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623B1 -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623B1
KR101276623B1 KR1020060111776A KR20060111776A KR101276623B1 KR 101276623 B1 KR101276623 B1 KR 101276623B1 KR 1020060111776 A KR1020060111776 A KR 1020060111776A KR 20060111776 A KR20060111776 A KR 20060111776A KR 101276623 B1 KR101276623 B1 KR 101276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rotor
reel
lever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5256A (ko
Inventor
케이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70075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 조작부에 의한 조작에 따라 효율 좋게 제동력을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레버 브레이크 기구(6)는, 원웨이 클러치(21)와 회전 부재(22)와 제동 조작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원웨이 클러치는,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전달한다. 회전 부재는, 양면에 제동면을 가지는 제동 부재(38)를 가지고, 원웨이 클러치로부터 전달된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제동 조작부는,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동을 위한 제1 조작부(50c)를 일단(一端)에 가지고 제1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제동면의 일방(一方)에 접촉하는 제1 브레이크 슈(51)를 타단(他端)에 가진다. 연동 기구는,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동 조작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동면의 타방(他方)에 접촉하여 제동 부재를 제1 제동 작용부로 협지(挾持) 가능한 제2 브레이크 슈(53)를 일단에 가진다.
스피닝 릴, 로터 제동 장치, 회전 부재, 제동 조작부, 제동 작용부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ROTOR BRAKING DEVICE FOR SPINN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
도 3은 레버 브레이크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V-IV 단면도.
도 5는 제동 레버가 제동 해제 상태일 때의 단면 확대도.
도 6은 제동 레버가 소정 제동 상태일 때의 단면 확대도.
도 7은 제동 레버가 제동 상태일 때의 단면 확대도.
도 8은 제동 해제 상태일 때의 레버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소정 제동 상태일 때의 레버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릴 본체
2a : 릴 보디
2b : 다리부
2c : 장대 장착부
3 : 로터
6 : 레버 브레이크 기구(로터 제동 장치의 일례)
21 : 원웨이 클러치
22 : 회전 부재
23 : 제동 조작부
24 : 연동 기구
25 : 제1 소정 제동부
26 : 제2 소정 제동부
38 : 제동 부재(제동부의 일례)
38a : 제1 원통부
38b : 제2 원통부
38e, 38f : 제동면
50 : 제동 레버
50a : 조작부
50b : 작용부
50c : 제1 조작부
50d : 제2 조작부
50e : 계합 오목부(전환 계합부의 일례)
50f : 계합 노치부
51 : 제1 브레이크 슈(제1 제동 작용부의 일례)
52 : 연동 부재
52b : 계합부
53 : 제2 브레이크 슈(제2 제동 작용부의 일례)
60 : 전환 동작부
61 : 레버 부재
63 : 마찰 부재
63b : 환상 장착 홈
64 : 마찰 링
75 : 이동 부재
75a : 제3 브레이크 슈(제3 제동 작용부의 일례)
76 : 전환 조작부
Y1 : 제2 축(제1 요동축의 일례)
Y2 : 제3 축(제2 요동축의 일례)
본 발명은, 제동 장치, 특히,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갯바위 낚시를 행하는 경우, 제동 레버(제동 조작부의 일례)에 의하여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역전)이 제동되는 로터 제동 기구를 가지는 레버 브레이크형의 스피닝 릴이 자주 사용된다. 레버 브레이크형의 스피닝 릴은, 물 고기가 먹이를 무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제동력을 완화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레버 브레이크형의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전달하는 원웨이 클러치와, 원웨이 클러치로부터 전달된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원판 형상의 회전 부재와, 회전 부재를 제동 조작하기 위한 제동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제동 레버의 선단(先端)에는 압압(押壓)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고, 압압 플레이트는, 릴 본체에 장착된 브레이크 슈를 제동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부재는, 브레이크 슈와, 릴 본체에 회전 부재를 걸쳐 배치된 압접편(片)에 의하여 끼워져 제동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14291호 공보
상기 종래의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서는, 이동하는 브레이크 슈와 고정된 압접편에 의하여 끼워져 회전 부재가 제동된다. 이 때문에, 제동 시에 회전 부재를 기울게 하는 힘이 회전 부재에 작용한다. 이 기울게 하는 힘은, 제동력이 강해질수록 강해진다. 이 결과, 제동 레버를 강하게 조작하여도 제동력이 효율 좋게 상승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 조작부에 의한 조작에 따라 효율 좋게 제동력을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장치이고, 원웨이 클러치와 회전 부재와 제동 조작부와 연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원웨이 클러치는,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전달하는 것이다. 회전 부재는, 양면에 제동면을 가지는 제동부를 가지고, 원웨이 클러치로부터 전달된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부재이다. 제동 조작부는,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동을 위한 제1 조작부를 일단(一端)에 가지고 제1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제동면의 어느 일방(一方)에 접촉하는 제1 제동 작용부를 타단(他端)에 가진다. 연동 기구는,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동 조작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동면의 어느 타방(他方)에 접촉하여 제동부를 제1 제동 작용부로 협지(挾持) 가능한 제2 제동 작용부를 일단에 가지는 부재이다.
이 제동 장치에서는,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이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회전 부재로 전달된다. 한편, 로터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그 회전을 회전 부재로 전달하지 않는다.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에, 제1 조작부에 의하여 제동 조작부를 이동 조작하면, 제동 조작부의 제1 제동 작용부가 제동면의 어느 한쪽에 접촉한다. 이것과 동시에, 연동 기구의 제2 제동 작용부가 제동 조작부와 연동하여 제동면의 타방에 접촉하여 제동부가 양 제동 작용부로 협지되어, 회전 부재가 제동된다. 여기에서는, 회전 부재의 제동부의 2개의 제동면을, 연동하여 이동하는 제동 조작부의 제1 제동 작용부와 연동 기구의 제2 제동 부재로 협지하여 제동하기 때문에, 제동부를 기울게 하는 힘이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제동 조작부에 의한 조작에 따라 효율 좋게 제동력을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제동부는, 통상(筒狀)이고, 그 외주면(外周面)과 내주면(內周面)에 제동면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제동부가 원판상(圓板狀)이 아니라, 통상이기 때문에, 제동면의 통상의 제동부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2개의 제동면에 접촉하는 제동 조작부와 연동 기구를 간소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릴 본체는, 장대 장착부와, 장대 장착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릴 보디와, 장대 장착부와 릴 보디를 연결하는 다리부를 가지고, 제동 조작부는, 장대 장착부와 접근·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제1 요동축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릴 본체에 장착된 제동 레버를 가지며, 제1 조작부는, 장대 장착부에 대하여 접근·이반하도록 제동 레버의 일단에 설치되고, 제1 제동 작용부는, 제1 조작부와 제1 요동축을 사이에 두고 제동 레버의 타단에 배치되고 제동부의 내주면을 압압한다. 이 경우에는, 하나의 제동 레버의 양단에 제1 조작부와 제1 제동 작용부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동 조작부의 구성이 간소해진다.
또한,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연동 기구는, 제동 레버에 계합(係合)하는 계합부를 가지고, 제동 레버가 장대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되면, 계합부가 제동 레버에 접촉하여 제2 제동 작용부가 제동부에 접촉하도록 이동한다. 이 경우에는, 연동 기구를 제동 레버에 직접 계합시켜 제동 레버와 연동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간소한 구조로 연동 기구를 제동 레버에 연동시킬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연동 기구는, 제동 레버의 제1 요동축과 평행한 제2 요동축 둘레에 요동 가능하고, 제2 제동 작용부는, 제1 제동 작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동부의 외주면을 압압한다. 이 경우에는, 제동 레버와 연동 기구가 평행한 축 둘레에서 요동하기 때문에, 2개의 제동 작용부를 대향하여 배치하기 쉬워지는 것과 함께, 회전 부재를 협지하기 쉬워진다.
삭제
발명 6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1 또는 4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회전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동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어느 일방에 마찰 계합하는 마찰 부재, 및 마찰 부재에 계합하여 마찰 부재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고 회전 부재를 마찰 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켜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위치와 마찰 부재로부터 이반하여 마찰 부재의 회전을 허가하고 제동 해제하는 이반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된 전환 동작부를 가지는 제1 소정 제동부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전환 동작부를 제동 위치에 배치하면, 마찰 부재의 회전이 금지되고, 회전 부재가 마찰 부재에 대하여 마찰 계합한 상태로 상대 회전 가능해진다. 이 상태로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그 회전이 회전 부재로 전달되어 회전 부재가 회전한다. 이때, 마찰 부재는 전환 동작부에 의하여 회전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이 금지된 마찰 부재에 대하여 회전 부재가 회전하고, 회전 부재에 마찰 계합하는 마찰 부재에 의하여 회전 부재가 제동되며, 회전 부재에 원웨이 클러치로 연결된 로터가 소정 제동 상태로 제동된다. 여기에서는, 마찰 부재가 회전 부재에 마찰 계합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 제동 상태 시에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회전 부재를 제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강력하고 또한 안정한 소정 제동 상태로 로터를 제동할 수 있다. 게다가, 회전 부재에 마찰 부재를 마찰 계합한 상태로 장착하고, 그 마찰 부재를 전환 동작부에 의하여 회전 금지·회전 허가로 전환하는 것만으로 무방하기 때문에, 복수의 디스크 부재로 제동하는 구조에 비하여 구조가 간소해진다.
발명 7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6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동부는, 마찰 부재가 내주면에 마찰 계합하는 제1 원통부(圓筒部)와, 제1 원통부와 일체 형성되고 상기 제1 원통부보다 소경(小徑)이며 제1 및 제2 제동 작용부가 접촉하는 제2 원통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마찰 부재를 회전 부재의 내주 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전환 동작부의 구성이 간소해지는 것과 함께, 소경의 제2 원통부에 제1 및 제2 제동 작용부가 접촉하기 때문에, 2개의 제동 작용부를 제2 원통부의 내외주부에 배치하여도, 릴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발명 8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7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마찰 부재와 제동부의 사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링을 더 구비하고, 마찰 부재는, 마찰 링을 통하여 원통부의 내주면과 마찰 계합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마찰 링보다 마찰 부재를 회전 부재에 마찰 계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한 마찰력을 얻기 쉽다.
발명 9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8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마찰 부재의 외주면에는, 마찰 링을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환상(環狀) 장착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동 시에 회전하지 않는 마찰 부재에 마찰 링이 확실히 유지된다.
발명 10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6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동 레버는, 선단에 제1 조작부와 장대 장착부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조작부와, 제1 제동 작용부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전환 동작부에 계합하는 전환 계합부를 더 가지고, 전환 동작부는, 전환 계합부에 계합하고, 제동 레버의 장대 장착부로부터 접근·이반하는 방향의 요동에 따라 제동 위치와 이반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는, 제동 레버를 이용하여 제1 소정 제동부를 전환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 소정 제동부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발명 1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6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동부의 내주면에 접촉 가능한 제3 제동 작용부를 가지고, 상기 제3 제동 작용부가 상기 제동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압압 가능한 제동 위치와,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이반하는 제동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된 이동 부재와, 이동 부재를 제동 위치와 제동 해제 위치로 전환 조작하기 위한 전환 조작부를 가지고, 로터를 제1 소정 제동부보다 약한 제동력으로 제동 가능한 제2 소정 제동부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2개의 소정 제동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낚시터를 이동할 때에는, 제2 소정 제동부를 이용하여 낚싯줄이 잘못하여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낚시를 하고 있을 때에는, 제1 소정 제동부를 이용하여 강한 소정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은, 낚싯대의 긴쪽 방향을 따르는 제1 축(X) 둘레에 낚싯줄을 감아내는 릴이고, 핸들(1)을 구비한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제1 축(X)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3)와, 로터(3)의 전부에 배치된 낚싯줄을 감아내는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합금 등의 경금속제이다. 릴 본체(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에 장착되는 전후로 긴 장대 장착부(2c)와, 장대 장착부(2c)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릴 보디(2a)와, 장대 장착부(2c)와 릴 보디(2a)를 연결하는 다리부(2b)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는, 내부에 기구 장착 공간을 가지며, 다리부(2b)와 일체 형성되고 측부(側部)가 개구(開口)하는 케이스부(2f)와, 케이스부(2f)를 덮는 덮개 부재(2d, 도 3)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의 전부에는, 장착 플랜지 붙이의 금속제인 통상의 장착 부재(2e)가 장착되어 있다.
릴 보디(2a)의 내부에는, 로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 구동 기구(5)와,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역전)을 제동하기 위한 레버 브레이크 기구(6, 로터 제동 장치의 일례)와, 스풀축(8)을 통하여 스풀(4)을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는 오실레이팅 기구(20)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3)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제이고,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3)는, 원통부(3a)와, 원통부(3a)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암부(3b) 및 제2 암부(3c)를 가지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a)의 전벽(前壁, 3d)의 중앙부에는 관통공(3e)을 가지는 보스부(3f)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3e)에 스풀축(8) 및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가 관통하고 있다. 제1 암부(3b)의 선단과 제2 암부(3c)의 선단부에는, 요동 가능하게 베일 암(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일 암(9)에 의하여 낚싯줄이 스풀(4)로 안내된다.
스풀(4)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것이다. 스풀(4)은, 로터(3)의 제1 암부(3b)와 제2 암부(3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축(8)의 선단에 원터치 탈착(脫着) 기구(19)를 통하여 탈착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권사 몸통부(4a)와, 권사 몸통부(4a)의 후단부(後端部)에 일체 형성된 대경(大徑)의 스커트부(4b)와, 권사 몸통부의 전단부(前端部)에 일체 형성된 앞 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앞 플랜지부(4c)의 외주부에는, 경질(硬質)의 스풀 링(4d)이 장착되어 있고, 권사 몸통부(4a)의 전단부에 돌려 끼우는 것이 가능한 링 고정 부재(4e)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이 돌려 끼움 고정된 마스터 기어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마스터 기어축(10)은, 릴 본 체(2)에 좌우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바람직하게는 볼 베어링 형태의 베어링(15a, 15b)에 의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어링(15a)은, 덮개 부재(2d)에 외방(外方)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보스부(16a)에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15b)은, 케이스부(2f)에 외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보스부(16b)에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15a, 15b)과 마스터 기어축(10)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핸들(1)의 돌려 끼움에 의한 마스터 기어축(10)의 변형에 의하여 베어링(15a, 15b)이 빠지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이프 형상의 슬리브(17a, 17b)가 장착되어 있다. 슬리브(17a, 17b)는, 마스터 기어축(10)의 축 단부(端部)를 덮도록 하는 내(內)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4 좌측의 덮개 부재(2d)에 장착된 베어링(15a)과 마스터 기어(11)의 배면(背面)의 사이에는, 용수철 부재(18)가 개장(介裝)되어 있다. 용수철 부재(18)는, 베어링(15a)과 마스터 기어(11)를 양자가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하여 마스터 기어(11)의 축 방향의 덜걱거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용수철 부재(18)로는, 접시 용수철이나 파판(波板) 용수철이나 스프링 와셔(washer) 등의 링 형상으로 컴팩트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부(12a)은 로터(3)의 관통공(3e)을 관통하여 스풀(4)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전부(12a)에서, 로터(3)는 너트(13)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전부와 중간부에서 롤링 베어링 형태의 베어링(14a, 14b)에 의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 지되어 있다. 덧붙여, 전부의 베어링(14a)은, 릴 본체(2)를 구성하는 장착 부재(2e)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너트(13)는, 리테이너(27)에 의하여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리테이너(27)는 전벽(3d)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멈춤 고정된 비스(vis)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너트(13)의 내주부에는, 슬라이드 베어링 형태의 부시(14c)가 장착되어 있고, 스풀축(8)을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스풀축(8)은, 피니언 기어(12)의 후방(後方)에서 케이스부(2f)에 장착된 부시(14d)에도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12)의 내주면과 스풀축(8)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間隙)이 형성되어 있고, 접촉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스풀축(8)의 전후 이동이 부드러워진다.
오실레이팅 기구(2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래버스(traverse) 캠식이며,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4)을 전후 왕복 이동시킨다. 오실레이팅 기구(20)는, 스풀축(8)과 평행하게 배치된 나선축(20a)과, 나선축(20a)의 선단에 배치되고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20b)와, 나선축(20a)에 계합하여 나선축(20a)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20c)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0c)에 스풀축(8)의 후단부가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레버 브레이크 기구의 구성〕
레버 브레이크 기구(6)는, 도 1 ~ 도 3 및 도 5 ~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만을 전달하는 원웨이 클러치(21)와, 로터(3)와 원웨이 클러치(21)를 통하여 연결된 회전 부재(22)와, 회전 부재(22)에 접촉하여 제동하는 제동 조작부(23)와, 제동 조작부(23)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연동 기구(24)를 가지고 있다. 또한, 레버 브레이크 기구(6)는, 제동 레버(50)에 의하여 제1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제1 소정 제동부(25, 도 3 참조)와, 제1 소정 제동부(25)보다 약한 제동력으로 로터(3)를 제동 가능한 제2 소정 제동부(26)를 가지고 있다.
〔원웨이 클러치의 구성〕
원웨이 클러치(21)는, 톱니 멈춤쇠식의 것이며, 로터의 전벽(3d)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통상의 래칫 휠(32)과, 래칫 휠(32)에 접촉 가능한 클러치 톱니 멈춤쇠(33)와, 클러치 톱니 멈춤쇠(33)를 선단이 래칫 휠(32)에 접촉하는 방향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용수철 부재(34)를 가지고 있다. 원웨이 클러치(21)는,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만 회전 부재(22)로 전달하고, 회전 부재(22)를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래칫 휠(32)은, 내주면에 거치상(鋸齒狀)의 래칫 톱니(32a)를 가지고 있고, 이 래칫 톱니(32a)에 클러치 톱니 멈춤쇠(33)의 선단이 접촉하여 줄 방출 방향의 로터(3)의 회전이 회전 부재(22)로 전달된다.
클러치 톱니 멈춤쇠(3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부재(22)의 전면(前面)에 기단(基端)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선단부에 래칫 톱니(32a)에 계지(係止)되는 예각의 톱니 멈춤쇠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에는, 용수철 부재(34)가 계지되는 계지 구멍(33b)이 형성되어 있다.
용수철 부재(34)는, 탄성 선재(線材)를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며,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에 로터(3)의 보스부(3f)의 외주면에 마찰 계합하는 링상의 장착부(34a)를 가지고, 중간부에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34b)를 가지며, 선단에 계지 구멍(33b)에 계지되는 계지부(34c)를 가지고 있다. 용수철 부재(34)는, 로터(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압박 방향이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러치 톱니 멈춤쇠(33)를 래칫 휠(32)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하고,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칫 휠(3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3)를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클러치 톱니 멈춤쇠(33)가 래칫 휠(32)에 충돌하지 않게 되어, 클릭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톱니 멈춤쇠식의 원웨이 클러치(21)여도, 줄 감기 시의 회전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회전 부재의 구성〕
회전 부재(22)는, 원웨이 클러치(21)로부터 전달된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회전 부재(22)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부재(2e)의 선단 외주면에 장착된 베어링(35)에 의하여 장착 부재(2e)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부재(22)는, 베어링(35)이 내주면에 배치된 지지 부재(36)와, 지지 부재(36)에 나사 멈춤 고정된 원판 부재(37)와, 원판 부재(37)의 외주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동 조작부(23)에 의하여 제동되는 통상의 제동 부재(38, 제동부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지지 부재(36)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원판상의 부재이며, 내주부에 베어링(35)을 그 외륜(外輪)의 전방(前方)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수납 가능한 베 어링 수납부(36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전면에 클러치 톱니 멈춤쇠(33)를 요동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톱니 멈춤쇠 장착부(36b)를 가지고 있다.
원판 부재(37)는, 예를 들어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얻어진 것이며, 베어링(35)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37a)를 내주부에 가지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예를 들어 4개의 규제 돌기(37b)를 외주부에 가지고 있다. 이 규제 돌기(37b)에 제동 부재(38)가 계합하여, 제동 부재(38)가 원판 부재와 일체 회전한다.
제동 부재(38)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통상 부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얻어진 것이며, 원판 부재(37)의 외주부에 장착된 대경의 제1 원통부(38a)와, 제1 원통부(38a)의 후단부에 제1 원통부(38a)보다 직경이 축소하여 형성된 제2 원통부(38b)를 가지고 있다. 제1 원통부(38a)의 전단부에는, 규제 돌기(37b)에 계합하는 예를 들어, 4개의 규제 오목부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측(前側) 내주면에는, 환상 장착 홈(38d)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장착 홈(38d)에는, 제동 부재(38)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예를 들어 스냅 링 형태의 빠짐 방지 부재(39)가 장착되어 있다.
제2 원통부(38b)는, 내주면과 외주면이 각각 제동면(38e, 38f)으로 되어 있다. 제2 원통부(38b)의 2개의 제동면(38e, 38f)을 제동 조작부(23)가 협지하여 회전 부재(22)가 제동된다.
〔제동 조작부의 구성〕
제동 조작부(23)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축(X)과 어긋나는 제2 축(Y1, 제1 요동축의 일례) 둘레에 장대 장착부(2c)와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릴 보디(2a)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동 레버(50)를 가지고 있다. 제동 레버(50)는, 릴 본체(2)의 릴 보디(2a)에 제2 축(Y1)을 따라서 배치된 지지축(43)에 의하여 릴 본체(2)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43)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두리 붙이의 축 부재이며, 덮개 부재(2d)를 케이스부(2f)에 장착하기 위한 나사 부재이다. 지지축(43)은, 덮개 부재(2d) 측으로부터 삽입된 나사 부재(44)에 나사 감합(嵌合)하여 릴 본체(2)에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축(43) 및 나사 부재(44)는, 덮개 부재(2d)를 케이스부(2f)에 고정하는 것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제동 레버(50)는, 다리부(2b)에 수납된 코일 용수철(49)에 의하여 장대 장착부(2c)와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제동 레버(50)는, 도 1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소정 제동 위치와, 실선으로 도시하는 제동 해제 위치보다 장대 장착부(2c)에 접근한 파선으로 도시하는 제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릴 본체(2)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덧붙여, 제동 레버(50)는, 통상은, 코일 용수철(49) 및 제1 소정 제동부(25)의 기구에 의하여 도 1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제동 해제 위치와 이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소정 제동 위치 중 어느 한쪽에 유지된다.
제동 레버(50)는, 지지축(43)에 의한 지지 부분으로부터 만곡(彎曲)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50a)와, 지지 부분으로부터 만곡하여 비스듬히 전하방(前下方)으로 연장되는 작용부(50b)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50a)는, 지지축(43)에서의 지지 부분으로부터 장대 장착부(2c)를 따라서 베일 암(9)의 외방 부근까지 전방 으로 연장된 후, 직경 방향 외방과 전방으로 분기(分岐)하여 연장되고, 나아가 직경 방향 외방으로 분기한 선단이 전방을 향하여 만곡한 형상이다. 조작부(50a)는, 만곡 부분으로부터 전방에 설치되고,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제1 조작부(50c)와, 분기 부분으로부터 전방에 설치되고 제1 소정 제동 조작 시에 사용하는 제2 조작부(50d)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2 조작부(50d)는 제1 조작부(50c)보다 장대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반하여 배치되어 있다.
작용부(50b)의 선단은, 제동 부재(38)의 제2 원통부(38b)의 내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작용부(50b)의 선단에는, 제2 원통부(38b)의 내주 측의 제동면(38e)에 접촉 가능한 제1 브레이크 슈(51, 제1 제동 작용부의 일례)가 장착되어 있다. 제1 브레이크 슈(51)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나 폴리아세탈 등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며, 제동 레버(50)에 탈착 가능하게 압입(壓入) 고정되어 있다. 제1 브레이크 슈(51)는, 제동면(38e)을 따르도록 원호상(圓弧狀)으로 볼록하게 만곡하는 접촉면(51a)을 가지고 있고, 제동 레버(50)의 요동에 의하여 제2 원통부(38b)를 직경 방향 외방으로 압압한다.
제동 레버(50)는, 아무것도 조작되지 않으면 코일 용수철(49)에 의하여 압박되어, 도 1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어 제1 브레이크 슈(51)가 제2 원통부(38b)로부터 이반하고 있다.
코일 용수철(49)은, 제동 레버(50)의 조작부(50a)와 릴 본체(2)의 다리부(2b)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코일 용수철(49)은, 제동 레버(50)를 제동 해제 측을 향하여 도 1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레버(50)로부터 손을 떼면, 로터(3)는 제동 해제 상태가 된다.
또한, 제동 레버(50)는, 제1 소정 제동부(25)를 도 8에 도시하는 제동 해제 상태와 도 9에 도시하는 소정 제동 상태로 전환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작용부(50b)의 제1 브레이크 슈(51)의 장착 부분의 하방(下方)에는, 제1 소정 제동부(25)의 후술하는 레버 부재(61)의 선단이 계지되는 타원형의 계지 오목부(50e, 도 2, 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오목부(50e)는, 후술하는 레버 부재(61)의 선단부의 횡단 면적보다 큰 면적의 타원형의 오목부이다. 나아가, 작용부(50b)의 제1 브레이크 슈(51)의 장착 부분의 후방에는, 연동 기구(24)를 연동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계합 노치(notch)부(50f)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 노치부(50f)는, 작용부(50b)의 위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만곡하여 노치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동 기구의 구성〕
연동 기구(24)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케이스부(2f)의 전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연동 부재(52)를 가지고 있다. 연동 부재(52)의 선단에는, 제동 레버(50)의 요동에 연동하여 제2 원통부(38b)의 외주 측의 제동면(38f)에 접촉하여 제2 원통부(38b)를 제1 브레이크 슈(51)로 협지 가능한 제2 브레이크 슈(53, 제2 제동 작용부의 일례)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연동 부재(52)는, 케이스부(2f)의 전부에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보스부(2g, 도 3)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스부(2g)에는, 제동 레버 (50)의 제2 축(Y1)과 평행한 제3 축(Y2, 제2 요동축의 일례)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나사 구멍(2h)이 형성되어 있고, 연동 부재(52)는, 보스부(2g)의 나사 구멍(2h)에 돌려 끼워지는 볼트 부재(54)에 의하여, 제3 축(Y2)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연동 부재(52)는, 예를 들어 금속판을 접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연동 부재(52)는, 볼트 부재(54)에 의하여 보스부(2g)에 장착되는 장착부(52a)와, 장착부(52a)로부터 접어 구부러져, 제동 레버(50)의 계합 노치부(50f)에 후부(後部)가 계합하는 계합부(52b)와, 계합부(52b)로부터 접어 구부러져 제1 원통부(38a)의 외주면에 대향 가능한 슈 장착부(52c)를 가지고 있다. 이 슈 장착부(52c)에 제2 브레이크 슈(53)가 제2 원통부(38b)의 외주 측의 제동면(38f)에 대향하여 장착되어 있다. 제2 브레이크 슈(53)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나 폴리아세탈 등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며, 연동 부재(52)에 탈착 가능하게 압입 고정되어 있다. 제2 브레이크 슈(53)는, 제동면(38f)을 따르도록 원호상으로 오목하게 만곡하는 접촉면(53a)을 가지고 있고, 제1 브레이크 슈(51)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2 원통부(38b)의 외주 측의 제동면(38f)을 압압한다.
연동 부재(52)는, 제동 레버(50)가 장대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되면, 계합부(52b)의 후부가 제동 레버(50)의 계합 노치부(50f)에 접촉하여 제2 브레이크 슈(53)가 제2 원통부(38b)의 외주 측의 제동면(38f)을 직경 방향 내방(內方)으로 압압하도록 도 5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브레이크 슈(51)로 제2 원통부(38b)를 협지하고, 회전 부재(22)를 제동하여,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한, 제동 레버 (50)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제동 레버(50)가 제동 해제 위치로 되돌아오면, 제2 브레이크 슈(53)에 의한 압압이 해제된다.
여기에서는, 회전 부재(22)의 제2 원통부(38b)의 2개의 제동면(38e, 38f)을, 연동하여 이동하는 제동 레버(50)의 제1 브레이크 슈(51)와 연동 기구(24)의 제2 브레이크 슈(53)로 협지하여 제동하기 때문에, 회전 부재(22)를 기울게 하는 힘이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제동 레버(50)에 의한 조작에 따라 효율 좋게 제동력을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제1 소정 제동부의 구성〕
제1 소정 제동부(25)는, 도 3,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부재(38)의 내주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동 부재(38)에 마찰 계합하는 마찰 부재(63)와, 마찰 부재(63)에 계합·이반 가능한 전환 동작부(60)를 가지고 있다. 전환 동작부(60)는, 마찰 부재(63)에 계합하여 마찰 부재(6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고 마찰 부재(63)를 회전 부재(22)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켜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소정 제동 위치와, 마찰 부재(63)로부터 이반하여 마찰 부재(63)의 회전을 허가하고 제동 해제하는 이반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릴 본체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환 동작부(60)는, 제동 레버(50)와 연동하여 요동하는 레버 부재(61)와, 레버 부재(61)를 제동 해제 위치(이반 위치)와 소정 제동 위치로 유지하는 토글(toggle) 용수철(62)을 가지고 있다.
레버 부재(61)는, 도 3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장착 부재(2e)의 장착 부분에 스풀축(8)과 평행하게 배치된 요동축(65)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레버 부재(61)의 기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는, 선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2배 이상 길다. 레버 부재(61)의 선단은, 계지 오목부(50e)에 계지되어 있고, 레버 부재(61)는, 제동 레버(50)와 연동하여 제동 해제 위치(도 8)와 소정 제동 위치(도 9)의 사이에서 요동한다. 레버 부재(61)의 중간부에는, 계지 톱니 멈춤쇠(7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계지 톱니 멈춤쇠(70)는, 기단에 용수철 계지부(70a)를 가지고, 선단에 예각의 톱니 멈춤쇠부(70b)를 가지고 있으며, 코일 용수철(71)에 의하여 톱니 멈춤쇠부(70b)가 돌출하는 방향(도 8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레버 부재(61)의 기단에는, 토글 용수철(62)이 계지되어 있다. 또한, 레버 부재(61)의 요동 중심과 계지 톱니 멈춤쇠(70)의 장착 부분의 사이에는, 제동면(38e)에 접촉하여 제1 소정 제동 위치에 있어서의 레버 부재(61)의 요동 위치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66)가 장착되어 있다. 위치 결정 부재(66)는, 레버 부재(61)와 후술하는 마찰 부재(63)의 제2 래칫 톱니(63a)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동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레버 부재(61)는 토글 용수철(62)에 의하여 압박되고, 선단이 계지 오목부(50e)의 상면(上面)에 접촉한다. 또한, 제1 소정 제동 위치에 있을 때, 선단이 계지 오목부(50e)의 하면(下面)에 접촉한다. 코일 용수철(71)은, 일단이 용수철 계지부(70a)에 계지되고, 타단이 레버 부재(61)의 요동축(65)에 계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계지 톱니 멈춤쇠(70)를 요동 가능하게 레버 부재(61)에 장착하고 또한 코일 용수철(71)로 톱니 멈춤쇠부(70b)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소정 제동 위치에 레버 부재(61)가 요동하였 을 때에 톱니 멈춤쇠부(70b)와, 마찰 부재(63)의 후술하는 제2 래칫 톱니(63a)의 회전 위상이 맞지 않아, 톱니 멈춤쇠부(70b)가 제2 래칫 톱니(63a)의 돌출 부분에 접촉하여도, 충격을 흡수하여 마찰 부재(63)를 확실히 회전 멈춤할 수 있다.
마찰 부재(63)는,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부재이며, 제동 부재(38)의 제1 원통부(38a)의 내주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마찰 부재(63)의 일단(도 5 우단) 내주면에는, 계지 톱니 멈춤쇠(70)의 톱니 멈춤쇠부(70b)에 계합하는 거치상의 제2 래칫 톱니(63a)가 직경 방향 내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래칫 톱니(63a)는, 레버 부재(61)가 소정 제동 위치(도 9)에 있을 때, 계지 톱니 멈춤쇠(70)에 계합하여 마찰 부재(6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마찰 부재(63)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2개)의 환상 장착 홈(63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장착 홈(63b)에 제1 원통부(38a) 및 마찰 부재(63)와 마찰 계합하는 마찰 링(64)이 장착되어 있다. 마찰 링(64)은, 마찰 부재(63)를 제동 부재(38)에 마찰 계합시키기 위하여 장착된, 예를 들어 O링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2개)의 링이다.
마찰 부재(63)의 양단에는, 와셔 부재(73a, 73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와셔 부재(73a)는, 원판 부재(37)와 마찰 부재(63)의 간극에 배치되고, 와셔 부재(73b)는, 마찰 부재(63)와, 제1 및 제2 원통부(38a, 38b)의 단차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와셔 부재(73a, 73b)는, 마찰 부재(63)의 축 방향의 장착 치수를 조절하여 마찰 부재(63)가 덜걱거리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마찰 부재(63)에서는, 레버 부재(61)가 소정 제동 위치에 배치되고 계지 톱니 멈춤쇠(70)가 제2 래칫 톱니(63a)에 계합하였을 때, 마찰 부재(6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되고, 마찰 링(64)의 작용에 의하여 제동 부재(38)에 대하여 마찰 접동(摺動, 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임)하여, 제동 부재(38)를 제1 소정 제동 상태로 제동한다.
여기에서는, 제동 레버(50)를 소정 제동 위치로 밀어 넣는 조작을 하면, 거기에 연동하여 레버 부재(61)도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제1 소정 제동 위치로 요동한다. 이 결과, 계지 톱니 멈춤쇠(70)가 마찰 부재(63)의 제2 래칫 톱니(63a)에 계합하고,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1 소정 제동 상태로 제동한다.
토글 용수철(62)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61)를 압박하여 제동 레버(50)를 소정 제동 위치와 제동 해제 위치로 압박하여,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토글 용수철(62)은, 레버 부재(61)의 기단에 장착된 비틀림 코일 용수철이다. 토글 용수철(62)은, 일단이 레버 부재(61)의 기단에 계지되고, 타단이 케이스부(2f)의 전단면(前端面)에 계지되어 있다. 토글 용수철(62)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61)가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면 레버 부재(61)를 도 9의 시계 방향으로 압박하고, 소정 제동 위치에 배치되면 도 9의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것에 의하여, 레버 부재(61)가 제동 해제 위치와 소정 제동 위치로 유지되고, 나아가 제동 레버(50)가 제동 해제 위치와 소정 제동 위치로 유지된다.
〔제2 소정 제동부의 구성〕
제2 소정 제동부(2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2f) 의 전면에 장착된 이동 부재(75)와, 이동 부재(75)를 전환 조작하기 위한 전환 조작부(76)를 가지고 있다. 이동 부재(75)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나 폴리아세탈 등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며, 선단에 제동면(38e)을 압압 가능한 제3 브레이크 슈(75a, 제3 제동 작용부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또한, 기단에 전환 조작부(76)에 계합하는 전환 돌기(75b)를 가지고 있다. 이동 부재(75)는, 제동면(38e)에 접촉하여 압압 가능한 제동 위치와, 제동면(38e)으로부터 이반하는 제동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케이스부(2f)의 전면으로 안내되고, 장착 부재(2e)에 의하여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이동 부재(75)는, 예를 들어 코일 용수철 형태의 용수철 부재(77)에 의하여 제동 위치를 향하여 압박되어 있다. 이동 부재(75)에는, 용수철 부재(77)가 장착되는 용수철 장착 구멍(75c)이 압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용수철 부재(77)는, 기단이 케이스부(2f)에 접촉하여 압축 상태로 용수철 장착 구멍(75c)에 장착되어 있다. 제3 브레이크 슈(75a)는, 제동면(38e)을 따르도록 원호상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형성된 접촉면(75d)을 가지고 있다. 전환 돌기(75b)는, 압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환 조작부(76)는, 덮개 부재(2d)의 전면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레버(80)와, 전환 레버(80)에 일체적으로 요동하는 캠 부재(81)를 가지고 있다. 캠 부재(81)는, 제동 위치와 제동 해제 위치로 전환하기 위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회동 범위가 규제되어 있다. 또한, 캠 부재(81)는, 토글 용수철(82)에 의하여 토글 용수철(82)의 사점을 사이에 두고 양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캠 부재(81)는, 이동 부재(75)의 전환 돌기(75b)에 접촉 가능한 캠 돌기(81a)를 가지고 있고, 도 2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캠 돌기(81a)가 전환 돌기(75b)에 접촉한 위치에서, 이동 부재(75)가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고, 가는 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서는 캠 돌기(81a)가 전환 돌기(75b)로부터 이반하여, 이동 부재(75)가 용수철 부재(77)의 압박력에 의하여 제동 위치에 배치되고 제동면(38e)을 압압한다.
〔릴의 동작 및 조작〕
캐스팅 시에는 베일 암(9)을 줄 개방 자세 측으로 넘어뜨려, 캐스팅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4)의 외주로부터 낚싯줄이 방출된다. 줄 감기 시에는, 핸들(1)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일 암(9)이 도시하지 않는 되돌림 기구에 의하여 줄 감기 자세로 되돌아온다. 핸들(1)의 회전력은, 마스터 기어축(10), 마스터 기어(11)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를 통하여 로터(3)로 전달된다. 이때 로터(3)는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원웨이 클러치(21)의 작용에 의하여 이 회전력은 회전 부재(22)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피니언 기어(12)가 회전하면, 스풀축(8)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제동 레버(50)를 아무것도 조작하지 않으면, 제동 레버(50)는 코일 용수철(49) 및 제1 소정 제동부(25)의 작용에 의하여 압압되어 제동 해제 위치 또는 소정 제동 위치에 배치된다.
로터(3)를 역전시켜 물고기와 릴링할 때에는, 제동 레버(50)의 제1 조작부(50c)를 예를 들어 집게 손가락에 의하여 장대 장착부(2c) 측으로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여 제동력을 조정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동 레버(50)의 제1 브레 이크 슈(51)가 제2 원통부(38b)의 내주 측의 제동면(38e)을 압압하는 것과 함께, 연동 부재(52)의 제2 브레이크 슈(53)가 제2 원통부(38b)의 외주 측의 제동면(38f)을 압압한다. 이 결과, 제동 부재(38)가 2개의 브레이크 슈(51, 53)에 의하여 협지되고, 회전 부재(22)를 기울게 하는 힘이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제동 레버(50)에 의한 조작에 따라 효율 좋게 제동력을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낚싯줄이 물고기에 의하여 끌려 로터(3)가 줄 방출 방향으로 역전하면, 그 회전력이 원웨이 클러치(21)를 통하여 회전 부재(22)로 전달된다. 이 결과, 회전 부재(22)가 로터(3)와 일체로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동 레버(50)의 제1 조작부(50c)를 장대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면, 아무리 제동 레버(50)가 소정 제동 위치에 있어도, 레버 부재(61)가 제동 해제 위치 측으로 요동한다. 이 결과, 제1 소정 제동부(25)에 의한 제1 소정 제동 상태가 일단 해제된다. 이때, 토글 용수철(62)이 레버 부재(61)의 요동에 의하여 반전하고, 레버 부재(61)가 제동 해제 위치 측으로 압박되며, 레버 부재(61)가 제동 해제 위치 측에서 유지된다(도 8). 또한, 제2 소정 제동부(26)가 제2 소정 제동 상태인 경우는, 제동 레버(50)를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하여도, 제2 소정 제동 상태는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나아가 제동 레버(50)를 장대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제동 레버(50)의 제1 브레이크 슈(51) 및 연동 부재(52)의 제2 브레이크 슈(53)에 의하여 제2 원통부(38b)가 협지되고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제동된다. 이 제동력은 제동 레버(50)에 가하는 힘을 가감하는 것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고, 로터(3)의 역전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제동 레버(50)의 조작력에 따른 제동력이 로터(3)에 부여된다. 이와 같이, 제1 소정 제동 상태의 해제를 잊어도, 제동 레버(50)를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제1 소정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낚시터를 이동할 때나 릴을 수납할 때에는, 제2 소정 제동부(26)의 전환 조작부(76)에 의하여 제2 소정 제동부(26)를 제2 소정 제동 상태로 하거나, 제2 조작부(50d)의 압압 조작에 의하여 제동 레버(50)를 소정 제동 위치에 배치하여 제1 소정 제동부(25)를 제1 소정 제동 상태로 하거나 한다.
제2 소정 제동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 부재(75)가 제동 위치에 배치되고 용수철 부재(77)의 압박력에 의하여 약한 제동력으로 로터(3)의 역전(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한다.
제1 소정 제동 상태에서는, 제동 레버(50)의 압압 조작에 의하여 레버 부재(61)가, 토글 용수철(62)에 의하여 압박되어 도 9에 도시하는 제1 소정 위치를 향하여 요동한다. 그러면, 레버 부재(61)에 장착된 위치 결정 부재(66)에 의하여 제1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계지 톱니 멈춤쇠(70)가 제2 래칫 톱니(63a)에 맞물려 마찰 부재(6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된다. 따라서, 제2 소정 제동 상태에 있어서의 제동력은, 마찰 부재(63)와 제동 부재(38)의 사이에 장착된 마찰 링(64)의 탄성력에 의하여 정해진다. 이 때문에, 이동 도중에 핸들(1)에 무엇인가가 닿아도 핸들(1)이 돌지 않는 정도로 강한 소정 제동력을 얻기 쉬워지고, 낚시터의 이동 도중에 낚싯줄이 팽팽히 당겨지지 않고 느슨해지는 것이 생기 지 않을 정도로 강하게 소정 제동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마찰 부재(63)와 제동 부재(38)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제동하기 때문에, 제동력이 변동하기 어려워져 안정한다.
나아가, 채비가 늘어뜨려지는 길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나, 물고기에 입질이 있었을 때에 물고기에 채비를 확실히 먹혀들게 하기 위하여, 로터(3)를 소정 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해제 상태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동 레버(50)를 약간 장대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된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동 레버(50)에 의하여 레버 부재(61)가 제동 해제 위치로 요동하여 제1 소정 제동 상태가 일단 해제된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낚시를 행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소정 제동부(25)나 제2 소정 제동부(26)를 설치하였지만, 이들을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동 부재를 원통상(圓筒狀)의 부재로 구성하였지만, 원판상의 부재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동 레버를 레버 본체와 레버 본체의 요동에 의하여 전후 이동하는 제1 브레이크 슈로 분할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마찰 링(64)으로서 O링을 이용하였지만, 마찰 링은 O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동 레버(50)를 릴 보디(2a)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였지만, 제동 레버를 장착부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릴 보디에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마찰 부재에 마찰 링을 장착하였지만, 제동 부재에 마찰 링을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부재의 제동부의 2개의 제동면을, 연동하여 이동하는 제동 조작부의 제1 제동 작용부와 연동 기구의 제2 제동 부재로 협지하여 제동하기 때문에, 제동부를 기울게 하는 힘이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제동 조작부에 의한 조작에 따라 효율 좋게 제동력을 상승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이고,
    상기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전달하는 원웨이 클러치와,
    양면에 제동면을 가지는 제동부를 가지고, 상기 원웨이 클러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상기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동을 위한 제1 조작부와, 상기 제1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동면의 어느 일방(一方)에 접촉하는 제1 제동 작용부를 가지는 제동 조작부와,
    상기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동 조작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동면의 어느 타방(他方)에 접촉하여 상기 제동부를 상기 제1 제동 작용부로 협지(挾持) 가능한 제2 제동 작용부를 일단(一端)에 가지는 연동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제동부는, 통상(筒狀)이고, 그 외주면(外周面)과 내주면(內周面)에 상기 제동면을 가지고,
    상기 릴 본체는, 장대 장착부와, 상기 장대 장착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릴 보디와, 상기 장대 장착부와 상기 릴 보디를 연결하는 다리부를 가지고,
    상기 제동 조작부는, 상기 장대 장착부와 접근·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제1 요동축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된 제동 레버를 가지며, 상기 제1 조작부는, 상기 장대 장착부에 대하여 접근·이반하도록 상기 제동 레버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제동 작용부는, 상기 제1 조작부와 상기 제1 요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동 레버의 타단(他端)에 배치되고 상기 제동부의 상기 내주면을 압압(押壓)하고,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제동 레버에 계합(係合)하는 계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동 레버가 상기 장대 장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계합부가 상기 제동 레버에 접촉하여 상기 제2 제동 작용부가 상기 제동부에 접촉하도록 이동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기구는, 상기 제동 레버의 제1 요동축과 평행한 제2 요동축 둘레에 요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제동 작용부는, 상기 제1 제동 작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동부의 외주면을 압압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동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어느 일방에 마찰 계합하는 마찰 부재, 및 상기 마찰 부재에 계합하여 상기 마찰 부재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고 상기 회전 부재를 상기 마찰 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켜 상기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위치와 상기 마찰 부재로부터 이반하여 상기 마찰 부재의 회전을 허가하고 제동 해제하는 이반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된 전환 동작부를 가지는 제1 소정 제동부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마찰 부재가 내주면에 마찰 계합하는 제1 원통부(圓筒部)와, 상기 제1 원통부와 일체 형성되고 상기 제1 원통부보다 소경(小徑)이며 상기 제1 및 제2 제동 작용부가 접촉하는 제2 원통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와 상기 제동부의 사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마찰 링을 통하여 상기 원통부의 내주면과 마찰 계합하고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마찰 링을 장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환상(環狀) 장착 홈이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레버는, 선단(先端)에 상기 제1 조작부와 상기 장대 장착부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조작부와, 상기 제1 제동 작용부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전환 동작부에 계합하는 전환 계합부를 더 가지고,
    상기 전환 동작부는, 상기 전환 계합부에 계합하고, 상기 제동 레버의 상기 장대 장착부로부터 접근·이반하는 방향의 요동에 따라 상기 제동 위치와 상기 이반 위치로 이동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의 내주면에 접촉 가능한 제3 제동 작용부를 가지고, 상기 제3 제동 작용부가 상기 제동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압압 가능한 제동 위치와,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이반하는 제동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된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를 상기 제동 위치와 상기 제동 해제 위치로 전환 조작하기 위한 전환 조작부를 가지고, 상기 로터를 상기 제1 소정 제동부보다 약한 제동력으로 제동 가능한 제2 소정 제동부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1020060111776A 2006-01-12 2006-11-13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101276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04953 2006-01-12
JP2006004953A JP4863716B2 (ja) 2006-01-12 2006-01-12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256A KR20070075256A (ko) 2007-07-18
KR101276623B1 true KR101276623B1 (ko) 2013-06-19

Family

ID=3825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776A KR101276623B1 (ko) 2006-01-12 2006-11-13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63716B2 (ko)
KR (1) KR101276623B1 (ko)
CN (1) CN100998324B (ko)
TW (1) TW2007277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1710B2 (ja) * 2007-12-18 2012-03-2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つまみ組立体
KR20110019701A (ko) * 2009-08-20 2011-02-2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CN103004715B (zh) * 2012-12-11 2015-08-26 许忠 纺车式渔线轮的双刹车机构
JP6261884B2 (ja) * 2013-06-05 2018-01-1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そのロータ制動装置の制動操作レバー
JP6467230B2 (ja) * 2015-01-15 2019-02-06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JP6688603B2 (ja) * 2015-12-14 2020-04-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KR102292063B1 (ko) * 2019-10-07 2021-08-2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고정식 상시 브레이크와 이동식 관성력 브레이크를 구비한 낚시 릴
JP7481958B2 (ja) * 2020-08-27 2024-05-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制動力制御システム及び制動力設定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123A (ja) * 1998-11-20 2000-06-13 Mamiya Op Co Ltd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3079294A (ja) * 2001-09-10 2003-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0651A (ja) * 1997-04-18 1998-11-04 Ryobi Ltd 魚釣り用リールの回転制動装置
JP2002000146A (ja) * 2000-06-21 2002-01-0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JP3977672B2 (ja) * 2002-03-15 2007-09-1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4451734B2 (ja) * 2004-06-30 2010-04-1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123A (ja) * 1998-11-20 2000-06-13 Mamiya Op Co Ltd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3079294A (ja) * 2001-09-10 2003-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998324A (zh) 2007-07-18
JP4863716B2 (ja) 2012-01-25
JP2007185130A (ja) 2007-07-26
KR20070075256A (ko) 2007-07-18
CN100998324B (zh) 2012-01-25
TW200727783A (en) 2007-08-01
TWI363597B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623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JP2007185130A5 (ko)
KR100737885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US7419113B2 (en) Drag device for spinning reel
JP2007312703A5 (ko)
KR101191077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JP558815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KR100877308B1 (ko) 스피닝 릴
JP6261884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そのロータ制動装置の制動操作レバー
KR100923134B1 (ko) 스피닝 릴
JP252456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546025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450062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JP624711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562406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切換装置
JP446275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5159757A5 (ko)
JP451246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KR100905294B1 (ko) 스피닝 릴
JP457204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KR20030023587A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492852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3146245A5 (ko)
KR20110019701A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JP418755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切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