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0016A -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 Google Patents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0016A
KR20050120016A KR1020040045203A KR20040045203A KR20050120016A KR 20050120016 A KR20050120016 A KR 20050120016A KR 1020040045203 A KR1020040045203 A KR 1020040045203A KR 20040045203 A KR20040045203 A KR 20040045203A KR 20050120016 A KR20050120016 A KR 20050120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tower
water
water intake
fouling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7764B1 (ko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김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식 filed Critical 김성식
Priority to KR1020040045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764B1/ko
Publication of KR2005012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수탑에 사용되는 오탁방지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수탑 (101)의 외주 둘레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연결파이프(11)를 방사형으로 배치 한 다음 상기 연결파이프(11)들 사이로 각각 설치파이프(12)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일정한 범위의 테두리부(102)를 구성하고, 상기 설치파이프(12) 외주둘레로는 통상적인 방지막(23)과 고정체인(24)이 하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연결형 플로트부(2)를 고정밴드(21)로 설치하되, 상기 연결파이프(11)들의 내측단으로는 일측에 탄성체(15)가 마련된 탄성부재(14)를 고장력 스프링(13)으로 각각 연결설치하며, 상기 연결파이프(11)와 설치파이프(12)가 연결설치되는 교차 부위에 하나 이상의 부자(22)를 각기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파이프(11)에는 그 일정 위치로 각각 플랜지부(16)를 형성하여 설치파이프(12)가 결합볼트(202)에 의해 조립설치가 가능토록 하고, 또 상기 상기 플로트부(2)의 양측부로는 취수탑(101)의 상단과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와이어(201)를 설치하여 오탁방지막(1)이 취수탑(101)의 상단부에서 일정길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에 그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을 취수탑과의 일정한 거리를 항상 유지토록 하여 줌과 동시에 바람이나 유수 및 파랑등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막아 주고, 또 수위 변화시 오탁방지막이 그 부력에 의하여 취수탑 외주를 따라 자동 승강 되도록 하므로 조류 및 기타 부유물질의 유입을 보다 확고히 막아 줌은 물론 오탁방지막의 시공을 수면 위에서 실시 가능토록 하여 안전사고의 예방은 물론 그 설치와 유지보수가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취수탑용 오탁방지막{THE SILT PROTECTOR USED IN INTAKE TOWER}
본 발명은 취수탑에 사용되는 오탁방지막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취수탑의 외주 수면에 설치되는 오탁방지막을 수위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승강될 수 있게 구성하여 상수도의 원수를 수로에 공급하여 주는 취수탑으로 조류나 기타 부유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고히 막아 줌과 동시에 오탁방지막의 설치를 수면 위에서 실시 가능토록 하여 그 설치는 물론 유지보수가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강이나 댐 또는 저수지등에 설치되어 공업용수 및 상수도의 원수를 수로에 공급하여 주는 취수탑은 그 상부 위치에 마련된 흡출관으로 원수를 끌어 들일 때, 조류나 각종 부유물질등이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취수탑의 외주로 오탁방지막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탁방지막은 첨부된 도면 도 9와 같이 취수탑의 외주 일정범위로 하측에 방지막이 일체 구성된 플로트(FLOAT)부를 수면에 띄워서 취수탑 외주로 경계 테두리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플로트부를 고정와이어와 연결체인으로 수중 바닥에 설치된 시멘트 블럭에 각각 연결 설치하는 구조로서, 이는 작업자가 상기 플로트부를 고정설치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수중에 잠수하여 수중작업을 실시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 상기 시멘트 블럭의 수중 안치 작업이 매우 난이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은 물론 인력의 낭비와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실정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경계테두리부를 구성하는 플로트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중에 잠수하여 무게 하중이 큰 시멘트 블럭을 적절한 위치에 설치 한 다음 상기 플로트부와 시멘트 블럭을 상호 고정와이어와 연결체인으로 연결하는데 이때, 상기 무게하중이 큰 시멘트 블럭은 인력으로는 그 설치가 불가능하여 기계적 도움을 받아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의 낭비가 매우 심하였으며, 또 수중바닥이 고르지 못할 경우 시멘트 블럭의 설치가 불안전하게 되므로 수중바닥 공사까지 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효율성의 저하는 물론 그에 따른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장시간 수중작업을 하여야 하는 폐단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까지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오탁방지막은 항상 관리자가 강이나 댐 또는 저수지의 수위 변화를 실시간적으로 관찰하여 그 수위에 적합하도록, 상기 오탁방지막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주어야 하는 폐단이 있는데, 이는 종래의 오탁방지막은 수위변화에 따른 승하강시 관리자가 일일이 수중에 잠수하여 상기 플로트부와 시멘트 블럭을 연결하고 있는 고정와이어와 연결체인의 길이를 수작업으로 조절하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수중작업에 따른 어려움은 물론 시간적 소모와 인력의 낭비가 심하였다.
따라서 취수탑의 관리자들은 상기와 같은 번거로움으로 인해 대부분 수위변화에도 오탁방지막을 그대로 방치하고 있고, 또 그에 따른 문제점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즉, 오탁방지막의 위치보다 높은 고수위가 될 경우 조류나 각종 부유물질등이 오탁방지막의 플로트부를 넘어 취수탑으로 유입되어 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저수위로 인해 오탁방지막의 위치보다 수위가 낮아 질 경우, 오탁방지막이 외부로 노출되어 바람등에 의해 훼손되거나 파손되어 외관상 매우 좋지 않을 뿐 아니라 그 사용이 불가능하여지고, 더 나아가 저수위의 경우 조류 및 기타 부유물질등이 원수와 함께 취수탑의 흡출관으로 유입되어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오탁방지막의 플로트부와 시멘트 블럭을 연결고정하고 있는 고정와이어와 연결체인을 유연성을 가지는 로프 또는 체인등으로 연결한 사례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수위 변화시 오탁방지막이 취수탑의 중심부로 부터 한쪽으로 쏠리거나 서로 엉켜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심할 경우 플로트부의 방지막이 취수탑의 흡출관으로 빨려 들어가 그 입구를 막아 버리게 되는 크나큰 폐단을 가지고 있었던 실정이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종래의 오탁방지막은 그 설치에서 부터 관리 및 유지보수가 매우 어렵고 난이하여 인력과 비용의 낭비가 심하였으며 더 나아가 항상 수중작업을 실시 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매우 높았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취수탑 외주 둘레에 연결파이프와 설치파이프를 일정범위 방사형으로 시공하여 그 외측에 오탁방지막의 플로트부를 설치케 하므로, 취수탑과의 일정간 거리를 항상 유지토록 하여 줌과 동시에 바람이나 유수 및 파랑등에 의해 오탁방지막이 유동되는 것을 막아 주고, 또 수위변화시 오탁방지막이 그 부력에 의하여 취수탑 외주를 따라 자동 승강 되도록 하므로 조류 및 기타 부유물질의 유입을 보다 확고히 막아 줌은 물론 오탁방지막의 시공을 수면위에서 실시 가능토록 함에 그 기술적 과제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과 그에 따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취수탑(101)의 외주 둘레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연결파이프(11)를 방사형으로 배치 한 다음 상기 연결파이프(11)들 사이로 각각 설치파이프(12)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일정한 범위의 테두리부(102)를 구성하고, 상기 설치파이프(12) 외주둘레로는 통상적인 방지막(23)과 고정체인(24)이 하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연결형 플로트부(2)를 고정밴드(21)로 설치하되,
상기 연결파이프(11)들의 내측단으로는 일측에 탄성체(15)가 마련된 탄성부재(14)를 고장력 스프링(13)으로 각각 연결설치하며, 상기 연결파이프(11)와 설치파이프(12)가 연결설치되는 교차 부위에 하나 이상의 부자(22)를 각기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파이프(11)에는 그 일정 위치로 각각 플랜지부(16)를 형성하여 설치파이프(12)가 결합볼트(202)에 의해 조립설치가 가능토록 함에 그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로트부(2)의 양측부로는 취수탑(101)의 상단과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와이어(201)를 설치하여 오탁방지막(1)이 취수탑(101)의 상단부에서 일정길이 이하로 하강 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에 그 특징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자면 먼저, 첨부된 도면 도 8 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강이나 댐 또는 저수지등에 설치되어있는 취수탑(101)의 외주둘레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연결파이프 (11)를 방사형으로 배치 한 다음 상기 연결파이프(11) 사이에 각각 설치파이프 (12)를 다단으로 연결설치하여 취수탑(101) 외주로 일정한 범위의 테두리부(102)를 구성하여 준다.
이때, 상기 연결파이프(11)와 설치파이프(12)는 용접결합으로 일체 구성하거나 또는 첨부된 도면 도 4,5와 같이 연결파이프(11)의 일정위치로 내측에 각각 고무패킹(14)이 내설된 플랜지부(16)를 형성하여 이에 설치파이프(12)를 결합볼트 (202)에 의한 조립설치가 가능케 하므로, 파이프내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 파이프의 자체 부력만으로도 물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하여주고, 또 현장에서 시공시 취수탑(101)의 규모에 맞게 연결파이프(11)와 설치파이프(12)의 반복적인 연장 설치가 가능케 함과 동시에, 부분 파손에 따른 일부 교체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연결파이프(11)들의 외측단에 설치된 설치파이프(12)로는 도면 도 1과 같이 그 외주 둘레로 고정밴드(21)에 의해 설치되는 통상의 플로트부(2)를 설치하여 플로트부(2)의 방지막(23)이 조류나 기타 부유물질들이 상기 취수탑(101) 주위에 시공된 테두리부(102)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주도록 하였으며 또, 상기 방지막(23)의 하단부에는 방지막(23)이 수중에서 주름이 지거나 굴곡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일정한 무게의 고정체인(24)을 일체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탁방지막(1)은 취수탑(101) 외주로 연결파이프(11)와 설치파이프(12)를 방사형으로 배치한 다음 그 외주에 플로트부(2)를 설치해 일정한 범위의 테두리부(102)를 형성하므로 조류나 기타 부유물질이 취수탑(101)내로 유입되는 것을 확고히 막아 주도록 한 것이며, 또 본 발명은 바람이나 유수 및 파랑등에 의하여 오탁방지막(1)이 취수탑(101)으로 부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상기 연결파이프(11)의 내측단에 취수탑(101)의 외주둘레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탄성부재(14)를 고장력 스프링(13)으로 각각 연결설치하여 오탁방지막(1)이 항상 취수탑(101) 외주둘레에 일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 변화 하는 수위에 따라 오탁방지막(1)이 취수탑(101)의 외주를 따라 자동 승강되도록 하여 항상 수위와 동일한 위치로 오탁방지막(1)이 위치하여 조류 및 기타 부유물질이 취수탑 (101)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고히 막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첨부된 도면 도 6에서와 같이 오탁방지막(1)의 플로트부(2)를 고정하고 있는 연결파이프(11)들의 내측단에는 각각 고장력 스프링(13)에 의해 설치된 탄성부재(14)가 취수탑(101)의 외주 둘레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진다.
이는, 오탁방지막(1)이 수면위에서 바람이나 유수 및 파랑등에 의해 유동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14)들이 취수탑(101)의 외주 둘레면에 부딪쳐 그 이탈이나 유동을 막아 항상 일정한 범위를 유지토록 하여 주고, 또 도면 도 3에서와 같이 오탁방지막(1)이 수위변화에 따라 취수탑(101)의 외주에서 승강 될 때에, 상기 탄성부재(14)가 취수탑(101)의 외주면과 마찰없이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시공시 도 7에서와 같이 탄성부재(14)를 취수탑(101)의 외주 둘레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오탁방지막(1)의 양측단부로는 각각 취수탑(101)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와이어(201)를 필요에 따라 설치하여 오탁방지막(1)이 일정길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막아 주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4)의 끝단에는 취수탑(101)의 외주둘레면과 일부 부딪칠 때 그 충격을 완화 시켜 주기 위한 탄성체(15)가 설치되어져 있고, 그 타측으로는 고장력 스프링(13)이 연결파이프(11)와 연결 설치되어져 있어, 오탁방지막(1)이 취수탑(101)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할 때에 상기 탄성부재(14)가, 취수탑(101)의 흡출관(103)에 걸림되는 것을 막아 줌과 동시에 충격을 완화 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오탁방지막(1)은 플로트부(2)의 부력으로 수면에 띄워 짐과 동시에 그 내의 연결파이프(11)와 설치파이프(12)로 취수탑(101)의 외주에 위치고정되는 것으로, 별도의 고정와이어나 연결체인이 필요없고 또 그 시공시 모두 수면위에서 작업이 가능하여 안전사고의 우려가 전혀 없으며 더 나아가 수층의 상층부에 주로 발생하는 조류나 기타 부유물질(오일)등의 유입을 막아 줄 수 있도록 수위변화에 따라 오탁방지막(1)이 자동 승강되면서 상기 조류 및 기타 부유물질등을 보다 확고히 막아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1)을 시공함에 있어 그 전체 형상을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설치파이프(12)를 연결파이프(11)사이에 필요에 따라 다단으로 구성하여 파이프의 자체 부력을 증가시켜 줌은 물론 오탁방지막(1)의 견고성을 더욱더 향상 시켜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수면위에서는 오탁방지막이 취수탑으로부터 이탈 되거나 유동되어져 흐트러지거나 엉켜지는 것을 막아 주는 한편 수위 변화시에는 오탁방지막이 취수탑의 외주면을 따라 자동으로 승강되어 어떠한 수위변화에도 조류나 기타 부유물질등이 취수탑으로 투입되는 것을 막아 주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오탁방지막은 그 시공작업을 모두 수면위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종래 수중작업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전혀 없고 또 작업에 따른 곤란성이 없어 그 설치와 유지보수등이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 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 오탁방지막을 구성하고 있는 연결파이프와 설치파이프가 각각 조립설치되어져 있어, 그 설치와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한번의 설치로 장기간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까지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속하는 연결파이프와 설치파이프의 설치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승강 상태 예시도,
도 4는 "가" 부 확대 단면예시도,
도 5는 "나" 부 확대 단면예시도,
도 6은 "다" 부 확대 단면예시도,
도 7은 "다" 부 실시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시공 상태 예시도,
도 9는 종래의 오탁방지막 시공 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하 부호설명
1 : 오탁방지막 11 : 연결파이프
12 : 설치파이프 13 : 고장력 스프링
14 : 탄성부재 15 : 탄성체
16 : 플랜지부 17 : 고무패킹
101 : 취수탑 102 : 테두리부
103 : 흡출관 2 : 플로트부
21 : 고정밴드 22 : 부자
23 : 방지막 24 : 고정체인
201 : 와이어 202 : 결합볼트

Claims (3)

  1. 취수탑(101)의 외주 둘레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의 연결파이프 (11)를 방사형으로 배치 한 다음 상기 연결파이프(11)들 사이로 각각 설치파이프 (12)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일정한 범위의 테두리부(102)를 구성하고, 상기 설치파이프(12) 외주둘레로는 통상적인 방지막(23)과 고정체인(24)이 하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연결형 플로트부(2)를 고정밴드(21)로 설치하되,
    상기 연결파이프(11)들의 내측단으로는 일측에 탄성체(15)가 마련된 탄성부재(14)를 고장력 스프링(13)으로 각각 연결설치하며, 상기 연결파이프(11)와 설치파이프(12)가 연결설치되는 교차 부위에 하나이상의 부자(22)를 각기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2. 상기 1항에 있었서, 연결파이프(11)의 일정 위치로 하나 이상의 플랜지부 (16)를 형성하여 설치파이프(12)가 결합볼트(202)에 의해 조립설치가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3. 상기 1항에 있었서, 플로트부(2)의 양측부로 취수탑(101)의 상단과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와이어(201)를 설치하여, 오탁방지막(1)이 취수탑(101)의 상단부에서 일정길이 이하로 하강 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을 그 특징으로 하는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KR1020040045203A 2004-06-18 2004-06-18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KR10058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203A KR100587764B1 (ko) 2004-06-18 2004-06-18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203A KR100587764B1 (ko) 2004-06-18 2004-06-18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134U Division KR200361707Y1 (ko) 2004-06-18 2004-06-18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016A true KR20050120016A (ko) 2005-12-22
KR100587764B1 KR100587764B1 (ko) 2006-06-26

Family

ID=3729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203A KR100587764B1 (ko) 2004-06-18 2004-06-18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76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783B1 (ko) * 2007-04-25 2008-06-13 주식회사 중원엔지니어링 취수탑 오일펜스 고정장치
KR101147553B1 (ko) * 2011-04-06 2012-05-21 권재희 오탁 방지공법
KR200467498Y1 (ko) * 2011-07-26 2013-06-14 허종형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
KR101275352B1 (ko) * 2011-07-26 2013-06-17 허종형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
KR20150117868A (ko) * 2014-04-11 2015-10-21 오션파트너즈 주식회사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142610A (ko) 2019-06-12 2020-12-23 부산광역시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355B1 (ko) 2006-09-29 2007-01-30 주식회사 삼안 상수도 취수탑 저수위 도수구 설치구조
KR100932686B1 (ko) 2009-04-17 2009-12-21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안전진단 기능을 겸비한 취수탑 오탁방지시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783B1 (ko) * 2007-04-25 2008-06-13 주식회사 중원엔지니어링 취수탑 오일펜스 고정장치
KR101147553B1 (ko) * 2011-04-06 2012-05-21 권재희 오탁 방지공법
KR200467498Y1 (ko) * 2011-07-26 2013-06-14 허종형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
KR101275352B1 (ko) * 2011-07-26 2013-06-17 허종형 취수탑용 조류차단장치
KR20150117868A (ko) * 2014-04-11 2015-10-21 오션파트너즈 주식회사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142610A (ko) 2019-06-12 2020-12-23 부산광역시 취수탑용 녹조차단 스크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7764B1 (ko)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764B1 (ko)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KR101689630B1 (ko) 에어버블을 이용한 이동식 소음,진동 오탁 방지 장치
CN109372006B (zh) 海上风机基础防冲刷保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361707Y1 (ko)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KR100959676B1 (ko) 선박형 승강식 오탁방지장치
JP2009203614A (ja) 着底式複合型汚濁防止膜装置
KR101820335B1 (ko) 수류 에너지 감쇄를 통한 수중 구조물의 세굴방지 장치 및 세굴방지 장치의 시공방법
KR100633018B1 (ko) 오탁방지장치
JP3825723B2 (ja) 浚渫作業時の汚濁防止装置および汚濁防止方法
KR101147553B1 (ko) 오탁 방지공법
KR100667614B1 (ko) 상수도용 취수탑 오탁방지시설 설치구조
JP3740146B2 (ja) 汚濁拡散防止膜
KR200259248Y1 (ko) 부유물쓰레기 차단장치
CN210439255U (zh) 一种拦藻浮坝
KR100681816B1 (ko) 부력조절장치가 설치된 지하 구조물
CN210086314U (zh) 一种海洋石油平台桩基防护装置
KR100418124B1 (ko) 수중 오탁방지막의 부착생물 제거장치
KR102595194B1 (ko)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
KR20120007093U (ko) 오탁방지막 장치
CN213062330U (zh) 一种道路井盖
KR102035663B1 (ko) 인접 취수 펌프 시설의 수질 관리를 위한 오탁방지막 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200173169Y1 (ko) 준설선의 오염방지장치
KR100837783B1 (ko) 취수탑 오일펜스 고정장치
KR101876831B1 (ko) 인접 취수 펌프 시설의 수질 관리를 위한 오탁방지막, 오탁방지막 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200395582Y1 (ko) 오탁방지막의 해조류 부착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