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096B1 - 휠체어 - Google Patents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096B1
KR101270096B1 KR1020110125562A KR20110125562A KR101270096B1 KR 101270096 B1 KR101270096 B1 KR 101270096B1 KR 1020110125562 A KR1020110125562 A KR 1020110125562A KR 20110125562 A KR20110125562 A KR 20110125562A KR 101270096 B1 KR101270096 B1 KR 101270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ide frames
lever
folding frame
le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홍 filed Critical 박재홍
Priority to KR102011012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61G5/08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 A61G5/081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olding direction folding side to side, e.g. reducing or expanding the overall width of th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측면프레임 및 제2측면프레임과, 제1측면프레임 및 제2측면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와, 제1측면프레임과 제2측면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제1측면프레임과 제2측면프레임이 겹치는 상태로 접히거나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상태로 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접철프레임과, 제1측면프레임과 제2측면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휠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휠체어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 등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편리하게 용변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걷기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노약자 등이 앉은 상태로 이동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며, 이동이나 보관시 부피를 줄이기 위해 접이식으로 구성되는 휠체어가 많이 사용된다.
한편,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좌석을 떠나 위치를 옮겨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특히 용변 해결을 위해서는 좌석을 떠나 변기에 착석해야 하는데, 매번 보호자에 의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31039호, 실용신안등록 제419385호, 특허등록 제676148호는 등에는 사용자가 좌석에 앉은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휠체어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등록 제676148호는 종래 접이식 휠체어가 시트 하부에 설치되는 "X"형의 크로스 링크를 사용함에 따라 좌변기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 기술로서, "X"형의 크로스 링크 대신 전면프레임 및 후면프레임을 설치하므로 사용자가 휠체어를 타고 좌변기가 있는 화장실 등으로 이동하여 시트가 좌변기 상부에 간편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등록 제676148호의 휠체어는 제1측프레임부와 제2측브레임부를 접철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전면프레임 및 후면프레임이 제1측프레임과 제2측브레임부를 사이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전면프레임 및 후면프레임의 절곡부가 쉽게 꺾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접철프레임을 아치형으로 설치하고 꺾어 접을 수 있도록 설치되므로 하중이 분산되면서 지지강도를 향상되고 꺾이는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휠체어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측면프레임이 서로 근접하는 상태로 접히거나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상태로 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접철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철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아치형상으로 가로지르며 연결하고 중앙부를 꺾어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접철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후방 끝부분 중앙쪽 또는 상부쪽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시트는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제2측면프레임 후방쪽에 설치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하부 끝부분 전방쪽에 설치되고 용변시 개방가능한 개폐구멍이 형성되는 착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는 개폐구멍을 개폐하는 덮개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덮개장치는 상기 착석부 하부에 설치되고 한쪽 모서리가 상기 착석부의 개폐구멍의 한쪽 주변에 지지되는 덮개시트와, 상기 덮개시트의 다른쪽 모서리를 상기 착석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점착부재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덮개시트의 다른쪽 끝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다른쪽 끝부분을 당기면 덮개시트의 부착이 해제되면서 착석부에서 분리시키고 밀면 덮개시트를 다시 부착시키도록 설치되는 와이어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에 의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에 있어서 시트의 덮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에 있어서 시트의 덮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에 있어서 시트의 덮개장치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에 있어서 접철프레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추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에 있어서 접철프레임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추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접는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휠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20)과, 상기 측면프레임(20)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30)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20)을 연결하는 접철프레임(40) 및 시트(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프레임(20)은 상하로 길게 설치되고 하부 쪽에는 링형상의 손잡이가 달린 대형 바퀴(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수직부(22)와, 전후로 길게 형성하여 설치되고 상기 후방수직부(22)의 중앙부에 후방 끝부분이 연결되며 전방 쪽에는 하향으로 절곡되는 연장부(25)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부24)와, 상기 수평부(24) 전방쪽에서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수평부(24)와 교차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쪽에는 후방쪽으로 대략 직각으로 굽어져 상기 (22)와 연결되는 수평연결부(27)가 형성되며 하부 끝부분에는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소형 바퀴(32)가 설치되는 전방수직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수직부(22)에는 상부 끝부분에서 후방쪽 대략 직각으로 굽어지는 손잡이부(23)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장부(25)의 하부 끝부분에는 사용자의 발을 얹을 수 있도록 발판(25a)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측면프레임(20), 바퀴(30), (32)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휠체어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접철프레임(40)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20)을 아치형상으로 가로지르며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접철프레임(40)은 대략 반원형상 또는 "("형상, "∩"형상, 타원형상 등으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접철프레임(40)은 상기 측면프레임(20)의 후방 끝부분에 위치하는 후방수직부(22)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중앙부분 또는 전방 끝부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철프레임(40)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에 좌변기(2)가 위치하도록 휠체어를 이동하였을 때 좌변기(2)와 간섭하지 않는 높이로 설치된다.
즉 상기 접철프레임(40)은 상기 측면프레임(20)의 후방수직부(22) 중앙부 또는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접철프레임(40)은 중앙부 한 군데를 꺾어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접철프레임(40)은 한 쌍의 제1레버(42) 및 제2레버(44)와, 상기 제1레버(42)와 제2레버(44)를 힌지축(4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경첩(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레버(42) 및 제2레버(44)는 대략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형 단면이나 사각 단면 등을 갖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연이어 설치됨에 따라 아치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레버(42) 및 제2레버(44)가 서로 연결되는 한쪽 끝면(43), (45)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면프레임(20)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편 상태에서는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맞닿으며 밀착되고 측면프레임(20)의 간격이 좁아도록 접힌 상태에서는 "V"형상으로 벌어지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끝면(43), (45)은 넓적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레버(42)(또는 제2레버(44)) 단면 크기의 대략 0.5~8배 정도 크기로 형성되고 사각형이나 다각형, 원형, 반원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레버(42) 및 제2레버(44)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다른쪽 끝부분은 각각 상기 측면프레임(20)의 후방수직부(2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경첩(46)은 상기 측면프레임(20) 사이 간격을 좁혀서 접을 때 상기 제1레버(42)와 제2레버(44)가 힌지축(47)을 중심으로 하부 쪽으로 회전하도록 제1레버(42)와 제2레버(44)가 서로 연결되는 한쪽 끝부분 저면 쪽에 설치된다.
상기 경첩(46)은 상기 측면프레임(20)의 간격을 좁혀서 접을 때 상기 제1레버(42)와 제2레버(44)가 힌지축(47)을 중심으로 전방쪽 또는 후방쪽으로 회전하도록 제1레버(42)와 제2레버(44)가 서로 연결되는 한쪽 끝부분 측면 쪽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레버(42) 및 제2레버(44)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다른쪽 끝부분에는 상기 측면프레임(20)에 일정 거리 범위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측면프레임(20)의 후방수직부(22)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형상의 결합부(48)가 각각 더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후방수직부(22) 외주면에는 상기 측면프레임(20)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편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48)가 더 이상 상향 이동하지 않도록 멈춤돌기(49)를 형성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시트(6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면프레임(10)과 제2측면프레임(20) 후방쪽에 설치되는 등받이부(62)와, 상기 등받이부(62) 하부 끝부분 전방쪽에 설치되고 용변시 개방가능한 개폐구멍(66)이 형성되는 착석부(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착석부(64) 및 등받이부(62)는 천이나 합성수지, 가죽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구멍(66)은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개폐구멍(66)은 대략 좌변기(2)의 변기시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착석부(64)의 하부에는 상기 개폐구멍(66)을 개폐하는 덮개장치(70)가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덮개장치(7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64) 하부에 설치되고 한쪽 모서리가 상기 착석부(64)의 개폐구멍(66)의 한쪽 주변에 지지되는 덮개시트(72)와, 상기 덮개시트(72)의 다른쪽 모서리를 상기 착석부(64)에 분리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점착부재(74)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덮개시트(72)의 다른쪽 끝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다른쪽 끝부분을 당기면 덮개시트(72)의 부착이 해제되면서 착석부(64)에서 분리시키고 밀면 덮개시트(72)를 다시 부착시키도록 설치되는 와이어케이블(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시트(72)는 상기 합성수지나 가죽,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구멍(66)을 가로막고 설치된다.
상기 점착부재(64)는 벨크로(velcro)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점착부재(64)는 자석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와이어케이블(76)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브레이크 케이블 등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여 이루어진다. 즉 유연하게 형성되는 파이프형상의 외관(77)과, 상기 외관(77)의 내부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로프(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로프(78)의 한쪽 끝부분은 상기 덮개시트(72)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편리하게 당기거나 밀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80)와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철프레임(50)이 3군데를 꺾어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접철프레임(50)은 가장자리 쪽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20)의 후방수직부(220 한쪽 끝부분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레버(51) 및 제2레버(52)와, 상기 제1레버(52)와 제2레버(52)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제3레버(53) 및 제4레버(54)와, 상기 제1레버(51)와 제2레버(52), 제2레버(52)와 제3레버(53), 제3레버(53)와 제4레버(54)를 각각 힌지축(5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경첩(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철프레임(40)은 상기 측면프레임(20)의 전방 및 후방 끝부분을 각각 연결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방의 접철프레임(40)은 상기 측면프레임(20)의 하부 쪽에 설치된다.
상기 전방의 접철프레임(40)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20)의 전방수직부(24)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후방의 접철프레임(40)은 상기 측면프레임(20) 중앙부 또는 상부 쪽에 설치된다.
상기 후방의 접철프레임(40)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20) 후방수직부(22)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2 : 좌변기 20 : 측면프레임
30, 32 : 바퀴 40, 50 : 접철프레임
46, 56 : 경첩 60 : 시트
64 : 착석부 66 : 개폐구멍
70 : 덮개장치 72 : 덮개시트
74 : 점착부재 76 : 와이어케이블

Claims (6)

  1.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측면프레임이 서로 근접하는 상태로 접히거나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상태로 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접철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아치형상으로 가로지르며 연결하고 중앙부를 꺾어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설치하는 휠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철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 중앙에서 한쪽 끝부분이 서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측면프레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레버 및 제2레버와,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가 서로 연결되는 한쪽 끝부분에 설치되고 제1레버와 제1레버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첩을 포함하는 휠체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철프레임은 3군데를 꺾어 접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설치하고,
    상기 접철프레임은 가장자리 쪽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 한쪽 끝부분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레버 및 제2레버와,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제3레버 및 제4레버와,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 제2레버와 제3레버, 제3레버와 제4레버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경첩을 포함하는 휠체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철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후방 끝부분 중앙쪽 또는 상부쪽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는 휠체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철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후방 끝부분 및 전방 끝부분을 각각 연결하도록 한 쌍을 설치하고,
    상기 전방의 접철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하부 쪽에 설치하고,
    상기 후방의 접철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중앙부 또는 상부 쪽에 설치하는 휠체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후방쪽에 설치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하부 끝부분 전방쪽에 설치되고 용변시 개방가능한 개폐구멍이 형성되는 착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는 개폐구멍을 개폐하는 덮개장치를 더 설치하고,
    상기 덮개장치는 상기 착석부 하부에 설치되고 한쪽 모서리가 상기 착석부의 개폐구멍의 한쪽 주변에 지지되는 덮개시트와, 상기 덮개시트의 다른쪽 모서리를 상기 착석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점착부재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덮개시트의 다른쪽 끝부분에 부착된 상태에서 다른쪽 끝부분을 당기면 덮개시트의 부착이 해제되면서 착석부에서 분리시키고 밀면 덮개시트를 다시 부착시키도록 설치되는 와이어케이블을 포함하는 휠체어.
KR1020110125562A 2011-11-29 2011-11-29 휠체어 KR101270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562A KR101270096B1 (ko) 2011-11-29 2011-11-29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562A KR101270096B1 (ko) 2011-11-29 2011-11-29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096B1 true KR101270096B1 (ko) 2013-06-05

Family

ID=4886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562A KR101270096B1 (ko) 2011-11-29 2011-11-29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0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2158A (ja) * 1997-03-31 1998-10-13 Iura:Kk 車椅子
JPH11192266A (ja) * 1998-01-05 1999-07-21 Miki:Kk 折畳み式車椅子の座部支持機構および車椅子
KR20060127521A (ko) * 2005-06-07 2006-12-13 최준한 휠체어
JP2008259668A (ja) 2007-04-12 2008-10-30 Koyo:Kk 折り畳み式車椅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2158A (ja) * 1997-03-31 1998-10-13 Iura:Kk 車椅子
JPH11192266A (ja) * 1998-01-05 1999-07-21 Miki:Kk 折畳み式車椅子の座部支持機構および車椅子
KR20060127521A (ko) * 2005-06-07 2006-12-13 최준한 휠체어
JP2008259668A (ja) 2007-04-12 2008-10-30 Koyo:Kk 折り畳み式車椅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5101B2 (ja) 歩行器兼用車椅子
US8480100B2 (en)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US20110187067A1 (en)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JP2001008991A (ja) 歩行補助器
ITMI971948A1 (it) Seggiolone regolabile
JP2007037608A (ja) 浴室用折り畳み椅子
JP2014030692A (ja) 歩行器兼用車椅子
KR200443845Y1 (ko) 노약자용 보행보조차
KR101270096B1 (ko) 휠체어
JP3201241U (ja) 介護用ベッド
CN209347458U (zh) 一种坐便椅
US9370456B2 (en) Chair assembly
JP2018198945A (ja) 車椅子固定装置
JP4920062B2 (ja) 車椅子
JP6241926B2 (ja) 車椅子固定装置
KR102186013B1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JP6399670B2 (ja) 車椅子固定装置
JPH03188853A (ja) 車椅子
JP5105129B2 (ja) 介護用車椅子
JP3994061B2 (ja) 車椅子
JP3106591U (ja) 浴室用折たたみ式いす
KR20060127521A (ko) 휠체어
KR20140132921A (ko) 폭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변기 의자
WO2013158321A1 (en)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JP6093832B1 (ja) 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