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373A - 케이블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373A
KR20160068373A KR1020140174033A KR20140174033A KR20160068373A KR 20160068373 A KR20160068373 A KR 20160068373A KR 1020140174033 A KR1020140174033 A KR 1020140174033A KR 20140174033 A KR20140174033 A KR 20140174033A KR 20160068373 A KR20160068373 A KR 20160068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ble
link
adjacent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965B1 (ko
Inventor
한희준
김은구
윤정훈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96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3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gravity-loaded or spring-loaded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Landscapes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케이블 가이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 장치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되, 가이드유닛은, 케이블의 일 측부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에 결합되어 케이블의 타 측부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에 접하는 롤러부, 및 프레임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프레임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상대적인 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가이드 장치{Device for guid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자의 개입 없이도 케이블의 최소 곡률반경을 유지하며 케이블을 인입할 수 있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의 플랫폼(platform)에는 전력 공급, 데이터 전송 등을 위한 각종 케이블(cable)이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블은 육상의 구조물로부터 공급되며, 해저면에 매설된 채로 플랫폼에 인입되어 설치된다.
한편, 플랫폼은 케이블의 인입을 위한 설치공간이 매우 협소하므로, 케이블이 최소 곡률반경을 유지하며 인입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직접 케이블을 플랫폼 외부로 빼내고 다시 넣는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블의 최소 곡률반경을 유지시키는 롤러(quadrant)를 사용할 수 있으나, 롤러는 부피가 커 플랫폼 내부로 진입이 어렵고, 수평 방향으로 케이블을 인입하는 경우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롤러를 적용하여 케이블을 수평 방향으로 인입시키더라도 작업자 없이는 작업이 불가능하여 인력 및 그에 따른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22033호 2003.03.1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협소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자의 개입 없이도 케이블의 최소 곡률반경을 유지하며 케이블을 인입할 수 있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케이블의 일 측부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의 타 측부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에 접하는 롤러부, 및 상기 프레임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상대적인 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복수 개의 링크가 서로 직렬로 연결된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되 상기 복수 개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프레임에 고정된 복수 개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에 접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1 링크, 제2 링크, 및 제3 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프레임에 고정된 링크부의 제2 링크와 서로 접하며, 상기 제3 링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제2 링크와 상기 프레임이 이루는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과 상기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고정판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홀 중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도록 서로 중첩되고,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판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홀은 상기 프레임과의 거리가 서로 다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케이블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굴절된 상기 케이블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제1 프레임 사이 또는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제2 프레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양단부에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프레임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유닛 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케이블이 설치되는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케이블이 최소 곡률반경을 유지하며 설치공간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유닛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케이블이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여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협소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자의 별다른 개입 없이도 케이블을 인입할 수 있어 인력 및 그에 따라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가이드유닛이 이격 각을 조절하기 위해 연결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 장치(1)는 전력 공급, 데이터 전송 등에 사용되는 케이블(C)이 최소 곡률반경을 유지하며 설치공간에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해상에 설치된 플랫폼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케이블 가이드 장치(1)가 플랫폼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케이블(C)이 설치되는 다양한 사용처에 적용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1)는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유닛(100) 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케이블(C)이 설치되는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케이블(C)이 최소 곡률반경을 유지하며 설치공간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곡률반경(Radius of curvature)이라 함은, 케이블의 기계적, 전기적 특성이 변형되지 않고 케이블이 구부러질 수 있는 한계 반경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동선 케이블은 곡률반경이 직경의 6~8배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케이블은 곡률반경이 직경의 20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가이드 장치(1)는 각각의 가이드유닛(100)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케이블(C)이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여 가이드유닛(100)을 연장하여 조립하거나 단축하여 조립할 수 있다. 또한, 협소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자의 별다른 개입 없이도 케이블(C)을 인입할 수 있어 인력 및 그에 따라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케이블 가이드 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 장치(1)는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유닛(100)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가이드유닛(100)은 프레임(10)과, 롤러부(20)와, 체결부(30), 및 각도조절부(4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제1 프레임(11)은 케이블(C)의 일 측부를 지지하고, 제2 프레임(12)은 케이블(C)의 타 측부를 지지한다. 도면 상에는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제1 프레임(11)이 케이블(C)의 하부를 지지하고 제2 프레임(12)이 굴절된 케이블(C)의 외측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1)은 케이블(C)의 하부를 지지하고 제2 프레임(12)은 굴절된 케이블(C)의 내측부를 지지할 수도 있으며,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은 특정 각도를 이루며 결합되어 케이블(C)의 양 측부를 각각 지지할 수도 있다.
이하,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제1 프레임(11)이 케이블(C)의 하부를 지지하고 제2 프레임(12)이 굴절된 케이블(C)의 외측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제1 프레임(11)은 상면이 내측으로 만입된 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2 프레임(12)은 일 측면이 내측으로 만입된 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프레임(12)은 제1 프레임(11)의 측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하나에 수직으로 결합되는데, 이 때, 만입된 측면이 제1 프레임(11)의 상면을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이 결합되어 중앙에 안착공간이 형성되며, 안착공간에는 케이블(C)이 안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은 설치공간의 바닥면(200a)에 안착되며, 제2 프레임(12)은 바닥면(200a)과 직교하는 벽면(200b)에 접하여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제2 프레임(12)은 벽면(200b)가 접하는 측면에 우레탄 재질의 보강재가 결합되어 벽면(200b)과의 반복적인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고 가이드유닛(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프레임(12)은 굴절된 케이블(C)의 외측부를 지지하여 케이블(C)이 곡률반경을 유지하며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다.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롤러부(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롤러부(20)는 안착공간에 위치한 케이블(C)과 접하며 회전하여 케이블(C)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1 프레임(11)에 결합되는 제1 롤러부(21)와 제2 프레임(12)에 결합되는 제2 롤러부(22)를 포함한다.
제1 롤러부(21)는 제1 프레임(11)의 만입된 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부가 제1 프레임(1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롤러부(22)는 제2 프레임(12)의 만입된 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부가 제2 프레임(1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2)은 만입된 측면이 제1 프레임(11)의 상면을 향하도록 결합되므로, 제1 롤러부(21)와 제2 롤러부(22)는 각각 케이블(C)의 하부와 일 측부에 접하며 케이블(C)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롤러부(21)는 케이블(C)이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제2 롤러부(22)는 케이블(C)의 이동을 유도함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해 케이블(C)이 펴져 이동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제2 롤러부(22)는 케이블(C)이 곡률반경을 유지하며 구부러질 수 있도록 외측에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프레임(10)의 양 측에는 각각 체결부(30)가 설치된다. 체결부(30)는 프레임(10)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100)의 프레임(10)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제1 프레임(11)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100)의 제1 프레임(11) 사이 또는 제2 프레임(12)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100)의 제2 프레임(12)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체결부(30)는 양단부에 고리가 형성되어 프레임(10)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100)의 프레임(10)에 각각 고정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한 쌍의 체결편(31)과 체결고리(32)를 포함한다.
체결편(31)은 볼트(bolt)와 같이, 봉 또는 막대 형상의 부재 상단부에 판 형상의 부재가 결합되어 단턱 구조를 형성하며, 제1 프레임(11)의 양 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체결편(31)은 쌍을 이루어 제1 프레임(11)의 양 측에 각각 결합되되, 제2 프레임(12)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면 상에는 체결편(31)이 제1 프레임(11)의 상면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체결편(31)은 제1 프레임(11)의 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체결편(31)에는 체결고리(32)가 연결된다.
체결고리(32)는 봉 또는 막대 형상의 부재 양단부에 각각 고리 형상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일단부가 체결편(3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인접한 체결편(31)에 연결된다. 즉, 체결고리(32)는 체결편(31)과 인접한 체결편(31)을 연결하여 프레임(10)과 인접한 프레임(10)을 서로 연결하며, 프레임(10)과 인접한 프레임(10)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편(31)은 단턱구조를 형성하므로, 체결고리(32)는 체결편(3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프레임(10)과 인접한 프레임(10)을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10)의 양 측에는 각각 각도조절부(40)도 설치된다. 각도조절부(40)는 프레임(10)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100)의 프레임(10) 사이에 개재되어, 프레임(10)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100)의 프레임(1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상대적인 각을 조절하는 것으로, 가이드유닛(100)의 제1 프레임(11)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100)의 제1 프레임(11) 사이의 간격은 좁게 배치하고 가이드 유닛(100)의 제2 프레임(12)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100)의 제2 프레임(12) 사이의 간격은 넓게 배치하여 이격 각을 조절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40)는 복수 개의 링크가 서로 직렬로 연결된 링크부를 포함하며, 링크부는 양단부가 프레임(10)에 각각 고정되되 복수 개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는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100)의 프레임(10)에 고정된 복수 개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에 접하여 프레임(10)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100)의 프레임(10) 사이의 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링크부는 제1 링크(41)와 제2 링크(42), 및 제3 링크(43)를 포함한다.
제1 링크(41)와 제2 링크(42), 및 제3 링크(43)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며, 길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링크(41)와 제2 링크(42), 및 제3 링크(43)는 길이 비가 약 1:14:2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링크(41)와 제2 링크(42), 및 제3 링크(43)의 길이 비가 1:14:2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프레임(10)의 크기 및 요구되는 프레임(10)의 이격 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링크(41)는 일단부가 프레임(10), 예를 들어 제2 프레임(12)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1 프레임(11)의 일 측에 고정되고, 제2 링크(42)는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100)의 프레임(10)에 고정된 링크부의 제2 링크(42)와 서로 접하며, 제3 링크(43)는 프레임(10),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1)에 고정되는 위치가 가변되어 제2 링크(42)와 프레임(10)이 이루는 각도가 가변될 수 있다. 이 때, 제3 링크(43)는 일단부가 제1 프레임(11)에 형성된 복수 개의 만입홈(11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며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만입홈(11a)은 제2 프레임(12)에 근접 배치된 제1 프레임(11)의 타 측에 배치되며, 제1 프레임(11)의 양 측면에 각각 병렬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만입홈(11a)은 제1 프레임(11)의 내측으로 만입 형성되므로, 제3 링크(43)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만입홈(11a)이 형성됨으로써, 제2 링크(42)는 제3 링크(43)가 삽입되는 만입홈(11a)의 위치에 따라 프레임(10)과 이루는 각도가 변하여 프레임(10)과 인접한 프레임(10) 사이의 이격 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링크(43)를 제2 프레임(12)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만입홈(11a)에 삽입하는 경우, 제1 링크(41)와 제2 링크(42) 사이의 각은 증가하고 제2 링크(42)와 제3 링크(43) 사이의 각은 감소하여, 제2 링크(42)가 제1 프레임(11)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링크(42)가 제1 프레임(11)으로부터 이격 배치됨으로써, 프레임(10)과 인접한 프레임(10) 사이의 이격 각이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제3 링크(43)를 제2 프레임(12)에 근접한 만입홈(11a)에 삽입하는 경우, 제1 링크(41)와 제2 링크(42) 사이의 각은 감소하고 제2 링크(42)와 제3 링크(43) 사이의 각은 증가하여, 제2 링크(42)가 제1 프레임(11)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근접 배치될 수 있다. 제2 링크(42)가 제1 프레임(11)으로부터 근접 배치됨으로써, 프레임(10)과 인접한 프레임(10) 사이의 이격 각이 감소할 수 있다.
프레임(10)과 인접한 프레임(10) 사이의 이격 각은 각도조절부(40)와 인접한 각도조절부(40)에 의해 결정되며, 제2 링크(42)는 인접한 제2 링크(42)와 접하여 프레임(10)과 인접한 프레임(10) 사이의 이격 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링크(42)와 인접한 제2 링크(42)는 외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프레임(10)과 인접한 프레임(10)의 이격 각을 유지시킨다. 이 때, 제2 프레임(12)의 외측을 따라 별도의 가이드라인(도시되지 않음)을 배치하여 프레임(10)과 인접한 프레임(1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설치공간의 형상에 따라 프레임(10) 사이의 이격 각을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케이블(C)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케이블 가이드 장치(1)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 장치(1)는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유닛(100) 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케이블(C)이 설치되는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케이블(C)이 최소 곡률반경을 유지하며 설치공간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유닛(100)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케이블(C)이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여 가이드유닛(100)을 연장하여 조립하거나 단축하여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별다른 개입 없이도 케이블(C)을 인입할 수 있어 인력 및 그에 따라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3의 (a)는 케이블의 곡률반경이 큰 경우 가이드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평면도이다.
케이블(C)의 곡률반경이 큰 경우, 가이드유닛(100a)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100b) 사이의 이격 각(α1)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0a)과 인접한 프레임(10b)은 직렬로 배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체결편(31)에 연결된 체결고리(3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케이블(C)의 곡률반경이 큰 경우, 제2 프레임(12)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만입홈(11a)에 제3 링크(43)의 일단부를 삽입한다. 제3 링크(43)가 제2 프레임(12)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만입홈(11a)에 삽입됨으로써, 제2 링크(42)가 제1 프레임(11)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프레임(10a)과 인접한 프레임(10b)이 이격 배치되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a, 10b) 사이의 이격 각(α1)이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제2 링크(42a)와 인접한 제2 링크(42b)는 외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프레임(10a)과 인접한 프레임(10b) 사이의 이격 각(α1)을 유지시킬 수 있다.
프레임(10a, 10b)은 내측면에 각각 제1 롤러부(21)와 제2 롤러부(2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케이블(C)은 제1 롤러부(21)와 제2 롤러부(22)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2 롤러부(22)는 탄성력에 의해 케이블(C)이 펴져 이동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외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도 4의 (a)는 케이블의 곡률반경이 작은 경우 가이드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평면도이다.
케이블(C)의 곡률반경이 작은 경우, 가이드유닛(100a)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100b) 사이의 이격 각(α2)을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케이블(C)의 곡률반경이 작은 경우, 제2 프레임(12)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만입홈(11a)에 제3 링크(43)의 일단부를 삽입한다. 제3 링크(43)가 제2 프레임(12)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만입홈(11a)에 삽입됨으로써, 제2 링크(42)가 제1 프레임(11)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근접 배치된다. 따라서, 프레임(10a)과 인접한 프레임(10b)이 근접 배치되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a)과 인접한 프레임(10b) 사이의 이격 각(α2)이 감소할 수 있다. 이 때, 제2 링크(42a)와 인접한 제2 링크(42b)는 외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프레임(10a)과 인접한 프레임(10b) 사이의 이격 각(α2)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2 링크(42a)와 인접한 제2 링크(42b)의 외측면이 서로 밀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유닛(100-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가이드유닛이 이격 각을 조절하기 위해 연결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유닛(100-1)은 각도조절부(40)가 고정판(44)과 고정나사(45)로 형성되어 프레임(10)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100)의 프레임(1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상대적인 각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유닛(100-1)은 각도조절부(40)가 고정판(44)과 고정나사(45)로 형성되어 프레임(10) 사이의 각을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각도조절부(40)는 고정판(44)과 고정나사(45)를 포함한다.
고정판(44)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장방형의 판 부재로, 제1 프레임(11)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이 때, 제1 프레임(11)의 일 측면에 결합된 고정판(44)과 타 측면에 결합된 고정판(44)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존재하도록 결합되어, 각각의 고정판(44)은 인접한 고정판(44)과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판(44)은 상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고정홀(44a)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고정홀(44a)은 각각 장공 형태로 형성되며, 프레임(10), 특히 제1 프레임(11)과의 거리가 서로 다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고정홀(44a)은 제1 프레임(11)의 측면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되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일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도면 상에는 고정판(44)에 3개의 고정홀(44a)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고정홀(44a)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홀(44a) 중 적어도 하나에는 고정나사(45)가 삽입될 수 있다. 즉, 고정판(44)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100)의 고정판(44)은 복수 개의 고정홀(44a) 중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도록 중첩되고, 고정나사(45)는 고정홀(44a)에 삽입되어 고정판(44)을 고정한다.
고정나사(45)는 볼트 형상의 부재로, 봉 또는 막대 형상의 부재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편(45a)이 돌출 형성된다. 고정나사(45)에 고정편(45a)이 형성됨으로써, 서로 중첩 배치된 고정판(44)과 인접한 고정판(44)은 좌우 방향 이동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 이동도 제한되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44)과 인접한 고정판(44)이 중첩되어 서로 연통되는 고정홀(44a)에 고정나사(45)를 수직 방향으로 삽입한 후,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45)를 90° 회전시키면 하방에 위치한 고정판(44)의 하면에 고정편(45a)이 걸리게 되므로 중첩 배치된 고정판(44)은 서로 고정된다.
한편, 복수 개의 고정홀(44a)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고 서로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고정나사(45)가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프레임(10)과 인접한 프레임(10) 사이의 이격 각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나사(45)를 제2 프레임(12)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고정홀(44a)에 삽입하는 경우, 프레임(10)과 인접한 프레임(10) 사이의 이격 각이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고정나사(45)를 제2 프레임(12)에 근접한 고정홀(44a)에 삽입하는 경우, 프레임(10)과 인접한 프레임(10) 사이의 이격 각이 감소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를 참조하여, 케이블 가이드 장치(1)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7은 케이블의 곡률반경이 큰 경우 가이드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프레임(10a)과 인접한 프레임(10b)은 직렬로 배치되며, 양단부가 각각 체결편(31)에 연결된 체결고리(3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케이블(C)의 곡률반경이 큰 경우, 제2 프레임(12)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한 고정홀(44a)과 중간에 위치한 고정홀(44a)에 각각 고정나사(45)를 삽입한다. 이 때, 제2 프레임(12)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한 고정홀(44a)에 삽입된 고정나사(45)는 프레임(10a)과 인접한 프레임(10b)의 회전축 역할을 하며, 중간에 위치한 고정홀(44a)에 삽입된 고정나사(45)는 프레임(10a)과 인접한 프레임(10b)의 이격 각(α1)을 설정한다. 고정나사(45)가 중간에 위치한 고정홀(44a)에 삽입됨으로써, 프레임(10a)과 인접한 프레임(10b)이 이격 배치되어 프레임(10a, 10b) 사이의 이격 각(α1)이 증가할 수 있다.
도 8은 케이블의 곡률반경이 작은 경우 가이드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케이블(C)의 곡률반경이 작은 경우, 제2 프레임(12)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한 고정홀(44a)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고정홀(44a)에 각각 고정나사(45)를 삽입한다. 이 때, 제2 프레임(12)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한 고정홀(44a)에 삽입된 고정나사(45)는 프레임(10a)과 인접한 프레임(10b)의 회전축 역할을 하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고정홀(44a)에 삽입된 고정나사(45)는 프레임(10a)과 인접한 프레임(10b)의 이격 각(α2)을 설정한다. 고정나사(45)가 제2 프레임(12)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고정홀(44a)에 삽입됨으로써, 프레임(10a)과 인접한 프레임(10b)이 근접 배치되어 프레임(10a, 10b) 사이의 이격 각(α2)이 감소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케이블 가이드 장치 10, 10a, 10b: 프레임
11: 제1 프레임 11a: 만입홈
12: 제2 프레임 20: 롤러부
21: 제1 롤러부 22: 제2 롤러부
30: 체결부 31: 체결편
32: 체결고리 40: 각도조절부
41: 제1 링크 42, 42a, 42b: 제2 링크
43: 제3 링크 44: 고정판
44a: 고정홀 45: 고정나사
45: 고정편 100, 100a, 100b, 100-1: 가이드유닛
200a: 바닥면 200b: 벽면
C: 케이블

Claims (9)

  1.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유닛은,
    케이블의 일 측부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의 타 측부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에 접하는 롤러부; 및
    상기 프레임과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상대적인 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복수 개의 링크가 서로 직렬로 연결된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되 상기 복수 개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위치가 가변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프레임에 고정된 복수 개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에 접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제1 링크, 제2 링크, 및 제3 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프레임에 고정된 링크부의 제2 링크와 서로 접하며, 상기 제3 링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제2 링크와 상기 프레임이 이루는 각도가 가변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과 상기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고정판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홀 중 적어도 하나가 일치하도록 서로 중첩되고,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판을 고정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홀은 상기 프레임과의 거리가 서로 다르도록 배치된 케이블 가이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케이블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굴절된 상기 케이블의 외측부 또는 내측부를 지지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제1 프레임 사이 또는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제2 프레임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양단부에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인접한 다른 가이드유닛의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1020140174033A 2014-12-05 2014-12-05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101701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033A KR101701965B1 (ko) 2014-12-05 2014-12-05 케이블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033A KR101701965B1 (ko) 2014-12-05 2014-12-05 케이블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373A true KR20160068373A (ko) 2016-06-15
KR101701965B1 KR101701965B1 (ko) 2017-02-02

Family

ID=5613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033A KR101701965B1 (ko) 2014-12-05 2014-12-05 케이블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8101747U1 (de) * 2018-03-28 2018-04-12 Igus Gmbh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315Y1 (ko) * 2001-10-31 2002-02-04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포설용 가이드 로울러
KR20030022033A (ko) 2001-09-06 2003-03-15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의 보호안내 가이드
KR20110072138A (ko) * 2009-12-22 2011-06-29 금성에이스산업(주) 이송롤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033A (ko) 2001-09-06 2003-03-15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의 보호안내 가이드
KR200263315Y1 (ko) * 2001-10-31 2002-02-04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포설용 가이드 로울러
KR20110072138A (ko) * 2009-12-22 2011-06-29 금성에이스산업(주) 이송롤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965B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501B1 (ko) 케이블 안내 장치
KR102067816B1 (ko) 전력구내 설치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JPH08308076A (ja) 動力供給チェーン
KR20120092061A (ko) 다관절형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KR101891092B1 (ko) 건축물 커튼월용 트러스 연결장치
KR101703495B1 (ko) 케이블류 지지 보호유닛
US20160184881A1 (en) Riveting machine
KR101328197B1 (ko)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장치
CN112636285A (zh) 线条体支撑装置
KR101701965B1 (ko)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101311453B1 (ko) 가선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선교체방법
KR20150082839A (ko) 주행형 케이블 포설장치
US7744072B2 (en) Positioning device
KR101487889B1 (ko) 케이블 배선용 트레이의 연결장치
KR20180016135A (ko) 변류기
KR20140001501U (ko) 전선 포설 안내장치
KR20100070518A (ko) 케이블 트레이
US11165230B1 (en) Roller assembly for use when drawing a cable through a cable tray
KR101743038B1 (ko) 천막 긴장장치
KR101762562B1 (ko) 회전이 가능한 전력구용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KR101545685B1 (ko) 송배전선로 절연애자
KR101938499B1 (ko) 케이블 베어 활주용 가이드장치
KR20150084409A (ko) 케이블 포설장치
KR200483041Y1 (ko) 케이블 가설 장치
KR20230128808A (ko) Ojc 랙 고정용 폴더블 레일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