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900B1 -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 Google Patents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900B1
KR102615900B1 KR1020210176272A KR20210176272A KR102615900B1 KR 102615900 B1 KR102615900 B1 KR 102615900B1 KR 1020210176272 A KR1020210176272 A KR 1020210176272A KR 20210176272 A KR20210176272 A KR 20210176272A KR 102615900 B1 KR102615900 B1 KR 102615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ing
floating
fixed
buoyanc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7757A (ko
Inventor
원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션하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션하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션하이브
Priority to KR1020210176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9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87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는 부력체에 의해 해수면에 부상되며, 상면에 발판이 장착되는 제1 고정식 본체와, 상기 제1 고정식 본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고정식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고정식 본체와, 상기 제1 고정식 본체와 제2 고정식 본체 사이에 설치되며 하부에 부력챔버가 형성되는 부상 침하식 본체와, 상기 부력챔버에 장착되며, 내부에 공기 또는 해수가 선택적으로 주입됨에 따라 상기 부상 침하식 본체를 수면으로 부상시키거나 수중으로 침하시키는 부력유닛과, 상기 제1, 2 고정식 본체, 부상 침하식 본체에 각각 로프로 연결되되 해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2 고정식 본체, 부상 침하식 본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고정구와, 상기 제1, 2 고정식 본체, 부상 침하식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차단망과, 상기 제1, 2 고정식 본체, 부상 침하식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차단망에 비해 작은 관통공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제2 차단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Sinkable Floating bridge including Structure to block marine organisms}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양생물을 차단하기 위한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 등과 같이 해안에 설치된 발전소는 발전시설의 가동을 위해 각종 시스템 용수가 필요하며, 이러한 용수는 주로 해수를 유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용수로써 해수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해수에 생존하고 있는 해양생물인 해파리, 새우, 곤쟁이, 살파, 해초류 등이 포함되어 함께 유입되기도 한다. 이러한 해수에 포함되는 해양생물 또는 이물질이 발전시설 내에 유입될 경우 발전시설을 정지시키거나 각종 고장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발전소의 취수구로 해양생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해양생물의 취수구 유입을 막기 위해 발전소의 취수구에 바 스크린(bar screen), 트래쉬 레이크(trash rake), 회전망 스크린(travelling water screen, TWS), 드럼 스크린(drum screen) 등 각종 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설비들은 일반적으로 해양생물을 걸러내는 용도로는 가능하나, 특정 시기에 대량 유입되는 해양생물을 걸러내기에는 역부족이다.
또한, 종래에는 다수 개의 어구에 단순하게 차단그물망을 설치하여 그물망에 해양생물이 차단되도록 하였으나, 종래의 차단그물망은 빠른 유속에 의해 장기간 설치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9372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발전소의 취수구에 부교를 설치하고, 부교의 양측방에 제1 차단망과 제1 차단망에 비해 작은 관통공을 가지는 제2 차단망을 각각 설치하여 해양생물의 유입이 단계적으로 차단되도록 하는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 부교의 일부구간이 선택적으로 수중으로 침하되거나 수면으로 부상하도록 하여 해상 이동수단의 이동통로가 확보되도록 하는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는 부력체에 의해 해수면에 부상되며, 상면에 발판이 장착되는 제1 고정식 본체와, 상기 제1 고정식 본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고정식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고정식 본체와, 상기 제1 고정식 본체와 제2 고정식 본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면에 발판이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력챔버를 포함하여, 상기 부력챔버에 공기 또는 해수가 선택적으로 주입됨에 따라 수면으로 부상하거나 수중으로 침하되는 부상 침하식 본체와, 상기 제1 고정식 본체, 제2 고정식 본체, 부상 침하식 본체에 각각 로프로 연결되되 해저면에 설치되어 제1 고정식 본체, 제2 고정식 본체, 부상 침하식 본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고정구와, 상기 제1 고정식 본체, 제2 고정식 본체, 부상 침하식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차단망과, 상기 제1 고정식 본체, 제2 고정식 본체, 부상 침하식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차단망에 비해 작은 관통공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제2 차단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차단망 및 제2 차단망은 제1 고정식 본체, 제2 고정식 본체, 부상 침하식 본체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교의 일측방에 부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 차단망과 부교의 타측방에 부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상기 제1 차단망에 비해 작은 관통공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제2 차단망을 포함하여 해양생물의 유입을 단계적으로 차단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유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에어챔버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중으로 침하되거나 수면으로 부상하는 부상 침하식 본체를 포함하여 해상 이동수단의 이동통로를 용이하게 확보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침하식 부교의 사용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 침하식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 침하식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유닛의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가 적용된 수중 침하식 부교의 개요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상 침하식 본체가 수중으로 침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의 평면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침하식 부교의 사용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침하식 부교(1000)는, 제1 고정식 본체(100), 제2 고정식 본체(200), 부상 침하식 본체(300), 고정구(도면미도시), 체결부(400), 제1 차단망(500), 제2 차단망(60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부교본체가 제1 고정식 본체(100), 제2 고정식 본체(200), 부상 침하식 본체(300)로 분할되도록 마련하였으며, 이 중 상기 제1 고정식 본체 및 제2 고정식 본체는 부력체에 의해 해수면에 부상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부상 침하식 본체는 선택적으로 수면으로 부상하거나 또는 수중으로 침하되도록 하였다.
먼저, 상기 제1 고정식 본체(100)는, 부력체에 의해 해수면에 부상되며, 상면에 발판이 장착되는 부교로서의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상기 제2 고정식 본체(200)는 상기 제1 고정식 본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고정식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부교로서의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상기 제1 고정식 본체 및 제2 고정식 본체는 프레임, 부력체, 난간, 발판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일정한 면적과 길이를 갖는 것으로, 설치환경 및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기본 몸체요소이다.
상기 부력체는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되어 프레임이 부력을 제공하며, 상기 발판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되어 사람이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난간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발판 위를 보행하는 사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요소이다.
아울러, 상기 제1 고정식 본체 및 제2 고정식 본체는 고정구에 의해 해수면에서 이동하지 않고 일정범위 안에서 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구는 제1 고정식 본체 및 제2 고정식 본체의 프레임과 로프로 연결되되 해저면에 설치되어 제1 고정식 본체, 제2 고정식 본체의 이동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부상 침하식 본체(300)는, 상기 제1 고정식 본체와 제2 고정식 본체 사이에 설치되되, 상면에 발판이 장착되고, 선택적으로 내부에 공기(질량체)가 주입되거나 또는 유체(해수)가 주입되어 선박의 통항을 확보해야 될 경우 수중으로 침하되고, 부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될 경우 다시 수면으로 부상하도록 마련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 침하식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 침하식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상 침하식 본체(300)는 프레임(320), 부력유닛(340), 발판(36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부상 침하식 본체의 기본 몸체로서 일정한 면적과 길이를 갖는 것으로, 설치환경 및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며, 복수 개의 프레임은 별도의 결속부재 등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상기 프레임의 상면은 발판이 체결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마련되고, 하부에는 공기 및 해수가 선택적으로 주입되는 부력유닛(340)이 장착되는 부력챔버(322)가 형성된다.
상기 부력챔버는 비교적 큰 직경을 가지는 제1 부력챔버(122a)와, 제1 부력챔버에 비해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 부력챔버(122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력챔버 및 제2 부력챔버에는 부력의 크기가 다른 부력유닛이 각각 장착된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유닛(340)은 하우징(342), 에어챔버(34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42)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내부 공간부로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유입구(343)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부에는 에어챔버(344)가 장착되다.
상기 에어챔버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이되, 외주연에는 에어가 공급 및 배출되는 에어유입구(345)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유입구를 통해 에어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였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에어가 배출되는 에어배출구를 별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에어유입구는 공기공급부(30)와 연통되어 에어챔버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거나 배출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에어챔버는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확장 또는 수축되는 튜브재질로 마련된다.
상기 에어챔버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확장되었을 경우,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부를 모두 차지하도록 마련되어,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해수가 해수유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에어챔버는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었을 경우, 충분히 수축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부에 해수가 충분히 유입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부상 침하식 본체가 수중으로 침하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에어유입구와 연통되는 공기공급부는, 컴프레셔 등과 연결되어 에어챔버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고, 에어챔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압송하여 배출시키는 요소이다.
상기 에어유입구와 공기공급부를 연결하는 공급라인에는 조절밸브가 장착되어, 에어챔버로 유입되는 공기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해수유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면 상기 부상 침하식 본체(300)는 수중으로 침하되며, 공기공급부에 의해 에어챔버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에어챔버의 부피가 확장됨에 따라 하우징 내부에 채워져 있던 해수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부상 침하식 본체는 수면위로 부상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부력챔버(322)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제1 부력챔버와 제2 부력챔버를 포함하므로, 상기 부력유닛 또한 이와 대응되도록 제1 부력챔버에 장착되는 제1 부력유닛과 제2 부력챔버에 장착되는 제2 부력유닛을 포함한다.
제1 부력유닛과 제2 부력유닛은 서로 다른 크기의 부력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복수 개의 제1 부력유닛 및 제2 부력유닛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어부를 통해 개별적으로도 제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부력유닛에는 평행조절센서 등이 장착되어 상기 부상 침하식 본체가 안정적으로 부상 및 침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고정식 본체(100) 및 제2 고정식 본체(200)는 부상 침하식 본체(300)와 체결부(40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가 적용된 수중 침하식 부교의 개요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부상 침하식 본체가 수중으로 침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체결부(400)는, 제1 지지프레임(420), 체결홈(422), 제2 지지프레임(440), 체결돌기(442)를 포함한다.
먼저, 제1 지지프레임(420)은, 상기 제1 고정식 본체 및 제2 고정식 본체의 끝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요소이다.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은, 상기 부상 침하식 본체와 대응되는 상기 제1, 2 고정식 본체에 장착되되, 제1 ,2 고정식 본체보다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덧붙여, 상기 제1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길게 구형상의 체결홈(42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422)은 후술할 구 형상의 체결돌기(442)를 감싸도록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입구측의 직경이 체결홈의 내부 공간부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 내부에 장착된 이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체결홈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는 체결홈 내부에 끼움 삽입된 체결돌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1 고정식 본체 및 제2 고정식 본체와 대응되는 부상 침하식 본체의 대응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제2 지지프레임(440)이 장착되며, 상기 제2 지지프레임에는 제2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 형상의 체결돌기(442) 복수 개가 등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442)는 제2 지지프레임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기둥돌기(부호미표시)와, 상기 기둥돌기의 끝단에 형성되는 구 형상의 원형돌기(부호미표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체결돌기의 구조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는 체결홈에 장착되었을 때 체결홈 내부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동할 수 있도록 관절구조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파도에 의한 부상 침하식 본체가 소정간격 이동(회전운동)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부상 침하식 본체의 승하강(수중으로 침하되거나 또는 수면으로 부상되는 것)은 제1 고정식 본체 및 제2 고정식본체의 깊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는 것이다.
한편, 부교본체(제1 고정식 본체, 제2 고정식 본체, 부상 침하식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부교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제1 차단망(500)이 설치되고, 부교의 타측에는 부교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차단망(600)이 설치된다.
상기 제2 차단망은 상기 제1 차단망에 비해 작은 관통공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해양생물이 2단계에 걸쳐 유입이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차단망은 해양생물 중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살파 등과 같은 플랑크톤의 유입을 차단할 정도의 메시 사이즈를 가지는 것으로, 제1 차단망보다 작은 1 내지 10mm 사이즈의 메시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제1 차단망 및 제2 차단망은 제1 고정식 본체, 제2 고정식 본체, 부상 침하식 본체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부상 침하식 본체가 수중으로 침하되거나 수면으로 부상하는데 간섭이 없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 차단망과 제2 차단망은 망에 형성된 관통홀의 크기만 서로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차단망을 예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1 차단망(500)은, 차단망몸체(520), 상기 차단망몸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540), 상기 차단망몸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로프(560)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망몸체(520)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해양생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네트망(그물망) 몸체이다.
이어서, 상기 지지프레임(540)은 부교에 직접 연결되어 해수밖에 배치되는 차단망몸체가 전체적으로 잘 펼쳐지도록 차단망몸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일정 중량을 가지는 부재로 마련되어, 무게추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상기 차단망몸체에 등간격 이격되게 지지프레임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차단망몸체는 지지프레임의 자중에 의해 수중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범위 내에서만 유동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이 때 차단망몸체의 최하단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은 비교적 무거운 중량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해저면에서 이동하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차단망몸체의 상부 일부구간에만 설치되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차단망몸체의 상부측 일부구간에만 지지프레임 및 로프가 형성될 경우, 차단망몸체의 하부에는 무게추가 체결되어 차단망몸체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한다.
상기 로프(560)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을 모두 연결하도록 상기 차단망몸체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끝단이 후술할 인양수단에 고정되어 차단망몸체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요소이다.
상기 로프는 복수 개가 차단망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차단망몸체가 별도의 인양수단에 의해 안정적으로 승하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로프와 지지프레임이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구간에서, 상기 로프가 지지프레임에 권취되어 지지프레임과 로프가 상호 고정되도록 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아울러, 상기 로프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차단망몸체의 깊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거나 또는, 차단망몸체의 상부측 일부구간에만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인양수단은, 부교본체에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제1 차단망 및 제2 차단망을 인양하는 요소이다.
상기 인양수단은, 부교본체에 형성된 난간 등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제1 차단망 및 제2 차단망을 인양시키는 요소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교본체의 양측방에 부교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차단망과, 상기 제1 차단망에 비해 작은 관통공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제2 차단망을 각각 설치하여 해양생물의 유입을 단계적으로 차단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중으로 침하되거나 수면으로 부상하는 부상 침하식 본체를 포함하여 해상 이동수단의 이동통로를 용이하게 확보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30: 공기공급부
1000: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100: 제1 고정식 본체
200: 제2 고정식 본체
300: 부상 침하식 본체
320: 프레임
322: 부력챔버
322a: 제1 부력챔버
322b: 제2 부력챔버
340: 부력유닛
342: 하우징
343: 해수유입구
344: 에어챔버
345: 에어유입구
360: 발판
400: 체결부
420: 제1 지지프레임
422: 체결홈
440: 제2 지지프레임
442: 체결돌기
500: 제1 차단망
520: 차단망몸체
540: 지지프레임
560: 로프
600: 제2 차단망

Claims (4)

  1. 부력체에 의해 해수면에 부상되며, 상면에 발판이 장착되는 제1 고정식 본체;
    상기 제1 고정식 본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고정식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고정식 본체;
    상기 제1 고정식 본체와 제2 고정식 본체 사이에 설치되며 하부에 부력챔버가 형성되는 부상 침하식 본체;
    상기 부력챔버에 장착되며, 내부에 공기 또는 해수가 선택적으로 주입됨에 따라 상기 부상 침하식 본체를 수면으로 부상시키거나 수중으로 침하시키는 부력유닛;
    상기 제1, 2 고정식 본체, 부상 침하식 본체에 각각 로프로 연결되되 해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2 고정식 본체, 부상 침하식 본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고정구;
    상기 제1, 2 고정식 본체, 부상 침하식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차단망; 및
    상기 제1, 2 고정식 본체, 부상 침하식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차단망에 비해 작은 관통공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제2 차단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고정식 본체 및 제2 고정식 본체는 부상 침하식 본체와 체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고정식 본체 및 제2 고정식 본체의 끝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되, 상기 제1 고정식 본체 및 제2 고정식 본체의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는 반구형상의 체결홈과, 상기 제1 고정식 본체 및 제2 고정식 본체와 대응되는 부상 침하식 본체의 대응면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제2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되,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구형상의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유닛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내부 공간부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해수유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확장 또는 수축되는 에어챔버와,
    상기 에어챔버에 형성되며, 공기공급부와 연통되어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거나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챔버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제1 부력챔버와 제2 부력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력챔버 및 제2 부력챔버에는 부력의 크기가 다른 부력유닛이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4. 삭제
KR1020210176272A 2021-12-10 2021-12-10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KR102615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272A KR102615900B1 (ko) 2021-12-10 2021-12-10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272A KR102615900B1 (ko) 2021-12-10 2021-12-10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757A KR20230087757A (ko) 2023-06-19
KR102615900B1 true KR102615900B1 (ko) 2023-12-20

Family

ID=8698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272A KR102615900B1 (ko) 2021-12-10 2021-12-10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9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7406A (ja) * 2005-12-27 2007-07-12 Molten Corp 浮力可変フロート
KR101039372B1 (ko) * 2010-09-14 2011-06-08 주식회사 지주 수중생물 유입 차단장치
KR101658224B1 (ko) * 2014-04-11 2016-09-22 오션파트너즈 주식회사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73166B1 (ko) * 2020-02-24 2020-11-02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7406A (ja) * 2005-12-27 2007-07-12 Molten Corp 浮力可変フロート
KR101039372B1 (ko) * 2010-09-14 2011-06-08 주식회사 지주 수중생물 유입 차단장치
KR101658224B1 (ko) * 2014-04-11 2016-09-22 오션파트너즈 주식회사 U-it를 적용한 다중 막체형 수중 소음·진동·오탁물질 및 쓰레기 대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73166B1 (ko) * 2020-02-24 2020-11-02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757A (ko)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2180B (zh) 用于网笼的模块化浮力系统和漂浮元件
CA3052568C (en) A floating plant
US9359737B2 (en) Environmentally-friendly safe weir comprising both water way and fishway
KR20080088200A (ko) 부유 및 잠수가 가능한 내파성 이동식 가두리
EP3585156B1 (en) Fish farm made of a rigid material
KR102615900B1 (ko)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KR200429494Y1 (ko) 조립식 수영장
KR100308581B1 (ko) 잠수 조절 기능을 갖는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JP2008546934A (ja) アクアエクササイズのための浮遊ステーション
KR100423152B1 (ko) 잠수 조절 기능과 균형 부유 기능을 갖는 가두리 양식장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KR101199119B1 (ko) 하천수를 이용하여 승강 작동되게 한 수중보
KR102180978B1 (ko) 외해 수중 가두리 장치
DK202101182A1 (en) Cage for fish farming
JP6429198B2 (ja) 魚道構造体
AU2004210782A1 (en) Method of preventing water pollution and water-blocking fence
KR102259684B1 (ko) 댐에 설치되는 수압 저감 수단이 구비된 집수형 어도
KR20050042091A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KR200200559Y1 (ko) 바다 인공 양어장
JP2018040236A (ja) 水上遊泳プ−ル
KR102595194B1 (ko)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
KR100680154B1 (ko) S형 계단식 어도시설
JP4403056B2 (ja) 取水システム
RU219940U1 (ru) Рифовая чаша
US20050000573A1 (en) Liquid level regulation apparatus
KR102532364B1 (ko) 생물 사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