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748B1 - 부양식 분수대 - Google Patents

부양식 분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748B1
KR101064748B1 KR1020110028825A KR20110028825A KR101064748B1 KR 101064748 B1 KR101064748 B1 KR 101064748B1 KR 1020110028825 A KR1020110028825 A KR 1020110028825A KR 20110028825 A KR20110028825 A KR 20110028825A KR 101064748 B1 KR101064748 B1 KR 101064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oyancy
water
horizontal
fou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김우진
플러스파운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진, 플러스파운틴(주) filed Critical 김우진
Priority to KR1020110028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foun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양식 분수대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거친 물살이나 파고에 따라 하중을 변화시키면서 부양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부양장치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수심이 깊고 수위변화가 심한 바다 또는 자연호수에서 분수대를 안정적으로 부양시킴은 물론 그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양식 분수대{Floating fountain}
본 발명은 수중에 부양된 상태로 설치되는 부양식 분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호수, 자연호수는 물론 바다나 강, 댐 등의 각종 해상에서 수심이나 물의 흐름에 영향받지 않고 분수대를 설치시, 설치되는 분수대의 부양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부양식 분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수대는 수중에 분사노즐을 설치하고 수중의 물을 펌프로 강제 순환시켜 분사노즐을 통해 공중으로 분출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일반적인 분수대는 수심이 극히 낮은 물속이나 또는 인위적으로 조성되는 인공수조내에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수심이 비교적 깊고 파고가 발생하는 곳에서는 설치가 어려웠다.
이에, 종래에는 수심이 깊고 수위변화가 심한 바다 또는 자연호수에 분수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분수대에 별도의 부양체를 설치한 등록특허 제 631079 호(발명의 명칭 : 부양식 분수대, 이하 선행기술 이라함)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상,하의 부양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선행기술은 그 효과에 있어 해상에서 수심이나 물의 흐름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그 설치가 이루어짐은 물론, 안정성이 확보된 것이라 설명하고 있지만, 상하 부양체의 부양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지 못하므로 수심이나 물의 흐름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즉, 선행기술은 상,하 부양체를 각각 여러 구간으로 분할시킨 상태에서 결합시킨 후 각각의 구간에 에어를 독립적으로 충진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선행기술은 어느 하나의 구간이 파손되더라도 다른 구간에 충진된 에어를 통해 부양력을 유지하는 기술에 국한되어 있을 뿐, 수심이나 물의 흐름에 따라 심한 흔들림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따라 선행기술은 상당한 하중의 중량체를 여러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한편, 선행기술은 상,하 부양체의 부양 높이를 별도의 보조부양체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분수대의 수리 또는 교체 작업을 실시하도록 하였는데, 상기 보조 부양체 또한 공기의 주입량으로부터 부양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인 바, 전체적인 하중이 안정적이지 못해 수심이나 물의 흐름에 적응하지 못하고 심하게 흔들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기의 주입량에 따라 부양력을 얻도록 하는 선행기술은 수심이나 물의 흐름이 큰 장소에 설치될 경우 하중이 안정적이지 못해 높은 파고나 거친 물살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으로부터 튕겨지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심하게 흔들릴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심한 흔들림에 의해 부양체와, 부양체에 설치되는 분수대의 파손은 자주 발생하게 되면서 유지 보수의 비용이 많이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종래에는 부력 탱크를 구획하여 독립적인 부력 공간을 갖도록 함으로써 어느 한 구간이 파손되더라도 부력을 해당 구간만 잃도록 하였으나, 독립적인 부력공간이 많아지므로서 각각의 부력공간에 에어 공급 및 배출용 홀과 물의 공급 및 배출용 홀 그리고 각각의 홀에 밸브 및 밸브 제어를 위한 통신수단들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공간 각각의 부력을 각각 제어하여야 하므로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거친 물살이나 파고에 따라 하중을 변화시키면서 부양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부양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수심이 깊고 수위변화가 심한 바다 또는 자연호수에서 분수대를 안정적으로 부양시킴은 물론 그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부양식 분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부양식 분수대는, 분수장치; 부력을 갖는 수직부력부와, 상기 수직부력부에 결합되며 에어출입구와 물 출입구가 마련되는 제 1 수평부력부 및, 상기 제 1 수평부력부의 하부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분수장치가 설치될 수 있게 고정대가 설치되면서 에어출입구 및 물 출입구가 마련되는 제 2 수평부력부로 이루어지는 부력체 구조물; 상기 제 1 수평부력부에 마련되는 에어출입구에 연결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출입구와 에어펌프 사이에 설치되어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에어제어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 출입구에는 상기 제 2 수평부력부에 물의 유입 또는 배출을 제어하는 물 제어밸브를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는 상기 에어와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통관으로 연결 구성하며, 상기 개통관은 제 1 수평부력부의 물 출입구와, 상기 제 2 수평부력부의 에어출입구를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통관에는 에어와 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개통제어밸브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수평부력부에는 에어의 유입 및 배출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에어출입구를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에어출입구에는 각각 에어제어밸브를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출입구에는 T자형 또는 Y자형으로 이루어지는 분기형 관체를 연결하고, 상기 분기형 관체에는 각각 에어출입구와, 에어 공급용의 에어펌프, 그리고 에어 배출용의 에어펌프를 연결하며, 상기 분기형 관체와 상기 에어 공급용의 에어펌프 및 에어 배출용의 에어펌프 사이에는 각각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에어제어밸브를 각각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의 사이에는 제 3 수평부력부를 구성하여 상기 수직부력부의 중간측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 수평부력부와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는 각각 에어와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통관으로 연결 구성하고, 상기 개통관에는 에어와 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개통제어밸브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제어밸브는 수동형 밸브 또는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원격 제어되는 전자밸브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제어밸브는 수동형 밸브와,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원격 제어되는 전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 제어밸브는 수동형 밸브 또는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원격 제어되는 전자밸브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통제어밸브는 수동형 밸브 또는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원격 제어되는 전자밸브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는 PE관체로 구성하고, 상기 PE관체의 내부에는 부력부재를 충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수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상기 노즐로 토출될 수 있게 물을 펌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상기 펌프에서 상기 노즐로 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류; 상기 노즐로 토출되는 물을 제어하는 밸브; 상기 노즐 또는 상기 노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등기구; 상기 노즐의 분사각도를 변화시키는 노즐구동장치; 상기 펌프, 밸브, 등기구, 노즐구동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펌프, 밸브, 등기구, 노즐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거친 물살이나 파고에 따라 하중을 변화시키면서 부양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부양장치를 구성한 것으로, 이에따라 수심이 깊고 수위변화가 심한 바다 또는 자연호수에서 분수대를 안정적으로 부양시킴은 물론 그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부양식 분수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부양식 분수대를 이루는 제 1,2 수평부력부와 수직부력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하나의 에어출입구와 물 출입구가 적용되는 제 1,2 수평부력부와 수직부력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제 1 수평부력부의 에어출입구에 T자형의 분기형 관체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부양식 분수대에 제 3 수평부력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부력부재가 각각 충진된 제 1,2 수평부력부의 결합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에어의 유입에 따른 물의 배출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물 유입에 따른 에어이 배출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부양식 분수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부양식 분수대를 이루는 제 1,2 수평부력부와 수직부력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하나의 에어출입구와 물 출입구가 적용되는 제 1,2 수평부력부와 수직부력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측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제 1 수평부력부의 에어출입구에 T자형의 분기형 관체를 연결한 상태를 보인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분수대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수제어프로그램을 가지는 제어부와 전원공급부 및 CAN통신부를 가지는 제어패널은 물론, 상기 제어패널과 통신 연결되면서 동작이 이루어지는 분수장치(A), 그리고 기상센서 등을 포함하는 한편, 제 1,2 수평부력부(100)와 수직부력부(300)로 이루어지는 부력체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는 원형 또는 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관체 구조물로서 부력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에는 부력 조절을 위한 에어출입구(11)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됨은 물론, 물 출입구(11b)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출입구(11)에는 에어에 의해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의 부력이 유지되도록 에어펌프(12)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에어출입구(11)와 상기 에어펌프(12)의 사이에는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에어제어밸브(V1)가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출입구(11)는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물 출입구(11b)는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에 에어출입구(11)를 형성시, 상기 에어출입구(11)는 하나로서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의 중앙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가 기울어지는 자세가 되더라도 완벽한 공기 배출이 가능하도록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에 하나의 에어출입구(11) 또는 복수의 에어출입구(11 또는 11,11a)를 형성시, 상기 에어출입구(11,11a)에는 T자형 또는 Y자형의 분기형 관체(31)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분기형 관체(31)는 상기 에어출입구(11 또는 11,11a)에 연결된 상태에서, 에어 공급용 에어펌프(12) 또는 에어 배출용 에어펌프(12a)가 각각 연결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분기형 관체(31)와 에어 공급용 에어펌프(12) 또는 에어 배출용 에어펌프(12a)의 사이에는 각각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에어제어밸브(V1)를 연결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제어밸브(V1)의 경우 하나는 수동방식으로 개폐되는 밸브를 사용하고, 또 다른 하나는 제어부(500)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제어가 이루어지는 전자밸브를 사용하게 되며, 이는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1차적으로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에어제어밸브(V1)를 통해 제어하되, 전자밸브로 이루어지는 에어제어밸브(V1)의 고장 발생시 관리자가 직접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2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수동제어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수동밸브와 전자밸브를 나란하게 동시에 구성하는 것은 전자밸브의 고장을 감안하여 관리자가 직접 수동밸브를 조작함으로써 오동작에 따른 에어의 유입과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작동불능 상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에어출입구(11,11a)를 복수로 구성시에는, 하나의 에어출입구를 에어 공급전용으로, 다른 하나의 에어출입구는 배기전용으로 사용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에어출입구를 세개 구성하여 하나는 공급전용으로, 다른 두개의 에어출입구는 모두 배기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는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원형 또는 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관체구조물로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와 상기 수직부력부(300)의 부양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물이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물 출입구(21)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됨은 물론, 에어출입구(2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수장치(A)가 설치되는 고정대(201)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출입구(21a)는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물 출입구(21)는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분수장치(A)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외부의 기상상태를 감지하는 강우량계 및 풍속계 그리고 온도계는 물론, 적어도 하나의 분수노즐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밸브와 수중등 및 분수펌프와 분수배관, 그리고 분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도면에 표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분수장치(A)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과, 상기 노즐로 토출될 수 있게 물을 펌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와, 상기 펌프에서 상기 노즐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류와, 상기 노즐의 상류에 설치되어 노즐로 토출되는 물을 제어하는 밸브와 상기 노즐 또는 상기 노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등기구와 상기 노즐의 분사각도를 변화시키는 노즐구동장치와, 상기 펌프, 밸브, 등기구, 노즐구동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그리고 상기 펌프, 밸브, 등기구, 노즐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수장치(A)가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의 고정대(201)에 설치시, 상기 분수장치(A)에 포함되는 분수노즐의 높이는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까지 연장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에 물 출입구(21)를 형성시, 상기 물 출입구(21)는 하나로서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의 중앙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가 기울어지는 자세가 되더라도 완벽한 공기 배출이 가능하도록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수직부력부(300)는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를 연결하는 부력체로서, 그 연결은 용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는 상기 수직부력부(300)의 상단 외주면에 용접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통되지 않는 것이며,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는 상기 수직부력부(300)의 하단 외주면에 용접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통되지 않는 것으로서,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와 수직부력부(300)는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형이나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의 부력체를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물 출입구(21)에는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에 물의 유입 또는 배출을 제어하는 물 제어밸브(V2)가 연결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물 제어밸브(V2)에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에 물을 강제 유입 또는 배출시키는 수중펌프(22)를 연결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양식 분수대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우선 제 2 수평부력부(200)의 고정대(201)에 분수장치(A)를 설치한 상태 또는 미설치한 상태에서, 부력체 구조물을 이루는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와 수직부력부(300)를 물속으로 투입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의 고정대(201)에 분수장치(A)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속으로 부력체 구조물이 투입될 수 있다. 이러한 부력체 구조물은 상기 부력체 구조물을 이루면서 에어가 공급되어 있는 제 1,2 수평부력부(100)(200) 및 수직부력부(300)에 있어,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의 일부만 물속으로 잠기게 된다.
이때, 상기 부력체 구조물을 이루는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는 물론 상기 수직부력부(300)에 있어,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의 일부만 물속에 잠긴 상태에서,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의 고정대(201)에 분수장치(A)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분수장치(A)의 설치가 완료되면, 운전을 위해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내의 에어를 배기시켜 부력체 구조물을 수중에 가라앉게 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대(201)에 설치된 분수장치(A)의 하중으로 인해 부력체 구조물인 제 2 수평부력부(200)는 물속으로 완전하게 잠기고, 분수장치(A)에 포함되는 노즐이 일부 노출될 수 있는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는 일부만이 물속으로 잠기게 되는 것이다.
한편, 추가작업 및 유지보수를 위해 부력으로 부력체 구조물을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의 일부가 물속으로 잠긴 상태에서,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에 형성되는 에어출입구(11)에서 에어개폐밸브(V1)를 관리자가 수동으로 개방시키거나, 또는 원격지에서 제어부(500)를 이용하여 개방 제어시킨 후, 상기 에어출입구(11)에 에어펌프(12)를 이용하여 에어를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에 유입되는 에어량에 따라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는 부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는 물론 수직부력부(300)로 이루어진 부력체 구조물의 부양 높이는 관리자가 원하는 부양 높이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력체 구조물의 부양 높이는 상기 에어출입구(11)를 통해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로 공급되는 에어 및 물 유입량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부양 높이를 높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로 더 많은 양의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부양높이를 낮게 하고자 하는 경우는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로부터 에어를 배출하여 그 유입량을 줄임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수심이 깊은 곳에서 파고가 높거나 물살이 거칠 경우에는 상기 부력체 구조물의 부양높이를 낮춰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파고가 낮고 물살이 잔잔할 경우에는 상기 부력체 구조물의 부양높이를 높여 상기 부력체 구조물에 설치되는 분수장치(A)의 분수 효과를 보다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다수를 이루는 제 1 수평부력부(100)는 물론, 다수를 이루는 제 2 수평부력부(200)와, 다수를 이루는 수직부력부(300)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용접으로 고정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서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를 연결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는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에 각각 에어와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를 개통제어밸브(V3)를 가지는 개통관(400)으로 연결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의 물 출입구(11b)와,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의 에어 출입구(21a)를 개통관(400)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에 에어를 채울 경우에는 부력체로 활용하고, 물을 채울 경우에는 중량체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개통관(400)으로부터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에는 각각 에어 또는 물 유입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의 부양높이는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로 유입되는 에어를 배출시키게 되면,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에는 물 출입구(21)를 통해 물의 유입량이 많아지고, 이렇게 많아진 물은 제 2 수평부력부(200)에서 개통관(400)을 통해 제 1 수평부력부(100)로 유입될 수 있는 바, 상기 물의 유입량에 따라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의 하중은 증가하게 되고, 이에따라 부력체 구조물을 이루는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는 물론 수직부력부(300)는 수중으로 잠수하게 되면서,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는 물론, 분수장치(A)의 분수노즐만이 수중표면에 노출되는 부양높이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높은 파고나 거친 물살이 발생하더라도 부력체 구조물은 심한 유동없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에 더 많은양의 에어를 유입시키는 경우, 상기 유입이 이루어지는 에어의 압력이 개통관(400)을 통해 제 2 수평부력부(200)로 전달되는 바,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내의 물 유입량은 줄어들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부력체 구조물을 이루는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는 물론 수직부력부(300)의 부양 높이는 물 위로 더 많이 부상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이는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의 사이에 제 3 수평부력부(600)를 더 구성한 것으로, 상기 제 3 수평부력부(600)는 상기 수직부력부(300)의 중간측 외주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 3 수평부력부(600)와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를 각각 에어와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통제어밸브(V3)를 가지는 개통관(400)으로 연결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의 물 출입구(11b)와, 상기 제 3 수평부력부(600)의 에어출입구를 개통관(400)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 3 수평부력부(600)의 물 출입구와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의 에어출입구(21a)를 개통관(400)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 1 수평부력부(100)와 제 2 수평부력부(200) 및 제 3 수평부력부(600)에 에어를 채울 경우 부력체로서 활용되고, 물을 채울 경우에는 중량체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개통제어밸브(V3)는 수동형 밸브 또는 제어부(500)에 의해 개폐가 원격 제어되는 전자밸브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한편,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이는 부력체 구조물을 이루는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를 PE(폴리에틸렌) 관체로 구성하되, 상기 PE관체의 내부에 스폰지 또는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는 부력부재(700)를 충진 구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부력체 구조물을 이루는 PE관체의 제 1,2 수평부력부(100)(200)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내에 충진된 부력부재(700)에서 제공하는 부력으로부터 부력체 구조물이 기울어지거나 가라앉는 문제를 방지하여, 상기 제 2 수평부력부(200)의 고정대(201)에 설치되는 분수장치(A)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1 수평부력부(100)와 제 2 수평부력부(200)를 각각 끝단에 플랜지를 구성하여, 볼트 체결로 결합 구성하여 연장할 수도 있으며, 이는 설치환경에 따라 부양식 분수대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즉, 수직부력부(300)에 결합되는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는 일단을 용접 결합시키고, 타단에는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력부(300)와 결합되지 않는 제 1,2 수평부력부(100)(200)는 양단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둠으로써, 상기 플랜지들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제 1,2 수평부력부(100)(200)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여 부양식 분수대의 전체적인 크기를 크게 하거나 또는 작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1,11a,21a; 에어출입구 12,12a; 제 1,2,3 에어펌프
11b,21; 물 출입구 22; 수중펌프
100; 제 1 수평부력부 200; 제 2 수평부력부
300; 수직부력부 201; 고정대
400; 개통관 500; 제어부
600; 제 3 수평부력부 700; 부력부재
A ; 분수장치 V1 ; 에어제어밸브
V2 ; 물 제어밸브 V3 ; 개통제어밸브

Claims (10)

  1. 분수장치;
    부력을 갖는 수직부력부와, 상기 수직부력부에 결합되며 에어출입구와 물 출입구가 마련되는 제 1 수평부력부 및, 상기 제 1 수평부력부의 하부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분수장치가 설치될 수 있게 고정대가 설치되면서 에어출입구 및 물 출입구가 마련되는 제 2 수평부력부로 이루어지는 부력체 구조물;
    상기 제 1 수평부력부에 마련되는 에어출입구에 연결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출입구와 에어펌프 사이에 설치되어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에어제어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 1 수평부력부에는 에어의 유입 및 배출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에어출입구를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에어출입구에는 각각 에어제어밸브를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출입구에는 상기 제 2 수평부력부에 물의 유입 또는 배출을 제어하는 물 제어밸브를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는 상기 에어와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통관으로 연결 구성하며,
    상기 개통관은 제 1 수평부력부의 물 출입구와, 상기 제 2 수평부력부의 에어출입구를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통관에는 에어와 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개통제어밸브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출입구에는 T자형 또는 Y자형으로 이루어지는 분기형 관체를 연결하고, 상기 분기형 관체에는 각각 에어출입구와, 에어 공급용의 에어펌프, 그리고 에어 배출용의 에어펌프를 연결하며, 상기 분기형 관체와 상기 에어 공급용의 에어펌프 및 에어 배출용의 에어펌프 사이에는 각각 에어의 유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에어제어밸브를 각각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의 사이에는 제 3 수평부력부를 구성하여 상기 수직부력부의 중간측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수평부력부와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는 각각 에어와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통관으로 연결 구성하고,
    상기 개통관에는 에어와 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개통제어밸브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수평부력부는 PE관체로 구성하고, 상기 PE관체의 내부에는 부력부재를 충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상기 노즐로 토출될 수 있게 물을 펌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상기 펌프에서 상기 노즐로 물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류;
    상기 노즐로 토출되는 물을 제어하는 밸브;
    상기 노즐 또는 상기 노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등기구;
    상기 노즐의 분사각도를 변화시키는 노즐구동장치;
    상기 펌프, 밸브, 등기구, 노즐구동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펌프, 밸브, 등기구, 노즐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분수대.
KR1020110028825A 2011-03-30 2011-03-30 부양식 분수대 KR101064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825A KR101064748B1 (ko) 2011-03-30 2011-03-30 부양식 분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825A KR101064748B1 (ko) 2011-03-30 2011-03-30 부양식 분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748B1 true KR101064748B1 (ko) 2011-09-15

Family

ID=4495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825A KR101064748B1 (ko) 2011-03-30 2011-03-30 부양식 분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7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401B1 (ko) 2018-10-02 2019-02-20 플러스파운틴(주) 드론을 이용한 공중 부양 분수장치
KR102356458B1 (ko) * 2021-09-13 2022-02-09 주식회사 협신이앤씨 부력형 분수대의 잠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803Y1 (ko) 2005-03-21 2005-06-02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부양식 분수대
KR200386298Y1 (ko) 2005-03-16 2005-06-10 이윤기 보조 부력 능력을 가진 초동방제용 오일펜스
KR200407331Y1 (ko) 2005-11-19 2006-01-26 거성에이티엘(주) 부력 분수
KR20060101634A (ko) * 2005-03-21 2006-09-2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부양식 분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298Y1 (ko) 2005-03-16 2005-06-10 이윤기 보조 부력 능력을 가진 초동방제용 오일펜스
KR200385803Y1 (ko) 2005-03-21 2005-06-02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부양식 분수대
KR20060101634A (ko) * 2005-03-21 2006-09-2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부양식 분수대
KR200407331Y1 (ko) 2005-11-19 2006-01-26 거성에이티엘(주) 부력 분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401B1 (ko) 2018-10-02 2019-02-20 플러스파운틴(주) 드론을 이용한 공중 부양 분수장치
KR102356458B1 (ko) * 2021-09-13 2022-02-09 주식회사 협신이앤씨 부력형 분수대의 잠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3755B2 (en) Floating and mobile carrying platform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11559469A (zh) 浮动结构及其安装方法
CN110461145B (zh) 漂浮设备
US11027801B2 (en) Boat lift
KR100631079B1 (ko) 부양식 분수대
CN103385185B (zh) 一种组装式深海网箱
CN110053730B (zh) 半潜式平台及其压载系统
AU2008294758B2 (en) A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KR101895261B1 (ko) 부상 침하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
KR101064748B1 (ko) 부양식 분수대
KR200479366Y1 (ko)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KR101064749B1 (ko) 부양식 분수대
US20120138164A1 (en) Submersible intake equipment with air filled bladders
CN105480386A (zh) 水上作业平台
CN219430892U (zh) 取水系统
KR101018303B1 (ko)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KR20110116814A (ko) 하천수를 이용하여 승강 작동되게 한 수중보
NO20200755A1 (en) Fish farming system
KR200385803Y1 (ko) 부양식 분수대
KR101325683B1 (ko) 부력을 이용하는 통선문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N204551222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新型斜拉索桥梁结构
CN103782122B (zh) 具有引入站和排放站的发电厂冷却设施
CN219364547U (zh) 干船坞灌水装置
KR20050028088A (ko) 부체(浮體)를 이용한 수위조절방법
CN211714158U (zh) 一种景观水池侧壁式泵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