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756B1 - 부유식 스컴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스컴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756B1
KR100982756B1 KR1020100027100A KR20100027100A KR100982756B1 KR 100982756 B1 KR100982756 B1 KR 100982756B1 KR 1020100027100 A KR1020100027100 A KR 1020100027100A KR 20100027100 A KR20100027100 A KR 20100027100A KR 100982756 B1 KR100982756 B1 KR 10098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water
float
air injection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종회
Original Assignee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7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22Evaporating by bringing a thin layer of the liquid into contact with a heated surface
    • B01D1/222In rotating vessels; vessels with movable parts
    • B01D1/223In rotating vessels; vessels with movable parts containing a rotor
    • B01D1/225In rotating vessels; vessels with movable parts containing a rotor with blade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처리 장치로서 정수장의 응집지와 같은 저류조 및 하, 폐수 등을 정화처리하는 침전지 등에 설치되어 오수(물)의 수면 위로 부유하는 스컴을 물과의 낙차를 이용하여 스컴수집 부유구로 수집함과 동시에 스컴센서로 이송하는 스컴의 농도를 측정하여 농도에 따라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유식 스컴 제거장치{Floating type scum eliminator}
본 발명은 부유식 스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처리 장치로서 정수장의 응집지와 같은 저류조 및 하, 폐수 등을 정화처리하는 침전지 등에 설치되어 오수(물)의 수면 위로 부유하는 스컴을 물과의 낙차를 이용하여 스컴수집 부유구로 수집함과 동시에 이송하는 스컴의 농도를 스컴센서로 측정하여 스컴의 농도에 따라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컴(SCUM)은 수중에 이물질(impurities)이 수표면에 부상하여 형성된 층(Layer)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수처리 공정에서 물의 표면 위로 떠서 층을 형성하고 있어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었다. 이러한 정수처리 계통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응집제 투입 이후의 분배수로와 응집지 및 침전지 등에서 수류의 이동이 정체된 지점을 중심으로 표면의 막을 형성한다. 그뿐만 아니라 하수처리장에서 오수를 정화할 때에도 오수면 위에 스컴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발생 되는 스컴은 미관상 불쾌감뿐만 아니라 정수 및 하수처리시설의 유지 관리 면에서도 일상적인 불편을 야기시킨다. 또한, 수면 위로 발생된 스컴이 원활히 제거되지 못하고 후속공정에 누출될 경우 수질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기 수처리 공정에서 가라앉지 않고 있는 이물질이 수면상으로 떠오르면 매우 불결한 형상의 띠를 이루고 있는 스컴이 생성되기 때문에, 점검자가 수시로 뜰채로 떠내어 처리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스컴을 제거하는 것은 원시적이고 점검자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도 1과 같은 구성을 창안하여 공개되었다. 상기 구성은 스컴 호퍼(11)의 높낮이가 조작 핸들(12)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즉, 수로 등에 고정되는 브라켓(13)을 통해 스크류(14)가 설치되고, 스크류(14)의 상측에 조작 핸들(12)이 구비되며, 스크류(14)의 하측에 스컴 호퍼(11)가 구비되어 상기 조작 핸들(12)의 조작으로 스컴 호퍼(11)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음에 따라 물 높이에 맞추어 상기 조작 핸들(12)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물 표면에 떠있는 스컴이 상기 스컴 호퍼(11)로 유입되어 배출관(15)을 통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컴 제거 장치는 작업자가 수시로 수위에 따라 조작 핸들(12)을 조작하여 스컴 호퍼(11)의 높낮이를 맞추어 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수위가 변할 경우 작업자가 이에 민첩하게 대처하지 못하게 되면 많은 양의 물이 스컴과 함께 배출되거나 또는 스컴이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수처리 공정에서 발생한 스컴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스키머를 이용하여 수집제거하는 방법, 고압분사에 의해 가라앉히는 방법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또 기존의 스컴 제거의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부유식 스키머 및 체인을 구성 스크레퍼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스컴 제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창출한 것으로, 정수장이나 하, 폐수처리장에서 발생 되는 스컴을 물과의 낙차를 이용하여 수면에 부유되는 스컴수집 부유구로 수집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면에 부유되는 스컴수집 부유구와 공기주입통을 벨로우즈로 연결하였기 때문에, 수면이 유동 되더라도 스컴수집 부유구의 상부에 설치된 공기주입통이 유동되는 수면에 따라 이동할 때 벨로우즈가 신축함으로써 스컴 수집 부유구의 상단이 수면의 레벨과 일치되면서 수면의 스컴을 물과의 낙차를 이용하여 스컴구집 부유구의 내부로 수집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뿐만 아니라 스컴수집 부유구에 수집되어 배출관을 통해 이송하는 스컴의 농도를 배출관에 장착된 스컴센서가 측정하여 스컴의 농도에 따라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수장 및 하, 폐수처리장의 수면(700) 위로 생성하는 스컴(600)을 수집하여 하부로 이송하기 위하여 배출관(200)이 하부에 스컴수집 부유구(100)를 형성하고, 상기 스컴수집 부유구(100)의 상부면(L1)을 수면(700)의 레벨(L2)과 일치시켜서 부유할 수 있도록 스컴수집 부유구(100)의 외주연으로 공기주입통(300)을 형성하고, 상기 수면(700)이 유동되어도 스컴수집 부유구(100)의 상부면(L1)이 수면과 레벨(L2)이 일치될 수 있게 스컴수집 부유구(100)의 상부와 공기주입통(300)의 일측단부를 벨로우즈(400)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공기주입통(300)의 내부에 통공(310)을 형성하여 공기주입통(300)의 상부면(L1)도 수면(700)의 레벨(L2)과 일치되게 물과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스컴수집 부유구(100)로 스컴을 수집하여 상기 배출관(200)으로 이송되는 스컴(600)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배출관(200)의 외부면에 발광자(610)와 수광자(210)가 형성한 스컴센서(500)를 장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스컴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정수장이나 하, 폐수처리장으로 이송되어 온 오수 위로 부유 되는 스컴수집 부유구의 외주연으로는 공기주입통이 형성되어 오수의 수면과 레벨을 일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수면 위로 생성되는 스컴을 스컴 수집 부유구의 내부로 간단하게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스컴수집 부유구와 공기주입통은 벨로우즈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면이 유동 되어도 공기 주입통의 상부면과 수면의 레벨은 일치되므로 수면의 유동에 관계없이 수면 위의 스컴을 스컴수집 부유구의 내부로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컴수집 부유구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관에 설치되어 있는 스컴센서가 배출관으로 이송되는 스컴의 농도를 측정하여 농도에 따라 스컴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컴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스컴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처리 장치로서 정수장의 응집지와 같은 저류조 및 하, 폐수 등을 정화처리하는 침전지 등에 설치되어 오수(물)의 수면 위에 부유하는 스컴(600)을 물과의 낙차를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컴수집 부유구(100)를 도면과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주변시설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스컴(600)을 수집하는 수컴수집 부유구(100)를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컴수집 부유구(100)의 상부 외주연으로는 공기주입통(30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공기 주입통(300)의 상부면(L1)이 수면의 레벨(L2)과 일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통공(310)을 형성하여 공기 및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오수의 수면이 유동되어도 스컴수집 부유구(100)와 수면의 레벨(L2)이 일치되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스컴수집 부유구(100)가 유동되는 수면에 신축 대응할 수 있게 스컴수집 부유구(100)와 공기주입통(300)을 벨로우즈(400)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그뿐만 아니라 스컴수집 부유구(100)로 수집되어 배출관(200)을 따라 이송하는 스컴(600)의 농도를 측정하여 농도에 따라 스컴(600)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배출관(200)에 스컴센서(500)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스컴 제거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수처리 장치로서 정수장의 응집지와 같은 저류조 및 하, 폐수 등을 정화처리하는 침전지 등으로 유입된 오수(물)를 정수 및 정화처리할 때 수면(700) 위로 스컴(600)이 부유된다.
이러한 스컴(600)은 미관상 불쾌감뿐만 아니라 정수 및 정화처리시설의 유지,관리 면에서도 일상적인 불편을 야기시키고, 발생된 스컴(600)이 원활히 제거되지 못할 경우 후속공정으로 누출될 경우 수질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스컴(600)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스컴(600)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유식으로 구성된 스컴제거장치(800)를 수면(700)에 부유시킨다.
즉, 스컴제거장치(800)의 스컴수집 부유구(100)는 수면 아래로 형성되지만 스컴수집 부유구(100)의 외주연으로 형성된 공기주입통(300)의 내부 통공(310)으로는 물과 공기가 유입되어 부유시키면서 공기주입통(300)의 상부면(L1)은 수면(700)의 레벨(L2)과 일치시켜 설치가 된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통(300)의 통공(310)으로 유입되는 물과 공기의 비가 50중량% : 50중량%의 비로 유입될 때 수면의 레벨(L2)과 공기주입통(300)의 상부면(L1)이 일치되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면의 유동에 따라 물과 공기의 비는 상대적으로 변화되면서 유입된다.
상기 스컴제거장치(800)가 수면(700) 위에 설치되면 수면(700) 위로 발생된 스컴(600)은 공기주입통(300)의 상부면(L1)을 타고 스컴수집 부유구(100)의 내부로 수집된다. 이때 스컴수집 부유구(100)로 수집되는 스컴(600)은 물과의 낙차에 의해 분리되면서 자연스럽게 수집이 된다.
그리고 수면(700)이 바람에 의해 유동될 때에도 공기주입통(300)의 상부면(L1)과 공기주입통(300)을 연결하고 있는 벨로우즈(400)가 수면(700)의 유동에 의해 신축이 되면서 공기주입통(300)의 상부면(L1)은 수면(700)의 레벨(L2)과 일치되기 때문에 수면 위로 형성되는 스컴(600)은 수면(700)이 유동되어도 자연스럽게 스컴수집 부유구(100)로 수집이 된다.
상기와 같이 스컴수집 부유구(100)로 수집된 스컴(600)은 슬러지 수집장으로 이송되기 위하여 스컴수집 부유구(1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관(200)을 통해 이송된다. 이때 배출관(200)에 장착된 스컴센서(500)가 배출관(200)을 따라 이송하는 스컴(600)의 농도를 측정하여 농도에 따라 스컴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스컴센서(500)는 액체 속에 부유물입자(현탁물)에 빛을 조사하면 빛은 원래 광축에서 벗어난 방향으로 반사 산란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스컴센서(500)에는 발광자(610)와 배출관(200)에는 수광자(210)를 형성하기 때문에, 빛의 반사나 산란의 강도를 가지고 현탁물의 많고 적음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컴(600)의 농도에 따라 스컴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배출관(200)에 별도의 관을 연결하여 물을 주입하고 주입시 물의 수압에 의해 스컴의 이송속도는 조절이 된다.
100. 스컴수집 부유구 200. 배출관
210. 수광자 300. 공기주입통
310. 통공 400. 벨로우즈
500. 스컴센서 600. 스컴
700. 수면 800. 스컴제거장치

Claims (3)

  1. 정수장 및 하, 폐수처리장의 수면(700) 위로 생성하는 스컴(600)을 수집하여 하부로 이송하기 위하여 배출관(200)이 하부에 스컴수집 부유구(100)를 형성하고, 상기 스컴수집 부유구(100)의 상부면(L1)을 수면(700)의 레벨(L2)과 일치시켜서 부유할 수 있도록 스컴수집 부유구(100)의 외주연을 따라 공기주입통(300)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수면(700)이 유동되어도 스컴수집 부유구(100)의 상부면(L1)이 수면과 레벨(L2)이 일치될 수 있게 스컴수집 부유구(100)의 상부와 공기주입통(300)의 일측단부를 벨로우즈(400)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공기주입통(300)의 내부에 통공(310)을 형성하여 공기주입통(300)의 상부면(L1)도 수면(700)의 레벨(L2)과 일치되게 물과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스컴수집 부유구(100)로 스컴을 수집하여 상기 배출관(200)으로 이송되는 스컴(600)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배출관(200)의 외부면에 발광자(610)와 수광자(210)가 형성된 스컴센서(500)를 장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스컴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00027100A 2010-03-26 2010-03-26 부유식 스컴 제거장치 KR10098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100A KR100982756B1 (ko) 2010-03-26 2010-03-26 부유식 스컴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100A KR100982756B1 (ko) 2010-03-26 2010-03-26 부유식 스컴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756B1 true KR100982756B1 (ko) 2010-09-16

Family

ID=4301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100A KR100982756B1 (ko) 2010-03-26 2010-03-26 부유식 스컴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7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1512A (zh) * 2021-01-07 2021-05-18 穆江山 一种交通服务区污水处理装置
KR20220012737A (ko) 2020-07-23 2022-02-04 나기호 부유식 스키머를 이용한 스컴 제거시스템
KR20220012738A (ko) 2020-07-23 2022-02-04 나기호 스컴 흡입용 부유식 스키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709A (ja) 1983-07-20 1985-02-09 Mizota Kogyo Kk ポンプによる表面水取水装置
KR20060100298A (ko) * 2006-06-28 2006-09-20 안준홍 신축형 스키머
KR100763876B1 (ko) * 2004-06-08 2007-10-05 주식회사 호국이엔지 스컴 제거 장치
KR20100037773A (ko) * 2008-10-02 2010-04-12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스컴 감시제어수단을 가진 원형침전지의 슬러지 및 스컴제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709A (ja) 1983-07-20 1985-02-09 Mizota Kogyo Kk ポンプによる表面水取水装置
KR100763876B1 (ko) * 2004-06-08 2007-10-05 주식회사 호국이엔지 스컴 제거 장치
KR20060100298A (ko) * 2006-06-28 2006-09-20 안준홍 신축형 스키머
KR20100037773A (ko) * 2008-10-02 2010-04-12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스컴 감시제어수단을 가진 원형침전지의 슬러지 및 스컴제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2737A (ko) 2020-07-23 2022-02-04 나기호 부유식 스키머를 이용한 스컴 제거시스템
KR20220012738A (ko) 2020-07-23 2022-02-04 나기호 스컴 흡입용 부유식 스키머
CN112811512A (zh) * 2021-01-07 2021-05-18 穆江山 一种交通服务区污水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863B1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214553B1 (ko) 합류식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CN104402139A (zh) 一种含油污水的处理方法
US20150183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ir scouring of a screen in a water treatment facility
KR100982756B1 (ko) 부유식 스컴 제거장치
CN205709989U (zh) 一种油田污水除油除砂沉降系统
CN205276454U (zh) 水力颗粒分离装置
KR100817610B1 (ko) 수리학적 흐름과 여과를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850162B1 (ko) 하수처리조의 부유물 처리장치
KR100877027B1 (ko) 수리동력학적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20070114680A (ko) 나선유입식 다층셀형 협잡물 및 침사물 종합처리기
CN108840461A (zh) 一种清扫型污水分级处理环保装置
CN207091140U (zh) 一种大理石污水处理用竖流沉淀分离设备
RU2453354C1 (ru) Фильтр самоочищающийся
KR101038684B1 (ko) 다층 수평관 액체 침전장치
KR20160055998A (ko)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CN209481427U (zh) 污水处理装置
KR101257010B1 (ko) 침전슬러지 배출장치
CN207538007U (zh) 一种水面油污清理机
CN207659145U (zh) 一种玻璃钢隔油池
CN206735860U (zh) 一种水面油污收集装置
CN213416528U (zh) 一种市政道路建设废水引流装置
CN204874135U (zh) 一种用于圣诞球喷涂废水处理的沉淀池
RU219342U1 (ru) Флотатор для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стального резервуара
CN214114989U (zh) 一种吸油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