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366Y1 -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 Google Patents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366Y1
KR200479366Y1 KR2020140002925U KR20140002925U KR200479366Y1 KR 200479366 Y1 KR200479366 Y1 KR 200479366Y1 KR 2020140002925 U KR2020140002925 U KR 2020140002925U KR 20140002925 U KR20140002925 U KR 20140002925U KR 200479366 Y1 KR200479366 Y1 KR 200479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mp
submersible
pump device
buoyanc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831U (ko
Inventor
오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Priority to KR2020140002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366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8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8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3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7/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fluids from great depths, e.g. well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면에 부양하여 물을 배수하는 부양식 수중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는 수면에서 부양하여 물을 배수하는 부양식 수중펌프로서, 수면에서 부양하는 부력부재,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펌프장치, 상기 펌프장치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물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를 중심으로 상기 부력부재가 수심에 따라 상부 및 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대와 상기 부력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a Floating under-water Pump}
본 고안은 수면에서 부양하여 물을 배수하는 부양식 수중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배수하거나 양수할 때에는 펌프를 사용한다.
펌프는 유체를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와, 임펠러를 회전하는 모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펌프는 물을 배수할 때에는 물가에 펌프를 위치시키고, 펌프의 흡입구로 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펌프의 흡입구에서 물이 저수된 곳까지 호스로 연결한다.
그리고 펌프를 작동시켜 물이 저장된 곳에서 호스를 통해 펌프의 배출하는 형태로 물을 배수한다. 그러나, 물이 위치되는 곳이 먼 경우 호스의 길이가 길어지고, 이에 따라 흡입 압력이 낮아져 물의 배수량이 낮을 뿐만 아니라, 호스의 끝단이 물가에 위치되어 수심이 낮아질 때마다 호스를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특허출원 제10-2006-99996호의 "부유식 배수펌프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종래의 부유식 배수펌프 시스템은 부양체의 상부에 펌프를 구비하여 물가가 아닌 수중에서 직접 물을 흡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균일한 량의 물을 배수할 수 있으며, 모든 물이 배수될 때까지 호스를 옮기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이 물을 배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부유식 배수펌프 시스템은 부양체에 구비된 펌프가 작동하면 임펠러의 원심력 또는 물살에 의해 펌프가 수면에서 이동하여 물가에 부딪히거나 펌프가 흔들려 뒤집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부유식 배수펌프 시스템은 회전하는 모터가 부양체의 상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모터의 방열이 효율이 낮아 장시간 사용할 수 없고, 펌프의 고장 시 펌프를 물가로 끌어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부유식 배수펌프 시스템은 펌프에서 물을 흡입하는 흡입구가 부양체의 하부에 위치되어 펌프가 바닥에 닿을 경우 펌프의 흡입구에 이물질이 삽입되거나 막혀 펌프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펌프가 수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펌프의 파손 및 균일한 배수 량을 제공할 수 있으며, 펌프의 방열효율을 높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펌프의 고장 시 용이하게 정비를 수행할 수 있으며, 펌프의 흡입구가 바닥에 닿아 펌프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는 수면에서 부양하여 물을 배수하는 부양식 수중펌프로서, 수면에서 부양하는 부력부재,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펌프장치, 상기 펌프장치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물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를 중심으로 상기 부력부재가 수심에 따라 상부 및 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대와 상기 부력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의 일단은 상기 펌프장치의 토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대의 타단은 상기 고정대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장치에서 배수되는 물이 상기 연결대를 통해 상기 고정대가 위치되는 부분으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는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대 중 어느 하나의 연결대에는 상기 펌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삽입되고, 나머지에는 상기 펌프장치에서 토출되는 물이 지날 수 있다.
상기 연결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연결대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가로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둘로 구획되어 어느 하나에는 펌프장치에서 토출되는 물이 지나고, 다른 하나에는 펌프장치에 공급되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는 수면에 부양된 상기 부력부재의 균형을 유지하는 캐스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스트는 상기 펌프장치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대에 의해 펌프장치가 수면에서 부양된 상태로 고정되어 펌프장치의 이동으로 인한 파손 또는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펌프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균일한 배수 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결대에 가로대가 구비되어 펌프가 위치된 수중으로 작업자의 이동이 용이하여 펌프의 고장 시 용이하게 수리를 할 수 있으며, 연결대의 내부로 물이 배수되기 때문에 별도의 배수호스를 연결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부력부재의 하부에 펌프장치가 구비되어 물에 의해 펌프가 방열됨으로써, 펌프의 방열성능을 향상시켜 펌프를 장시간 가동할 수 있으며, 부력부재에 캐스트가 구비되어 수중펌프가 바닥에 닿아 흡입구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펌프장치를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등이 연결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누전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에서 물이 배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를 구성하는 연결대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100)는 저수조, 저수지, 침수된 곳, 분수대 등 물이 저장된 곳 또는 하천, 개천, 강 등에 설치되어 물이 저장된 곳이 이외의 곳으로 유체를 배수(排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100)가 물을 양수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고안에서의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100)는 흐를 수 있는 어떠한 유체라도 배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100)는 부력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부력부재(110)는 수면 위로 부양하는 부재로서, 물에 뜰 수 있도록 물의 비중보다 작은 비중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 또는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어 수면으로 부양할 수 있도록 밀폐된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력부재(110)는 물에서 부양될 수 있는 구조와 재질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물에 부양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한정하지는 않는다.
부력부재(110)는 캐스트(cast,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캐스트(130)는 부력부재(110)가 수면에서 뒤집어지거나 수면에서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부력부재(110)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캐스트(13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캐스트(130)의 하단 부분에는 무게추(1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캐스트(130)는 부력부재(110)의 무게추(131)가 하부에 위치되도록 부력부재(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캐스트(130)는 부력부재(110)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부력부재(110)의 둘레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캐스트(130)의 길이(L2)는 하부에 설명될 펌프장치(120)의 길이(L1)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캐스트(130)가 펌프장치(120)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캐스트(130)의 하단이 바닥이 닿을 때, 펌프장치(120)는 바닥에서 이격되어 펌프장치(120)의 흡입구(121)가 바닥에 닿아 흡입구(121)가 밀폐되거나 흡입구(121)로 바닥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조건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부력부재(110)에는 결합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결합부(111)는 하기에 설명될 연결대(170)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11) 및 부력부재(110)에는 부력부재(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펌프장치(120)의 토출구(123)로 토출되는 물이 결합부(111)의 결합공(113)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펌프장치(120)의 토출구(123)와 결합공(113)을 연통하는 연결통로(11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100)가 분수로 사용될 경우에는 펌프장치(120)의 토출구(123)와 연결되어 펌프장치(120)에서 토출되는 물의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미도시)이 부력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분사노즐은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100)는 펌프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펌프장치(120)는 수중에 위치되어 수중에서 물을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다.
펌프장치(120)는 흡입구(121)와 토출구(123)가 구비되고, 펌프장치(120)의 내부에는 흡입력 및 토출력을 발생시키는 임펠러(127)와, 상기 임펠러(127)를 회전시키는 모터(125)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펌프장치(120)는 모터(125)를 작동하여 임펠러(127)를 회전시키면 임펠러(127)가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양력과 항력으로 인해 펌프장치(120)의 흡입구(121)로 물이 흡입되며, 흡입된 유체는 다시 토출구(123)로 토출된다.
여기서, 펌프장치(120)는 다양한 형태로 수중에서 작동하는 공지된 수중펌프일 수 있으며, 펌프장치(120)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펌프장치(120)는 부력부재(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펌프장치(120)가 부력부재(1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펌프장치(120)의 흡입구(121)는 펌프장치(120)의 하부에 위치되고, 배출구(123)는 펌프장치(12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펌프장치(120)의 배출구(123)가 부력부재(110)의 하부에서 부력부재(120)에 구비된 연결통로(115)와 연통되도록 펌프장치(1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100)는 고정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대(150)는 지상 즉, 강둑 또는 저수지, 저수조, 저장통 등의 물가에 고정설치되어 부력부재(110)가 물살에 휩쓸려 떠내려가거나 수면의 상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대(150)는 무게가 무거운 중량체로 형성되어 자중에 의해 바닥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대(150)에는 고정대(150)을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예컨대, 볼트, 너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대(150)는 하기에 설명될 연결대(170)가 상부 및 하부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착공(151)과, 펌프장치(120)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15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안착공(151)과 배출구(153)은 유체가 지날 수 있는 유로(155)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100)는 연결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대(170)는 고정대(150)와 부력부재(1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연결대(17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연결대(170)의 일단이 고정대(150)의 안착공(151)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고, 연결대(170)의 타단은 부력부재(110) 더 구체적으로는 부력부재(110)의 결합부(111)에 형성된 결합공(113)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대(170)는 내부가 빈 관으로 형성되어 펌프장치(120)의 토출구(123)로 토출되는 물이 연결대(170)를 통해 고정대(150)의 배출구(153)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력부재(110)의 연결통로(115) 및 고정대(150)의 배출구(153) 및 유로(155)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관으로 형성된 연결대(170)의 양단에 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구멍을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연결대(170)에 형성된 구멍 중 부력부재(110)가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된 구멍에는 펌프장치(120)의 토출구(123)와 휘어질 수 있는 연질의 호스로 연결되어 펌프장치(120)의 토출구(123)로 토출되는 물이 바로 호스를 통해 연결대(170) 공급되고, 연결대(170)로 공급된 물은 연결대(170)에 형성된 구멍 중 고정대(150)가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배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연결대(170)는 서로 나란하게 복수 개의 연결대(1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연결대(17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대(170)에는 펌프장치(120)로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170)는 하나의 연결대(170)의 내부를 둘로 구획하여 둘 중 어느 하나에는 물이 지나고 다른 하나에는 전선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전선이 연결대(170)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전선의 누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연결대(170)는 예컨대, 사다리와 같이 복수 개의 가로대(175)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의 연결대(170)을 연결하여 작업자가 고정대(150)에서 연결대(170)를 통해 부력부재(110)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100)는 고정대(150)가 예컨대, 저수지의 상부, 저장통의 상부, 강둑 등 물가에 고정설치되고, 수심의 깊이가 비교적 깊은 중앙부분에는 펌프장치(120)가 수중에 잠기는 형태로 부력부재(110)가 위치된다.
그리고, 고정대(150)와 부력부재(110)는 연결대(17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연결대(17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대(170)의 일단은 부력부재(110)의 결합부(111)에 형성된 결합공(113)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대(170)의 타단은 고정대(150)의 안착공(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연결대(170)는 내부에 물이 지날 수 있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펌프장치(120)에 의해 토출되는 물이 연결대(170)를 거쳐 고정대(150)의 배출구(153)로 배수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100)는 펌프장치(120)를 작동하면 펌프장치(120)의 흡입구(121)로 물이 유입되어 펌프장치(120)의 토출구(123)로 물이 토출된다.
그리고, 펌프장치(120)에서 토출되는 물은 부력부재(110)의 연결통로(115)를 통해 결합부(111)의 결합공(113)으로 공급되어 결합공(113)에 결합된 연결대(170)의 일단으로 유입되고, 연결대(170)의 일단으로 유입된 물은 연결대(170)의 타단으로 배출되어 연결대(170)의 타단이 결합된 고정대(150)의 안착공(151)으로 공급된다.
이 후, 안착공(151)으로 공급된 물은 최종적으로 고정대(150)에 형성된 유로(155)를 통해 배출구(153)로 배출되는 형태로 물을 배수한다.
이때, 부력부재(110)에 구비된 펌프장치(120)는 연결대(170)가 부력부재(110) 및 고정대(1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부 및 하부로 이동이 가능하다(도 2 및 도 3 참조).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100)는 수면에서 부양되기 때문에 물의 양과 상관없이 동일 수심에서 균일한 량의 물을 배수할 수 있으며, 부양부재(110)에 캐스트(130)가 설치되어 저수된 곳의 수심이 낮아지면 펌프장치(120)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된 캐스트(130)가 먼저 바닥에 닿아 펌프장치(120)의 흡입구(121)로 예컨대, 모래, 또는 자갈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펌프장치(120)에 의해 토출되는 물은 연결대(170)의 내부로 배수되어 별도의 배수호스를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연결대(170)는 예컨대, 사다리와 같이 가로대(175)로 연결되어 펌프장치(120)의 고장 시 펌프장치(120)가 위치된 부력부재(110)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수면의 상부에 부양된 펌프장치(120)가 연결대(17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펌프장치(120)가 수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 및 펌프장치(120)의 균형을 유지하여 배수 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펌프장치(120)가 물가에 부딪히거나 뒤집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로 흡입조건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펌프장치(120)가 부력부재(210)의 하부 즉, 수중에 위치되어 펌프장치(120)의 물에 의해 펌프장치(120)를 냉각시킴으로써, 펌프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110: 부력부재 111: 결합부
113: 결합공 115: 연결통로
120: 펌프장치 121: 흡입구
123: 토출구 125: 모터
127: 임펠러 130: 캐스트
131: 무게추 150: 고정대
151: 안착공 153: 배출구
155: 유로 170: 연결대
175: 가로대
L1: 펌프장치의 길이 L2: 캐스트의 길이

Claims (7)

  1. 수면에서 부양하여 물을 배수하는 부양식 수중펌프로서,
    수면에서 부양하는 부력부재,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펌프장치,
    상기 펌프장치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물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를 중심으로 상기 부력부재가 수심에 따라 상부 및 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대와 상기 부력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는 수면에 부양된 상기 부력부재의 균형을 유지하는 캐스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의 일단은 상기 펌프장치의 토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대의 타단은 상기 고정대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장치에서 토출되는 물이 상기 연결대를 통해 상기 고정대가 위치되는 부분으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연결대 중 어느 하나의 연결대에는 상기 펌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삽입되고, 나머지에는 상기 펌프장치에서 토출되는 물이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연결대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가로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둘로 구획되어 어느 하나에는 펌프장치에서 배수되는 물이 지나고, 다른 하나에는 펌프장치에 공급되는 전선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트는 상기 펌프장치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KR2020140002925U 2014-04-11 2014-04-11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KR200479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925U KR200479366Y1 (ko) 2014-04-11 2014-04-11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925U KR200479366Y1 (ko) 2014-04-11 2014-04-11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831U KR20150003831U (ko) 2015-10-21
KR200479366Y1 true KR200479366Y1 (ko) 2016-01-19

Family

ID=5443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925U KR200479366Y1 (ko) 2014-04-11 2014-04-11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3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4569A (ko) 2022-09-07 2024-03-14 김재술 부유식 수중 모터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171B1 (ko) 2015-12-07 2016-01-26 이윤철 수중펌프
CN111173756B (zh) * 2020-03-12 2024-05-28 邯郸市三久制泵科技有限公司 一种可防止偏转的漂浮潜水泵
CN113503250A (zh) * 2021-07-23 2021-10-15 林加良 一种浮水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902Y1 (ko) * 2000-08-24 2001-03-15 이명권 부양식 양수장치
KR100747102B1 (ko) * 2006-10-13 2007-08-07 송형필 부유식 배수펌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902Y1 (ko) * 2000-08-24 2001-03-15 이명권 부양식 양수장치
KR100747102B1 (ko) * 2006-10-13 2007-08-07 송형필 부유식 배수펌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4569A (ko) 2022-09-07 2024-03-14 김재술 부유식 수중 모터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831U (ko)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366Y1 (ko)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KR101202889B1 (ko) 오일스키머
KR20140038713A (ko) 싸이펀작동유발부를 가지는 싸이펀장치
KR101109518B1 (ko) 배수용 수중펌프
JP5875148B2 (ja) 揚砂方法及び沈砂設備
CN211898560U (zh) 一体化泵井设备
KR101199119B1 (ko) 하천수를 이용하여 승강 작동되게 한 수중보
RU258272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ёма воды
KR101064749B1 (ko) 부양식 분수대
KR100836730B1 (ko) 잠수 분수
KR100599992B1 (ko) 수문부상형 유수분리시스템
KR20060100298A (ko) 신축형 스키머
KR101064748B1 (ko) 부양식 분수대
CN109113033B (zh) 防止泥沙进入取水口的内置排水泵潜浮式拦沙坎
KR101996884B1 (ko) 잠수 분수
KR101407053B1 (ko)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
JP6817137B2 (ja) 渦発生防止装置およびポンプ設備
JP2007255236A (ja) 排水ポンプ
JPH05118084A (ja) 汚水移送ポンプユニツト
KR100371949B1 (ko) 부양식 양수장치
JP2013094738A (ja) 揚砂方法及び沈砂設備
KR950004068Y1 (ko) 오. 폐수처리 설비의 침전조용 오니및 부유물 수거 배출장치
KR101631283B1 (ko) 수조 여과장치
JP2013018000A (ja) 揚砂方法
KR101390931B1 (ko)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