임의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 발광소자(25)는, 예를 들면 유기 EL 등이어도 좋다.
또한, 소켓(14)으로부터 직관형 LED 램프(16)에의 전력 공급은, 예를 들면 한 쌍의 소켓(14)의 양쪽으로 행하여도 좋고, 한쪽으로만 행하여도 좋다. 한쪽의 소켓(14)으로만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다른쪽의 소켓(14)측에서는 직관형 LED 램프(16)의 단부를 지지할 뿐이라도 좋고, 혹은, 다른쪽의 소켓(14)으로부터 예를 들면 조광 신호를 직관형 LED 램프(16)에 전송하여, 직관형 LED 램프(16)에 내장된 조광 회로에 의해서 반도체 발광소자(25)의 점등 상태를 조광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소켓(14)을 이용하지 않고, 기구 본체(13)측에 배치한 비접촉 송전부로부터 직관형 LED 램프(16)측에 배치된 비접촉 수전부에 대해서 유전(誘電)결합 등의 방법에 의해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소켓(14)은 직관형 LED 램프(16)의 지지에만 사용하고, 직관형 LED 램프(16)에 대해서는 다른 급전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부하로서는, 직류 구동하는 반도체 발광소자(25) 이외의 임의의 부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형태의 제어를 서로 조합하여도 좋다. 즉, 전용 전원(17)은, 최대 출력 전류로부터 이 최대 출력 전류보다 작은 소정 출력 전류치의 사이에 부하에의 출력 전류를 제어할 경우에는, 사다리꼴 파 형상의 전류의 피크 부분의 기간 d1를 1사이클의 54% 이상의 범위에서 증감시키거나 54% 이상의 소정치로 고정하여 최소치를 증감시키거나 하여, 이 출력 전류를 소정 출력 전류치 이하로 제어할 때는 최대치의 기간을 1사이클의 54%, 혹은 상기 소정치로 고정하여 최대치를 증감시키는 제어 등으로 하여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1 조명기구
13 기구 본체
16 램프로서의 직관형 LED 램프
17 전원장치(전원회로)로서의 전용 전원
25 부하로서의 반도체 발광소자

Claims (4)

  1. 직류 출력을 최대치의 기간이 1사이클의 54% 이상인 사다리꼴 파 형상의 전류로 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1사이클마다 출력 전압 또는 출력 전류가 0이 되는 것에 의해 부하를 동작시키는 전원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회로는, 사다리꼴 파 형상의 전류의 최대치의 기간을 1사이클의 54% 이상의 범위에서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최대 출력 전류치로부터 이 최대 출력 전류치보다 작은 소정 출력 전류치의 사이에서 부하로의 출력 전류를 제어하고, 이 출력 전류를 소정 출력 전류치 이하로 제어할 때는 최대치의 기간을 1사이클의 54%로 고정하여 최대치를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회로는, 사다리꼴 파 형상의 전류의 최대치의 기간을 1사이클의 54% 이상의 소정치로 고정하여 최소치를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최대 출력 전류로부터 이 최대 출력 전류보다 작은 소정 출력 전류치의 사이에서 부하로의 출력 전류를 제어하고, 이 출력 전류를 소정 출력 전류치 이하로 제어할 때는 최대치의 기간을 소정치로 고정하고 최대치를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4. 기구 본체와;
    부하로서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가진 램프와;
    반도체 발광소자를 점등시키는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원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KR1020110060739A 2010-06-28 2011-06-22 전원장치 및 조명기구 KR101277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46564 2010-06-28
JP2010146564A JP2012009772A (ja) 2010-06-28 2010-06-28 電源装置および照明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20A KR20120001620A (ko) 2012-01-04
KR101277412B1 true KR101277412B1 (ko) 2013-06-20

Family

ID=4535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739A KR101277412B1 (ko) 2010-06-28 2011-06-22 전원장치 및 조명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316444A1 (ko)
EP (1) EP2416481A3 (ko)
JP (1) JP2012009772A (ko)
KR (1) KR101277412B1 (ko)
CN (1) CN1023003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158A1 (en) * 2009-11-03 2011-05-12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A passive lc ballas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assive lc ballast
CN103250468B (zh) * 2011-02-01 2014-10-29 旭化成微电子株式会社 Led 的闪光生成装置和led 的闪光生成方法
JP6146970B2 (ja) * 2012-08-09 2017-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光源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KR101597773B1 (ko) 2014-02-21 2016-02-25 우승환 Led 조명기구의 절전 장치
JP2017021938A (ja) * 2015-07-08 2017-01-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調光制御ユニット、照明システム、及び設備機器
JP6704176B2 (ja) * 2016-02-01 2020-06-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源装置、点灯システム及び照明器具、並びに照明システム
JP6986703B2 (ja) 2017-09-29 2021-12-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源システム、点灯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8849A (ja) * 1997-06-04 1998-12-15 Nas Toa Co Ltd インバータ制御交流式抵抗溶接機
WO2000070920A1 (en) * 1999-05-17 2000-11-23 Noontek Limited An electronic ballast circuit
JP2010040878A (ja) * 2008-08-06 2010-02-1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発光ダイオード点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484A (ja) * 2000-02-22 2001-08-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バータ装置
US7126290B2 (en) * 2004-02-02 2006-10-24 Radiant Power Corp. Light dimmer for LED and incandescent lamps
ATE385166T1 (de) * 2005-02-02 2008-02-15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m dimmen von lichtquellen
CN101178166B (zh) * 2007-10-31 2011-06-22 东莞市百分百科技有限公司 一种替换型led节能灯、灯具及其驱动器
ES2365553T3 (es) * 2007-12-03 2011-10-06 Sirio Panel S.P.A. Configuración de circuito para generar una señal modulada en anchura de pulsos, para accionar cargas eléctricas.
JP5174529B2 (ja) * 2008-05-15 2013-04-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Led調光用点灯装置、車両用照明装置、照明器具
CN102066837B (zh) * 2008-06-17 2014-06-18 罗姆股份有限公司 Led灯
TWI412298B (zh) * 2008-09-18 2013-10-11 Richtek Technology Corp 以交流訊號調整亮度之發光元件控制電路、控制方法、與led燈
EP2503221A3 (en) * 2011-03-23 2013-03-0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oration Light-emitting module, light-emitting module unit, and luminai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8849A (ja) * 1997-06-04 1998-12-15 Nas Toa Co Ltd インバータ制御交流式抵抗溶接機
WO2000070920A1 (en) * 1999-05-17 2000-11-23 Noontek Limited An electronic ballast circuit
US6614192B1 (en) 1999-05-17 2003-09-02 Noontek Limited Electronic ballast circuit
JP2010040878A (ja) * 2008-08-06 2010-02-1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発光ダイオード点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00363A (zh) 2011-12-28
EP2416481A3 (en) 2013-06-19
JP2012009772A (ja) 2012-01-12
KR20120001620A (ko) 2012-01-04
EP2416481A2 (en) 2012-02-08
US20110316444A1 (en)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412B1 (ko) 전원장치 및 조명기구
JP5513606B2 (ja) 点灯回路、ランプ及び照明装置
TWI469687B (zh) 光控制電路、使用該光控制電路的照明燈、以及使用該照明燈的照明裝置
US8823278B2 (en) DC power source unit and LED lamp system
KR20110091444A (ko) Led 구동 회로, 조광 장치, led 조명등 기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
EP2536252B1 (en)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controlling method
JP2012028222A (ja) Ledランプ用電源装置およびledランプシステム
KR101292219B1 (ko) 리플 제거 장치를 구비한 led 램프의 전원 공급 장치
KR101040145B1 (ko) 소켓결합구성을 갖는 교류전원 엘이디 조명장치
KR20120001616A (ko) Led 램프 시스템
JP6042637B2 (ja) Led照明システム
JP5686521B2 (ja) Led照明器具
JP3177245U (ja) 直列接続式二重管形のラピッド起動安定器に使用するledランプ駆動システム
JP5449303B2 (ja) 光源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2017216194A (ja) 照明灯及び制御方法
KR102073567B1 (ko) Fpl등기구 호환형 led 조명기구
CN210345409U (zh) 能增长光源寿命的光束灯
JP5945846B2 (ja) 照明装置
KR20110007534A (ko) Led조명등
JP6651766B2 (ja) 照明器具
JP2012048974A (ja) Led点灯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照明器具
TWI380472B (en) Light emittng diode module used for lighting and application thereof
JP2011222368A (ja) Led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led照明器具
JP2017157381A (ja) 点灯装置、照明器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
KR20120041486A (ko) 엘이디 직관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