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882B1 - 협소 공간의 전선 포설장치 - Google Patents

협소 공간의 전선 포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882B1
KR102253882B1 KR1020140007422A KR20140007422A KR102253882B1 KR 102253882 B1 KR102253882 B1 KR 102253882B1 KR 1020140007422 A KR1020140007422 A KR 1020140007422A KR 20140007422 A KR20140007422 A KR 20140007422A KR 102253882 B1 KR102253882 B1 KR 102253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main body
laying
mounting mean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040A (ko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8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devices movable inside cond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01H36/004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push-button-operated, e.g. for keyboard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10)에서 상면(11)과 저면(12)의 단차를 지닌 공간으로 전선(20)을 포설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20)에 포설력을 작용하도록 견인기(34)를 지니는 본체(30); 및 상기 본체(30)의 선단과 후단에 아암(42)(44)을 개재하여 탈부착부재를 구비하는 장착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선박에 형성된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해체의 용이성과 작동 신뢰성을 확보하는 전선포설의 자동화가 가능하여 관련 공정에 소요되는 인력을 대폭으로 감소하면서 시수를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협소 공간의 전선 포설장치{Cable pulling apparatus for narrow spot}
본 발명은 전선 포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정된 공간을 지닌 선박 등에서 동력을 사용하여 각종 전원선이나 신호선을 설치하기 위한 협소 공간의 전선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 전선 포설과 관련된 작업을 생력화하기 위해서 자동화 장비가 선호되고 있으나 개발되는 장비들은 인프라(케이블 트레이 등)가 설치된 상황에서 적용하는 것이어서 협소한 공간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이에 협소 공간에서는 여전히 다수의 작업자가 나란히 서서 손으로 전선을 이동시키고 있다.
이러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454764호(선행특허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481133호(선행특허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특허 1은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원통 형상으로서 내측벽면에는 삽입되는 케이블을 압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요홈이 형성되어 볼이 끼워져 있는 케이블 그리퍼와; 고정물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그리퍼를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볼 스크류 및 모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케이블 손상의 최소화와 더불어 작업자의 안전과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기대한다.
선행특허 2는 고정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견인실린더와, 상기 견인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선단측에 설치되어 견인개시위치에서 케이블을 고정하고 견인종료위치에서 케이블을 고정해제하는 제1 케이블 클램프와, 상기 제1케이블 클램프로부터 케이블 견인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 케이블 클램프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구성의 간소화 및 소형화로 견인장소의 이동과 협소한 장소에서 케이블 견인작업을 가능하게 함을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는 여전히 케이블 트레이와 같은 구조물에 장착하는 용도로서 선박의 바닥이나 벽체에 고정이 곤란할뿐더러 좁고 깊은 공간을 포설하는 경우 설치/해체의 편의성과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기에 한계를 보인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454764호 "케이블 포설 장치"(공개일자 : 2011. 7. 25.)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481133호 "케이블 견인장치"(공개일자 : 2005. 4. 7.)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정된 공간을 지닌 선박 등에서 동력을 사용하여 각종 전원선이나 신호선을 설치하기 위한 협소 공간의 전선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체에서 상면과 저면의 단차를 지닌 공간으로 전선을 포설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에 포설력을 작용하도록 견인기를 지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선단과 후단에 아암을 개재하여 탈부착부재를 구비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장착수단의 탈부착부재는 자력의 단속이 가능한 매그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장착수단의 상부아암은 본체에 힌지로 연결되고, 하부아암은 상부아암에 힌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장착수단의 상부아암 또는 하부아암 중의 적어도 하나는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힌지에 의한 요동을 단속하도록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는 전선을 상방 또는 하방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견인기에 인접하여 안내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에 형성된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해체의 용이성과 작동 신뢰성을 확보하는 전선포설의 자동화가 가능하여 관련 공정에 소요되는 인력을 대폭으로 감소하면서 시수를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포설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포설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설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설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선체(10)에서 상면(11)과 저면(12)의 단차를 지닌 공간으로 전선(20)을 포설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선박의 선체(10)에 형성되는 협소한 공간은 상면(11)과 저면(12)의 단자를 지닌 구조이다. 이와 같은 협소한 공간으로 전선(20)을 포설하는 장치는 설치와 해체의 용이성과 더불어 포설력 변동을 지탱하는 강도를 요한다. 본 발명이 선박의 선체(10)를 대상으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30)가 상기 전선(20)에 포설력을 작용하도록 견인기(34)를 지니는 구조이다. 본체(30)는 전선(20)의 진행방향으로 기준으로 선단과 후단으로 각각 지지대(32)를 구비한다. 견인기(34)는 단속식과 연속식에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단속식은 왕복운동하는 그리퍼(gripper)의 일방향 운동시에만 포설력을 작용하는 방식이고, 연속식은 회전운동하는 벨트컨베이어(belt conveyor) 상에서 지속적으로 포설력을 작용하는 방식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수단(40)이 상기 본체(30)의 선단과 후단에 아암(42)(44)을 개재하여 탈부착부재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장착수단(40)은 본체(30)를 협소한 공간에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상부아암(42)과 하부아암(44)을 포함한다. 상부아암(42)은 본체(30)의 선단 지지대(32)에 연결되고, 하부아암(44)은 본체(30)의 후단 지지대(32)에 연결된다. 탈부착부재는 케이블 트레이와 같은 구조물이 없는 선체(10)에 클램핑하는 수단으로서 자석이 선호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장착수단(40)의 탈부착부재는 자력의 단속이 가능한 매그스위치(48)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착수단(40)의 탈부착부재인 매그스위치(48)는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하여 자석의 배열을 변경함에 따라 자력을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다. 매그스위치(48)는 선체(10)의 상면(11)으로 노출되는 하부아암(44)에 설치하는 것이 좋으나, 하부아암(44) 또는 본체(30)의 저면이나 측면에 부가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장착수단(40)의 상부아암(42)은 본체(30)에 힌지(46)로 연결되고, 하부아암(44)은 상부아암(42)에 힌지(46)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아암(42)과 하부아암(44)이 각각의 힌지(46)로 연결되면 협소한 공간에서 상면(11)과 저면(12)의 높이 차이에 대응하여 각도를 달리하여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도 1에서 생략되었으나, 포설되는 전선(20)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상부아암(42)은 원형부를 구비하거나 2개의 상부아암(42)을 적절한 거리로 이격하여 설치한다.
이때,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장착수단(40)의 상부아암(42) 또는 하부아암(44) 중의 적어도 하나는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힌지(46)에 의한 요동을 단속하도록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아암(42)과 하부아암(44)에 구비된 힌지(46)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면 협소한 공간에서 본체(30)의 설치위치 변경이나 전선(20)의 간섭회피에 유리하다. 다만 상부아암(42)과 하부아암(44)의 슬라이딩 구조는 포설력 변동시 요동을 유발하므로 클램프(도시 생략) 등을 부가하여 힌지(46)에서 회동운동을 구속한다.
도 3과 같이, 아암(42)(44)을 적당한 각도로 벌려서 본체(30)의 저면이 협소한 공간의 저면(12)에 닿는 경우 힌지(46)에서의 요동은 자연적으로 구속되어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다. 만일, 도 4와 같이 협소한 공간의 폭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본체(30)를 뒤집어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공중에 매달린 본체(30)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전술한 클램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30)는 전선(20)을 상방 또는 하방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견인기(34)에 인접하여 안내대(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체(30)가 전선(20)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예로서 안내대(36)는 단지 전선(20)의 좌우 요동을 방지하는 정도로 무방하다. 도 4는 본체(30)가 전선(20)을 상방에서 지지하는 예로서 안내대(36)는 전선(20)의 하중을 받으면서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어느 경우에나 안내대(36)는 원형몸체의 내주면에 다수의 롤러를 구비하고 포설전후 전선(20)의 출입을 위해 개폐가능한 구조를 택한다.
한편, 도시에는 생략하나, 본 발명의 상부아암(42)과 하부아암(44)은 자체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도 좋다. 이는 선체(10)의 협소한 공간에서 상면(11)과 저면(12)의 다양한 형태에 맞추어 본체(30)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변화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선체 11: 상면
12: 저면 20: 전선
30: 본체 32: 지지대
34: 견인기 36: 안내대
40: 장착수단 42: 상부아암
44: 하부아암 46: 힌지
48: 매그스위치

Claims (5)

  1. 선체(10)에서 상면(11)과 저면(12)의 단차를 지닌 공간으로 전선(20)을 포설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20)에 포설력을 작용하도록 견인기(34)를 지니는 본체(30); 및
    상기 본체(30)의 선단과 후단에 아암(42)(44)을 개재하여 탈부착부재를 구비하는 장착수단(40);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수단(40)의 상부아암(42)은 본체(30)에 힌지(46)로 연결되고, 하부아암(44)은 상부아암(42)에 힌지(46)로 연결되며,
    상기 장착수단(40)의 상부아암(42) 또는 하부아암(44) 중의 적어도 하나는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힌지(46)에 의한 요동을 단속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본체(30)는 전선(20)을 상방 또는 하방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견인기(34)에 인접하여 안내대(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 공간의 전선 포설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40)의 탈부착부재는 자력의 단속이 가능한 매그스위치(48)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 공간의 전선 포설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07422A 2014-01-21 2014-01-21 협소 공간의 전선 포설장치 KR102253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422A KR102253882B1 (ko) 2014-01-21 2014-01-21 협소 공간의 전선 포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422A KR102253882B1 (ko) 2014-01-21 2014-01-21 협소 공간의 전선 포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040A KR20150087040A (ko) 2015-07-29
KR102253882B1 true KR102253882B1 (ko) 2021-05-20

Family

ID=53876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422A KR102253882B1 (ko) 2014-01-21 2014-01-21 협소 공간의 전선 포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843Y1 (ko) * 2020-06-05 2020-12-18 이은상 케이블 이송 가이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64Y1 (ko) * 2010-04-22 2011-07-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764B1 (ko) 2001-09-26 2004-11-05 주식회사 와이.비 인터내셔날 하부 뚜껑이 없는 본체 케이스와 보조 케이스로 조립된손목시계
KR100481133B1 (ko) 2004-10-05 2005-04-07 윤재흥 케이블 견인장치
KR101009530B1 (ko) * 2008-05-13 2011-01-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와이어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64Y1 (ko) * 2010-04-22 2011-07-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040A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358B1 (ko) 케이블포설장치
FR3033952B1 (fr) Devidoir pour cable electrique
MX339800B (es) Maquina clasificadora de alambres y metodo para clasificar alambres.
US20180306348A1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telescoping assembly
ES2554647A1 (es) Grúa de pórtico para la manipulación de contenedores.
CN104909202A (zh) 一种使用线缆的支撑装置
KR102253882B1 (ko) 협소 공간의 전선 포설장치
KR102296756B1 (ko) 컨덕터 레일용 체결 장치 및 컨택트 라인 시스템
CN104280220B (zh) 一种光学检测平台
KR101081367B1 (ko) 통신 케이블용 조가선의 간격 조정 및 유지 지그
KR200482984Y1 (ko) 전선 포설 안내장치
GB2497689A (en) A seafastening apparatus for a tensioner assembly
US11111104B2 (en) Elevator traveling cable hanger assembly
KR101311873B1 (ko) 타워크레인 후크 하방 모니터링 카메라 시스템
US11661091B2 (en) Line bypass system
CN105621036A (zh) 移动悬吊装置
KR200483041Y1 (ko) 케이블 가설 장치
KR101311429B1 (ko) 케이블 행거
JP2006090722A (ja) 自走式電線検査装置
KR101271670B1 (ko) 사다리 고정장치
CN105084155B (zh) 电梯设备
KR200478590Y1 (ko) 전력선 연결 장치
JP2016113087A (ja) トロリー線支持装置
KR200487710Y1 (ko)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KR20160068373A (ko) 케이블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