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710Y1 -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10Y1
KR200487710Y1 KR2020130007100U KR20130007100U KR200487710Y1 KR 200487710 Y1 KR200487710 Y1 KR 200487710Y1 KR 2020130007100 U KR2020130007100 U KR 2020130007100U KR 20130007100 U KR20130007100 U KR 20130007100U KR 200487710 Y1 KR200487710 Y1 KR 200487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roller
guiding
support plat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947U (ko
Inventor
정동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7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1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9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9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devices movable inside cond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대형 선박 및 해양 공사현장에서 전선의 포설을 용이하게 자동으로 실현할 수 있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레이 행거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링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선을 안내하는 주 롤러 및 상기 주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모터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작업자의 노동력을 감소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포설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ELECTRIC CABLE GUIDE APPARATUS USING MOTOR}
본 고안은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 선박 및 해양 공사현장에서 전선의 포설을 용이하게 자동으로 실현할 수 있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선 포설에 있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전로(트레이)와 케이블 간의 마찰에 의한 저항으로 전선 포설에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선박 건조시 전원 공급 및 장치 간 연결을 위해 각종 케이블 또는 튜브 및 전선 등의 지지 대상물이 포설된다. 이러한 전선은 다단의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내에 설치되어 선박에 고정되며, 그 종류 및 사이즈가 다양하며 선종에 따라 많게는 백만 미터가 포설된다.
여기서, 포설 작업은 배선 작업자에 의해 자동화 장비와 각종 포설용 치구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이때, 가이드 롤러는 케이블과 케이블 트레이 간의 마찰을 감소시켜 케이블의 이송을 더욱 원활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작업의 핵심 치구 중 하나이다.
하지만, 종래에 개발된 롤러는 부피가 크고 무거워 작업자들의 설치 및 해체 작업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각 구간별 설치가 가능한 가이드 롤러가 따로 구분되어 있어, 설치 장소에 따라 매번 해당 특정 가이드 롤러를 구비하여 이동해야하며,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롤러가 필요한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롤러를 설치하지 않아 작업시 과도한 마찰부하와 인양부하가 발생하여 포설 장비가 망가지거나, 케이블의 외피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즉,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케이블 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럼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들이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지지 롤러들 상부에 안착 되는 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드럼에 권취 포설된 케이블의 선출작업이 용이하게 하고, 보조지지체가 지지체의 일 측 또는 양측에 마련되어 드럼에 권취 포설된 케이블을 3선 이상으로 동시에 선출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된 한 쌍의 길이 방향 지지부(4, 5) 및 한 쌍의 길이방향 지지부(4, 5)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횡방향으로 위치된 다수의 횡방향 지지부(6)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3)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케이블 안내 장치(1)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97172호(2011.08.3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83753호(2012.07.26 공개)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는 지상에서의 케이블 선취 작업에는 효율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선박 등과 같은 작업장에서는 실현할 수 없으며, 행거 등에 장착되는 경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케이블 선출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많은 롤러의 사용과 설치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각각의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필요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케이블 안내장치에서는 베이스 부재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베이스 부재를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마련하므로, 현장의 작업자가 각각의 안내장치를 트레이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고, 작업의 완료 후에는 다시 볼트 및 너트를 해제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케이블 안내장치에서는 볼트 및 너트 등을 마련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케이블 안내장치에서는 상부 롤러부가 일정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특정한 규격의 전선만을 안내하여야 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케이블 안내장치에서는 작업자가 롤러를 통해 수동으로 전선을 안내하므로, 많은 인력이 소요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휴대용으로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 구성의 단순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면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되는 전선의 굵기에 관련 없이 전선을 용이하게 자동으로 안내할 수 있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는 전선 포설을 안내하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로서, 트레이 행거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링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선을 안내하는 주 롤러 및 상기 주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 롤러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주 롤러에 마련된 전선을 유지시키는 보조 롤러 및 상기 보조 롤러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롤러는 상기 유지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거치대의 양측에 형성된 링크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거치대의 양측에 마련된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에는 각각 수평 롤러 및 수직 롤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에는 슬롯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판은 상기 슬롯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주 롤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지지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 롤러와 상기 모터는 기어 또는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지지대 상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주 롤러의 전후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 롤러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한 쌍의 주 롤러에 각각 대응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에 마련되어 상기 유지부를 일정 상태로 유지시키는 걸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걸쇠부의 작동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 롤러와 보조 롤러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있어서, 전선 포설 작업을 하는 도중 트레이 행거와의 충돌로 인해 전선 포설 안내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에 각각 범퍼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의하면, 완제품의 롤러를 트레이 행거에 올리기만 함으로 설치 및 분리가 아주 용이하며 한 개의 전선의 설치 완료 후, 다음 전선의 설치 시에도 동일한 롤러를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의하면, 모터의 동력에 의해 전선이 안내되므로 협소한 공간에서의 전선 포설에 작업자의 노동력을 감소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포설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의하면, 가이드 롤러 상에 전선이 장착되면 되므로, 전선의 굵기 등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의하면, 가이드 롤러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므로, 전선의 포설 과정에서 전선의 좌우 이동에 대응하여 가이드 롤러가 이동하므로 포설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안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이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를 사용 상태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전면 사시도.
본 고안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 실시 예 1 >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제1 실시 예의 구성을 도 2 및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이면 사시도 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는 전선 포설을 안내하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로서, 트레이 행거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대(10), 상기 거치대(10)의 링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선을 안내하는 주 롤러(20), 상기 주 롤러(20)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모터부(30), 상기 주 롤러(20)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주 롤러(20)에 마련된 전선을 유지시키는 보조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 롤러(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나팔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회전 가능하게 링크(17) 사이에서 장착되며, 주 롤러(20)와 보조 롤러(70)의 재질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우레탄 수지 등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포설될 전선과의 마찰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특정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주 롤러(20)와 모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롤러(20) 축과 모터 축이 벨트(40)에 의해 연결된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인 또는 기어에 의해 연결되어도 좋다.
한편, 상기 모터부(30)는 상기 주 롤러(20)의 중심축 하부에서 링크(17)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는 전기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면 충분하며 어느 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모터부(30)는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 배터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는 휴대 가능하므로, 이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부(30)에는 상기 모터의 동작을 온 및 오프 시키는 스위치가 마련되므로, 거치대(10)가 트레이 행거에 장착되어 전선을 안내하는 동안만 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전선의 안내 도중 문제가 발생하면 모터를 오프 시키고, 문제를 해결한 후 다시 온 시키는 구조로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롤러(70)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유지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롤러(70)는 상기 유지부(60)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지부(60)는 상기 거치대(10)의 양측에 형성된 링크(17)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지지대(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10)는 상기 거치대(10)의 양측에 마련된 제1 지지판(11)과 제2 지지판(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판(11)과 제2 지지판(12)에는 각각 수평 롤러(13) 및 수직 롤러(14)가 장착된다. 상기 수평 롤러(13) 및 수직 롤러(14)는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 롤러(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판(11)과 제2 지지판(12)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전선 포설 안내장치가 트레이 행거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또 수직 롤러(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판(11)과 제2 지지판(12)의 하부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마련되어 전선 포설 안내장치가 트레이 행거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수평 롤러(13) 및 수직 롤러(14)에 의해 전선의 포설시 포설 위치에 따라 트레이 행거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므로, 전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전선과 주 롤러(20) 및 보조 롤러(70)의 마찰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서는 전선 포설 작업을 하는 도중 트레이 행거와의 충돌로 인해 전선 포설 안내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지지판(11) 및 제2 지지판(12)에 각각 범퍼가 마련된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주 롤러(20)의 내경과 높이는 포설할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변경 가능하므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서 상기 링크(17)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롯(15)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판(12)은 상기 슬롯(15)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지지판(12)이 슬롯 내에서 이동 가능하여 트레이 행거의 폭에 대응하여 가변으로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제2 지지판(12)이 링크(17) 내에서 이동 가능한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지지판(11)이 링크(17) 내에서 이동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지지판(11)과 상기 주 롤러(2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지지 롤러(80)를 더 마련한다. 이와 같이 지지 롤러(8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주 롤러(20)에 탑재된 전선을 거치대(10) 상에 일정하게 위치시키며, 주 롤러(20)에 부가되는 전선의 하중을 분담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서 상기 유지부(60)는 상기 지지대(50) 상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유지부(60)가 지지대에 마련된 힌지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대(50)의 높이를 가변으로 하여, 주 롤러(20)에 탑재되는 전선의 종류에 따라 보조 롤러(70)의 높이를 가변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전체 높이는, 예를 들어 주 롤러(20)의 내경이 100㎜인 경우, 약 170㎜로 설계되고, 주 롤러(20)의 내경이 70㎜인 경우, 약 120㎜로 설계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작동에 대해 도 4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를 트레이 행거(100) 사이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주 롤러(20)와 보조 롤러(70)는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작업자가 전선(110)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롤러(20) 상에 탑재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유지부(60)를 하강시키고, 모터부(30)의 스위치를 온 시키는 것에 의해 전선(110)의 안내가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부(30)의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주 롤러(20)를 회전시켜 전선(110)을 안내하므로 작업자의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 실시 예 2 >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이 제2 실시 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17)에 마련되어 상기 유지부(60)를 일정 상태로 유지시키는 걸쇠부(90)가 마련된 것이다.
즉, 도 4c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걸쇠부(90)로 상기 유지부(60)를 고정하는 구조를 마련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는 상기 걸쇠부(90)의 작동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구조를 마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걸쇠부(9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2 실시 예의 경우, 제1 실시 예에 비해 작업자의 노동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예의 그 밖의 구조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 실시 예 3 >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제3 실시 예를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이 제3 실시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30)가 상기 주 롤러(20)의 전후에 한 쌍으로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한 쌍의 모터부(3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3 실시 예의 경우, 제1 실시 예에 비해 전선(110)의 안내를 더욱 빠른 속도로 실행할 수 있다.
즉, 이 제3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모터부(30)가 동일한 속도로 주 롤러(20)를 회전시키므로 주 롤러(20)의 회전속도는 제1 실시 예에 비해 2배로 증가하게 된다.
제3 실시 예의 그 밖의 구조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 실시 예 4 >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제4 실시 예를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이 제4 실시 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롤러(20)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모터부(30)가 상기 한 쌍의 주 롤러(20)에 각각 대응하여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주 롤러(20)와 한 쌍의 모터부(3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4 실시 예의 경우, 제1 실시 예에 비해 전선(110)의 안내를 더욱 빠른 속도로 안정되게 실행할 수 있다.
즉, 이 제4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모터부(30)가 동일한 속도로 각각의 주 롤러(20)를 회전시키므로 주 롤러(20)의 회전속도는 제1 실시 예에 비해 2배로 증가하게 된다.
제4 실시 예의 그 밖의 구조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에 의하면 트레이 행거에서 전선의 포설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10 : 거치대,
20 : 주 롤러
30 : 모터부
40 : 벨트
50 : 지지대
60 : 유지부
70 : 보조 롤러
80 : 지지 롤러

Claims (14)

  1. 전선 포설을 안내하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로서,
    트레이 행거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양측에 마련된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
    상기 거치대의 링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선을 안내하는 주 롤러;
    상기 링크상에 마련되는 슬롯;
    상기 주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에는 각각 수평 롤러 및 수직 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제 2 지지판은 상기 슬롯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롤러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주 롤러에 마련된 전선을 유지시키는 보조 롤러 및
    상기 보조 롤러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롤러는 상기 유지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거치대의 양측에 형성된 링크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과 상기 주 롤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지지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롤러와 상기 모터부는 기어 또는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지지대 상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주 롤러의 전후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롤러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한 쌍의 주 롤러에 각각 대응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에 마련되어 상기 유지부를 일정 상태로 유지시키는 걸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걸쇠부의 작동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롤러와 보조 롤러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전선 포설 작업을 하는 도중 트레이 행거와의 충돌로 인해 전선 포설 안내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에 각각 범퍼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KR2020130007100U 2013-08-23 2013-08-23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KR200487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100U KR200487710Y1 (ko) 2013-08-23 2013-08-23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100U KR200487710Y1 (ko) 2013-08-23 2013-08-23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947U KR20150000947U (ko) 2015-03-04
KR200487710Y1 true KR200487710Y1 (ko) 2018-10-24

Family

ID=5304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100U KR200487710Y1 (ko) 2013-08-23 2013-08-23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22U (ko) * 2019-08-13 2021-02-23 정삼식 전선 가이드용 롤러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772Y1 (ko) * 2002-03-30 2002-07-13 서봉룡 케이블 포설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490B1 (ko) 2010-02-24 2012-02-24 하나테크 주식회사 다회선 케이블 선출장치
KR101205921B1 (ko) * 2010-12-08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215501B1 (ko) 2011-01-18 2012-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안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772Y1 (ko) * 2002-03-30 2002-07-13 서봉룡 케이블 포설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22U (ko) * 2019-08-13 2021-02-23 정삼식 전선 가이드용 롤러보드
KR200493722Y1 (ko) * 2019-08-13 2021-05-24 정삼식 전선 가이드용 롤러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947U (ko)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5611C (en) Apparatus for pushing conductors into conduit and other structures
KR100923919B1 (ko) 천정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82984Y1 (ko) 전선 포설 안내장치
JP2016152698A (ja) ケーブル吊り上げ器およびケーブル布設方法
KR20150074232A (ko) 파워케이블 포설 작업용 지지 롤러
CN112938661A (zh) 一种电缆智能排缆装置及方法
KR101303036B1 (ko) 레일이동식 지게차용 안전로드포스트
KR200487710Y1 (ko) 전동식 전선 포설 안내장치
KR20180054982A (ko) 와이어링 하니스 테이핑 장치
KR20170055232A (ko) 전선 포설용 세선분배장치
CN211971409U (zh) 一种自带驱动力的主动式重型电缆绕线机
KR20150087593A (ko) 벨트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장치
KR100923921B1 (ko) 천정 포설용 지중 캐터필라
CN109051531B (zh) 一种线束工装运输线
KR101545623B1 (ko) 선박용 자율 주행 케이블 포설 로봇
KR20150084409A (ko) 케이블 포설장치
KR200477315Y1 (ko) 케이블 포설 장치
KR20180023799A (ko) 전기 배선용 대형 케이블을 이송하는 장치
RU191321U1 (ru) Самоходная машина для монтажа и перевозки опор и кабеля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KR101513070B1 (ko) 케이블 포설 로봇
KR101348166B1 (ko) 지그를 이용하는 작업라인 시스템
KR101562819B1 (ko) 수평전로 케이블 포설 로봇
CN218988440U (zh) 一种供电线缆施工用运输装置
KR20150087921A (ko) 케이블 포설용 로봇
KR102152332B1 (ko) 전선 공급 및 수거용 드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