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383B1 -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383B1
KR101274383B1 KR1020117018105A KR20117018105A KR101274383B1 KR 101274383 B1 KR101274383 B1 KR 101274383B1 KR 1020117018105 A KR1020117018105 A KR 1020117018105A KR 20117018105 A KR20117018105 A KR 20117018105A KR 101274383 B1 KR101274383 B1 KR 101274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lever
blade
c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451A (ko
Inventor
마사야 기타자와
히로시 기가와
나오토시 이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3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문에 고정된 고정 블레이드와, 엘리베이터 칸 문에 마련된 링크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 링크와, 회동 링크에 마련된 가동 블레이드를 가지고 있다. 가동 블레이드는 엘리베이터 칸 문의 이동 방향에 대해 고정 블레이드와의 간격이 소정 간격이 되는 파지 위치와, 파지 위치보다 고정 블레이드로부터 떨어진 해제 위치 사이를 회동 링크의 회동에 따라 변위된다. 파지용 구동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문에 마련된 레버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 레버와, 회동 레버와 회동 링크를 서로 연동시키는 연결 부재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에 대해 고정되며 엘리베이터 칸 문과 함께 이동되는 회동 레버를 회동시키는 캠을 가지고 있다. 회동 링크 및 회동 레버는 링크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 링크의 회동 방향과 레버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 레버의 회동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서로 연동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ELEVATOR DO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문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와 승강장 문에 마련된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 문 및 승강장 문이 이동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문에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가 마련되고,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승강장 문에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 및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에 정지하고 있을 때,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강장 문은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와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문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는 엘리베이터 칸 문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개폐되고, 승강장 출입구는 승강장 문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개폐된다.
종래, 승강장 문이 엘리베이터 칸 문과 함께 이동될 때 엘리베이터 칸 문에 대한 승강장 문의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가 한 쌍의 블레이드를 가지고, 각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를 유지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각 블레이드는 엘리베이터 칸 문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평행 링크에 장착되어 있다. 한쪽의 블레이드에는 엘리베이터 칸 문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요동 부재가 연결봉을 매개로 접속되어 있다. 요동 부재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상부에 고정된 캠에 엘리베이터 칸 문과 함께 이동하면서 접촉함으로써 회동된다. 각 블레이드는 요동 부재의 회동에 의해서 한쪽의 블레이드가 끌어 올려짐으로써, 평행 링크를 회동시키면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는 각 블레이드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있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에 유지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에 의한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의 유지는 한 쪽의 블레이드가 끌어 올려져 각 블레이드가 서로 가까워짐으로써 해제된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실용신안공개 소62-98678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한쪽의 블레이드가 끌어 올려질 때 요동 부재 및 평행 링크의 각각의 회동 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요동 부재 및 평행 링크는 연결봉의 기울기가 크게 변화하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것으로부터, 요동 부재에 대한 한쪽의 블레이드의 위치가 설계 위치로부터 조금이라도 어긋나 버리면, 요동 부재의 회동량에 대한 평행 링크의 회동량이 설계치로부터 크게 벗어나 버려, 각 블레이드를 설계대로 변위시킬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설치시에는,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에 대해서 각 블레이드의 위치를 수평 방향에 대해 조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조정을 한 경우에는, 한쪽의 블레이드의 위치가 요동 부재에 대해서 어긋나 버리므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요동 부재의 위치도 한쪽의 블레이드의 위치에 맞추어 조정해야만 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설치 작업에 시간이 걸려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이며,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폭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문, 엘리베이터 칸 문에 고정된 고정 블레이드와, 엘리베이터 칸 문에 마련된 링크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 링크와, 회동 링크에 마련되며 엘리베이터 칸 문의 이동 방향에 대해 고정 블레이드와의 간격이 소정 간격이 되는 파지 위치와 파지 위치보다 고정 블레이드로부터 떨어진 해제 위치 사이를 회동 링크의 회동에 따라 변위되는 가동 블레이드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 엘리베이터 칸 문에 마련된 레버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 레버와, 회동 레버와 회동 링크를 서로 연동시키는 연결 부재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에 대해 고정되며 엘리베이터 칸 문과 함께 이동되는 회동 레버를 회동시키는 캠을 가지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닫는 위치에 엘리베이터 칸 문이 도달했을 때 가동 블레이드가 해제 위치에 도달하도록 하는 파지용 구동장치, 엘리베이터 칸 문의 이동 방향에 대해 고정 블레이드와 맞물림 가능하고 파지 위치에 있을 때 가동 블레이드와 고정 블레이드 사이에서 파지되는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 및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가 마련되며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와 고정 블레이드가 맞물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 문과 함께 이동됨으로써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승강장 문을 구비하며, 링크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 링크의 회동 방향과 레버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 레버의 회동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회동 링크 및 회동 레버가 서로 연동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링크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 링크의 회동 방향과 레버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 레버의 회동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회동 링크 및 회동 레버가 서로 연동하므로, 회동 링크 및 회동 레버가 회동될 때, 연결 부재의 기울기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의 위치 조정에 의해 회동 레버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의 위치가 어긋나 버렸을 경우에도, 회동 레버의 회동량에 대해 가동 블레이드의 변위량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설치시에 회동 레버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을 피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가 문 개방 동작을 실시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 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가 문 개방 동작을 실시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2는, 승강장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을 보았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 내를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칸(1)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가 마련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1)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의 상부에 배치된 행거 케이스(3)가 고정되어 있다. 행거 케이스(3)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의 폭방향을 따른 엘리베이터 칸측 도어 레일(4)이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도어 레일(4)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문(5)이 매달려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문(5)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를 개폐하는 도어 패널(6)과, 도어 패널(6)의 상부에 고정되며 엘리베이터 칸측 도어 레일(4)에 걸려진 도어 행거(7)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문(5)은 엘리베이터 칸측 도어 레일(4)에 안내되면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의 폭방향(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는 각 엘리베이터 칸 문(5)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의 폭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개폐된다.
행거 케이스(3)의 상부에는 도어 구동장치(8)가 고정되어 있다. 도어 구동장치(8)는 모터를 포함하는 도어 구동장치 본체(9)와, 도어 구동장치 본체(9)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풀리(10)를 가지고 있다.
행거 케이스(3)의 일단부에는 일체로 회전되는 제1 종동풀리(11) 및 전달 풀리가 동축(同軸)에 마련되어 있다. 행거 케이스(3)의 타단부에는 제2 종동풀리(12)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풀리(10) 및 전달 풀리 사이에는 무단상(無端狀)의 구동 벨트(13)가 감겨지고, 제1 및 제2 종동풀리(11, 12) 사이에는 무단상(無端狀)의 도어 벨트(14)가 감겨져 있다. 제1 종동풀리(11)는 구동 풀리(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도어 벨트(14)는 제1 종동풀리(11)의 회전에 의해 순환 이동된다. 제2 종동풀리(12)는 도어 벨트(14)의 순환 이동에 의해 회전된다.
각 엘리베이터 칸 문(5)은 접속 부재(15, 16)를 매개로 도어 벨트(1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접속 부재(15)는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문(5)의 도어 행거(7)에 장착되고, 접속 부재(16)는 다른쪽의 엘리베이터 칸 문(5)의 도어 행거(7)에 장착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문(5)은 도어 벨트(14)의 순환 이동에 의해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각 층의 승강장에는, 승강장 출입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출입구의 상부에는, 승강로의 내벽면에 대해 고정된 승강장측 도어 레일(미도시)이 배치되어 있다. 승강장측 도어 레일에는 한 쌍의 승강장 문(미도시)이 매달려 있다. 각 승강장 문은 승강장측 도어 레일의 안내에 의해 승강장 출입구의 폭방향(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강장 출입구는 각 승강장 문이 승강장 출입구의 폭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개폐된다. 각 승강장 문은 추 혹은 스프링을 포함하는 가압 장치(미도시)에 의해 승강장 출입구를 닫는 방향(문 폐쇄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 및 승강장 출입구에 의해 엘리베이터 출입구가 구성되고, 엘리베이터 칸 문(5) 및 승강장 문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가 구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문(5) 및 승강장 문은, 엘리베이터 칸(1)이 각 층의 승강장에 정지하고 있을 때, 엘리베이터 칸(1)의 깊이 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문(5)과 승강장 문 사이에는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문(5)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17)와, 한쪽의 승강장 문에 마련된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18)가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17)는 도어 패널(6)에 장착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17)는 도어 패널(6)에 고정된 고정 블레이드(19)와, 도어 패널(6)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링크(회동 링크, 20)와, 구동 링크(20)에 마련되며 구동 링크(20)의 회동에 의해 고정 블레이드(19)에 대해서 변위되는 가동 블레이드(21)와, 도어 패널(6)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가동 블레이드(21)의 변위에 따라 도어 패널(6)에 대해 회동되는 종동 링크(22)를 가지고 있다.
고정 블레이드(19) 및 가동 블레이드(21)는 엘리베이터 칸(1)의 이동 방향(상하 방향)에 따라서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고정 블레이드(19) 및 가동 블레이드(21)는 엘리베이터 칸(1)이 층의 승강장에 정지하고 있을 때, 엘리베이터 칸 문(5)의 이동 방향(수평 방향)에 대해서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18)와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 블레이드(19)는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18)보다 문 폐쇄측에 배치되고, 가동 블레이드(21)는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18)보다 문 개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1)이 층의 승강장에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18)가 고정 블레이드(19)와 가동 블레이드(21) 사이에 진입하고 있다.
가동 블레이드(21)는 엘리베이터 칸 문(5)의 이동 방향(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의 폭방향)에 대해 고정 블레이드(19)와의 간격이 소정 간격이 되는 파지 위치(도 2)와, 파지 위치보다 고정 블레이드(19)로부터 떨어진 해제 위치(도 1) 사이를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블레이드(21)는 구동 링크(20)의 회동에 따라 파지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된다.
가동 블레이드(21)가 파지 위치에 있을 때에는,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18)가 고정 블레이드(19)와 가동 블레이드(21) 사이에서 파지된다. 고정 블레이드(19)와 가동 블레이드(21) 사이에서의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18)의 파지는 가동 블레이드(21)가 해제 위치로 변위됨으로써 해제된다.
구동 링크(20)는 도어 패널(6)에 마련된 제1 패널 장착축(링크 지지축, 2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종동링크(22)는 도어 패널(6)에 마련된 제2 패널 장착축(2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및 제2 패널 장착축(23, 24)은 상하 방향에 대해 서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패널 장착축(23, 24)은 고정 블레이드(19)보다 문 개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패널 장착축(23, 24)의 각각의 축선은 도어 패널(6)의 패널면에 대해 수직하게 되어 있다.
제1 패널 장착축(23)에는 구동 링크(20)의 중간부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 링크(20)의 일단부에는 블레이드 장착축(25)이 마련되고, 구동 링크(20)의 타단부에는 링크 접속축(26)이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구동 링크(20)의 형상이 제1 패널 장착축(23)의 위치에서 절곡된 굴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블레이드 장착축(25)은 제1 패널 장착축(23)보다 문 폐쇄측에 위치하고, 링크 접속축(26)은 제1 패널 장착축(23)보다 문 개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블레이드 장착축(25) 및 링크 접속축(26)은 제1 패널 장착축(23)과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패널 장착축(24)에는 종동링크(22)의 일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종동링크(22)의 타단부에는 블레이드 장착축(27)이 마련되어 있다. 블레이드 장착축(27)은 제2 패널 장착축(24)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가동 블레이드(21)는 각 블레이드 장착축(25, 27)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가동 블레이드(21)는 각 블레이드 장착축(25, 27)에 장착됨으로써, 제1 및 제2 패널 장착축(23, 24)보다 고정 블레이드(19)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각 블레이드 장착축(25, 27) 사이의 거리는 제1 및 제2 패널 장착축(23, 24)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블레이드 장착축(25) 및 제1 패널 장착축(23) 사이의 거리는 블레이드 장착축(27) 및 제2 패널 장착축(24)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블레이드(21)는 구동 링크(20)의 회동에 의해 고정 블레이드(19)에 대해 평행을 유지한 채 변위된다.
가동 블레이드(21)가 파지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패널 장착축(23)과 블레이드 장착축(25)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이 엘리베이터 칸 문(5)의 이동 방향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도 2). 또, 도어 패널(6)에는 가동 블레이드(21)의 변위를 규제하는 스토퍼(28)가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28)는 가동 블레이드(21)가 파지 위치에 도달했을 때 구동 링크(20)를 받는다. 이것에 의해, 가동 블레이드(21)가 파지 위치를 너무 지나쳐가는 것이 저지된다.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18)는 승강장 문에 장착된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고정 맞물림 롤러(29)와, 승강장 문에 대해 변위 가능한 가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가동 맞물림 롤러(30)를 가지고 있다.
가동 맞물림 롤러(30)는 고정 맞물림 롤러(29)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맞물림 장치용 레버(미도시)에 장착되어 있다. 가동 맞물림 롤러(30)는 맞물림 장치용 레버의 회동에 의해 고정 맞물림 롤러(29)보다 문 폐쇄측으로 어긋난 전진 위치(도 1)와, 전진 위치보다 문 개방측에 위치하는 후퇴 위치(도 2)와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맞물림 장치용 레버는 가동 맞물림 롤러(30)를 전진 위치로 변위시키는 방향으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가동 맞물림 롤러(30)는 엘리베이터 칸 문(5)과 함께 문 개방 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 블레이드(19)에 밀림으로써, 스프링의 가압력에 역행하여 전진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변위된다. 또, 고정 맞물림 롤러(29)는 가동 맞물림 롤러(30)가 고정 블레이드(19)에 밀리면서 후퇴 위치에 이르렀을 때 고정 블레이드(19)와 맞물린다. 승강장 문은, 고정 맞물림 롤러(29)와 고정 블레이드(19)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 문(5)과 함께 이동된다.
승강장 문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 및 승강장 출입구가 모두 닫혀져 있을 때, 잠금장치(31)에 의해 잠긴다. 잠금장치(31)는 가동 맞물림 롤러(30)와 연동하는 후크 부재(32)와, 승강장 출입구의 상부에 고정되며 후크 부재(32)가 걸리는 걸림 부재(미도시)를 가지고 있다.
승강장 문이 승강장 출입구를 닫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가동 맞물림 롤러(30)가 전진 위치로 변위됨으로써, 후크 부재(32)가 걸림 부재에 걸린다(도 1). 이것에 의해, 승강장 문이 잠금된다. 또, 가동 맞물림 롤러(30)가 전진 위치로부터 벗어나면, 후크 부재(32)가 걸림 부재에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도 2). 이것에 의해, 승강장 문의 잠금이 해제된다.
가동 블레이드(21)의 파지 위치로의 변위는, 가동 블레이드(21)의 자중에 의해 구동 링크(20)가 회동됨으로써 행해진다. 또, 가동 블레이드(21)의 해제 위치로의 변위는, 가동 블레이드(21)가 자중에 역행하여, 구동 링크(20)가 파지용 구동장치(33)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됨으로써 행해진다.
파지용 구동장치(33)는 도어 행거(7)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회동 레버(34)와, 회동 레버(34)와 구동 링크(20)를 서로 연동시키는 연결봉(연결 부재, 35)과, 행거 케이스(3)에 고정되며 엘리베이터 칸 문(5)과 함께 이동되는 회동 레버(34)를 회동시키는 캠(36)을 가지고 있다.
회동 레버(34) 및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17)는 공통의 엘리베이터 칸 문(5)에 장착되어 있다. 또, 회동 레버(34)는 도어 행거(7)에 마련된 행거 장착축(레버 지지축, 37)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행거 장착축(37)은 제1 패널 장착축(23)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회동 레버(34)의 형상 및 크기가 구동 링크(20)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행거 장착축(37)에는 회동 레버(34)의 중간부가 장착되어 있다. 회동 레버(34)의 일단부에는 롤러축(38)이 마련되고, 회동 레버(34)의 타단부에는 레버 접속축(39)이 마련되어 있다. 롤러축(38)은 행거 장착축(37)보다 문 폐쇄측에 위치하고, 레버 접속축(39)은 행거 장착축(37)보다 문 개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롤러축(38) 및 레버 접속축(39)은 행거 장착축(37)과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연결봉(35)의 일단부는 링크 접속축(26)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연결봉(35)의 타단부는 레버 접속축(39)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연결봉(35)은 구동 링크(20)에 링크 접속축(26)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한편 회동 레버(34)에 레버 접속축(39)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링크(20)의 제1 패널 장착축(23)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 방향과, 회동 레버(34)의 행거 장착축(37)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 방향은 동일한 방향이 된다.
링크 접속축(26)과 레버 접속축(39) 사이의 거리는 제1 패널 장착축(23)과 행거 장착축(37)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링크 접속축(26)과 제1 패널 장착축(23) 사이의 거리는 레버 접속축(39)과 행거 장착축(37)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링크(20) 및 회동 레버(34) 사이에는 제1 패널 장착축(23), 링크 접속축(26), 레버 접속축(39) 및 행거 장착축(37)을 4개의 정점으로 하는 평행 사변형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축(38)과 행거 장착축(37) 사이의 거리는 블레이드 장착축(25)과 제1 패널 장착축(2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롤러축(38)과 블레이드 장착축(25) 사이의 거리는 행거 장착축(37)과 제1 패널 장착축(2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링크(20) 및 회동 레버(34) 사이에는 제1 패널 장착축(23), 블레이드 장착축(25), 롤러축(38) 및 행거 장착축(37)을 4개의 정점으로 하는 평행 사변형도 형성되어 있다.
롤러축(38)에는 안내 롤러(안내부, 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안내 롤러(40)는 엘리베이터 칸 문(5)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의 폭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캠(36)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안내 롤러(40)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를 닫는 위치로부터 고정 블레이드(19)와 고정 맞물림 롤러(29)와의 맞물림을 시작하는 위치까지의 소정 이동 범위 내에 엘리베이터 칸 문(5)이 있을 때에만 캠(36)에 접촉한다.
안내 롤러(40)가 캠(36)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에는, 가동 블레이드(21)가 자중에 의해 파지 위치에 도달해 있다. 이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 문(5)이 이동해도, 가동 블레이드(21)의 위치는 파지 위치에 유지된다(도 2).
안내 롤러(40)가 캠(36)에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 문(5)이 문 폐쇄 방향으로 이동되면, 가동 블레이드(21)가 해제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34)가 회동되고, 엘리베이터 칸 문(5)이 문 개방 방향으로 이동되면, 가동 블레이드(21)가 파지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34)가 회동된다.
가동 블레이드(21)가 해제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34)가 회동될 때에는, 안내 롤러(40)가 캠(36)에 의해 위쪽으로 안내된다. 가동 블레이드(21)가 파지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34)가 회동될 때에는, 안내 롤러(40)가 캠(36)에 의해 아래쪽으로 안내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 및 승강장 출입구가 모두 닫혀 있을 때에는, 안내 롤러(40)가 캠(36)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동 블레이드(21)가 파지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 또, 이 때, 고정 블레이드(19) 및 가동 블레이드(21)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의 폭방향에 대해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18)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이 때, 승강장 문은 잠금장치(31)에 의해 잠겨져 있다(도 1).
문 개방 동작시에 엘리베이터 칸 문(5)이 도어 구동장치(8)의 구동력에 의해 문 개방 방향으로 이동되면, 고정 블레이드(19)는 가동 맞물림 롤러(30)에 접촉한 후, 가동 맞물림 롤러(30)를 밀면서 가동 맞물림 롤러(30)를 전진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걸림 부재에 대한 후크 부재(32)의 걸림이 풀려 승강장 문의 잠금이 해제된다.
또, 이 때, 안내 롤러(40)는 엘리베이터 칸 문(5)의 문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캠(36)에 접촉하면서 하방으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연결봉(35)이 위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34) 및 구동 링크(20)가 회동되고, 가동 블레이드(21)가 해제 위치로부터 파지 위치로 변위된다. 이 때, 회동 레버(34) 및 구동 링크(2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가동 맞물림 롤러(30)가 후퇴 위치에 도달하면, 고정 블레이드(19)가 고정 맞물림 롤러(29)에 맞물림과 아울러, 가동 블레이드(21)가 파지 위치에 도달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 맞물림 롤러(29) 및 가동 맞물림 롤러(30)가 고정 블레이드(19)와 가동 블레이드(21) 사이에서 한꺼번에 파지된다. 이 때, 안내 롤러(40)가 캠(36)으로부터 떨어진다.
이 후, 고정 맞물림 롤러(29) 및 가동 맞물림 롤러(30)가 고정 블레이드(19)와 가동 블레이드(21) 사이에서 파지된 채, 엘리베이터 칸 문(5)이 승강장 문과 함께 문 개방 방향으로 이동되어 문 개방 동작이 완료한다.
문 폐쇄 동작시에는, 고정 맞물림 롤러(29) 및 가동 맞물림 롤러(30)가 고정 블레이드(19)와 가동 블레이드(21) 사이에서 파지된 채, 엘리베이터 칸 문(5)이 승강장 문과 함께 문 폐쇄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후, 승강장 출입구를 닫는 위치로 승강장 문이 도달하면, 안내 롤러(40)가 캠(36)에 접촉함과 아울러, 고정 블레이드(19)가 고정 맞물림 롤러(29)로부터 벗어난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 문(5)이 문 폐쇄 방향으로 더 이동됨으로써, 안내 롤러(40)가 캠(36)의 안내에 의해 위쪽으로 변위되어, 연결봉(35)이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34) 및 구동 링크(20)가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블레이드(21)가 파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변위된다. 이 때, 회동 레버(34) 및 구동 링크(2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후, 고정 블레이드(19)가 가동 맞물림 롤러(30)로부터 떨어지고, 엘리베이터 칸 문(5)이 문 폐쇄 방향으로 더 이동됨으로써, 문 폐쇄 동작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제1 패널 장착축(23)을 중심으로 하는 구동 링크(20)의 회동 방향과, 행거 장착축(37)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 레버(34)의 회동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구동 링크(20) 및 회동 레버(34)가 서로 연동하므로, 구동 링크(20) 및 회동 레버(34)가 회동될 때, 연결봉(35)의 기울기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17)의 위치 조정에 의해 회동 레버(34)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17)의 위치가 어긋나 버렸을 경우라도, 회동 레버(34)의 회동량에 대해 가동 블레이드(21)의 변위량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설치시에 회동 레버(34)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을 피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링크 접속축(26)과 레버 접속축(39) 사이의 거리가 제1 패널 장착축(23)과 행거 장착축(37)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고, 링크 접속축(26)과 제1 패널 장착축(23) 사이의 거리가 레버 접속축(39)과 행거 장착축(37)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구동 링크(20) 및 회동 레버(34)가 회동되어도, 연결봉(35)의 기울기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동 레버(34)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17)의 위치가 어긋나도, 회동 레버(34)의 회동량에 대한 가동 블레이드(21)의 변위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가동 블레이드(21)를 보다 정확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또, 가동 블레이드(21)가 파지 위치에 있을 때, 제1 패널 장착축(23)과 블레이드 장착축(25)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이 엘리베이터 칸 문(5)의 이동 방향과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가동 블레이드(21)가 문 개방 방향으로의 힘을 받은 경우라도, 가동 블레이드(21)가 파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되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동 블레이드(21)의 파지 위치에서의 유지를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의 천장과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의 상측 가장자리부 사이의 치수가 크게 되고,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17)와 파지용 구동장치(33)가 상하 방향에 대해서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지만,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1)의 천장과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의 상측 가장자리부 사이의 치수가 작게 되고,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17)와 파지용 구동장치(33)가 상하 방향 에 대해 일부 겹쳐져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괜찮다. 이 경우, 파지용 구동장치(33)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17)의 상하 방향에 대한 위치는, 연결봉(35)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된다. 또, 고정 블레이드(19) 및 가동 블레이드(21)는 파지용 구동장치(33)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1)의 깊이 방향에 대해서 조금 옮겨 배치된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파지용 구동장치(33)는 가동 블레이드(21)가 파지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34)를 가압하는 파지용 가압 스프링(가압체, 51)을 더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파지용 가압 스프링(51)은 회동 레버(34)의 행거 장착축(37)과 롤러축(38) 사이의 부분과 도어 행거(7)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또, 파지용 가압 스프링(51)은 안내 롤러(40)가 하방으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34)를 가압 하고 있다.
캠(36)에는 엘리베이터 칸 문(5)이 문 폐쇄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안내 롤러(40)를 위쪽으로 변위시키는 돌출부(52)와, 돌출부(52)에 연속하여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를 닫는 위치로 엘리베이터 칸 문(5)이 도달함으로써 안내 롤러(40)가 끼이는 함몰부(53)가 마련되어 있다. 파지용 가압 스프링(51)은 안내 롤러(40)가 함몰부(53)에 끼이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34)를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문(5)이 문 폐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안내 롤러(40)는 캠(36)에 접촉한 후, 일단 위쪽으로 변위된 후 하방으로 변위되어, 함몰부(53)에 끼워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블레이드(21)는 엘리베이터 칸 문(5)이 문 폐쇄 방향으로 이동될 때, 해제 위치보다 고정 블레이드(19)로부터 떨어진 위치까지 일단 변위된 후 해제 위치로 변위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가동 블레이드(21)가 파지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회동 레버(34)가 파지용 가압 스프링(51)에 의해 가압되고,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를 닫는 위치에 엘리베이터 칸 문(5)이 도달함으로써 안내 롤러(40)가 끼이는 함몰부(53)가 캠(36)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가동 블레이드(21)의 해제 위치에서의 유지를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회동 레버(34)가 파지용 가압 스프링(51)에 의해 가압되고 있지만, 파지용 가압 스프링(51)이 구동 링크(20)를 가압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 경우, 구동 링크(20)는 가동 블레이드(21)가 파지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링크(20)를 받는 스토퍼(28)에 의해서 가동 블레이드(21)의 변위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지만, 가동 블레이드(21)의 변위는 회동 레버(34)를 받는 스토퍼에 의해서 규제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 경우, 스토퍼는 도어 행거(7)에 고정된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문(5)의 이동에 따라 캠(36)에 접촉하면서 안내되는 안내부로서 안내 롤러(40)가 회동 레버(34)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회동 레버(34)에 돌기를 안내부로서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회동 레버(34)는 돌기가 캠(35)에 접촉하면서 안내됨으로써 회동된다.
2 :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 5 : 엘리베이터 칸 문
17 :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 18 :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
19 : 고정 블레이드 20 : 구동 링크(회동 링크)
21 : 가동 블레이드 25 : 블레이드 장착축
26 : 링크 접속축 33 : 파지용 구동장치
34 : 회동 레버 35 : 연결봉(연결 부재)
36 : 캠 37 : 행거 장착축(레버 지지축)
39 : 레버 접속축 40 : 안내 롤러(안내부)
51 : 파지용 가압 스프링(가압체) 53 : 함몰부

Claims (4)

  1.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의 폭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문,
    상기 엘리베이터 칸 문에 고정된 고정 블레이드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문에 마련된 링크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 링크와, 상기 회동 링크에 마련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문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고정 블레이드와의 간격이 소정 간격이 되는 파지 위치와 상기 파지 위치보다 상기 고정 블레이드로부터 떨어진 해제 위치 사이를 상기 회동 링크의 회동에 따라 변위되는 가동 블레이드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
    상기 엘리베이터 칸 문에 마련된 레버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 레버와, 상기 회동 레버와 상기 회동 링크를 서로 연동시키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에 대해 고정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문과 함께 이동되는 상기 회동 레버를 회동시키는 캠을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닫는 위치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 문이 도달했을 때 상기 가동 블레이드가 상기 해제 위치에 도달하도록 하는 파지용 구동장치,
    상기 엘리베이터 칸 문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기 고정 블레이드와 맞물림 가능하고, 상기 파지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가동 블레이드와 상기 고정 블레이드 사이에서 파지되는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 및
    상기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승강장측 맞물림 장치와 상기 고정 블레이드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문과 함께 이동됨으로써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승강장 문을 구비하며,
    상기 링크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회동 링크의 회동 방향과 상기 레버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회동 레버의 회동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상기 회동 링크 및 상기 회동 레버가 서로 연동하고,
    상기 파지용 구동장치에 대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맞물림 장치의 상하방향 위치는, 상기 연결 부재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회동 링크에 링크 접속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상기 회동 레버에 레버 접속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 접속축과 상기 레버 접속축 사이의 거리는 상기 링크 지지축과 상기 레버 지지축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고,
    상기 링크 접속축과 상기 링크 지지축 사이의 거리는, 상기 레버 접속축과 상기 레버 지지축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레이드는 상기 회동 링크에 블레이드 장착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동 블레이드가 상기 파지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링크 지지축과 상기 블레이드 장착축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문의 이동 방향과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구동장치는 상기 가동 블레이드가 상기 파지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 레버를 가압하는 가압체를 더 가지며,
    상기 회동 레버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캠에 접촉하면서 안내되는 안내부가 마련되고,
    상기 캠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닫는 위치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 문이 도달함으로써 상기 안내부가 끼이는 함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KR1020117018105A 2009-04-28 2009-04-28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KR101274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8391 WO2010125650A1 (ja) 2009-04-28 2009-04-28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451A KR20110103451A (ko) 2011-09-20
KR101274383B1 true KR101274383B1 (ko) 2013-06-17

Family

ID=4303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105A KR101274383B1 (ko) 2009-04-28 2009-04-28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26076B1 (ko)
JP (1) JP5289562B2 (ko)
KR (1) KR101274383B1 (ko)
CN (1) CN102414113B (ko)
WO (1) WO20101256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8117A (zh) * 2012-06-19 2012-10-10 苏州汾湖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门厅门装置
FI125326B (fi) * 2013-10-02 2015-08-31 Kone Corp Hissin ovijärjestely
DE112014007061T5 (de) 2014-10-15 2017-06-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kabinentürvorrichtung
US10882720B2 (en) 2015-08-04 2021-01-0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interlock
WO2017023928A1 (en) 2015-08-04 2017-02-09 Otis Elevator Company Car door interlock with sill lock
CN110191857B (zh) * 2017-01-30 2021-06-01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装置
US10526172B2 (en) 2017-09-29 2020-01-07 Otis Elevator Company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JP6862605B2 (ja) * 2018-03-06 2021-04-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ドアの係合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ドア装置
US11040852B2 (en) 2018-05-01 2021-06-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control to address abnormal passenger behavior
US11040858B2 (en) 2018-05-01 2021-06-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US11155444B2 (en) 2018-05-01 2021-10-2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US11034548B2 (en) 2018-05-01 2021-06-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US11046557B2 (en) 2018-05-01 2021-06-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CN111689353B (zh) * 2019-03-11 2022-10-14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层门装置
US11760604B1 (en) 2022-05-27 2023-09-19 Otis Elevator Company Versatile elevator door interlock assembly
JP7473885B1 (ja) 2023-12-08 2024-04-24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3682A (en) * 1981-06-05 1982-12-14 Hitachi Ltd Opening and closing connector for door of elevator
JP2008230844A (ja) * 2007-03-23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0539Y2 (ja) * 1980-04-15 1985-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用ドア−装置
JPS5817089A (ja) * 1981-07-20 1983-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用ドア装置
JPS6298678U (ko) * 1985-12-09 1987-06-23
ES2016722A6 (es) * 1989-07-27 1990-11-16 Otis Elevator Co Mecanismo de bloqueo y liberacion de pestillos de cierre para puertas de ascensores con paneles alineados.
JPH0687588A (ja) * 1992-08-27 1994-03-29 Otis Elevator Co ホームエレベーター用ドアロック装置
JPH06298678A (ja) 1993-04-13 1994-10-25 Mitsubishi Petrochem Co Ltd 水素の選択的酸化方法
FR2725190B1 (fr) * 1994-09-29 1996-11-15 Otis Elevator Co Dispositif de liaison d'une porte de cabine d'ascenseur et d'une porte de palier pour leur ouverture et fermeture synchrones
FI100517B (fi) * 1995-09-13 1997-12-31 Kone Oy Menetelmä hissin tasonoven sulkemisessa ja mukaanottaja
JP4544887B2 (ja) * 2004-03-26 2010-09-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3682A (en) * 1981-06-05 1982-12-14 Hitachi Ltd Opening and closing connector for door of elevator
JP2008230844A (ja) * 2007-03-23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14113B (zh) 2014-06-11
JP5289562B2 (ja) 2013-09-11
JPWO2010125650A1 (ja) 2012-10-25
EP2426076A1 (en) 2012-03-07
EP2426076A4 (en) 2017-01-18
KR20110103451A (ko) 2011-09-20
EP2426076B1 (en) 2018-10-10
WO2010125650A1 (ja) 2010-11-04
CN102414113A (zh) 201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383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US10207900B2 (en) Elevator car door apparatus
KR920004311B1 (ko) 빗장기구를 갖는 승강기문 구동장치
JP6694608B1 (ja) ドア用係合装置
KR101274421B1 (ko) 엘리베이터칸의 도어로크장치
JP2015037995A (ja) エレベータの係合装置
JP670406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44830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側ドア施錠装置
JPH07285764A (ja) エレベーターの連動装置
KR100863514B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CN112638813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KR100420041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잠금장치
JP201318929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0414298B1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CN109850731B (zh) 电梯
CN118103319A (zh) 电梯的门装置
CN110799440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KR10043440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
CN116529191A (zh) 轿厢和电梯
CN117509364A (zh) 一种门刀装置
KR20210059992A (ko)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잠금장치
KR20110038878A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용 클러치 어셈블리
JPH07115815B2 (ja) 斜行エレベータのドア係合装置
KR20040029350A (ko) 엘리베이터 출입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