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868A -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868A
KR20150117868A KR1020140043526A KR20140043526A KR20150117868A KR 20150117868 A KR20150117868 A KR 20150117868A KR 1020140043526 A KR1020140043526 A KR 1020140043526A KR 20140043526 A KR20140043526 A KR 20140043526A KR 20150117868 A KR20150117868 A KR 20150117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derwater
vibration
water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8224B1 (ko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오션파트너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션파트너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션파트너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3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22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중 토목공사, 원자로 등의 산업시설의 냉각수 공급처, 양식장 등에서 발생하는 오탁물의 확산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며, 유지관리를 현저히 용이하게 하고, 주변의 양식장 등의 피해를 최소화 시키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력체에 의해 수면 위에 떠 있도록 구성되는 부유체부; 및 상기 부유체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오염 물질을 여과하는 두 개 이상의 막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중 작업 과정에서의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등의 수중 확산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고, 이에 의해 주변의 수중 생태 환경 및 주변 어업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OISE, SHOCK WAVE, SLIT OR WASTE IN THE WATER USING MULTI BARRIER APPLIED U-IT}
본 발명의 수중 토목공사, 준설공사 등으로 발생하는 소음·진동·오탁물질의 확산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며, 유지관리를 현저히 용이하게 하고, 주변의 어장 등의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립, 준설, 사석 및 각종 보호공의 투하, 제방 및 방조제 축조 등의 수중 토목 공사 등에서 발생된 오탁물, 기름 또는 쓰레기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외부의 수계의 위협 생물이나 기름 또는 쓰레기 등의 오염물이 수계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오탁방지장치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오탁방지장치는 부유체, 막체부, 고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오탁방지장치는 막체부를 형성하는 다중 거름막이 수중에 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태를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일 측의 오탁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타 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오탁방지장치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50975호는 2중직 포장재로 부유체를 포장하는 것에 의해 부유체의 훼손을 방지하는 "오탁방지장치의 부유체 포장재 및 오탁방지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88415호는 방지막의 구조를 부유체의 장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에 의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오탁방지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72903호는 부구, 방지망, 웨이트, 수거낭을 구비한 오탁수거망 및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단위 수거망 조립체를 제공하여 단위 수거망 조립체를 필요에 따라 연결 구성함으로써 필요 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을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탁방지장치와 관련해서는 훼손 방지, 유지보수의 용이성 증가, 간이 설치의 용이성 향상 등의 성능 개선을 이루고자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의 경우, 오염물을 단일 막체를 통해 걸러내고 있는 실정이어서, 오염물의 누적속도가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히 증가한다. 이에 따라 누적된 오염물은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하여 물의 흐름에 의한 힘이 막체에 과도하게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막체의 파손을 초래하여, 오염물 확산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오탁방지 기능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막체의 파손으로 인해, 파손된 막체를 제거하고 재설치하여야 하므로, 시간 및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기술의 오탁방지장치들은 막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수작업에 의해 막체에 쌓인 오염물질의 양을 확인한 후, 위험도 이상으로 누적되는 경우 이를 제거하는 작업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오탁방지장치의 사용 및 유지보수 등의 관리를 매우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의 오탁방지장치는 부유체를 와이어 등의 관절 구조를 연결하는데, 이 경우 오탁물질 및 쓰레기 등의 관절 구조를 넘어 수중 오염 물질의 확산 방지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의 오탁방지장치의 경우 수중에서의 준설, 폭파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때에, 소음도 및 충격파, PH변화, 염도 변화 등이 발생하며, 이를 적절히 제어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변 어장에 큰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수중 생태계의 극심한 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수중 작업 시 수중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수중 환경의 변화가 자동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제공하지 않고 있어, 주변의 양식장 또는 수중 생태 환경이 작업 중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파, PH 또는 염도 변화에 의해 악영향을 입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수중 작업 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 시 마다 수작업으로 수중 환경 변화를 검출하면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이에 따라 작업 지연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중 작업 과정에서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수중 환경 변화 및 오염방지체부의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함으로써 오염물의 확산을 최소화하고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을 높이며, 오탁 제어 장치의 사용 및 유지 관리 작업을 현저히 용이하게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름막의 누적물 제거 시점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누적된 오염물을 자동으로 검출한 후 누적 오염물의 제거가 필요한 경우 이를 작업자에게 통보하여 줌으로써, 누적된 오염물에 의한 막체부의 파손을 방지하여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중 준설, 폭파, 매립 등의 수중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 충격파, 해저 퇴적물의 부유로 인한 PH 변화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작업 과정에서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소음, 수중 환경 변화가 기준치 이상을 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중 오염물질 및 쓰레기 등의 확산을 방지함은 물론, 수중 작업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충격파 등에 의한 주변 어업 자원의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는, 부력체에 의해 수면위에 떠 있도록 구성되는 부유체부; 및 상기 부유체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오염 물질을 여과하는 두 개 이상의 막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막체부는,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거름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막체부는 상기 거름막을 펼처진 상태로 유지하는 하중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체는, 체인, 상기 거름막의 영역을 일정 간격으로 분할하며 상기 거름막과 함께 접힘 변형되도록 상기 거름막에 일체로 형성되는 망형 하중체; 상기 거름막의 세로 방향으로 다수가 배치되는 세로줄형 하중체; 또는 상기 거름막의 하부 모서리에 다수가 부착되는 독립형 하중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는, 상기 부유체부 및 상기 두 개 이상의 막체부를 고정하는 고정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체부는, 해저면에 고정되는 고정체; 및 상기 부유체부 또는 상기 막체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는, 막체부의 상태 또는 수중 환경 변화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막체부의 오염물 누적을 측정하는 막체부센서; 상기 오탁수의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오탁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센서; 상기 오탁수 내의 소음을 측정하는 음향센서; 상기 오탁수 내의 진동 또는 충격파를 검출하는 진동센서; 상기 오탁수 내의 압력 변화를 검출하는 압력센서; 상기 오탁수의 PH 변화를 측정하는 PH센서; 또는 상기 오탁수의 염도 변화를 측정하는 염도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막체부센서는 상기 막체부의 광 투과율을 검출하는 광센서; 상기 막체부의 수중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센서; 또는 유속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또한,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센서들의 감지 신호들을 각각의 기 설정 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 값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 대응방안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관리센터의 관리서버 또는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 작업 현황을 알리는 전광판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들의 감지 신호들을 각각의 기 설정 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 값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상기 감지 신호와 함께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센서들의 감지 신호가 기 설정 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은, 상기 센서부에서 수행되거나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서 수행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상기 센서부는 U-IT(Ubiqutous_IT) 기반 센싱 및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모바일 RFID, USN, 모바일 NFC, M2M, IoT, 위치기반기술, Active 태크 등 다양한 센싱 기술 및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는 ICT 기반의 U-IT 스마트 센싱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소음, 진동, 오탁물질 및 쓰레기의 발생 및 확산을 최소화하여 어업피해 및 환경오염을 저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는, 가두리 상, 펜스 상 또는 가두리 상과 펜스 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단일 또는 중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방법은, 부력체에 의해 수면 위에 떠 있도록 구성되는 부유체부; 상기 부유체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막체부; 막체부의 상태 또는 수중 환경 변화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수중 작업 영역 또는 막체부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감지하는 수중환경감지과정; 상기 감지된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감지신호전달과정; 상기 감지 신호가 설정 기준에 불일치하는 경우 대응 방안을 출력하는 대응방안출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방법은 또한,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된 상기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감지 신호가 설정 기준에 맞는 지를 판단하는 감지신호판단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중환경 감지과정은, 상기 센서부가 압력센서, 수온센서, 탁도센서, 음향계, 유속계, 광센서, PH센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상기 거름막의 하중, 오탁수의 수온, 오탁수의 탁도, 거름막에 작용하는 압력, 거름막의 빛 투과율, 수중소음 또는 오탁수의 PH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중환경 감지과정은 ICT 기반의 U-IT 센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환경 감지과정은, 상기 막체부가 두 개 이상 설치되는 경우, 상기 막체부 각각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응방안출력과정에서 출력되는 대응방안은, 거름막의 누적 이물질 제거, 소음, PH, 염도, 충격파 중 어느 하나의 기 설정된 기준 값의 초과에 따른 작업 중지, 재개, 변경을 포함하는 작업 조정 방안이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막체부를 2개 이상 다중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오탁수의 확산 방지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막체부의 상태를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여 경고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오탁방지장치를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탁방지장치의 유지보수 및 관리를 현저히 용이하게 하며, 사용 수명을 현저히 향상시킴은 물론, 최적의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및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탁방지장치의 유지 관리를 위한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의 감시 및 확인 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 및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U-IT 기술의 적용에 의해 매립, 준설, 폭파 등의 수중 작업 과정에서의 오염물질, 소음, 충격파, PH변화, 탁도 변화, 압력변화, 온도변화, 염도변화를 측정하여, 주변의 어업 자원의 피해 예방을 위한 기 설정된 값과 비교함으로써,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작업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수중 작업에 의한 주변 환경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영역 전체를 폐쇄하는 가두리 형(이동식)과 가두리 형의 외측에서 물의 흐름이 발생하는 하류측에서 양 둑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펜스 형(고정식)으로 중복 설치되는 것에 의해 수중 작업 시의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의 확산을 더욱 효과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1)의 사시도.
도 2는 부유체부(100)의 사시도.
도 3은 거름막(210)에 설치되는 하중체의 일 실시예로서의 망형 하중체(230a)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거름막(210)에 설치되는 하중체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세로줄 형 하중체(230b)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거름막(210)에 설치되는 하중체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독립형 하중체(230c)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거름막(210)의 실시예로서의 미세 방지막(210c)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거름막(210)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PE 방지막(210d)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거름막(210)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그물 방지막(210e)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1)가 가두리 상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1)가 가두리 상(이동식) 및 펜스 형태(고정식)로 하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1)(이하, '오탁 제어 장치(1)라 함')의 사시도이다.
도 1과 상기 오탁 제어 장치(1)는 부유체부(100)와 막체부(200)와 고정체부(300) 및 센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유체부(100)는 수상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작업자가 이동되는 통행로 및 작업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막체부(200)는 오탁수의 오염물질이 통과하지 않는 크기의 통공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막체부(200)는 상기 부유체부(100)의 저면에 다수의 쌍을 형성하며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 내지 도 11에서는 상기 막체부(200)가 제1거름막(210a)와 제2거름막(210b)을 각각 포함하여 발판(120)의 길이방향 양 측면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된 것을 일예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오탁 방지체부(200)는 발판(120)의 저면에 3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등 설치되는 개수는 제한이 없다.
상기 센서부(400)는 오탁수의 상태, 오탁수 내부의 소음, 충격파, 압력, 유속, PH변화, 염도 변화 또는 상기 막체부(200)의 상태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한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오탁 제어 장치(1)의 각 구성을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상기 부유체부(10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와 같이 상기 부유체부(100)는 가이드레일(110)이 구비된 발판(120)과 고정브라켓(131)에 의해 발판(120)의 저면에 고정되는 부력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판(120)은 일정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발판(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발판(120)의 상부 양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발판(120) 위를 이동 중인 작압자의 수중으로의 낙하를 방지한다.
상기 부력체(130)는 튜브, 내부가 공동을 형성하는 밀폐관, 스티로폼 등의 부력이 큰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의 부력체는 발판(120)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브라켓(131)에 의해 발판(120)의 저면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고정 부착된다.
그리고 고정체(305)를 이용하여 부유체부(100)의 수상에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발판(120)은 다수의 부력체걸림고리(113, 도 11 참조)가 발판(120)의 측면 테두리를 따라 다수가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는 거름막(210)에 설치되는 하중체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막체부(200)는 거름막(210)과 거름막(210)이 수중의 하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재질로 제작되는 하중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3은 거름막(210)에 설치되는 하중체의 일 실시예로서의 망형 하중체(230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하중체는 강체 체인 등의 하중이 있는 재질을 망 형상으로 거름막(210)에 망형 하중체로 제작될 수 있다. 망형 하중체(230a)는 거름막(210)을 하 방향과 양측 방향으로 펼치는 힘을 제공하여, 거름막(210)이 안정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도 4는 거름막(210)에 설치되는 하중체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독립형 하중체(230c)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독립형 하중체(230c)는 철 등의 재질로 볼 형태로 형성되어 거름막의 하부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도록 구성된다. 이대, 독립형 하중체(230c)를 매다는 로프 등은 전체가 거름막(210)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상단부가 발판(120)의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독립형 하중체(230c)에 의해 거름막(210) 찢겨짐 등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구성의 독립형 하중체(230c)는 거름막(210)의 하부 말단에 다수가 구성된다.
또한, 도 5는 거름막(210)에 설치되는 하중체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세로줄 형 하중체(230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하중체는 거름막(210)에 하방향의 장력을 인가하도록 다수의 체인, 철제 와이어 등을 세로 방향으로 다수를 일체로 고정 부착시킨다. 그리고 거름막(210)의 양측에는 고정체부(300, 도 11 참조)를 이용하여 가로 방향의 장력이 발생하도록 양측을 각각 고정하는 것에 의해 거름막(210)이 수중에서 하 방향 및 양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만 배치하는 것에 의해 막체부(200) 자체의 하중을 감소시키면서도 효과적으로 거름막(210)을 하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막체부(200)가 거름막(210)과 하중체(230)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막체부(200)의 거름막(210)은 하중체(230)를 포함하지 않은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막체부(200)를 구성하는 거름막은 오탁수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 6은 거름막(210)의 실시예로서의 미세 방지막(210c)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미세 방지막(210c)은 물이 미세물질로 오염된 경우, 미세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극세사로 이루어져 매세 공극을 가지는 막으로 구성된다. 상기 미세 방지막은 미세 부유물 등을 걸러내는 필터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거름막(210)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PE 방지막(210d)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PE 방지막(210d)은 미세물질 보다는 큰 물질, 즉, 조각난 쓰레기 등의 미세 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을 가지도록 PE 섬유로 제작된다.
도 8은 거름막(210)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그물 방지막(210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그물 방지막(210e)은 오탁수에 비닐, 거대 스티로폼, 생활용기, 산업 용기, 플라스틱 기기, 폐가구 조각 등 부피가 큰 생활 또는 산업 쓰레기와 같이 큰 크기를 가지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그물을 거름막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미세 방지막(210c), PE 방지막(210d), 그물 방지막(210e) 중 어느 하나를 거름막(210)으로 구비한 막체부(200)는, 부유체부(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경우, 동일한 종류의 거름막을 가지는 막체부(200)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수중 작업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PE 방지막(210d) 또는 그물 방지막(210e)이 위치되고, 그 다음에는 미세 방지막(210c)이 위치되는 등, 작업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센서부(400)의 구성도이다.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막체부의 오염물 누적을 측정하는 막체부센서(410)), 상기 오탁수의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420), 상기 오탁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센서(430), 상기 오탁수 내의 소음을 측정하는 음향센서(440), 상기 오탁수 내의 진동 또는 충격파를 검출하는 진동센서(450), 상기 오탁수의 PH 변화를 측정하는 PH센서(460) 또는 상기 오탁수의 염도 변화를 측정하는 염도센서(470), 압력센서(480) 등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막체부센서(410)는 상기 막체부의 광 투과율을 검출하는 광센서(411), 상기 막체부의 수중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센서(41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미 도시 되어 있으나, 거름막(210)의 상류 측과 하류 측에 유속계를 설치하여 유속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거름막(210)의 오염물 누적 정도를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광센서(411)는 거름막(210)의 일 측에 광발생부를 장착하고, 거름막(210)의 타측에 수광부를 구성하여 광투과율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거름막의 오염물 측정 정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센서(413)는 압전소자, 코일스프링 등을 구비하여 수중에서의 거름막의 하중을 감지한 후 전기 신호를 변환하여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400)는 또한,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통신부(4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490)는 상기 발판(120) 상에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각각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막체부(200)에 작용하는 압력, 오탁수의 탁도, 수중 음향, 수온, 막체부(200)의 하중, 막체부(200)의 통공의 오물 축적 정도 등의 막체부(200)의 상태, 수중 작업 현황, 수중 작업에 의한 소음, 충격파 발생, 염도 변화, PH 변화 등의 감지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를 통해 관리센터(500)의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리서버는 관리센터(500)에 고정 설치된 서버 컴퓨터로 제한되지 않고, 관리자가 휴대하는 관리자용 단말기, 경고출력을 위한 전광판 등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의 센서부(400)는 ICT 기반의 U-IT(Ubiqutous_IT) 기반 센싱 및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모바일RFID, USN, 모바일 NFC, M2M, IoT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위치기반기술, Active 태크 등 다양한 센싱 및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오탁 제어 장치(1)는 부유체부(100)가 수상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부유체부(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막체부(200)가 하중체(230)에 의해 수중 하 방향으로 펼쳐지고, 고정체(305)에 의해 위치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오탁 제어 장치(1)는 매립, 준설, 사석 및 각종 보호공의 투하, 제방 및 방조제 축조 등의 수중 토목 공사, 가두리 양식 등의 수중 양식업, 산업 시설의 냉각수 공급처 등에는 발생된 오탁물의 확산 또는 외부의 해양생물이나 오염물의 수원 공급처로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센서부(40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작업자가 번거로운 육안 확인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오탁 제어 장치(1)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오탁 제어 장치(1)는 수중 작업 중에 발생하는 소음, 충격파, PH변화, 염도 변화 등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근의 수생환경 및 어업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로 설치된 상기 오탁 제어 장치(1)는 일 측의 오탁수가 2개의 막체부(200)가 설치된 일 측에서 반대 측으로 이동하면서 오염물질이 막체부(200)에 의해 걸러지게 되어, 일 측의 오탁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타측의 오염되지 않은 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차단하는 것에 의해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400)가 막체부(200)의 하중, 오탁수의 수온, 수중 음향, 막체부(200)에 작용하는 압력, 탁도 등의 상태를 감지하여 관리센터로 전송함으로써, 작업자가 일일이 부유체부(100)로 이동하여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막체부(200)의 오염물 축적 정도, 수온의 변화, 수온 탁도, 수중의 음향 상태, 막체부(200)에 작용하는 압력을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의 오탁 제어 장치(1)에 대한 감시, 유지보수 관리를 현저히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중 작업 중 센서부(400)의 각 센서에 의해, 수중의 소음, 진동, 탁도, PH, 염도 등이 실시간으로 검출되어 관리센터(500)로 전송된다. 관리센터(500)로 전송된 각각의 감지 신호는 기 설정된 값과 비교되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수중 환경 및 주변의 어업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출력하고, 해당 신호를 발생시키는 작업에 대한, 작업 중단, 변경, 조정 등의 기 설정된 대응 방안을 출력한다. 이에 의해 수상 작업에 의해 주변 환경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지신호의 기 설정 값의 초과 여부의 판단을 관리서버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판단은 센서부에서 수행된 후, 센서부(400)가 감지 신호와 판단 결과를 관리센터의 관리서버(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오탁 제어 장치(1)의 설치 예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1b)(오탁 제어 장치(1b))가 가두리 상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과 같이, 상기 오탁 제어 장치(1b)는 수중 작업 대상 영역에 가두리 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두리를 형성하는 부유체(100)의 일부분이 전체 오탁 제어 장치(1b)에 대하여 개폐됨으로써, 선박이 진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부유체부(100)와 막체부(200)와 와이어(310)과 고정체(305)로 구성되는 다수의 고정체부(300)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준설, 매립, 폭파, 해저면 오염물 제거, 어초 투하, 양식장 설치 등의 작업을 위해 선박이 가두리 상의 내부로 진입한 후에는, 개방된 부유체가 닫히면서, 부유체(100)의 저면에 부착된 다수의 거름막(210(210a, 210b))이 다중으로 작업영역과 외부 수중 영역을 차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 영역에서 발생하는 소음, 진동, 충격파, 부유 퇴적물, 쓰레기 등이 가두리 상의 내부 영역이 작업 영역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0의 가두리 상의 오탁 제어장치(1b) 고정체부(300)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선박 등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이동식으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의 수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1a, 1b)가 가두리 상(이동식) 및 펜스 형태(고정식)로 하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의 오탁 제어 장치(1a, 1b)는 하구 등의 민물 영역에서 해수 영역으로 물이 유입되는 영역의 경우에는 작업영역을 차폐하는 가두리상(이동식) 오탁 제어 장치(1b)를 설치하고, 민물과 해수의 경계 영역인 하구 영역에는 강의 양 둑을 가로질러 펜스 상(고정식)의 오탁 제어 장치(1a)를 추가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작업 영역에서 누출되는 오염물질이 펜스상 오탁 제어 장치(1a)에 의해 바다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두리상(이동식) 오탁 제어 장치(1b)와 펜스 상(고정식)의 오탁 제어 장치(1a)를 중복 설치하는 구성은, 강, 바다, 호수, 댐 등의 모든 영역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물의 흐름이 있는 경우 상기 펜스 상(고정식)의 오탁 제어 장치(1a)는 가두리상(이동식) 오탁 제어 장치(1b)의 하류 측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설치되는 오탁 제어 장치(1)는 수중 작업 중 상술한 센서부(400)의 설명에서와 같이, 가두리 상 오탁 제어 장치(1b) 및 펜스상 오탁 제어 장치(1a)의 센서부(400)에 의해 바다 인접한 해저 상에서의 오염물질 발생 현황, 소음이나 진동, PH변화, 염도 변화 등의 수중 환경 변화에 따른 작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중 환경에 영향을 최소로 하면서, 최적의 효율을 가지도록 수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의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방법은, 수중 작업 중 발생하는 환경 변화를 측정하는 수중환경감지과정(S100)과, 감지된 신호를 관리센터(500)의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감지신호전달과정(S200)과, 관리센터(500)의 관리서버에서 수신된 감지신호를 기 설정 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 값의 초과 여부를 검출하는 감지신호판단과정(S300)과, 감지신호판단과정(S300)의 판단 결과 기 설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 대응 방안을 출력하는 대응방안 출력과정(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11의 구성 및 설치 구조를 가지는 오탁 제어 장치(1, 1a, 1b)가 수상에 설치된 후, 수중 작업이 수행되면, 상기 수중환경감지과정(S100)이 수행된다.
상기 수중환경감지과정(S100)에서는 상기 센서부(400)는 막체부센서(410)의 광센서(411) 또는 하중센서(413)에 의해 거름막(210) 사이의 광투과도와 거름막(210)의 수중 하중을 검출하여 거름막(210)의 오염물질 누적 정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음향센서(440)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한다. 또한, PH센서(460)를 이용하여 수중의 PH 변화를 측정한다. 그리고 압력센서(480) 등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발생하는 충격파를 검출하며, 염도 센서에 의해 수중 염도 변화를 검출한다. 또한, 온도 센서(420)에 의해 수온 변화를 검출한다.
이러한, 수중 작업에서 발생하는 각각의 신호 검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 기반의 U-IT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환경 감지과정은, 상기 거름막(210)이 두 개 이상 설치되는 경우, 상기 거름막(210) 각각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감지신호전달과정(S200)에서는 센서부(400)에 의해 감지된 작업 중의 수중의 소음, 진동, 염도, PH, 작업 영역 내의 수중의 탁도 등의 수중 환경 변화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들을 통신부(490)을 통해 관리센터(500)로 전송한다.
감지신호 판단과정(S300)에서는 관리센터의 관리서버에 기 설정된 기준 소음값, 기준 충격파 값, PH 변화 값, 수온 변화 값, 탁도값, 염도 변화 값, 압력 값, 오염방지체부의 하중 값이나 거름막의 광투과 기준 값 등과 수신된 각각의 센서 감지 신호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각각의 센서 감지 신호의 값이 기 설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 신호와 해당 감지 정보를 출력한다.
대응방안 출력과정(S400)에서는 각각의 센서 감지 신호의 값이 기 설정 값을 초과하는 경고 신호와 해당 감지 정보를 수신하면, 소음 및 충격파의 경우, 소음 발생 작업의 중단, 조정, 변경 등의 기 설정된 대응 방안을 출력한다. 일 예로 발파의 경우, 발파를 중지하거나, 발파력을 줄이는 등의 방안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온의 급격한 상승의 경우, 해당 수운 상승의 원인이 되는 작업의 중단, 변경, 조정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급격한 PH변화 또는 염도 변화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준설 또는 매립 등의 PH나 염도 변화의 원인이 되는 작업의 수행을 중단, 조정, 변경, 및 거름막의 오염물질 제거를 수행하도록 하는 대응 방안을 출력한다.
상술한 본 방법 발명의 처리과정에서 상기 감지신호 판단과정이 관리서버(관리자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상기 감지신호 판단과정은 센서부(400)에서 수행되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는 감지 신호들을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값의 초과 여부 결과를 감지 신호들과 함께 상기 관리센터의 관리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기 또는 게시용 전광판 등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11의 오탁 제어 장치(1, 1a, 1b)의 구성 및 도 12의 오탁 제어 방법의 처리과정에 의해 오탁 제어 장치(1, 1a, 1b)를 이용한 수중 작업 시, 오탁 제어 장치(1, 1a, 1b)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중 작업 시 발생하는 소음, 진동, PH변화, 수온 변화, 염도 변화 등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킨다.
10: 수면
1: 오탁 제어 장치
1a: 펜스형 오탁 제어 장치 1b: 가두리 상 오탁 제어 장치
100: 부유체부
110: 가이드레일 113: 부유체 걸림고리
120: 발판 130: 부력체
131: 고정브라켓
200: 막체부
210, 210a, 210b: 거름막 213: 막 걸림고리
210c: 미세 방지막 210d: PE 방지막
210e: 그물 방지막 230: 하중체
230a: 망형 하중체 230b: 세로줄 형 하중체
230c: 독립형 하중체
300: 고정체부
310: 와이어 305: 고정체
400: 센서부
410: 막체부센서 411: 광센서
413: 하중센서 420: 온도센서
430: 탁도센서 440: 음향센서
450: 진동센서 460: PH센서
470: 염도센서 480: 압력센서
490: 통신부

Claims (20)

  1. 부력체에 의해 수면 위에 떠 있도록 구성되는 부유체부; 및
    상기 부유체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오염 물질을 여과하는 두 개 이상의 막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막체부는,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거름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막체부는,
    상기 거름막을 수중에서 펼쳐진 상태로 유지하는 하중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중체는,
    상기 거름막의 영역을 일정 간격으로 분할하며 상기 거름막과 함께 접힘 변형되도록 상기 거름막에 일체로 형성되는 망형 하중체, 상기 거름막의 세로 방향으로 다수가 배치되는 세로줄형 하중체 또는 상기 거름막의 하부 모서리에 다수가 부착되는 독립형 하중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부 및 상기 두 개 이상의 막체부를 고정하는 고정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부는
    해저면에 고정되는 고정체; 및
    상기 부유체부 또는 상기 막체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막체부의 상태 또는 수중 환경 변화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막체부의 오염물 누적을 측정하는 막체부센서;
    상기 오탁수의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오탁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센서;
    상기 오탁수 내의 소음을 측정하는 음향센서;
    상기 오탁수 내의 진동 또는 충격파를 검출하는 진동센서;
    상기 오탁수 내의 압력 변화를 검출하는 압력센서;
    상기 오탁수의 PH 변화를 측정하는 PH센서; 또는
    상기 오탁수의 염도 변화를 측정하는 염도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막체부센서는,
    상기 막체부의 광 투과율을 검출하는 광센서, 상기 막체부의 수중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센서, 또는 유속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센서들의 감지 신호들을 각각의 기 설정 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 값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 대응방안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들의 감지 신호들을 각각의 기 설정 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 값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상기 감지 신호와 함께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식 가두리 상, 고정식 펜스 상 또는 가두리 상과 펜스 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단일 또는 중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14. 부력체에 의해 수면 위에 떠 있도록 구성되는 부유체부; 상기 부유체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의 막체부; 막체부의 상태 또는 수중 환경 변화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수중 작업 영역 또는 막체부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감지하는 수중환경감지과정;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감지신호전달과정; 및
    상기 감지신호판단과정의 판단결과 감지 신호가 설정 기준에 불일치하는 경우 대응 방안을 출력하는 대응방안출력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감지 신호가 설정 기준에 맞는 지를 판단하는 감지신호판단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판단과정은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중환경 감지과정은,
    상기 센서부가 압력센서, 수온센서, 탁도센서, 음향계, 유속계, 광센서, PH센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 상기 막체부에 포함된 거름막의 하중, 오탁수의 수온, 오탁수의 탁도, 거름막에 작용하는 압력, 거름막의 빛 투과율, 수중소음 또는 오탁수의 PH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방법.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중환경 감지과정은,
    ICT 기반의 U-IT 센싱 기술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방법.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중환경 감지과정은,
    상기 막체부가 두 개 이상 설치되는 경우, 상기 막체부 각각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방법.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대응방안출력과정에서 출력되는 대응방안은,
    거름막의 누적 이물질 제거, 소음, PH, 염도, 충격파 중 어느 하나의 기 설정된 기준 값의 초과에 따른 작업 중지, 재개, 변경을 포함하는 작업 조정 방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방법.
KR1020140043526A 2014-04-11 2014-04-11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58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526A KR101658224B1 (ko) 2014-04-11 2014-04-11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526A KR101658224B1 (ko) 2014-04-11 2014-04-11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868A true KR20150117868A (ko) 2015-10-21
KR101658224B1 KR101658224B1 (ko) 2016-09-22

Family

ID=5440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526A KR101658224B1 (ko) 2014-04-11 2014-04-11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2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0062A (zh) * 2016-07-15 2016-12-07 广西神州环保设施运营有限责任公司 生态智慧型小区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674740A (zh) * 2019-09-24 2020-01-10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水下垃圾的清理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49017A (ko) * 2018-10-31 2020-05-08 장대호 음식물 감량기 및 음폐수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886B1 (ko) * 2017-10-18 2018-07-09 (주)지주 관절형 오탁방지 장치
KR102615900B1 (ko) * 2021-12-10 2023-12-20 주식회사 오션하이브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016A (ko) * 2004-06-18 2005-12-22 김성식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JP2008144358A (ja) * 2006-12-06 2008-06-2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懸濁物質採取方法及び懸濁物質採取装置
JP2010248785A (ja) * 2009-04-15 2010-11-04 Kondo Takaya 河川浮遊塵自動回収装置
JP2014015760A (ja) * 2012-07-09 2014-01-30 Zeniya Kaiyo Service Kk 空中浮上防止フェン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016A (ko) * 2004-06-18 2005-12-22 김성식 취수탑용 오탁방지막
JP2008144358A (ja) * 2006-12-06 2008-06-2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懸濁物質採取方法及び懸濁物質採取装置
JP2010248785A (ja) * 2009-04-15 2010-11-04 Kondo Takaya 河川浮遊塵自動回収装置
JP2014015760A (ja) * 2012-07-09 2014-01-30 Zeniya Kaiyo Service Kk 空中浮上防止フェン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0062A (zh) * 2016-07-15 2016-12-07 广西神州环保设施运营有限责任公司 生态智慧型小区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00049017A (ko) * 2018-10-31 2020-05-08 장대호 음식물 감량기 및 음폐수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CN110674740A (zh) * 2019-09-24 2020-01-10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水下垃圾的清理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224B1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224B1 (ko)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35173B1 (ko) 해파리의 해상 처리 시스템
US7641803B2 (en) Filter cartridges for fluid intake systems
US11686082B2 (en) De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ombined sewer systems
KR20140104134A (ko) 농수로,소하천,하천의 협잡물 포집장치
US65761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floating debris
CN109030112B (zh) 施工期悬浮物监测系统
KR101935498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모니터링 시스템
CN110177608A (zh) 石油监测系统
US20110278235A1 (en) EcoSafe Desal Intake System
Mendonça et al. Risk assessment in submarine outfall projects: The case of Portugal
CN101260662A (zh) 一种可拆换式拦污栅及其使用方法
Sheridan et al. Screening at intakes and outfalls: measures to protect eel (Anguilla anguilla)
US4935726A (en) Drainage system monitoring apparatus
JP3198945U (ja) 海水放射線測定装置
CN108918188B (zh) 港湾悬移质原位监测装置
CN207567923U (zh) 一种具有故障检测系统的滤网及污水处理井
KR101014950B1 (ko) 수면 부유물을 포집하기 위한 용기 구조체
KR102614301B1 (ko) 만으로 유입되는 해양 쓰레기 포집 장치
JP2016056676A (ja) 水質汚濁防止フェンス
US10571447B2 (en) Fluid flow separation chamber for separating hydrocarbons from a fluid, method, and system of using the same
JP2015074919A (ja) 汚染粒子捕捉装置
KR102227887B1 (ko) 헬리데크의 배수 시스템 및 그 배수방법
JP2005120582A (ja) ダム流入汚濁水制御設備およびダム流入汚濁水制御方法
KR102118043B1 (ko)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