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068Y1 - 오. 폐수처리 설비의 침전조용 오니및 부유물 수거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오. 폐수처리 설비의 침전조용 오니및 부유물 수거 배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068Y1
KR950004068Y1 KR92004562U KR920004562U KR950004068Y1 KR 950004068 Y1 KR950004068 Y1 KR 950004068Y1 KR 92004562 U KR92004562 U KR 92004562U KR 920004562 U KR920004562 U KR 920004562U KR 950004068 Y1 KR950004068 Y1 KR 950004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ischarge
pipe
tank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4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156U (ko
Inventor
윤명선
Original Assignee
박명선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선,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박명선
Priority to KR92004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068Y1/ko
Publication of KR930021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1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66Mammoth pumps, e.g. air lift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27Floating sediment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폐수처리 설비의 침전조용 오니및 부유물 수거 배출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이며,
제 3도 및 제 4 도는 압축공기를 불어 넣었을때 일어나는 오니및 부유물의 수거 배출 작용을 나타낸 성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오니수거 배출장치 B : 부유물수거 배출장치
1 : 오니탱크 2, 13 : 급기관
3 : 오니토출관 4 : 트랩
5 : 오니유입관 6 : 역지변
7 : 헤드 11 : 깔데기통
12 : 부유물 배출관 14 : 에어레이터.
본 고안은 생활하수나 공장폐수 처리설비의 침전조내 부유물과 오니를 동시에 수거 배출할 수 있게 한 오, 폐수처리설비의 침전조내 부유물 및 오니수거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수처리설비의 침전조에는 오, 폐수의 수면으로 많은 부유물이 떠오를 뿐만아니라 오니둥의 침전물도 생기기 마련이다. 이러한 부유물과 침전오니는 수시로 제거하지 않으면 오, 폐수 정화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침전조마다 부유물 또는 침전오니제거용 장치를 설치운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부유물을 수거 배출하는 장치와 침전오니를 수거 배출하는 장치가 별개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시설에 많은 비용과 노력, 시간이 들었을뿐만 아니라 설치후의 유지보수및 운영에 있어서도 많은 어려움이 뒤따랐다. 또한 각 장치에는 수중펌프가 딸려 있는 데다 구동수단도 값비싼 전기를 에너지로 하는 모터였기 때문에 딱딱한 물질의 수중펌프로 유입됐을 때 임펠러에 손상을 주기도 하고, 방수처리의 미흡 또는 노후화에 기인하는 누전사고 등으로 인한 불이익은 물론 가동중에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도 컸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침전조내의 부유물과 침전오니를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동시에 수거 배출할 수 있는 침전조용 부유물 및 오니수거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동중에 소음과 진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하며, 보다 저렴한 비용을 들여 시설, 운용할 수 있고 또한 수중에서의 누전으로 인한 피해가 전혀 염려되지 않게 안전성을 높인 새로운 침전조용 부유물 및 침전오니수거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을 달성하는데 특히 적합하게 구성된 본 고안의 침전조용 부유물 및 오니수거 배출장치는 비록 이들의 기능은 다르지만 전체가 하나의 뭄체내에 수용되어있어 설치하기도 쉽고 침전조내에서 차지하는 공간도 휠씬 작다. 또, 장치내로 유입되는 부유물은 압축공기에 의해 강제로 배출되고 침전오니도 별도의 토출관을 타고 압축공기에 빨려 나간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수중에 설치되던 2대의 모터펌프가 필요치 않고 전기에너지도 불필요하며 작동소음과 진동이 거의 없음은 물론 시설하기도 더없이 편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동단면도이며, 제 3 의 각 그림은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들에 있어서 A는 오니수거 배출장치이고 B는 부유물 수거 배출장치를 가리킨다.
먼저, 오니수거배출장치(A)에 관한 것 부터 그 구조를 살펴본다.
이 오니수거배출장치(A)는 오니유입 저장용 오니탱크(1)와 급기관(2), 오니토출관(3), 트랩(4) 및 역지변(6)이 딸린 오니유입관(5)으로, 구성된다. 이들 요소중에서 급기관(2)과 오니토출관(3)은 헤드(7)상에 그리고 오니유입관(5)은 오니탱크(1)의 바닥면에 각각 접속되며, 특히 오니토출관(3)은 탱크(1)의 바닥면 가까이 하단이 위치하고 상단은 헤드(7)위로 솟아있다. 또, 트랩(4)은 U자형으로서 자유단과 고정단은 오니탱크(1)와 헤드(7)간의 접합 경계선상에 놓이고 자유단은 열려 있으나 고정단은 상기 오니토출관(3)과 내부적으로 통하게 접속돼 있다. 그리고 급기관(2)은 도시하지 아니한 지상의 콤프에서측과도 연결되어 콤프레서에서 생산된 압축공기를 오니탱크(1)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급기관로(30) 상에는 압축공기를 공급, 차단 또는 급기량 조절에 쓰이는 밸브(8)도 더불어 갖춘다. 이같은 오니수거배출장치(A)를 이용하여 침전조(9)의 바닥에 고인 오니를 수거하려면 제 3 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우선 콤프레서를 가동시킨 후에 밸브(8)를 열어 오니탱크(1)내에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오니탱크(1)로 들어온 압축공기는 트랩(4)을 거치고 오니토출관(3)을 지나서 배출관로(40)로 향하고 마지막에 지상으로 배출된다. 이와같은 트랩(4)을 통해서 압축공기가 속히 빠져나갈 때에는 그 유속때문에 오니탱크(1)내에 미리 차있던 공기도 함께 빨려나가는 흡출현상이 일어나고 오니유입관(5)쪽에 머물고 있던 공기마저도 함께 빨려나간다. 이때, 역지변(6)은 오니유입관(5)내의 공기가 빨려나가는 힘의 작용으로 자연스레 오니유입관로를 열어주게되고 이에 따라 역지변(6)이하의 오니유입관(6)내에 있던 공기와 오니(10)도 빨려 올라가 오니탱크(1)내에 고이게 된다.
그후 트랩(4)의 자유단 높이 이상으로 오니가 차오르면서부터는 그 기준면 이상으로 올라간 오니는 트랩(4)으로 흘러든다. 이렇게 되기 전에 오니토출관(3)의 밑으로도 일부의 오니가 흘러 드는 것은 물론이다. 또, 오니토출관(3)과 트랩(4)이 만나는 곳 이상으로 오니가 차오르고 이것이 트랩(4)에 들어찬 오니때문에 배기관로가 막혀서 일시적으로 압축공기와 오니가 오니토출관(3)위로 빠져 나가지 못하고 머뭇거리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때부터 오니탱크(1)의 상층부에 자리잡고 있던 공기층은 정압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황이 바뀌고 나면 압축공기의 유입과 오니탱크(1)내 통과가 일시 중단된다. 따라서, 오니의 유입도 잠시 중단되는 것은 물론 역지변(6)도 위쪽에서 오니의 무게 때문에 오니유입관로 폐쇄자세로 복귀한다.이후, 계속되는 압축공기의 공급으로 오니탱크(1)의 내부공기가 규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오니탱크(1)와 트랩(4)내에 들어와 머물던 오니는 오니토출관(3)과 트랩(4)을 거쳐 느린 속도로 배출관로(91)로 토출되기 시작하고, 그러다가 오니탱크(1)의 오니가 줄어 트랩(4)의 곡부(4a)를 밑돌기 시작할 무렵에서는 압축공기가 크랩(4)을 거쳐 오니토출관(3)으로 급작스레 빠져 벤드관(20)으로 토해지듯 빠져 나가며, 이때 오니탱크(1) 내의 잔류오니도 함께 딸려 벤트관(20)으로 신속히 배출된다. 이후에는 상기와 같은 움직임이 반복적으로 일어난다. 그리고, 이러한 오니의 수거배출주기는 압축공기의 압력, 급기량, 오니토출관의 길이 및 직경, 트랩의 규모, 오니유입관의 규격등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수십초 단위로서 매우 빠르게 진행된다.
다음은 부유물 수거배출장치(B)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부유물 수거 배출장치(B)는 수직 배출관내에 공기를 불어 넣어 생기는 기포가 배출관을 따라 상승할때 생기는 힘 즉, 에어 리프팅원리를 이용하여 배출관내로 유입된 부유물을 수거 배출하는 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즉, 부유물 수거배출장치(B)는 수면 바로 밑에 위치하여 수면에 떠 있는 부유물의 유입을 유도하는 깔데기통(11)과, 깔데기통(11)에서 침전조밖 지상측으로 이어지는 배출관로상에 배치한 U자형 배출관(12)과 이 배출관(12)의 배출부측과 급기관로(P2)간을 연결하는 급기관(13)으로 구성되고, 더하여 선택적으로 급기와 급기량 조절을 위해 필요하다면 밸브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12)의 배출부측 내부에는 그 급기관(13)에 연결된 에어레이터(14)가 내장되어 있기도 하다.
제 3 도를 참고로할때, 배출관(12)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침전조(9)의 수면에 떠 있는 부유물(30)은 깔데기통(11)의 기준선 위쪽 물과 함께 까데기통(11)으로 흘러들고 이는 다시 배출관(12)으로 유입된다. 그러던 중 배출관(12)의 수위가 침전조(9)의 수위와 같아져 평형수면을 이룬 이후에는 더 이상 부유물과 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이같이 흐름이 정체된 상황하에서 급기관(13)을 통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배출관(12)의 취입구측 위쪽으로 수중 기포(40)가 발생하여 상승하며, 이들 기포가 상승작용할때 배출관(12)의 배출부측에 들어 차있던 물과 오니가 떼밀려 올라간다. 즉, 물과 오니는 에어 리프팅작용에 의해 떠오르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에어 리프팅작용에 따라 취입구 위쪽 물과 부유물이 부상, 배출되고 동시에 입구 이전의 배출관(12)부분에 머물던 물과 부유물도 뒤따라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의 침전조용 오니 및 부유물 수거 배출장치에 의하면 수중모터 펌프 대신에 압축공기를 이용한 트랩 내장형 공압식 탱크와 배출관내에서 일어나는 에어 리프팅 원리를 웅용하여 침전조내의 오니부유물을 수거 배출하는 것으로서, 장치전체의 구조가 간단하고 수중모터 펌프적용때와 같은 전기 에너지의 사용도 배제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는가하면 작동 소음과 진동도 없고 두 기능을 장치가 하나의 몸체로 통합되어 이루어진 만큼 부피로 적고 가볍기 때문에 침전조 내에 설치하거나 유지보수하기도 더 없이 편리하며 또한 움직이는 요소라고는 단 하나 역지변뿐이므로 고장이 발생할 요인이 거의 없는 것이다.

Claims (1)

  1. 헤드(7)로 덮힌 오니탱크(1)상에 콤프레서로 통하는 급기관(2)과 트랩(4)이 부착된 오니토출관(3)을 설치함과 동시에 바닥면에는 역지변(6)이 딸린 오니유입관(5)을 설치하여 구성한 오니수거배추장치(A)와, 오니탱크(1) 주위를 에워싸둣 부착한 깔데기통(11)과, 이 깔데기통(11)의 바닥면에 연결된 U자형 배출관(12)그리고 이 배출관(12)의 배출부측하단 내부에는 에어레이터(14)를 설치하여 급기관(13)에 접속한 부유물수거 배출장치(B)와의 조합으로 이뤄지고, 오니수거배출장치(A)와 부유물 수거 배출장치(B)에 압축공기를 불어 넣어 침전조내의 오니와 부유물을 수거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설비의 침전조용 오니및 부유물 수거배출장치.
KR92004562U 1992-03-21 1992-03-21 오. 폐수처리 설비의 침전조용 오니및 부유물 수거 배출장치 KR950004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4562U KR950004068Y1 (ko) 1992-03-21 1992-03-21 오. 폐수처리 설비의 침전조용 오니및 부유물 수거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4562U KR950004068Y1 (ko) 1992-03-21 1992-03-21 오. 폐수처리 설비의 침전조용 오니및 부유물 수거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156U KR930021156U (ko) 1993-10-15
KR950004068Y1 true KR950004068Y1 (ko) 1995-05-20

Family

ID=1933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4562U KR950004068Y1 (ko) 1992-03-21 1992-03-21 오. 폐수처리 설비의 침전조용 오니및 부유물 수거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0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156U (ko) 199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786B1 (ko) 해양 유출 기름 분리 회수 장치
KR950700107A (ko) 경사장치(Decanting apparatus)
CN2268726Y (zh) 自动沉浮防污吸水无底阀排水装置
KR200479366Y1 (ko) 흡입조건 및 효율을 향상시킨 부양식 수중펌프
KR950004068Y1 (ko) 오. 폐수처리 설비의 침전조용 오니및 부유물 수거 배출장치
CN206722059U (zh) 一种防回流的整体式污水提升装置
KR20010019491A (ko) 수면에 유출된 기름 수거장치
CN211898560U (zh) 一体化泵井设备
CN2219905Y (zh) 水库浮力自动启闭取水装置
SU1381241A1 (ru) Система вакуумного дренажа
JPS6119769Y2 (ko)
KR200165347Y1 (ko) 스키머(skimmer)의 수위조절장치
KR101921447B1 (ko) 수중 펌프 구동식 상등수 배출장치
JP2001098537A (ja) 浮遊物回収装置
JP4172846B2 (ja) 水位追従式水中ポンプ
KR20050077178A (ko) 부력 부상수문 및 수문부상형 유수분리시스템
CN2522144Y (zh) 无动力外置控制滗水器
KR950005496B1 (ko) 오·폐수처리 설비용 침전조의 부유물 수거 배출장치
KR200235057Y1 (ko) 회분식 활성슬러지법에 사용되는 부상식 상등수배출장치
KR102390495B1 (ko)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CN216890188U (zh) 含油污水处理用纳米气浮装置
CN212864259U (zh) 一种潜浮式无动力滗水器
KR0126629Y1 (ko) 해상에 분포된 기름의 회수장치
KR200243070Y1 (ko) 부유식 정화수 배출장치
JPH11324032A (ja) 河川水の取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