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317B1 - 셔터형 댐 - Google Patents

셔터형 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317B1
KR101997317B1 KR1020160056759A KR20160056759A KR101997317B1 KR 101997317 B1 KR101997317 B1 KR 101997317B1 KR 1020160056759 A KR1020160056759 A KR 1020160056759A KR 20160056759 A KR20160056759 A KR 20160056759A KR 101997317 B1 KR101997317 B1 KR 101997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eight
open
closing
comp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6576A (ko
Inventor
나성민
Original Assignee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31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셔터형 댐에 관한 것으로서, 상류하천에서 유입된 유량에 따른 하천의 수량을 일정수위로 유지하고 우기에 하천을 외부 동력 없이 완전 개방하여 우기에 하천의 통수가 원활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댐에 있어서, 하상으로 몰입 개폐되는 셔터보(10)와 상기 셔터보(10)의 일측에 구비된 발전수로(20), 상기 발전수로(20)에 구비되는 발전수차(30), 상기 발전수차(30)에 의하여 동작되는 담수펌프(40), 상기 발전수로(20)에 의한 발전에 의하여 동작되는 담수펌프(40)에 의하여 담수되며 웨이트지주(51) 상단까지 연장되는 개폐로프(63)에 결속되는 보열림담수웨이트(61),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61)와 개폐로프(63)로 연결되며 셔터보(10)가 상시적으로 닫혀져 있게 하는 보닫힘중량웨이트(62) 및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61)의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열림동작제어구(5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류하천에서 유입된 유량에 따른 하천의 수량을 일정수위로 유지되는 효과와 우기에 하천을 외부 동력 없이 완전 개방하여 우기에 하천의 통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셔터형 댐{Shutter type dam}
본 발명은 셔터형 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댐에 있어서, 하상으로 몰입 개폐되는 셔터보와 상기 셔터보의 일측에 구비된 발전수로, 상기 발전수로에 구비되는 발전수차, 상기 발전수차에 의하여 동작되는 담수펌프, 상기 발전수로에 의한 발전에 의하여 동작되는 담수펌프에 의하여 담수 되며 웨이트지주 상단에 도르래에 권취되는 견인로프에 구속되는 보열림담수웨이트,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와 견인로프로 연결되며 셔터보가 상시적으로 닫혀 있게 개폐로프로 연결되는 보닫힘중량웨이트 및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의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열림동작제어구로 구성하여서, 상류하천에서 유입된 유량에 따른 하천의 수량을 일정수위로 유지하고 우기에 하천을 외부 동력 없이 완전 개방하여 우기에 하천의 통수가 원활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은 하천 상류 측의 수위를 일정 수위로 유지하여 생활 용수를 취수할 수 있게 수위를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댐은 홍수기에 물을 흐름을 조절하여 홍수로 인하 하류 지역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댐에 의하여 모아진 물은 생활용수뿐 아니라 발전 수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댐에 의하여 일정 높이의 수위가 확보된 하천은 관광자원의 개발을 위한 유람선의 운행을 위하여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댐은 유량 확보를 위하여 보를 닫아 두게 되면 어류의 유동을 차단하여 생태환경의 고리가 차단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댐은 우기에 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하천의 흐름 장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100341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댐이 유량 확보를 위하여 보를 닫아 두게 되면 어류의 유동을 차단하여 생태환경의 고리가 차단되게 하는 문제점과 우기에 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하천의 흐름 장애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댐에 있어서, 하상으로 몰입 개폐되는 셔터보와 상기 셔터보의 일측에 구비된 발전수로, 상기 발전수로에 구비되는 발전수차, 상기 발전수차에 의하여 동작되는 담수펌프, 상기 발전수로에 의한 발전에 의하여 동작되는 담수펌프에 의하여 담수되며 웨이트지주 상단에 도르래에 권취되는 견인로프에 구속되는 보열림담수웨이트,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와 견인로프로 연결되며 셔터보가 상시적으로 닫혀 있게 개폐로프로 연결되는 보닫힘중량웨이트 및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의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열림동작제어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셔터보를 열림담수웨이트와 보닫힘중량웨이트에 의하여 동작되는 개폐수단에 의하여 승강 동작하는 2개 내지 3개의 보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보체를 최하부 보체의 상면에 상측 보체가 수용되는 보수용홈을 형성하고 최 상부 보체는 보수용홈을 형성하지 않는 판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체를 측면으로 연속되며 각기 다른 승강 높이를 갖게 구성한 것 중 어느 하나로 선택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개폐수단을 견인승강장치로 구성하되,상기 견인승강장치는 보체의 하부에 승강경사면을 갖는 승강유도홈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유도홈의 하부 측에 열림담수웨이트 및 보닫힘중량웨이트와 연결된 개폐로프가 연결되는 보개폐캠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보개폐캠바를 하단 측에 개폐로프가 연결되고 상단 측에는 승강유도홈과 원활한 구름 접촉을 위한 캠롤러가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개폐수단을 견인승강장치로 구성하되, 상기 팬더그래프승강장치는 보체의 하부에 엑스자로 링크를 이루며 열림담수웨이트 및 보닫힘중량웨이트와 연결된 개폐로프에 의하여 견인 구동되는 팬더그래프리프트가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상으로 몰입 개폐되는 셔터보와 상기 셔터보의 일측에 구비된 발전수로, 상기 발전수로에 구비되는 발전수차, 상기 발전수차에 의하여 동작되는 담수펌프, 상기 발전수로에 의한 발전에 의하여 동작되는 담수펌프에 의하여 담수되며 웨이트지주 상단에 도르래에 권취되는 견인로프에 구속되는 보열림담수웨이트,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와 견인로프로 연결되며 셔터보가 상시적으로 닫혀 있게 개폐로프로 연결되는 보닫힘중량웨이트 및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의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열림동작제어구로 구성함으로써, 상류하천에서 유입된 유량에 따른 하천의 수량을 일정수위로 유지되는 효과와 우기에 하천을 외부 동력 없이 완전 개방하여 우기에 하천의 통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시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의 사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시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류하천에서 유입된 유량에 따른 하천의 수량을 일정수위로 유지되게 하고 우기에 하천을 외부 동력 없이 완전 개방하여 우기에 하천의 통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댐에 있어서, 하상으로 몰입 개폐되는 셔터보(10)와 상기 셔터보(10)의 일측에 구비된 발전수로(20), 상기 발전수로(20)에 구비되는 발전수차(30), 상기 발전수차(30)에 의하여 동작되는 담수펌프(40), 상기 발전수로(20)에 의한 발전에 의하여 동작되는 담수펌프(40)에 의하여 담수되며 웨이트지주(51) 상단까지 연장되는 개폐로프(63)와 결속되는 보열림담수웨이트(61),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61)와 견인로프로 연결되며 셔터보(10)가 상시적으로 닫혀 있게하는중량웨이트(62) 및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61)의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열림동작제어구(52)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셔터보(10)는 열림담수웨이트와 보닫힘중량웨이트(62)에 의하여 동작되는 개폐수단에 의하여 승강동작되는 2 개 내지 3개의 보체(11)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보체(11)는 최하부 보체(11)의 상면에 상측 보체(11)가 수용되는 보수용홈(11a)을 형성하고 최 상부 보체(11)는 보수용홈(11a)을 형성하지 않는 판상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체(11)는 측면으로 연속되며 각기 다른 승강 높이를 갖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은 견인승강장치와 팬더그래프승강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견인승강장치는 보체(11)의 하부에 승강경사면(71a)을 갖는 승강유도홈(71)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유도홈(71)의 하부 측에 열림담수웨이트 및 보닫힘중량웨이트(62)와 연결된 개폐로프(63)가 연결되는 보개폐캠바(72)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보개폐캠바는 하단 측에 개폐로프(63)가 연결되고 상단 측에는 승강유도홈(71)과 원활한 구름 접촉을 위한 캠롤러(72a)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팬더그래프승강장치는 보체(11)의 하부에 엑스자로 링크를 이루며 열림담수웨이트 및 보닫힘중량웨이트(62)와 연결된 개폐로프(63)에 의하여 견인 구동되는 팬더그래프리프트(81)가 구비되어 실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61)는 담힘중량웨이트를 들어올리며 닫혀진 보가 하상으로 몰입되어 닫혀질 수 있게 한 담수중량을 갖는 용기체로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담수된 물을 배수할 수 있게 한 배수밸브(61a)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림동작제어구(52)는 웨이트지주(51)의 상단 측에 구비되어 담힘중량웨이트에 의하여 들어 올려진 보열림담수웨이트(61)가 하강되지 않게 지지할 수 있게 외측으로 탄성돌출 형성되며, 수작업에 의하여 몰입되거나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에 의하여 몰입동작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열림동작제어구(52)는 보열림담수웨이트(61)가 들어올려 질 때 걸리지 않게 하면 측이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웨이트지주(51)의 상단에는 담수펌프(40)에 의하여 펌핑된 물이 보열림담수웨이트(61)에 채워지게 담수공급관(41)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담수공급관(41)에는 보열림담수웨이트(61)에 만수시 급수가 차단되게 하는 급수차단구가 구비되게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댐에 있어서, 하상으로 몰입 개폐되는 셔터보(10)와 상기 셔터보(10)의 일측에 구비된 발전수로(20), 상기 발전수로(20)에 구비되는 발전수차(30), 상기 발전수차(30)에 의하여 동작되는 담수펌프(40), 상기 발전수로(20)에 의한 발전에 의하여 동작되는 담수펌프(40)에 의하여 담수되며 웨이트지주(51) 상단까지 연장되는 개폐로프(63)에 결속되는 보열림담수웨이트(61),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61)와 개폐로프(63)로 연결되며 셔터보(10)가 상시적으로 닫혀져 있게 하 보닫힘중량웨이트(62) 및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61)의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열림동작제어구(52)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보닫힘중량웨이트(62)에 의하여 보의 닫힘상태가 유지되어 하천의 수위가 일정수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천에 셔터보(10)에 의하여 일정수위의 수위가 유지되면 셔터보(10)의 일측으로 형성된 발전수로(20)를 통하여 통수가 이루어지며 발전수로(20)에 구비된 발전수차(30)에 의하여 발전이 이루어져 댐관리를 위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셔터보(10)를 열림담수웨이트와 보닫힘중량웨이트(62)에 의하여 동작되는 개폐수단에 의하여 승강동작되는 2 개 내지 3개의 보체(11)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보체(11)가 순차적으로 승강 동작하여 하천의 수위 조절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보체(11)를 최하부 보체(11)의 상면에 상측 보체(11)가 수용되는 보수용홈(11a)을 형성하고 최 상부 보체(11)는 보수용홈(11a)을 형성하지 않는 판상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보체(11)가 상호 물림되어 하천 수압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보체(11)를 측면으로 연속되며 각기 다른 승강높이를 갖게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셔터보(10)의 설치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을 견인승강장치로 실시하고, 견인승강장치를 보체(11)의 하부에 승강경사면(71a)을 갖는 승강유도홈(71)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유도홈(71)의 하부 측에 열림담수웨이트 및 보닫힘중량웨이트(62)와 연결된 개폐로프(63)가 연결되는 보개폐캠바(72)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개폐로프(63)에 의하여 견인되는 보개폐캠바(72)에 의하여 보체(11)의 개폐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보개폐캠바(72)를 하단 측에 개폐로프(63)가 연결되고 상단 측에는 승강유도홈(71)과 원활한 구름 접촉을 위한 캠롤러(72a)가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보개폐캠바(72)의 동작이 더욱 명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개폐수단을 팬더그래프승강장치로 구성하고, 팬더그래프승강장치를 보체(11)의 하부에 엑스자로 링크를 이루며 열림담수웨이트 및 보닫힘중량웨이트(62)와 연결된 개폐로프(63)에 의하여 견인 구동되는 팬더그래프리프트(81)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팬더그래프리프트에 의하여 보체(11)의 승강이 명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61)를 담힘중량웨이가 들어올리며 닫혀진 보가 하상으로 몰입되어 닫혀질 수 있게 한 담수중량을 갖는 용기체로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담수된 물을 배수할 수 있게 한 배수밸브(61a)가 구비되게 실시하게 되면, 보열림담수웨이트(61)의 중력 하강에 의한 담힘중량웨이트가 명확하게 들어오려져 닫혀지 셔터보(10)가 신속하게 열려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열림동작제어구(52)를 웨이트지주(51)의 상단 측에 구비되어 담힘중량웨이트에 의하여 들어 올려진 보열림담수웨이트(61)가 하강되지 않게 지지할 수 있게 외측으로 탄성돌출 형성되며, 수작업에 의하여 몰입되거나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에 의하여 몰입 동작하게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보열림담수웨이트(61)의 하강동작에 의한 셔터보(10)의 열림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열림동작제어구(52)의 하면 측이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보열림담수웨이트(61)가 들어올려질 때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승강동작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웨이트지주(51)의 상단에는 담수펌프(40)에 의하여 펌핑된 물이 보열림담수웨이트(61)에 채워지게 담수공급관(41)이 구비되고, 상기 담수공급관(41)에는 보열림담수웨이트(61)에 만수시 급수가 차단되게 하는 급수차단구가 구비되게 실시하면, 보열림담수웨이트(61)의 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10 : 셔터보 11 : 보체 11a: 보수용홈
20 : 발전수로
30 : 발전수차
40 : 담수펌프 41 : 담수공급관
51 : 웨이트지주 52 : 열림동작제어구
61 : 보열림담수웨이트 61a: 배수밸브
62 : 보닫힘중량웨이트
63 : 개폐로프
71 : 승강유도홈 71a: 승강경사면
72 : 보개폐캠바 72a: 캠롤러
81 : 팬더그래프리프트

Claims (5)

  1. 댐에 있어서;
    하상으로 몰입 개폐되는 셔터보(10)와 상기 셔터보(10)의 일측에 구비된 발전수로(20), 상기 발전수로(20)에 구비되는 발전수차(30), 상기 발전수차(30)에 의하여 동작되는 담수펌프(40), 상기 발전수로(20)에 의한 발전에 의하여 동작되는 담수펌프(40)에 의하여 담수되며 웨이트지주(51) 상단까지 연장된 개폐로프(63)과 결속되는 보열림담수웨이트(61),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61)와 개폐로프(63)로 연결되며 셔터보(10)가 상시적으로 닫혀져 있게 하는 보닫힘중량웨이트(62) 및 상기 보열림담수웨이트(61)의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열림동작제어구(52)로 구성하고;
    상기 셔터보(10)는 열림담수웨이트와 보닫힘중량웨이트(62)에 의하여 동작되는 개폐수단에 의하여 승강동작되는 2 개 내지 3개의 보체(11)로 구성되고,
    상기 보체(11)는
    최하부 보체(11)의 상면에 상측 보체(11)가 수용되는 보수용홈(11a)을 형성하고 최 상부 보체(11)는 보수용홈(11a)을 형성하지 않는 판상으로 구성한 것과,
    측면으로 연속되며 각기 다른 승강 높이를 갖게 구성한 것 중 어느 하나로 선택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형 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견인승강장치로 구성하되,
    상기 견인승강장치는 보체(11)의 하부에 승강경사면(71a)을 갖는 승강유도홈(71)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유도홈(71)의 하부 측에 열림담수웨이트 및 보닫힘중량웨이트(62)와 연결된 개폐로프(63)가 연결되는 보개폐캠바(7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형 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개폐캠바는 하단 측에 개폐로프(63)가 연결되고 상단 측에는 승강유도홈(71)과 원활한 구름 접촉을 위한 캠롤러(72a)가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형 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팬더그래프승강장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형 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팬더그래프승강장치는 보체(11)의 하부에 엑스자로 링크를 이루며 열림담수웨이트 및 보닫힘중량웨이트(62)와 연결된 개폐로프(63)에 의하여 견인 구동되는 팬더그래프리프트(81)가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형 댐.
KR1020160056759A 2016-05-10 2016-05-10 셔터형 댐 KR101997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759A KR101997317B1 (ko) 2016-05-10 2016-05-10 셔터형 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759A KR101997317B1 (ko) 2016-05-10 2016-05-10 셔터형 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576A KR20170126576A (ko) 2017-11-20
KR101997317B1 true KR101997317B1 (ko) 2019-07-08

Family

ID=6080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759A KR101997317B1 (ko) 2016-05-10 2016-05-10 셔터형 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498A (zh) * 2018-07-06 2018-12-18 朱红兵 一种水利工程中耐腐蚀防冻的水闸
CN110952510A (zh) * 2019-12-31 2020-04-03 苏州必加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排涝管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311Y1 (ko) * 2003-05-27 2004-02-05 (주) 삼안산업 물탱크의 하중을 이용한 수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8926A (ja) * 1991-07-25 1994-05-10 Iseki Tekko Kk 水力装置
JP3395033B2 (ja) * 1997-09-19 2003-04-07 株式会社百瀬プラント 水位調整水門
KR20050100341A (ko) 2005-09-26 2005-10-1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친환경 하천 회동식 가동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311Y1 (ko) * 2003-05-27 2004-02-05 (주) 삼안산업 물탱크의 하중을 이용한 수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576A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4899B2 (en) Arrangement on flowing bodies of water
KR101997317B1 (ko) 셔터형 댐
KR20150022071A (ko)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
CN111101486B (zh) 山区多沙河流中小型堰坝挡水闸门
JP5690116B2 (ja) 水流発電設備
CN214783707U (zh) 一种平面闸门
CN104746636B (zh) 一种感应水位自动开启的水力闸门结构
KR100662861B1 (ko) 수로와 물받이블럭의 수문개폐장치
CN212477623U (zh) 一种智能型灌溉水闸控制机构
CN104863253B (zh) 感应水位自动开启的中轴水力自动闸门
KR101023798B1 (ko) 다목적 이중 수문
CN103233448A (zh) 虹吸式自动控制水位堰
KR101020588B1 (ko) 소규모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유량조절 격벽게이트 장치
KR101018303B1 (ko) 수위 조절이 가능한 분수의 부력장치
KR101199119B1 (ko) 하천수를 이용하여 승강 작동되게 한 수중보
KR101067725B1 (ko) 환경친화형 리프트식 어도
CN205421190U (zh) 一种用于小型河道闸门的简便升降装置
CN104775403B (zh) 一种先导式水力自动闸门结构
CN204608728U (zh) 一种先导式水力自动闸门结构
CN209468675U (zh) 一种悬索式跨河浮桥
KR101400925B1 (ko) 거품저감용 해수방류장치
CN103015373B (zh) 自动控制水位堰闸
JP2013139014A (ja) スカム除去装置
KR101613117B1 (ko) 부력 개폐형 차등차수보를 갖는 다기능 생태 하천
JP7354653B2 (ja) 取水口開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