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385B1 - 가이드 도관 - Google Patents

가이드 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385B1
KR101272385B1 KR1020117027254A KR20117027254A KR101272385B1 KR 101272385 B1 KR101272385 B1 KR 101272385B1 KR 1020117027254 A KR1020117027254 A KR 1020117027254A KR 20117027254 A KR20117027254 A KR 20117027254A KR 101272385 B1 KR101272385 B1 KR 101272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nduit
guide
support device
conduit
cable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991A (ko
Inventor
틸로-알렉산더 재커
헤럴드 네링
Original Assignee
이구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구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13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스트랜드(6)를 위한 지지장치(10)를 구비한 케이블 리셉터클(2)용 가이드 도관에 관한 것이고, 상기 가이드 도관은 상기 지지장치(10)가 상기 가이드 도관의 내측 측면을 넘어 크게 돌출하지 않는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상기 측벽과 마주보는 몸체는 상기 가이드 도관의 내부로 돌출되는 지점,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가 상기 가이드 도관의 각각의 측벽 내의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는 마지막 지점까지, 그 것의 중력 및/또는 탄성력에 의하여 단독으로 이동가능한 몸체의 상측 상에 거의 평평한 주행면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가이드 도관{Guide condu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이드 도관에 관한 것이다.
가이드 도관(guide conduit)이라는 용어는 측면으로 또는 바닥에서 밀폐되는 단지 연속적인 도관이 아니라고 이해된다. 상기 장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적어도 두 개의 상호 수직 주행방향에서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을 지지하거나 떠받치는 것일 것이다. 따라서, 지지 또는 떠받치는 것이 상기 가이드 도관이 이들 영역들 사이에서 개방되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길이방향에서 이격된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스트랜드로부터 수직방향의 거리를 가지고 가이드되는 상부 스트랜드를 지지하는 잘 알려진 가이드 도관은, 상기 상부 스트랜드가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그것의 하면측에서 지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포함한다. 상기 하면측의 지지는 리다이렉션 보우의 통과가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이 반복 이동하는 동안 영향이 미치지 않는 방식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게다가, 상기 지지는 원하지 않는 큰 슬라이딩 마찰을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종류의 가이드 도관은 DE 20 2007 005 478 U1으로부터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도관에서, 지지장치와 스위칭 장치는 록커의 반대편 레그들 상에 돌출부들로 설계되어 있고, 상기 록커의 돌출부들은 각각의 측벽의 내측면들 상에서 상기 가이드 도관의 내측으로 번갈아가며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가이드 도관과 그것의 길이방향에서의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들이 그들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지점으로부터 각각의 다른 돌출부가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과 접촉되지 않는다면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제2 지점까지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 도관의 내부 방향을 가리키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잘 알려진 지지장치에 관하여,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상부 스트랜드는 두 개의 각각의 반대편 지점에서 지지되고 정확하게 가이드된다. 그러한 지지장치는 상기 이동가능한 연결점에 연결되는 스트랜드의 진동과 상기 스트랜드들의 충돌이 피해질 수 있는 수직으로 이동하는 케이블 리셉터클에 특히 적합하다.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고 및/또는 더 무거운 케이블 리셉터클에서, 상기 상부 스트랜드의 더 안정적이고 더 안전한 지지 및 가이드가 필요해진다.
케이블 리셉터클의 상부 스트랜드용 지지장치는 또한 DE 23 620 463 A1로부터 잘 알려져 있다. 이 문헌에서 제안되고, 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부 스트랜드 아래에서 그립할 수 있는 그리퍼 암들과 스위칭 록커들 사이에서의 효율적인 머케니즘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비싸다. 상기 상부 스트랜드와 하부 스트랜드를 측면에서 가이드하기 위하여, 분리 튜브 영역들이 각각 지지구조 상에 제공된다.
케이블 리셉터클의 상부 스트랜드용 지지 장치는 US 4,129,277 A1에 더 기재되어 있다. 이 장치는,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두 개의 레그 들 사이에서 이동되는 영역 내의 축 주위를 회전하기 위하여 배치된 긴 레그와 짧은 레그를 가지는, L자형 지지대를 포함한다. 각각의 짧은 레그를 대면하는 측면에서 긴 레그들의 자유단 상에서, 롤러들은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상부 스트랜드를 지지하는 베어링 표면과 상기 긴 레그를 가리키는 측면 상에서의 상부 스트랜드를 측면에서 가이드하는 플랜지 부분을 포함하여 지지된다. 서로를 가리키는 짧은 레그들 상에서 지지되는 하부 스트랜드의 결과로서, 지지대들을 통하여 그리고 지지대들 사이에서의 케이블 리셉터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상기 L 형상의 지지대들에서 외측으로 기울어진 지점으로부터, 상기 지지대들은 상기 롤러들이 상기 상부 스트랜드를 지지하고 가이드하는데 효율적인 위치로 세워지게 된다. 상기 하부 스트랜드가 회귀를 위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짧은 레그들이 상기 하부 스트랜드의 무게에 의하여 더 이상 로드되지 않는다면, 상기 L형상의 지지대들은 스프링 힘에 의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들이 분리되어 그리고 외측으로 회전되는 지 확인하기 위하여, 쉐클들이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롤러들 주변에 공급되고,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리다이렉션 보우가 이 쉐클들에 대하여 부딪쳐 상기 지지대들이 서로 분리되어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하부 스트랜드의 지지대는 단지 상기 롤러들과 근거리 선형 접촉영역에 의하여 발생한다. 상기 상부 스트랜드의 측면 가이던스(guidance)는 상기 롤러들의 플랜지 영역상에서의 접촉영역 상에 제한된다. 상기 지지 및 가이던스는 상기 지지대들이 상기 짧은 레그에 의지되는 케이블 리셉터클의 하부 스트랜드의 무게로 인하여 수직으로 새워진 지점에서 유지되는 지 여부에 의하여 좌우된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동하는 케이블 리셉터클에서, 수직 상부 방향으로의 힘은, 안전한 지지와 상기 상부 스트랜드의 측면 가이던스가 항상 보장될 수 없도록, 진동으로 상기 하부 스트랜드 상에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로우 웨어링 케이블 리셉터클(low-wearing cable receptacle)의 상부 스트랜드가 간단한 수단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하는 방식으로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전단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가이드 도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적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고정접점과 이동접점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 연결될 수 있는 하부 스트랜드와 상기 이동접점에 연결될 수 있는 상부 스트랜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랜드들은 리다이렉션 보우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케이블 리셉터클용 가이드 도관에 관한 것이고, 상기 가이드 도관은 상기 두 개의 스트랜드들의 측면영역과 접촉하기 위하여 내부 표면들에 수직으로 고정된 두 개의 마주보는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스트랜드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장치가 상기 마주보는 측벽들의 각각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도관의 내부로 돌출하여 상기 상부 스트랜드를 지지하는 제1 지점과, 각각의 측벽의 내부 측면을 넘어 크게 돌출하지 않고, 상기 상부 스트랜드를 지지하지 않는 제2 지점 사이에 이동가능하며, 상기 가이드 도관은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주행경로로 이동될 수 있는 몸체 형태의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각각의 측벽의 내부 측면의 외측에 피봇 암을 중추로 하여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 도관의 길이방향으로 가리키는 두 측면 상에 상기 가이드 도관이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며,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리다이렉션 보우의 내측 및 외측 영역과 이 측면들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측벽의 내부 측면을 넘어 크게 돌출되지 않고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연속된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지점으로 이동되며, 상기 두 개의 지점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 장치에 결합된다.
그러한 가이드 도관에 의하여 가이드되도록 하는 케이블 리셉터클은 예를 들어 인접하는 부재들이 서로 연결되는 케이블, 호스 또는 플렉시블 튜브, 상기 부재들이 플렉시블 밴드에 의하여 상호연결되는 밴드 체인들을 수용하기 위한 에너지 체인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서 굽어질 수 있는 다른 케이블 수용 장치들일 수 있다.
그러한 가이드 도관들은 다양한 디자인으로 알려져 있다. 긴 주행거리를 가질 경우, 가이드 도관들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용된다. 수평주행일 경우, 가이드 도관들은 케이블 리셉터클의 부드럽고 작은 마찰 주행을 지지한다. 결국, 상기 고정접점에 연결되는 하부 스트랜드는 바닥(floor) 상에서 또는 상기 가이드 도관의 이동 레일 상에서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 도관의 측벽들은 정확한 선형 주행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사이드 부재들에 대하여 낙낙하지 않게 배치된다. 상기 리다이렉션 보우 뒤에 더 짧거나 더 긴 자가 지지 주행(self-supporting travel) 이후에, 상기 상부 스트랜드는 하부 스트랜드가 그 위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이드되도록 지지받는다.
상기 상부 스트랜드가 하부 스트랜드 상에서 지지되지 않는다면, 예를 들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축적되는 먼지 또는 부스러기가 마모를 유발한다면, 상기 상부 스트랜드는 가이드 도관에 의하여 지지되고 또한 측면으로(특별히, 더 긴 주행 거리에서) 가이드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되는 가이드 도관이 본 발명의 대상물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는 상기 각각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대칭축을 가지는 원뿔대로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측면은 주행면을 형성하는 수평으로 연장된 플래트닝(flattening)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평한 주행면은 상기 몸체의 폭의 중앙부분에 배치된다.
상기 플래트닝은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몸체(15)의 폭의 적어도 반 이상으로 연장된다.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래트닝은 상기 몸체의 폭의 적어도 2/3 이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몸체의 아래 방향으로 가리키는 부분에서는, 상측면의 플래트닝의 폭 이상으로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중요한 것은 길이방향으로 가리키는 몸체의 양측면 상에서, 피봇 암을 향하여 경사진 오목한 곳들 또는 표면들은,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리다이렉션 보우이 내측 및 외측 영역들의 접촉으로, 상기 몸체가 제2 지점에 대한 외측으로 회전되도록 설계된다.
몸체 지오메트리의 바람직한 향상은 상기 몸체의 상측면 상에 실질적으로 평평한 주행면이 구부러진 방식으로 상기 몸체 표면의 근접한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병합되도록 한다.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 몸체의 견실한 회전(pivoting)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피봇 암의 중심축은 상기 각각의 측면의 외측과 몸체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 도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몸체의 중력의 중앙의 위치는, 특히 중심축에 대하여 외측으로 기울어진 제2 지점에서, 상기 몸체가 중력 및/또는, 필요하다면 지지 스프링 힘에 의하여, 상기 몸체가 상기 가이드 도관의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에 의하여 접촉되지 않는다면, 단독으로 가이드 도관의 내부로 돌출하는 제1 지점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축이 상기 제2 지점에서 제1 점으로 상기 몸체의 상술된 안전한 회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공간 절약 때문에, 상기 몸체의 주행면 상에 피봇 암과 중심축을 배치하는 것과, 이러한 목적으로 해당 측벽에 형성되는 개구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에서 롤러는 상기 각각의 측벽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 주위를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몸체의 상측면 상에서 상기 주행면은, 상기 몸체의 상측면 상에서의 주행면을 포함하여 상기 롤러 표면의 일부는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상부 스트랜드의 표면을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주행 표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롤러 표면의 일부의 통과를 위한 개구를 가진다.
상기 몸체는 상기 롤러이 주변에 배치되는 하우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지오메트리는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술한 것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롤러의 내측으로 바라보는 전면측의 영역에 개구되고, 이 전면측 상에 돌출된다.
게다가, 상기 가이드 도관의 내부를 가리키는 상기 하우징의 림은 경사진 표면 또는 상기 롤러의 전면측에 평행하게 주행하는 평면에 대하여 곡면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도관의 측벽들은 플레이트 형상이다. 안전성을 이유로, 상기 측벽은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또한 적절한 곳에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측벽들은 상기 지지 장치의 개구에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도관의 길이방향으로의 외측 및 횡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벽들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장치의 피봇 암은 상기 지지장치 상에 측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벽들 상에서 그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두 개의 레그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지지벽들의 바닥들과 각각의 측벽의 바닥은 바닥 플레이트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각각 마주보는 측벽들은 바닥 크로스 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설계에서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도관은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각각이 상기 지지장치와 상기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몸체를 구비하는 몇 개의 상호 마주보는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측벽들은 각각의 지지벽들 사이에 각각 연장된다. 지지벽을 포함하는 상기 측벽들은, 상기 측벽들이 경사지거나 굴곡진 영역을 통하여 그들의 측 방향의 지지벽들로 병합되면서, 부분들을 몰딩할 수 있다.
몇몇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측벽들로 이루어진 가이드 도관에서, 상기 가이드 도관은 각각의 측면 상에 L자 형상으로 배치된 레그들을 구비한 가이드 사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들 중 하나의 레그는 상기 측벽들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측벽들에 대하여 수직이고 상기 가이드 도관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레그들은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하부 스트랜드에 대한 측면 가이드 또는 지지표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몸체의 상측면에 실질적으로 평평한 주행면으로 설계된 상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 도관과, 상기 지지장치가 각각의 측벽의 내측면을 넘어 크게 돌출되지 않는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지지 장치가 상기 측면에 대하여 가이드 도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위치까지 중력 및/또는 스프링 힘에 의하여 단독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도관의 각각의 측벽에서의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는 제1 위치에서의 몸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가 상기 지지장치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전시키는 스위칭 장치 상에 형성된다는 사실에 의하여, 상기 스위칭 장치와 지지장치 사이에 결합을 생성하는 간단한 구조가 달성된다. 상기 스위칭 장치의 몸체의 상측면 상에 형성된 케이블 리셉터클의 상부 스트랜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평한 주행면은 각각의 스트랜드가 안정적이고 견실하게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이드되는 것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낮은 마모와 로우 웨어링(low-wearing)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3개의 다른 주행 가능한 위치에서, 케이블 리셉터클을 가지는 가이드 도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가이드 도관의 내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도관의 사이드 부재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가이드 도관의 외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도 2에 도시된 사이드 부재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가이드 도관의 내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이드 도관의 사이드 부재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가이드 도관의 외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도 4에 도시된 가이드 도관의 사이드 부재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 및 5에 도시된 사이드 부재들을 포함한 가이드 도관이 영역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 도관의 영역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 도관의 영역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화살표 B방향에서의 전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고정접점(3)과 이동접점(4)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고정접점(3)에 연결되는 하부 스트랜드(5)와 상기 이동접점(4)에 연결되는 상부 스트랜드(6)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리셉터클(2)용 가이드 도관(1)을 나타낸다. 상기 두개의 스트랜드(5, 6)는 리다이렉션 보우(redirection bow) (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도관(1)은 상기 가이드 도관(1)의 길이방향에 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사이드 부재들(8)의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드 부재들(8)은 도 2 및 3과, 4 및 5에 각각 두 개의 다른 실시예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부재(8)는 상기 두 개의 스트랜드(5, 6)의 측면 영역과 접촉되는 내측면들(9), 그리고 상기 합 스트랜드(5)에 수직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상기 하부 스트랜드(5)의 고정접점(3)을 넘어 상기 상부 스트랜드(6)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지지장치(10)를 가진다.
도 1에서, 좌측, 중앙 및 우측 영역에서 케이블 리셉터클의 3개의 다른 주행 지점이 나타난다. 우측 영역에서, 케이블 리셉터클(2)은 이동접점(4)으로부터 리다이렉션 보우(7) 및 최대로 연장된 하부 스트랜드(5)로 병합되도록 각각의 방향으로 최대 주행 지점에 도달한다. 상기 하부 스트랜드(5)는 가이드 도관(1)의 양측부 상에 배치된 가이드 사이드 부재들(11)내에서 그것의 전체 길이가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 사이드 부재들(11)은 L자 형상의 레그들을 가지고, 하나의 레그는 사이드 부재들(8)이 내측을 따라 연장되며, 다른 레그는 바닥 크로스 부재들(12)을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레그들은 케이블 리셉터클의 하부 스트랜드(5)에 대하여 측면 가이드를 형성하거나, 표면들을 지지한다.
상기 상부 스트랜드(6)가 지지되고, 지지장치(10)를 구비하는 사이드 부재들(8)이 배치된(도 1의 중앙영역에 근접되도록) 영역의 외측에서는, 상기 가이드 사이드 부재들(11)이 마주보며 배치된 사이드 부재 홀더들(13)에 고정되고, 이를 연결하는 바닥 플레이트(12)(도 1이 우측 영역)에 고정된다.
도 1의 중앙에서 더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에 연결된 케이블 리셉터클(2)을 포함한 이동 접점(4)이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최대 지점으로부터 좌측 지점으로 이동된다면, 상기 상부 스트랜드(6)는 사이드 부재들(8) 사이에서의 지지장치(10)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지점에서는, 리다이렉션 보우는 제1 쌍의 마주보는 사이드 부재들(8)의 외측의 우측 편에 있다. 케이블 리셉터클(2)이 좌측으로 더 이동된다면, 리다이렉션 보우(7)는 마주보는 사이드 부재들(8) 사이에 가이드 도관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지지장치(10)를 접촉할 것이다. 도 2 및 3과, 도 4 및 5 각각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지지장치(10)에 대한 특별한 설계로 인하여, 리다이렉션 보우(7)를 접촉할 때, 지지장치들(10)은 상부 스트랜드(6)의 지지를 수행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제1 위치로부터 그들이 해당 사이드 부재들(8)의 내측면들(9)을 넘어 내측으로 크게 돌출하지 않고, 케이블 리셉터클(2)이 연속적인 주행이 도 1의 좌측으로 방해되지 않는 제2 지점 외측으로 회전된다.
리다이렉션 보우(7)가 두 개의 마주보는 사이드 부재들(8) 사이에 통과한 후에, 도 2 및 3에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메커니즘은 지지장치들(10)이 제2 지점에서 원래의 제1 지점으로 다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의 좌측에서 도시된 케이블 리셉터클(2)의 위치에서, 상기 이동접점(3)은 고정접점(3)의 좌측 상에 최원거리의 지점에 도달한다. 상기 리다이렉션 보우(7)는 즉시 고정접점(3)을 연결하고, 상기 전체의 상부 스트랜드가 마주보도록 배치된 사이드 부재들(8)의 쌍들과 그 들 상부에 배치된 지지장치들(10)에 의한 지지가 필요해진다.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2)이 이 지점에서 다시 우측으로 이동된다면, 리다이렉션 보우(7)와 지지장치는 리다이렉션 보우(7)의 우측에 배치된 부재들(8)의 쌍에서 다시 서로 접촉된다. 이하에서 설명된 메커니즘에 의하여, 지지장치들(10)은 이 접촉으로 인하여 각각의 사이드 부재들(8)사이에 돌출하는 제1 지점으로부터 그들이 사이드 부재들(8)의 내측면들(9)을 넘어 크게 돌출하지 않고, 사이드 부재들(8) 사이에서 그리고 사이드 부재들(8)을 통하여 우측으로 주행할 때 리다이렉션 보우(7)를 방해하지 않는 제2 지점의 외측으로 다시 회전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리셉터클의 상부 스트랜드용 지지장치(10)는, 지지장치(10)가 사이드 부재(8)의 측면(9)에 대하여 가이드 도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 지점에서 사이드 부재(8)의 측벽에서의 개구(16)를 통하여 연장되는, 몸체(15)의 상측면 상에 실질적으로 평평한 주행표면(14)으로서 설계된다.
상기 몸체(15)는 각각의 측면(9)에 대하여 수직으로 주행하는 대칭축을 가지는 부분적으로 원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주행면(14)을 형성하는 플래트닝(flattening)을 포함한다. 상기 플래트닝은 수평방향으로의 폭의 3/4 이상 근접하도록 상기 몸체의 중앙영역으로 확장된다. 상기 몸체(15)의 아랫방향으로 가리키는 영역에서는, 대략 상기 플래트닝의 폭 이상으로 절단된다. 수평방향으로 카리키는 몸체(15)의 양측 상에는, 표면들(18, 19)이 측면(9)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표면들(18, 19)은 케이블 리셉터클의 디렉션 보우(97)의 내측 및 외측 영역과 접촉하게 되고, 도 3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몸체(15)가 도 2에 도시된 제1 지점으로부터 측벽(17)의 내측 면(9)을 넘어 상당한 정도로 더 이상 돌출하지 않는 제2 지점까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5)는 측벽(17)의 내측면의 외측에 피봇 암(20)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피봇 암(20)은 지지벽들(23, 24) 상의 자유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두 개의 레그들(21, 22)를 가진다. 중심축은 몸체(15) 하부에 가이드 도관의 길이방향으로 측벽(17)과 소정 간격을 두고 연장된다. 회전을 위한 두 개의 레그들(21, 22)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벽들(23, 24)내의 해당 연결 개구들 내에서 지지되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볼트들(25)을 가진다. 결합 개구들에 결합볼트들(25)을 삽입하기 위하여, 피봇 암(20)의 레그들(21, 22)은 결합볼트들(25)이 결합개구들 내로 잠길 수 있도록 경사지도록 함께 눌려진다.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몸체(15)의 중력의 중앙 지점은, 몸체(15)가 측벽(17)의 측면(9)에서 더 이상 돌출하지 않는 정도까지 외측으로 회전되는 실질적으로 제2 지점에서, 몸체(15)가 가이드 도관의 내부에서 케이블 리셉터클의 리다이렉션 보우에 의하여 접촉되지 않는다면 그것의 무게에 의하여 가이드 도관의 내측으로 단독으로 돌출하는 도 2 및 3에 도시된 제1 지점까지 회전되는 것이다. 외측으로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하여 그리고 내측으로 향하는 회전 동작을 돕기 위하여, 측벽(17)의 외측 상에 배치된 로드 스프링(26)이 사용된다.
도 3은 지지벽들(23, 24)이 바닥들과 측벽(17)의 바닥은 바닥 플레이트(2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다. 측면 지지벽들(23, 24)과 바닥 플레이트(27)을 구비하는 측벽(17)은, 상기 측벽(17)은 경사진 영역들(28, 29)을 통하여 지지벽들(23, 24)로 병합되면서, 몰딩된 금속 부분의 형태로 제공된다.
도 4 및 5는 몸체(15)가 하우징(30) 내측에 형성된 롤러(31)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지지장치(10)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롤러(31)는 측벽(17)에 수직으로 연장된 축(32) 주위에서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30)은 상측면 상에, 도 2에서의 몸체(15)의 주행면(14)을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롤러 표면의 일부(35)가 통과하는 영역의 중앙부위에서 개구(34)가 설치된(통일할 것) 플래트닝(33)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30)의 플래트닝(33)을 포함하는 이 부분(35)은 케이블 리셉터클의 상부 스트랜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주행면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30)의 지오메트리는 도 2에서의 몸체(15)의 지오메트리에 대응된다. 상기 하우징(30)은 롤러(31)의 내측으로 가리키는 전면의 영역 내에 개구되고, 롤러(31)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을 넘어 경사지도록 돌출한다. 상기 가이드 도관의 내측을 가리키고 개구를 둘러싸는 하우징의 림은 롤러(31)의 전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평면으로 플래트닝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의 상측면 상에서의 플래트닝(33)은, 주행면 상에 축적되는 먼지가 주행면 상에서 주행하는 상부 스트랜드의 초과 마모없이 측면방향으로 더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플래트닝(33)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게 측면들(18, 19)에 병합된다.
도 6은 상부 스트랜드(6)의 일부, 리다이렉션 보우(7) 및 케이블 리셉터클(2)의 하부 스트랜드(5)의 일부가 배치되는 가이드 도관(1)의 영역을 다시 한번 나타낸다. 가이드 도관(1)의 영역은 도 4 및 5에 도시된 실시예에 해당되는 두 쌍의 마주보는 사이드 부재들(8)로 구성된다.
도 6의 우측 상에 도시된 사이드 부재들(8)의 쌍에서, 지지장치(10)는 상부 스트랜드(2)를 지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도관(1)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1 지점에 있다. 도 6의 좌측 상에 도시된 상이드 부재들(8)의 쌍에서, 지지장치(10)는 케이블 리셉터클(2)의 리다이렉션 보우(7)의 영역들에 의하여 접촉되는 외측으로 회전되는 제2 지점에 있다. 상기 리다이렉션 보우(7)이 각각의 영역들에 의하여 접촉되기 전 및 후에는, 지지장치(10)가 도 6의 우측에서 나타내는 사이드 부재들(8)에서와 같이 제1 지점으로 회전되고, 두 스트랜드들 사이에서 상부 스트랜드(6)를 지지하기에 효율적이다.
도 7은 우측으로부터 도 6에 도시된 가이드 도관(1)의 영역의 측면도이고, 도 8은 지지장치(10)와 사이드 부재들(8)의 다른 회전 지점을 다시 한번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화살표 B방향에서의 전면도이다. 상기 측면 화살표(36)는 상부 스트랜드(2)를 지지하는 제1 지점으로부터 리다이렉션 보우(2)의 주행경로를 뚫는 제2 지점까지 서로 마주보는 지지장치(10)의 회전방향을 나타낸다.
1: 가이드 도관 2: 케이블 리셉터클
3: 정적접점 4: 동적접점
5: 하부 스트랜드 6: 상부 스트랜드
7: 리다이렉션 보우 8: 사이드 부재
9: 측면 10: 지지장치
11: 가이드 사이드 부재 12: 바닥 크로스 부재
13: 사이드 부재 홀더 14: 주행면
15: 몸체 16: 개구
17: 측벽 18: 표면
19: 표면 20: 피봇 암
21: 레그 22: 레그
23: 지지벽 24: 지지벽
25: 피봇 핀 26: 로드 스프링
27: 바닥 플레이트 28: 경사진 영역
29: 경사진 영역 30: 하우징
31: 롤러 32: 축
33: 플래트닝 34: 개구
35: 부분 36: 화살표

Claims (17)

  1. 고정접점(3)과 이동접점(4)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고정 접점(3)에 연결될 수 있는 하부 스트랜드(5)와 상기 이동접점(4)에 연결될 수 있는 상부 스트랜드(6)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랜드들(5, 6)은 리다이렉션 보우(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케이블 리셉터클(2)을 위한 가이드 도관(1)이고,
    상기 가이드 도관(1)은 상기 두 개의 스트랜드들(5, 6)의 측면영역과 접촉하기 위하여 내측면들에 수직으로 고정된 두 개의 마주보는 측벽들(17)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스트랜드(6)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장치(10)가 상기 마주보는 측벽들(17)의 각각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면(9)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도관(1)의 내부로 돌출하여 상기 상부 스트랜드(6)를 지지하는 제1 지점과, 각각의 측벽(17)의 내측면(9)을 넘어 크게 돌출하지 않고, 상기 상부 스트랜드(6)를 지지하지 않는 제2 지점 사이에 이동가능하며,
    상기 가이드 도관(1)은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2)의 주행경로로 이동될 수 있는 몸체(15) 형태의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15)는 상기 각각의 측벽(17)의 내측면(9)의 외측에 피봇 암(20)을 중추로 하여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 도관(1)의 길이방향으로 가리키는 두 측면 상에 상기 가이드 도관(1)이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며,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2)의 리다이렉션 보우(7)의 내측 및 외측 영역과 이 측면들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측벽(17)의 내측면(9)을 넘어 크게 돌출되지 않고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2)의 연속된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지점으로 이동되며, 상기 두 개의 지점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 장치(10)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 장치(10)는 상기 몸체(15)의 상측면 상에 평평한 주행면(14)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5)는 상기 지지 장치(10)가 상기 각각의 측벽(17)의 내측면(9)을 넘어 돌출되지 않는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지지 장치(10)가 상기 내측면(9)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도관(1)의 내부로 돌출하는 제1 지점으로 그것의 중력 또는 스프링 힘에 의하여 단독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 지점에서의 몸체(15)는 상기 가이드 도관(1)의 각각의 측벽(17)에서의 개구(16)를 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5)는 상기 각각의 내측면(9)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대칭축을 가지는 원뿔대로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측면은 주행면(14)을 형성하는 수평으로 연장된 플래트닝(flatten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트닝은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몸체(15)의 폭의 적어도 반 이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5)의 상측면 상에서의 상기 평평한 주행면(14)이 2차원적으로 경사지거나 또는 구부러진 방식으로 상기 몸체 표면의 인접 영역들로 연속적으로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암(20)의 중심축(pivot axis)은 상기 각각의 내측면(9)의 외측과 상기 몸체(15)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 도관(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5)에서 롤러(31)는 상기 각각의 측벽(17)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 주위를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몸체(15)의 상측면 상에서 상기 주행면(14)은, 상기 몸체(15)의 상측면 상에서의 주행면(14)을 포함하여 상기 롤러 표면의 일부(35)는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2)의 상부 스트랜드(6)의 표면을 연속적인 주행 표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롤러 표면의 일부(35)의 통과를 위한 개구(1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5)는 상기 롤러(31)이 주변에 배치되는 하우징(3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은 상기 롤러(31)의 내측으로 바라보는 전면측의 영역에 개구되고, 이 전면측 상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도관(1)의 내부를 가리키는 상기 하우징(30)의 림은 경사진 표면 또는 상기 롤러(31)의 전면측에 평행하게 주행하는 평면에 대하여 곡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도관(1)의 측벽(17)들은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도관(1)의 측벽(17)들은 상기 지지 장치(10)의 개구(16)에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도관(1)의 길이방향으로의 외측 및 횡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벽들(23, 24)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장치(10)의 피봇 암(20)은 상기 지지장치 상에 측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벽들(23, 24) 상에서 그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두 개의 레그(21, 22)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들(23, 24)의 바닥들과 각각의 측벽(17)의 바닥은 바닥 플레이트(2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 마주보는 측벽들(17)은 바닥 크로스 부재(1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14. 제1항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각각이 상기 지지장치(10)와 상기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는 몸체(15)를 구비하는 몇 개의 상호 마주보는 측벽들(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17)은 각각의 지지벽들(23, 24) 사이에 각각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17)은 경사진 또는 구부러진 영역들(28, 29)를 통하여 각각의 측면 지지벽들(23, 24)로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의 상기 상부 스트랜드(6)가 지지될 수 있는 영역에서, 상기 가이드 도관은 각각의 측면 상에 L자 형상으로 배치된 레그들을 구비한 가이드 사이드 부재(11)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들 중 하나의 레그는 상기 측벽들(17)의 내측을 따라 연장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측벽들(17)에 대하여 수직이고 상기 가이드 도관(1)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레그들은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2)의 하부 스트랜드(5)에 대한 측면 가이드 또는 지지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도관.
KR1020117027254A 2009-04-16 2010-04-15 가이드 도관 KR101272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9005547U DE202009005547U1 (de) 2009-04-16 2009-04-16 Führungsrinne
DE202009005547.7 2009-04-16
PCT/EP2010/054984 WO2010119106A2 (de) 2009-04-16 2010-04-15 Führungsrin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991A KR20120013991A (ko) 2012-02-15
KR101272385B1 true KR101272385B1 (ko) 2013-06-07

Family

ID=4098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254A KR101272385B1 (ko) 2009-04-16 2010-04-15 가이드 도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75486B2 (ko)
EP (1) EP2419981B1 (ko)
KR (1) KR101272385B1 (ko)
CN (1) CN102449868B (ko)
BR (1) BRPI1012519A2 (ko)
DE (1) DE202009005547U1 (ko)
ES (1) ES2532862T3 (ko)
WO (1) WO20101191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05842U1 (de) * 2010-04-19 2011-08-11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nanordnung für umlaufende Verbraucher
DE102011107680A1 (de) * 2011-07-13 2013-01-17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Vorrichtung zur Führung von Versorgungsleitungen
DE202012000614U1 (de) * 2012-01-24 2012-04-17 Igus Gmbh Führungseinrichtung
DE102012111545A1 (de) * 2012-11-28 2014-05-28 Tsubaki Kabelschlepp GmbH Energieführungssystem für lange Verfahrwege
JP2014230470A (ja) * 2013-05-27 2014-12-0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保持構造
US9617796B2 (en) * 2013-10-04 2017-04-11 Electro Mechanical Industries, Inc. Cable management system
US9722402B2 (en) 2014-04-01 2017-08-01 Dynatect Manufacturing, Inc. Cable carrier guide
DE102016102351A1 (de) * 2016-02-11 2017-08-17 PUK Group GmbH & Co. KG Verbindungseinrichtung zur positionsflexiblen, mechanischen Verbindung von Leitungsführungen sowie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mit variabler Winkeleinstellung
DE102016102355A1 (de) * 2016-02-11 2017-08-17 PUK Group GmbH & Co. KG Verbindungseinrichtung zur positionsflexiblen, mechanischen Verbindung von Leitungsführungen sowie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US10724657B2 (en) 2018-01-08 2020-07-28 Dynatect Manufacturing, Inc. Cable carrier guide
DE202018101942U1 (de) * 2018-04-10 2018-05-03 Igus Gmbh System zur Sicherung des Verlaufs einer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und Führungsrinne hierfür
DE202018102238U1 (de) 2018-04-20 2018-04-26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Querstück, entsprechende Seitenlasche und Führungsanordnung hiermit
JP6898579B1 (ja) 2019-08-19 2021-07-07 三菱電機株式会社 支持装置
DE202021104228U1 (de) 2021-08-06 2022-09-07 Igus Gmbh System zur Abstützung einer beweglichen Leitungsaufnahmeeinrichtung, Energieführungskette oder dg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62463A1 (de) * 1973-12-15 1975-06-26 Kabelschlepp Gmbh Anordnung fuer die fuehrung von energieleitungen
US4129277A (en) 1977-02-07 1978-12-12 Mcgraw-Edison Company Retractable roller support for use with flexible rolling support for conductors or conduits
DE202007005478U1 (de) * 2007-04-13 2007-08-09 Igus Gmbh Führungsrin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5332A1 (de) 1985-07-16 1987-01-29 Kabelschlepp Gmbh Anordnung fuer die fuehrung von energieleitungen
GB2219439A (en) * 1988-06-06 1989-12-06 Gore & Ass Flexible housing
US6107565A (en) * 1998-11-17 2000-08-22 A&A Manufacturing Co., Inc. Covered energy transmission line carrier
US6781058B1 (en) * 2003-02-20 2004-08-24 Stoneridge Inc., Alphabet Division Cable guide assembly for a vehicle sliding door
DE102004062470A1 (de) * 2004-12-20 2006-11-02 Kabelschlepp Gmbh Führungssystem für eine Energieführungseinheit sowie Krananordnung
DE202005005826U1 (de) * 2005-04-11 2005-06-16 Igus Gmbh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und System bestehend aus einer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und einer diese aufnehmenden Haltevorrichtung
AT501848B1 (de) * 2005-04-15 2007-04-15 Wien Kanal Abwassertech Gmbh Kabelka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62463A1 (de) * 1973-12-15 1975-06-26 Kabelschlepp Gmbh Anordnung fuer die fuehrung von energieleitungen
US4129277A (en) 1977-02-07 1978-12-12 Mcgraw-Edison Company Retractable roller support for use with flexible rolling support for conductors or conduits
DE202007005478U1 (de) * 2007-04-13 2007-08-09 Igus Gmbh Führungsrin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90870A1 (en) 2012-04-19
DE202009005547U1 (de) 2009-08-20
EP2419981A2 (de) 2012-02-22
EP2419981B1 (de) 2014-12-17
US8575486B2 (en) 2013-11-05
WO2010119106A3 (de) 2011-07-14
WO2010119106A2 (de) 2010-10-21
KR20120013991A (ko) 2012-02-15
CN102449868A (zh) 2012-05-09
CN102449868B (zh) 2014-10-08
ES2532862T3 (es) 2015-04-01
BRPI1012519A2 (pt) 201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385B1 (ko) 가이드 도관
CA1089838A (en) Retractable roller support for use with flexible rolling support for conductors or conduits
KR100763783B1 (ko) 파위 가이드 체인 시스템 및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US8985310B2 (en) Sorting conveyor
KR100917077B1 (ko) 감소된 마찰력을 갖는 에너지 안내 장치
JP4774405B2 (ja) エネルギー供給ユニットに用いられるカート、及び、エネルギー供給装置
CA2151854C (en) Funicular system of rail and running cable type, in particular for urban transport, of the type in which the vehicles are provided with a movable jaw clamp for their coupling to and release from said running cable
US6588583B2 (en) Conveyor system
US20170057359A1 (en) Current collecting device and conductor line system
JP4240758B2 (ja) 搬送設備
JP2981923B2 (ja) ガイドストッパを有するエネルギー案内チェーン
JP4419302B2 (ja) 搬送設備
US6595141B2 (en) Truck transport apparatus
EP3475140B1 (en) Gangway provided with a movable cable holder
US20050217337A1 (en) Guide support for a tube-bending machine
KR20140006130U (ko) 자동방제용 레일대차
JP5999934B2 (ja) 固定循環式ゴンドラリフトの停留場構造
JP4240708B2 (ja) 搬送設備
JP2011050182A (ja) 導電路の屈曲動作ガイド部材及びスライドドア用導電路の屈曲動作ガイド装置
KR20100045384A (ko) 미닫이 장치
CN208474645U (zh) 一种长距离重载拖链承托装置
JP2010064854A (ja) 索条式駆動装置を備えたトロリコンベア
KR20170075080A (ko) 케이블 행거 장치
JPH11157368A (ja) ガイドローラのトロリ線追随装置
KR102253882B1 (ko) 협소 공간의 전선 포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