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298A - 신축형 스키머 - Google Patents

신축형 스키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298A
KR20060100298A KR1020060060258A KR20060060258A KR20060100298A KR 20060100298 A KR20060100298 A KR 20060100298A KR 1020060060258 A KR1020060060258 A KR 1020060060258A KR 20060060258 A KR20060060258 A KR 20060060258A KR 20060100298 A KR20060100298 A KR 20060100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kimmer
suction
rim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3202B1 (ko
Inventor
안준홍
Original Assignee
안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홍 filed Critical 안준홍
Priority to KR1020060060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202B1/ko
Publication of KR2006010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업용수에 포함된 슬러지와 오일을 분리하여 공업용수를 재활용하거나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는 스키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업용수의 집수조에 설치되어 표면에 부유하는 슬러지와 오일만을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통체의 상부가 신축주름관으로 구성되고 신축주름관에는 전용의 부구가 설치되어, 공업용수의 급격한 유량의 변동이 있더라도 항상 슬러지와 오일만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신축형 스키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단이 개구된 흡입통체와, 상기 흡입통체에 연결간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통체부구와, 상기 통체부구의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진공탱크와 연결된 흡입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상형 스키머에 있어서, 상기 흡입통체의 상부에 신축주름관이 설치되고, 상기 신축주름관의 상단 주연부를 따라 둥글게 테두리가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에 연결간으로 연결된 신축주름관부구가 설치된 신축형 스키머가 제공된다.
스키머, 공업용수, 슬러지, 오일, 신축주름관, 부구

Description

신축형 스키머{An expanding and contracting skimmer}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고정형 스키머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입통체 2 : 연결간
3 : 통체부구 4 : 흡입호스
5 : 신축주름관 6 : 테두리
7 : 신축주름관부구 8 : 흡입관
100 : 스키머
본 발명은 공업용수에 포함된 슬러지와 오일을 분리하여 공업용수를 재활용하거나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는 스키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업용수의 집수조에 설치되어 표면에 부유하는 슬러지와 오일만을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통체의 상부가 신축주름관으로 구성되고 신축주름관에는 전용의 부구가 설치되어, 공업 용수의 급격한 유량의 변동이 있더라도 항상 슬러지와 오일만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신축형 스키머에 관한 것이다.
스키머는 공업용수 등의 집수조에 설치되어 상층에 부유하는 각종 슬러지와 오일만을 걷어 내는 장치로서, 공업용수 등으로부터 슬러지와 오일만을 분리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키머는 흡입통체와, 상기 흡입통체의 상단 주연부가 공업용수의 수면부에 위치하도록 부상시키기 위해 흡입통체에 연결간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통체부구와, 상기 통체부구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진공탱크와 연결된 흡입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스키머는 전체 구조가 통체부구에 의해 부상되어 있고, 진공탱크의 흡입력으로 흡입통체로 흘러 들어온 슬러지나 오일을 흡입호스를 통해 배출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슬러지나 오일이 흡입통체로 유입되면 자체중량이 증가되어 흡입통체가 하강하게 되어 많은 양의 공업용수 등이 함게 흘러 들어오게 되고 이로써 더욱 더 침강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의 공업용수를 포함한 슬러지와 오일을 배출하기 위하여는 진공펌프를 항상 가동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가동하더라도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다시 침강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흡입통체가 단지 통체부구에만 의존하게 설치되고 흡입통체는 가변성이 없는 견고한 구조에 원인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통체부구의 설치 위치가 통체부구에 의하지 않고 고정된 경우도 있는 데, 이 경우 공업용수 등이 일정 수위를 항상 유지할 수 없으므로 슬러지와 오일만을 흡입하기 위하여는 항상 수위의 관찰이 필요하고 진공펌프의 계속적인 작동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급격하게 변동하는 공업용수 등의 수위에도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제공에 있다. 즉, 흡입통체의 상단 주연부가 공업용수의 수위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흡입통체의 상부에 신축주름관을 일체로 설치하고, 신축주름관에 전용의 신축주름관부구를 설치하여, 신축주름관의 상단 주연부가 항상 공업용수 등의 상층부 일정한 위치에 있도록 하여 슬러지와 오일만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 신축 스키머의 제공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신축형 스키머(100)는 상단이 개구된 흡입통체(1)와, 상기 흡입통체(1)에 연결간(2)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통체부구(3)와, 상기 통체부구(3)의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진공탱크와 연결된 흡입호스(4)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상형 스키머에 있어서, 상기 흡입통체(1)의 상부에 신축주름관(5)이 설치되고, 상기 신축주름관(5)의 상단 주연부를 따라 둥글게 테두리(6)가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6)에 연결간(2)으로 연결된 신축주름관부구(7)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부상형 스키머의 실시예와 같은 고정형 스키머에서도 실시가 가능하다. 즉 상단이 개구된 흡입통체(1)와, 상기 통체부구(3)의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진공탱크와 연결된 흡입관(8)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형 스키머(100)에 있어서는, 상기 흡입통체(1)의 상부에 신축주름관(5)이 설치되고, 상기 신축주름관(5)의 상단 주연부를 따라 둥글게 테두리(6)가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6)에 연결간(2)으로 연결된 신축주름관부구(7)가 설치되어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흡입통체(1)의 상단에 설치된 신축주름관(5)과 신축주름관(5)을 위한 전용의 신축주름관부구(7)에 의하여 테두리(6)가 항상 공업용수 등의 상부 수면상에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슬러지나 오일만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부상형 스키머에 있어서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통체(1)는 항상 통체부구(3)에 의하여 일정한 위치로 부상되어 있게 된다. 이 때 테두리(6)가 수면에서 약간 올라간 상태가 유지되게 함으로써, 공업용수의 유입을 적게하고 슬러지나 오일만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오염된 공업용수가 저수조로 들어오게 되면, 수면상에는 슬러지와 오일이 부상하게 되고, 테두리(6)의 높이를 넘게 되면 슬러지와 오일은 테두리(6)를 넘어 흡입통체(1)로 유입되게 된다.
흡입호스(4)는 흡입통체(1)의 하부에 연결되어 진공탱크의 작동에 의해 흡입통체(1)로 유입된 슬러지와 오일을 배출하는 관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정량의 슬러지나 오일이 흡입통체(1)에 유입되는 경우 슬러지와 오일만을 배출할 수 있으나, 종래의 경우는 흡입호스(4)에 흡입압력이 부가되고, 대량의 슬러지와 오일이 흡입통체(1)로 유입될 경우 흡입통체(1)가 아래로 침강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슬러지와 오일뿐만 아니라 대량의 공업용수가 함께 흡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대량의 슬러지와 오일이 흡입되더라도 공업용수의 유입이 없이 항상 슬러지와 오일만이 흡입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에 의해 달성되는 것으로, 흡입통체(1)의 상부에 신축주름관(5)이 일체로 형성되고, 신축주름관(5)의 상단 주연부에 둥글게 설치된 테두리(6)에 신축주름관(5) 전용의 신축주름관부구(7)가 설치되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대량의 슬러지와 오일이 유입되어 흡입통체(1)의 하중이 증가하여 아래로 침강하더라도 신축주름관(5)의 상부에 설치된 테두리(6)는 신축주름관부구(7)에 의해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되고, 증가되는 하중에 의해 침강하는 깊이는 신축주름관(5)에 의해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즉, 하중이 증대되어 흡입통체(1)가 침강하더라도 신축주름관부구(7)에 의해 상단이 지지되어 있으므로 신축주름관(5)의 상단 주연부 즉 테두리(6)는 수위를 그대로 유지되면서 하부만 아래로 신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신축주름관(5)의 신장에 의하여 상단은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어떠한 상황에서도 슬러지와 오일만을 유입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고정형 스키머의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데, 고정형의 경우 흡입통체(1)는 항상 동일한 위치에 고정설치된 경우이다. 따라서 급격한 유량의 변동에는 부상형보다 심한 문제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고정형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신축주름관(5)의 설치로써 이를 해소하게 되는데, 변동되는 수위에 따라 테두리(6)가 상하 이동되는 것으로 이는 신축주름관부구(7)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흡입통체(1)의 상부에 신축주름관(5)이 일체로 설치되고, 신축주름관(5)에 전용의 신축주름관부구(7)가 설치됨으로써, 급격하게 변동하는 공업용수 등의 수위에 따라 능동적으로 적응하여 슬러지와 오일만을 흡입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단이 개구된 흡입통체(1)와, 상기 흡입통체(1)에 연결간(2)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통체부구(3)와, 상기 통체부구(3)의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진공탱크와 연결된 흡입호스(4)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상형 스키머(100)에 있어서, 상기 흡입통체(1)의 상부에 신축주름관(5)이 설치되고, 상기 신축주름관(5)의 상단 주연부를 따라 둥글게 테두리(6)가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6)에 연결간(2)으로 연결된 신축주름관부구(7)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스키머.
  2. 상단이 개구된 흡입통체(1)와, 상기 통체부구(3)의 하부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진공탱크와 연결된 흡입관(8)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형 스키머(100)에 있어서, 상기 흡입통체(1)의 상부에 신축주름관(5)이 설치되고, 상기 신축주름관(5)의 상단 주연부를 따라 둥글게 테두리(6)가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6)에 연결간(2)으로 연결된 신축주름관부구(7)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스키머.
KR1020060060258A 2006-06-28 2006-06-28 신축형 스키머 KR100733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258A KR100733202B1 (ko) 2006-06-28 2006-06-28 신축형 스키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258A KR100733202B1 (ko) 2006-06-28 2006-06-28 신축형 스키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298A true KR20060100298A (ko) 2006-09-20
KR100733202B1 KR100733202B1 (ko) 2007-06-28

Family

ID=3763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258A KR100733202B1 (ko) 2006-06-28 2006-06-28 신축형 스키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2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56B1 (ko) * 2010-03-26 2010-09-16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부유식 스컴 제거장치
CN108221898A (zh) * 2018-02-01 2018-06-29 大连交通大学 一种水面污染物清洁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835A1 (ko) * 2012-10-18 2014-04-24 Choi Dongmin 오일 스키머
CN108589681B (zh) * 2018-04-16 2023-08-11 西安千心智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水面清扫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3605A (en) * 1991-11-25 1992-09-01 David Masciarelli Mobile floating skimmer
KR960001454Y1 (ko) * 1993-09-15 1996-02-17 이희근 수면 부상식 오일제거장치
KR200165347Y1 (ko) * 1997-11-18 2000-01-15 서상기 스키머(skimmer)의 수위조절장치
KR100254320B1 (ko) * 1998-04-23 2000-05-01 이희근 수면 부상식 오일제거장치
SE514756C2 (sv) * 1999-08-16 2001-04-09 Surfcleaner Ab Anordning för uppsamling av flytande föroreningar på en vattenmassas yta, samt flytrecipient för användning vid sådan uppsamling
US20030019806A1 (en) 2001-07-30 2003-01-30 Crudele Mark Anthony Constant level skimm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56B1 (ko) * 2010-03-26 2010-09-16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부유식 스컴 제거장치
CN108221898A (zh) * 2018-02-01 2018-06-29 大连交通大学 一种水面污染物清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202B1 (ko)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202B1 (ko) 신축형 스키머
KR101752689B1 (ko) 부유식 수질 정화시스템
KR20140038713A (ko) 싸이펀작동유발부를 가지는 싸이펀장치
KR20100082431A (ko) 오일스키머
JP2011144616A (ja) ポンプによる揚泥方法及び揚泥設備
KR100952969B1 (ko) 자동 흡배기밸브장치
KR101841621B1 (ko) 오물 수거차량용 밸브장치
KR200479366Y1 (ko)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KR200401284Y1 (ko) 브이 노치형 사이폰 여수로
CN215352262U (zh) 一种一体化泵站处理装置
JP2016040443A (ja) 止水栓装置、下水管の排水システム、及び下水の排水方法
CN109972642B (zh) 一种桶式结构排水装置及安装方法
KR100749929B1 (ko) 하천수면의 부유물 및 기름수거기구
JP2013223832A (ja) 分離槽
JP2005220598A (ja) 河川底の堆積土砂清浄装置
JP2005013902A (ja) 浮遊物吸引除去装置
JP4996966B2 (ja) 排水ポンプ装置
KR101181960B1 (ko) 유체흡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JP2018122277A (ja) 浮遊物の除去装置
TWI693961B (zh) 負壓式油水分離機
CN216007179U (zh) 一种水利工程施工防水排水装置
KR100715397B1 (ko) 펌핑 장치
CN206941751U (zh) 一种两污分流结构
JP2002228083A (ja) 流水個所の補修方法
JP2002146888A (ja) 空気弁の吸排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