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352B1 -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352B1
KR101275352B1 KR1020110074232A KR20110074232A KR101275352B1 KR 101275352 B1 KR101275352 B1 KR 101275352B1 KR 1020110074232 A KR1020110074232 A KR 1020110074232A KR 20110074232 A KR20110074232 A KR 20110074232A KR 101275352 B1 KR101275352 B1 KR 101275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variable buoyancy
intake tower
wat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824A (ko
Inventor
허종형
Original Assignee
허종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종형 filed Critical 허종형
Priority to KR1020110074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35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가 취수되는 취수탑을 둘러싸도록 외주 둘레로 이격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타입의 차단막, 차단막의 상단에 설치되어, 원수 상에 차단막의 상단이 부유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고정부력부, 차단막의 하단에 설치되며, 원수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기 또는 원수를 채우면서, 차단막 하단이 하방으로 이동하며 펼침되게 하거나 상방으로 이동하며 접힘되게 하는 가변부력부를 포함하는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는,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타입의 차단막 하단에 설치된 가변부력부로 공기 또는 원수를 선택적으로 채우면서, 원수의 수위에 따라 용이하게 차단막 하단을 상방으로 이동 접힘되게 하거나 하방으로 펼침될 수 있게 하는 바, 원수 상하측의 수질변화에 따른 선택취수를 가능하게 하여 조류나 기타 부유물질이 취수탑을 통한 취수시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Silt protector of intake tower}
본 발명은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의 원수를 수로에 공급하여 주는 취수탑으로 조류나 기타 부유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댐 또는 저수지 등에 설치되어 공업용수 및 상수도의 원수를 수로에 공급하여 주는 취수탑은 그 상하부 위치에 선택취수를 위해 마련된 흡출관으로 원수를 끌어들일 때, 조류나 각종 부유물질 등이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취수탑의 외주로 차단막을 설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단막은 외주 일정범위로 하측에 방지막(110)이 일체 구성된 플로트(Float)부(120)를 수면에 띄워서 취수탑(100) 외주로 경계 테두리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플로트부(120)를 고정와이어와 연결체인으로 수중 바닥에 설치된 콘크리트블록(130)에 각각 연결 설치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차단막은 상기 플로트부(120)를 고정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불가피하게 수중에 잠수하여 수중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블록(130)의 수중 안치 작업이 매우 난이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은 물론 인력의 낭비와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항상 관리자가 강이나 댐 또는 저수지의 수위 변화를 실시간적으로 관찰하여 그 취수수질에 적합하도록, 상기 방지막(1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주어야 하나 방지막(110)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 선택취수에 불편함이 있다. 즉, 상기 방지막(110)은 수위변화에 따른 승하강시 관리자가 일일이 수중에 잠수하여 상기 플로트부(120)와 상기 콘크리트블록(130)을 연결하고 있는 상기 고정와이어와 상기 연결체인의 길이를 수작업으로 조절하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수중작업에 따른 어려움은 물론 시간 및 인력의 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취수시 수위의 변화에 따라 차단막을 용이하게 승강시켜, 조류나 기타 부유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수가 취수되는 취수탑을 둘러싸도록 외주 둘레로 이격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타입의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원수 상에 상기 차단막의 상단이 부유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고정부력부 및, 상기 차단막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원수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기 또는 상기 원수를 채우면서, 상기 차단막 하단이 하방으로 이동하며 펼침되게 하거나 상방으로 이동하며 접힘되게 하는 가변부력부를 포함하는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변부력부는, 상기 차단막의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공기 또는 원수가 유입되도록 공간부가 마련되고, 일측에 공기주입구가 형성된 상태로 저면에는 하방을 향하도록 복수개의 유입관이 형성된 가변부력본체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가변부력본체의 공기주입구에 연결되는 공기공급라인과, 상기 공기공급라인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발생수단 및, 상기 공기공급라인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압축공기발생수단을 통한 상기 가변부력본체의 공간부에 대한 상기 압축공기 공급여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공기공급라인을 개폐시키는 공급조절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부력부에는, 상기 고정부력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된 가이드롤러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가변부력부의 가변부력본체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가이드롤러에 가이드된 상태로 하방을 향하고,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고정고리가 마련된 연결와이어 및, 상기 연결와이어의 타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연결와이어를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주면서 상기 가변부력부의 상방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수탑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에 대해 이격상태로 복수개의 가이드홈이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차단막에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차단막 내측에 결합된 상태로 타단이 상기 가이드홈 상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차단막이 상기 취수탑의 외주에 이격상태로 유지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신축 이동되는 하는 승강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는,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타입의 차단막 하단에 설치된 가변부력부로 공기 또는 원수를 선택적으로 채우면서, 원수의 수위에 따라 용이하게 차단막 하단을 상방으로 이동 접힘되게 하거나 하방으로 펼침될 수 있게 하는 바, 원수 상하측의 수질변화에 따른 선택취수를 가능하게 하여 조류나 기타 부유물질이 취수탑을 통한 취수시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취수탑용 차단막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의 설치상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가변부력부에 따른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의 설치상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는, 차단막(100), 고정부력부(200), 가변부력부(300)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취수탑(10)에서 취수구(11)를 통해 원수를 유입시 조류나 각종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여기서, 상기 취수탑(10)의 외주면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차단막(100)이 상기 취수탑(10)의 상하방향에 대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2)을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수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100)은 취수탑(10)에서 취수구(11)를 통해 원수를 끌어들일 때, 조류나 각종 부유물질 등이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막이다. 이러한, 상기 차단막(100)은 상기 취수탑(10)에 외삽 배치된 상태로 이후 설명될 상기 고정부력부(200)에 의해 상기 원수 상에 부유상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차단막(100)은 상기 취수탑(10)을 둘러싸도록 외주 둘레로 이격 배치되는 관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차단막(100)은 이후 설명될 상기 가변부력부(300)에 의해 하단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신축되도록 주름관 타입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차단막(100)은 일반적인 공지 형상의 주름관을 선택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4와 같이, 상기 차단막(100)의 골격을 형성하는 접힘부(101)는, 일단에는 내측에 탄성부재(102)가 장착된 삽입가이드공(103)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삽입가이드공(103)에 슬라이딩되게 삽입 설치되는 삽입가이드대(104)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부재가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막(100)의 펼침시, 상기 삽입가이드대(104)가 상기 삽입가이드공(103)에서 외측방향으로 길이가 길어지도록 슬라이딩이동되면서 상기 차단막(100)의 펼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반대로 상기 차단막(100)의 접힘시, 상기 삽입가이드대(104)가 상기 삽입가이드공(103)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가 짧아지도록 슬라이딩 삽입 이동되면서 상기 차단막(100)의 접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가이드공(103) 내측에 설치된 상기 탄성부재(102)는 상기 차단막(100)의 펼침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삽입가이드대(104)를 상기 삽입가이드공(103)에서 외측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펼침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100)의 내측에는, 상기 차단막(100)이 상기 취수탑(10)의 외주 둘레로 이격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인 신축 이동이 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지지대(1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승강지지대(1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차단막(100)의 내측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취수탑(10)의 가이드홈(12) 상에 삽입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지지대(100)는 상기 취수탑(1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12)에 대응되는 갯수를 설치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승강지지대(110)에 의해 상기 차단막(100)이 상기 승강지지대(110)에 연결 지지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신축됨으로써, 상기 차단막(100) 내주와 상기 취수탑(10)의 외주가 항상 일정한 거리로 이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바, 안정적인 원수의 취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력부(200)는 상기 차단막(100)을 상기 원수 상에서 부유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즉, 상기 고정부력부(200)는 상기 차단막(100)의 상단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력부(200)의 상단이 상기 원수 상에서 부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력부(200)는 나무 또는 에어튜브, 스티로폼, 내부에 공기가 들어차 있는 박스 구조물과 같이 일반적인 공지의 부력을 가지는 부력재를 선택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이같이, 상기 고정부력부(200)가 상기 차단막(100)의 상단을 상기 원수의 표면까지 위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취수탑(10)에서 원수를 끌어들일 때 조류나 각종 부유물질 등이 함께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변부력부(300)는 상기 원수 내에 위치하는 상기 차단막(100)의 하단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가변부력부(300)는 상기 원수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기 또는 상기 원수가 유입되면서 채워지도록 하여, 상기 차단막(100)의 하단이 접힘 또는 펼침되게 한다. 상기 가변부력부(300)는 상기 차단막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며, 가변부력본체(310), 공기공급라인(320), 압축공기발생수단(330), 공급조절밸브(340)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부력본체(310)는 내부에 상기 공기 또는 상기 원수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부(311)가 마련된 통 형상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가변부력본체(310)는 상기 차단막(100)의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일측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공기공급라인(320)과 연결되어, 외부의 압축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저면에는 상기 공기공급라인(320)을 통해 상기 공간부(311) 내부로의 압축공기 유입이 정지된 경우, 상기 원수가 상기 공간부(3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관(3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313)은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저면에 복수개가 이격된 상태로 각각 하방을 향하도록 수직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유입관(313)이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저면에 복수개가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공간부(311)로 상기 압축공기 또는 상기 원수가 유입시,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일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공기공급라인(320)에서 상기 공기주입구(312)를 통해 상기 공간부(311)로 공급되는 상기 압축공기는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저면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유입관(313)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수평상태 균형을 유지시킨다. 더불어, 각각의 상기 유입관(313)을 통해 상기 공간부(311)로 상기 원수가 분배상태로 상기 공간부(311)에 유입됨으로써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수평상태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공기공급라인(320)은 이후 설명될 상기 압축공기발생수단(330)으로부터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공간부(311)로 공급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연결관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공기공급라인(32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공기주입구(312)에 연결되며,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압축공기발생수단(330)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발생수단(330)은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공간부(311)에 공급할 상기 압축공기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압축공기발생수단(330)은 상기 공기공급라인(320)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공기발생수단(330)은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컴프레셔를 사용한다.
상기 공급조절밸브(340)는 상기 압축공기발생수단(330)에서 발생된 상기 압축공기의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공간부(311)에 대한 공급여부를 제어한다. 즉, 상기 공급조절밸브(340)는 상기 공기공급라인(32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공기공급라인(320)을 개폐시킨다. 따라서, 상기 공급조절밸브(340)가 열릴 경우, 상기 압축공기발생수단(330)에서 발생된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공급라인(320)을 통해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공간부(311) 상으로 공급되게 하면서,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에 부력을 증대시켜 상기 차단막(100)의 하단이 상방으로 접힘 이송되게 한다. 반대로, 상기 공급조절밸브(340)가 잠김될 경우, 상기 압축공기발생수단(330)에서 발생된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공급라인(320)을 통해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공간부(311) 상으로 공급이 차단되면서, 상기 유입관(313)을 통해 상기 원수가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공간부(311)로 유입되며 부력을 감소시켜 상기 차단막(100)의 하단이 하방으로 펼침 이송되게 한다.
이때, 상기 가변부력부(300)에는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공간부(311)로 상기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차단막(100)의 하단이 상방으로 접힘 이송이 좀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차단막(100)의 하단을 상방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37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무게추(370)는 연결와이어(360) 및 가이드롤러(350)를 통해 상기 차단막(100)의 하단이 상방으로 당김되도록 상기 가변부력부(300)의 가변부력본체(310)에 연결 설치된다. 즉, 상기 가이드롤러(350)는 고정부력부(200)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와이어(360)의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가변부력부(300)의 가변부력본체(310)에 연결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롤러(350)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하방을 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와이어(360)의 타단에 상기 무게추(370)를 연결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무게추(37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연결와이어(360)가 하방으로 당김 이동되면, 상기 가변부력부(300)의 가변부력본체(310)는 상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와이어(360)와 상기 가이드롤러(350) 상에는 상호 걸림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고리(361) 및 걸림돌기(35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고리(361)는 상기 연결와이어(360) 상에 형성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롤러(350)의 걸림돌기(351) 상에 걸림되면서, 상기 무게추(370)의 하중에 상관없이 상기 연결와이어(36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 지속적인 공기공급이 없어도 상기 원수 상에서 상기 가변부력부(300)의 가변부력본체(310)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의 동작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수의 수위가 낮아질 경우, 즉 상부측 원수에 대한 선택취수가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차단막(100)의 하단을 상방으로 이동 접힘되게 하는데, 상기 공급조절밸브(340)를 열림상태로 조절하여 상기 압축공기발생수단(330)에서 발생된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공급라인(320)을 통해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공간부(311)로 유입 공급된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부력이 증가하면서 상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무게추(370)의 하중에 의한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상방으로의 당김힘이 적용되면서 상기 차단막(100)의 하단을 상방으로 이동 접힘상태가 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차단막(100)의 접힘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경우, 상기 연결와이어(360)의 고정고리(361)를 상기 가이드롤러(350)의 걸림돌기(351) 상에 걸림시켜, 상기 가변부력본체(3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걸림 고정상태가 되게 한다.
반대로, 원수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 즉, 하부측 원수에 대한 선택취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차단막(100)의 하단을 하방으로 이동 펼침되게 하는데, 상기 공급조절밸브(340)를 잠김상태로 조절하여 상기 압축공기발생수단(330)에서 발생된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공기공급라인(320)을 통해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공간부(311)로 유입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그러면, 도 6과 같이 상기 가변부력본체(310)의 유입관(313)을 통해 상기 원수가 유입 저장되면서 부력이 감소하면서 상기 가변부력본체(310)가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차단막(100)의 하단을 하방으로 이동 펼침상태가 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차단막(100)의 펼침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와이어(360)의 고정고리(361)를 상기 가이드롤러(350)의 걸림돌기(351) 상에 걸림시켜, 상기 가변부력본체(3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걸림 고정상태가 되게 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는,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타입의 상기 차단막(100) 하단에 설치된 가변부력부(300)로 공기 또는 원수를 선택적으로 채우면서, 원수의 수위에 따라 용이하게 상기 차단막(100) 하단을 상방으로 이동 접힘되게 하거나 하방으로 펼침될 수 있게 하는 바, 원수 상하측의 수질변화에 따른 선택취수를 가능하게 하여 조류나 기타 부유물질이 취수탑(10)을 통한 취수시 유입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취수탑 11: 취수구
12: 가이드홈 100: 차단막
110: 승강지지대 101: 접힘부
102: 탄성부재 103: 삽입가이드공
104: 삽입가이드대 200: 고정부력부
300: 가변부력부 310: 가변부력본체
311: 공간부 312: 공기주입구
313: 유입관 320: 공기공급라인
330: 압축공기발생수단 340: 공급조절밸브
350: 가이드롤러 351: 걸림돌기
360: 연결와이어 361: 고정고리
370: 무게추

Claims (4)

  1. 원수가 취수되는 취수탑을 둘러싸도록 외주 둘레로 이격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타입의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원수 상에 상기 차단막의 상단이 부유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고정부력부; 및,
    상기 차단막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원수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기 또는 상기 원수를 채우면서, 상기 차단막 하단이 하방으로 이동하며 펼침되게 하거나 상방으로 이동하며 접힘되게 하는 가변부력부를 포함하는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력부는,
    상기 차단막의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공기 또는 원수가 유입되도록 공간부가 마련되고, 일측에 공기주입구가 형성된 상태로 저면에는 하방을 향하도록 복수개의 유입관이 형성된 가변부력본체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가변부력본체의 공기주입구에 연결되는 공기공급라인과,
    상기 공기공급라인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발생수단 및,
    상기 공기공급라인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압축공기발생수단을 통한 상기 가변부력본체의 공간부에 대한 상기 압축공기 공급여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공기공급라인을 개폐시키는 공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력부에는,
    상기 고정부력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된 가이드롤러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가변부력부의 가변부력본체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가이드롤러에 가이드된 상태로 하방을 향하고,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고정고리가 마련된 연결와이어 및,
    상기 연결와이어의 타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연결와이어를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주면서 상기 가변부력부의 상방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수탑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에 대해 이격상태로 복수개의 가이드홈이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차단막에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차단막 내측에 결합된 상태로 타단이 상기 가이드홈 상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차단막이 상기 취수탑의 외주에 이격상태로 유지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신축 이동되는 하는 승강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
KR1020110074232A 2011-07-26 2011-07-26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 KR101275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232A KR101275352B1 (ko) 2011-07-26 2011-07-26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232A KR101275352B1 (ko) 2011-07-26 2011-07-26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824A KR20130012824A (ko) 2013-02-05
KR101275352B1 true KR101275352B1 (ko) 2013-06-17

Family

ID=4789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232A KR101275352B1 (ko) 2011-07-26 2011-07-26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075B1 (ko) * 2019-06-12 2021-05-31 부산광역시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016A (ko) * 2004-06-18 2005-12-22 김성식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KR20090009071U (ko) * 2009-07-29 2009-09-09 코스맥 주식회사 조류방지막 선박 통항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016A (ko) * 2004-06-18 2005-12-22 김성식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KR20090009071U (ko) * 2009-07-29 2009-09-09 코스맥 주식회사 조류방지막 선박 통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824A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8806C (en) Flow control system for a detention pond
KR100799359B1 (ko)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US20110076100A1 (en) Flow control system for a detention pond
KR101275352B1 (ko)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
KR200467498Y1 (ko)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
JP6530992B2 (ja) 表層取水循環装置
US8585321B2 (en) Flow control system for a detention pond
KR101997317B1 (ko) 셔터형 댐
KR101018303B1 (ko)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JP2010248861A (ja) 一方弁付き汚濁防止用カーテン
KR200460432Y1 (ko)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JP2010001724A (ja) 汚濁拡散防止装置
JP2014132851A (ja) 水田用落水量調整装置
KR20170064301A (ko) 홍수시 덮개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맨홀의 구조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JP2019203284A (ja) 気泡式水質汚濁防止フェンス
JP4646029B2 (ja) 逆流防止装置
KR101064748B1 (ko) 부양식 분수대
KR101400925B1 (ko) 거품저감용 해수방류장치
KR20110116814A (ko) 하천수를 이용하여 승강 작동되게 한 수중보
KR101070808B1 (ko) 오배수 통기밴트
KR101753328B1 (ko) 승하강 커튼식 수중보
KR101900389B1 (ko) 파력에너지를 활용한 에어버블 발생장치
EP0518802A1 (en) System for the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of selective intake towers in reservoirs
KR101729735B1 (ko)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용 수위상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