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053B1 -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053B1
KR101407053B1 KR1020130014581A KR20130014581A KR101407053B1 KR 101407053 B1 KR101407053 B1 KR 101407053B1 KR 1020130014581 A KR1020130014581 A KR 1020130014581A KR 20130014581 A KR20130014581 A KR 20130014581A KR 101407053 B1 KR101407053 B1 KR 101407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pump
water stor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30014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7/00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D7/02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 F04D7/04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ous
    • F04D7/045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ous with means for comminuting, mixing stirring or otherwise tr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16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storage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측 내부에 수중펌프가 설치되는 토출관의 둘레에 일단이 연통 연결된 분사배관과 분사배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분사노즐이 구비됨으로써 수중펌프의 임펠러에 의한 토출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제공이 없이 수중펌프의 하측 바닥에 누적된 침전물을 부양시켜 제거할 수 있으며, 침전물을 제거하여 침전물 누적에 의한 수중펌프의 양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는 하측 내부에 수중펌프가 설치되어 저수조의 물을 상기 저수조 외부로 토출시키되, 상기 수중펌프의 하측으로 상기 저수조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상기 저수조 외부로 토출시켜 제거하는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중펌프가 하측 내부에 설치되는 토출관의 둘레 일측 외면에 일단이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후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저수조의 바닥 측으로 상기 수중펌프의 임펠러에 의해 토출되는 물을 안내하며, 자유단 타입과 매립 타입 중 택일적으로 구비되는 분사배관 및 상기 분사배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중펌프의 임펠러에 의해 상기 토출관을 통하여 상향 토출되는 물이 상기 분사배관을 경유하여 상기 저수조의 바닥 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며, 자유단 타입과 매립 타입 중 택일적으로 구비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ediment of water pump}
본 발명은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측 내부에 수중펌프가 설치되는 토출관의 둘레에 일단이 연통 연결된 분사배관과 분사배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분사노즐이 구비됨으로써 수중펌프의 임펠러에 의한 토출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제공이 없이 수중펌프의 하측 바닥에 누적된 침전물을 부양시켜 제거할 수 있으며, 침전물을 제거하여 침전물 누적에 의한 수중펌프의 양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펌프는 펌프 전체가 유체 속에 잠긴 상태로 작동되는 펌프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중펌프는 외부전원에 의해 임펠러를 회전시켜 이로 인해 발생되는 원심력으로 유체를 상부로 토출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수중펌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수중펌프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와 같이, 종래의 수중펌프(100)는 케이블 박스(110), 고정자(133), 회전자(132), 임펠러(410), 및 구동모터(13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 박스(110)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케이블(111)이 내재되고, 크레인과 같은 이송수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고리(120)가 수중펌프(100)의 상단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자(133)는 상기 케이블(111)을 통해 공급된 전원을 통해 자기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자(133)에 형성된 자장에 의해 회전자(132)를 회전시키는데, 상기 고정자(133)는 구동샤프트(131)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구동샤프트(131)는 베어링(134a,134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구동샤프트(131)의 말단은 임펠러(41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임펠러(410)의 외곽에는 임펠러 케이스(40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임펠러(410)의 회전으로 유체를 흡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수중펌프(100)에는 흡입구(300)와, 배출파이프(210)를 형성하는 배출구(2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중펌프(100)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고정자(133)가 자화되고, 회전자(132)의 회전에 의해 구동샤프트(131)가 회전하면서 임펠러(4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임펠러(410)가 회전되면, 이로 인해 발생된 원심력으로 주변 유체는 소용돌이를 일으키면서 진공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이 진공력에 유체가 유입되고 임펠러 케이스(400) 내로 유입된 유체는 배출파이프(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수중펌프(100)는 물속에 잠긴상태에서 물을 양수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다양한 환경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 수중펌프는 하천이나 호수 등과 같이 수중에 침전된 슬러지나 오물들을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하기 위해 주로 채용되고 있다.
도 3은 종래의 침전물 부양장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과 같이 종래의 침전물 제거방식은 별도로 침전물을 부양시키기 위한 침전물 부양장비(60)를 구동시켜 부양된 침전물을 수중펌프로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침전물 부양장비(60)는 로프(53)로 연결된 분사프레임(50)이 마련되는데, 이 분사프레임(50)에는 다수개의 분사구가 형성되어 하부의 침전물(13)에 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침전물을 부양시켰다.
이때 분사 프레임(50)에는 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21,22)이 연결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70,71은 '오탁방지부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침전물제거 방법은 수중펌프와 침전물 부양 장비를 각각 구비해야 하므로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침전물 부양장비와 수중펌프를 동시에 운전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연계 운용방식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수중펌프가 설치된 하측 바닥 상에 누적되는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침전물 누적에 의한 수중펌프의 양수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측 내부에 수중펌프가 설치되는 토출관의 둘레에 일단이 연통 연결된 분사배관과 분사배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분사노즐이 구비됨으로써 수중펌프의 임펠러에 의한 토출력을 이용하여 수중펌프가 설치되는 수중펌프의 하측 주변의 바닥에 누적된 침전물을 부양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하측 내부에 수중펌프가 설치되는 토출관의 둘레에 일단이 연통 연결된 분사배관과 분사배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수중펌프의 임펠러에 의한 토출력을 이용하여 수중펌프가 설치되는 수중펌프의 하측 주변의 바닥에 누적된 침전물을 부양시켜 제거함으로써 침전물 누적에 의한 수중펌프의 양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수중펌프가 설치되는 토출관 둘레에 분사배관 및 분사노즐을 연결설치하여 수중펌프의 양수에 따른 토출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이 없이 수중펌프에 의해 양수되는 물을 분사하여 침전물을 부양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는 하측 내부에 수중펌프가 설치되어 저수조의 물을 상기 저수조 외부로 토출시키되, 상기 수중펌프의 하측으로 상기 저수조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상기 저수조 외부로 토출시켜 제거하는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중펌프가 하측 내부에 설치되는 토출관의 둘레 일측 외면에 일단이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후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저수조의 바닥 측으로 상기 수중펌프의 임펠러에 의해 토출되는 물을 안내하며, 자유단 타입과 매립 타입 중 택일적으로 구비되는 분사배관 및 상기 분사배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중펌프의 임펠러에 의해 상기 토출관을 통하여 상향 토출되는 물이 상기 분사배관을 경유하여 상기 저수조의 바닥 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며, 자유단 타입과 매립 타입 중 택일적으로 구비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분사배관은 상기 저수조의 바닥 측으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하여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저수조의 바닥과 일정 간극을 가지고 이격되는 위치에 이르도록 연장형성되는 자유단 타입으로 구비되어 타단에 상기 분사노즐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유단 타입으로 구비되는 상기 분사배관은 상기 토출관의 둘레 외면을 따라 다수 개로 연통 연결됨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분사배관은 상기 수중펌프가 하측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토출관의 둘레 일측 외면에 일단이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후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저수조 바닥 상에 매립되되 상기 저수조 바닥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매립되는 매립 타입으로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저수조의 바닥에 매립된 상기 분사배관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 일정길이만큼 상기 저수조의 바닥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매립되는 매립 타입으로 구비되며, 상기 저수조 내측으로 노출된 상단부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분사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수중펌프의 임펠러에 의해 토출되는 물이 상기 분사배관을 통하여 높은 수압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배관은 일단이 상기 토출관의 둘레 일측 외면에 연통 연결되되, 연결되는 위치가 상기 수중펌프의 임펠러로부터 상향 근접된 위치에 연통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측 내부에 수중펌프가 설치되는 토출관의 둘레에 일단이 연통 연결된 분사배관과 분사배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분사노즐이 구비됨으로써 수중펌프의 임펠러에 의한 토출력을 이용하여 수중펌프가 설치되는 저수조에서 수중펌프의 하측 주변의 바닥에 누적된 침전물을 부양시켜 제거할 수 있다.
둘째, 하측 내부에 수중펌프가 설치되는 토출관의 둘레에 일단이 연통 연결된 분사배관과 분사배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분사노즐로 구성되어 수중펌프의 임펠러에 의한 토출력을 이용하여 수중펌프가 설치되는 수중펌프의 하측 주변의 바닥에 누적된 침전물을 부양시켜 제거함으로써 침전물 누적에 의한 수중펌프의 양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수중펌프가 설치되는 토출관 둘레에 분사배관 및 분사노즐을 연결설치하여 수중펌프의 양수에 따른 토출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이 없이 수중펌프에 의해 양수되는 물을 분사하여 침전물을 부양시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중펌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수중펌프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침전물 부양장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및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는 하측 내부에 수중펌프(500)가 설치되어 저수조(900)의 물을 상기 저수조(900) 외부로 토출시키되, 상기 수중펌프(500)의 하측으로 상기 저수조(900) 바닥(910)에 침전된 침전물(950)을 상기 저수조(900) 외부로 토출시켜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는 분사배관(700) 및 분사노즐(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분사배관(700)은 상기 수중펌프(500)가 하측 내부에 설치되는 토출관(600)의 둘레 일측 외면에 일단이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후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 측으로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에 의해 토출되는 물을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배관(700)은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 측으로 상기 분사노즐(800)을 통하여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과 일정 간극을 가지고 이격되는 위치에 이르도록 연장형성되는 자유단 타입으로 구비되어 타단에 상기 분사노즐(800)이 연결되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자유단 타입으로 구비되는 상기 분사배관(700)은 상기 토출관(600)의 둘레 외면을 따라 다수 개로 연통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사배관(700)의 타단에는 상기 분사노즐(800)이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에 의해 상기 토출관(600)을 통하여 상향 토출되는 물이 상기 분사배관(700)을 경유하여 상기 분사노즐(800)을 통해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 측으로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는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에 의해 토출되는 물이 상기 분사배관(700)을 통하여 높은 수압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배관(700)은 일단이 상기 토출관(600)의 둘레 일측 외면에 연통 연결되되, 연결되는 위치가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로부터 상향 근접된 위치에 연통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분사배관(700)의 일단이 상기 토출관(600)의 둘레 일측 외면에 연통 연결되되, 연결되는 위치가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로부터 상향 근접된 위치에 연통 연결됨으로써 높은 수압으로 상기 분사배관(700) 측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사배관(700)을 경유하는 물이 상기 분사노즐(800)을 통하여 강한 분사력을 가지고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는 하측 내부에 상기 수중펌프(500)가 설치되는 상기 토출관(600)의 둘레에 일단이 연통 연결된 상기 분사배관(700)과 상기 분사배관(700)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분사노즐(8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에 의한 토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중펌프(500)가 설치되는 저수조(900)에서 상기 수중펌프(500)의 하측 주변의 바닥(910)에 누적된 침전물을 부양시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하측 내부에 상기 수중펌프(500)가 설치되는 상기 토출관(600)의 둘레에 일단이 연통 연결된 상기 분사배관(700)과 상기 분사배관(700)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분사노즐(800)로 구성되어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에 의한 토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중펌프(500)가 설치되는 상기 수중펌프(500)의 하측 주변의 바닥(910)에 누적된 침전물을 부양시켜 제거함으로써 침전물 누적에 의한 수중펌프(500)의 양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수중펌프(500)가 설치되는 상기 토출관(600) 둘레에 상기 분사배관(700) 및 분사노즐(800)을 연결설치하여 상기 수중펌프(500)의 양수에 따른 토출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이 없이 상기 수중펌프(500)에 의해 양수되는 물을 분사하여 침전물을 부양시켜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 및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분사배관(700) 및 분사노즐(800)의 구조가 매립 타입으로 적용된 것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는 하측 내부에 수중펌프(500)가 설치되어 저수조(900)의 물을 상기 저수조(900) 외부로 토출시키되, 상기 수중펌프(500)의 하측으로 상기 저수조(900) 바닥(910)에 침전된 침전물(950)을 상기 저수조(900) 외부로 토출시켜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는 분사배관(700') 및 분사노즐(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분사배관(700')은 상기 수중펌프(500)가 하측 내부에 설치되는 토출관(600)의 둘레 일측 외면에 일단이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후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 측으로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에 의해 토출되는 물을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배관(700')은 상기 분사배관(700')은 상기 수중펌프(500)가 하측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토출관(600)의 둘레 일측 외면에 일단이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후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저수조(900) 바닥(910) 상에 매립되되 상기 저수조(900) 바닥(91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매립되는 매립 타입으로 구비되어 타단에 상기 분사노즐(800')이 연결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분사노즐(800')은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에 매립된 상기 분사배관(700)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 일정길이만큼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매립되는 매립 타입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800')은 상기 저수조(900) 내측으로 노출된 상단부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분사공(810')이 관통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에 의해 상기 토출관(600)을 통하여 상향 토출되는 물이 상기 분사배관(700')을 경유하여 상기 분사노즐(800')의 분사공(810')을 통해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 측으로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는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에 의해 토출되는 물이 상기 분사배관(700')을 통하여 높은 수압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배관(700')은 일단이 상기 토출관(600)의 둘레 일측 외면에 연통 연결되되, 연결되는 위치가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로부터 상향 근접된 위치에 연통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분사배관(700')의 일단이 상기 토출관(600)의 둘레 일측 외면에 연통 연결되되, 연결되는 위치가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로부터 상향 근접된 위치에 연통 연결됨으로써 높은 수압으로 상기 분사배관(700') 측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사배관(700')을 경유하는 물이 상기 분사노즐(800')의 분사공(810')을 통하여 강한 분사력을 가지고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는 하측 내부에 상기 수중펌프(500)가 설치되는 상기 토출관(600)의 둘레에 일단이 연통 연결된 상기 분사배관(700')과 상기 분사배관(700')의 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분사노즐(8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에 의한 토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중펌프(500)가 설치되는 저수조(900)에서 상기 수중펌프(500)의 하측 주변의 바닥(910)에 누적된 침전물을 부양시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하측 내부에 상기 수중펌프(500)가 설치되는 상기 토출관(600)의 둘레에 일단이 연통 연결된 상기 분사배관(700')과 상기 분사배관(700')의 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분사공(810')을 가지는 상기 분사노즐(800')로 구성되어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에 의한 토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중펌프(500)가 설치되는 상기 수중펌프(500)의 하측 주변의 바닥(910)에 누적된 침전물을 부양시켜 제거함으로써 침전물 누적에 의한 수중펌프(500)의 양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수중펌프(500)가 설치되는 상기 토출관(600) 둘레에 상기 분사배관(700') 및 분사노즐(800')을 연결설치하여 상기 수중펌프(500)의 양수에 따른 토출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이 없이 상기 수중펌프(500)에 의해 양수되는 물을 분사하여 침전물을 부양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500: 수중펌프 510: 임펠러
600: 토출관
700, 700': 분사배관
800, 800': 분사노즐 810': 분사공
900: 저수조 910: 바닥

Claims (5)

  1. 하측 내부에 수중펌프(500)가 설치되어 저수조(900)의 물을 상기 저수조(900) 외부로 토출시키되, 상기 수중펌프(500)의 하측으로 상기 저수조(900) 바닥(910)에 침전된 침전물(950)을 상기 저수조(900) 외부로 토출시켜 제거하는 것으로, 상기 수중펌프(500)가 하측 내부에 설치되는 토출관(600)의 둘레 일측 외면에 일단이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후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 측으로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에 의해 토출되는 물을 안내하며, 자유단 타입과 매립 타입 중 택일적으로 구비되는 분사배관(700, 700') 및 상기 분사배관(700, 7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에 의해 상기 토출관(600)을 통하여 상향 토출되는 물이 상기 분사배관(700, 700')을 경유하여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 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며, 자유단 타입과 매립 타입 중 택일적으로 구비되는 분사노즐(800, 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배관(700)은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 측으로 상기 분사노즐(800)을 통하여 물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과 일정 간극을 가지고 이격되는 위치에 이르도록 연장형성되는 자유단 타입으로 구비되어 타단에 상기 분사노즐(800)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자유단 타입으로 구비되는 상기 분사배관(700)은 상기 토출관(600)의 둘레 외면을 따라 다수 개로 연통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
  4. 하측 내부에 수중펌프(500)가 설치되어 저수조(900)의 물을 상기 저수조(900) 외부로 토출시키되, 상기 수중펌프(500)의 하측으로 상기 저수조(900) 바닥(910)에 침전된 침전물(950)을 상기 저수조(900) 외부로 토출시켜 제거하는 것으로, 상기 수중펌프(500)가 하측 내부에 설치되는 토출관(600)의 둘레 일측 외면에 일단이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후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 측으로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에 의해 토출되는 물을 안내하며, 자유단 타입과 매립 타입 중 택일적으로 구비되는 분사배관(700, 700') 및 상기 분사배관(700, 7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에 의해 상기 토출관(600)을 통하여 상향 토출되는 물이 상기 분사배관(700, 700')을 경유하여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 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며, 자유단 타입과 매립 타입 중 택일적으로 구비되는 분사노즐(800, 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배관(700')은 상기 수중펌프(500)가 하측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토출관(600)의 둘레 일측 외면에 일단이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후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저수조(900) 바닥(910) 상에 매립되되 상기 저수조(900) 바닥(91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매립되는 매립 타입으로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800')은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에 매립된 상기 분사배관(700')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 일정길이만큼 상기 저수조(900)의 바닥(910)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매립되는 매립 타입으로 구비되며, 상기 저수조(900) 내측으로 노출된 상단부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분사공(810')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에 의해 토출되는 물이 상기 분사배관(700, 700')을 통하여 상기 토출관(600) 내부의 수압보다 높은 수압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배관(700, 700')은 일단이 상기 토출관(600)의 둘레 일측 외면에 연통 연결되되, 연결되는 위치가 상기 수중펌프(500)의 임펠러(510)로부터 상향 근접된 위치에 연통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
KR1020130014581A 2013-02-08 2013-02-08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 KR101407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581A KR101407053B1 (ko) 2013-02-08 2013-02-08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581A KR101407053B1 (ko) 2013-02-08 2013-02-08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053B1 true KR101407053B1 (ko) 2014-06-16

Family

ID=5113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581A KR101407053B1 (ko) 2013-02-08 2013-02-08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0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077B1 (ko) * 2016-04-15 2016-10-28 (주)대한중전기 버블젯을 이용한 펌프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2129053B1 (ko) * 2019-06-14 2020-07-02 오재경 역수 충격방지부를 구비한 수중펌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8528A (ja) * 1992-09-25 1994-04-19 Hitachi Ltd 雨水排水ポンプ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20070000368U (ko) * 2007-02-16 2007-03-28 문일성 펌프의 플러싱밸브
KR20110080920A (ko) * 2010-01-07 2011-07-13 펌프텍코리아(주) 침전물 제거용 수중펌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8528A (ja) * 1992-09-25 1994-04-19 Hitachi Ltd 雨水排水ポンプ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KR20070000368U (ko) * 2007-02-16 2007-03-28 문일성 펌프의 플러싱밸브
KR20110080920A (ko) * 2010-01-07 2011-07-13 펌프텍코리아(주) 침전물 제거용 수중펌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077B1 (ko) * 2016-04-15 2016-10-28 (주)대한중전기 버블젯을 이용한 펌프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2129053B1 (ko) * 2019-06-14 2020-07-02 오재경 역수 충격방지부를 구비한 수중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5505B2 (ja) 沈殿物を収集移送する設備
KR101339890B1 (ko) 복합 준설선
KR101086846B1 (ko) 침전물 제거용 수중펌프
KR101407053B1 (ko) 수중펌프용 침전물 제거장치
CN202658640U (zh) 液压螺旋绞吸式清淤船
KR101109518B1 (ko) 배수용 수중펌프
KR100991725B1 (ko) 흡입식 준설장치
KR101463223B1 (ko) 지하수 관정과 지열공 토사슬러리 배출 장치 및 방법
CN104846847B (zh) 地基改良装置以及使用该装置的地基改良方法
KR100937338B1 (ko) 수위 가변형 양수장치
CN102296560A (zh) 河工模型试验中的一种浑水水力搅拌池
JP2004263368A (ja) 取水又は排水装置
KR101970792B1 (ko) 작업성이 개선된 침전물 제거용 육상펌프
CN106013307A (zh) 一种改良结构的挖泥船
CN111963451B (zh) 一种自适应水深的井用潜水泵
CN211898560U (zh) 一体化泵井设备
JP2017154571A (ja) バキューム式アンカー、及び波力発電設備
JP5245503B2 (ja) 中空杭内面の付着物除去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用いた中空杭内面の付着物除去方法
CN206368826U (zh) 一种防污泥杂物的潜水泵
US2158046A (en) Beach maintaining apparatus and a beach maintaining method
KR20060066492A (ko) 준설장치
JP5731243B2 (ja) 固定式ダム浚渫工法
JP2005220598A (ja) 河川底の堆積土砂清浄装置
JP2010242542A (ja) 揚砂装置及び方法
CN201902338U (zh) 便携式取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